접이식 대형 파라솔

申请号 KR1020160124315 申请日 2016-09-27 公开(公告)号 KR101796394B1 公开(公告)日 2017-11-10
申请人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发明人 이종순; 손혜선;
摘要 본발명은대형파라솔에관한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야외에서비를피하거나햇빛을차단하기위하여설치하는것으로서공간의활용을극대화하는동시에사용편의성을크게개선시킨접이식대형파라솔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따른접이식대형파라솔은, 지면에고정되는지주, 상기지주로부터절곡연장형성되는지지암, 상기지지암의일단에연결되어접히거나펼쳐지도록구성된차양막, 와이어를권취및 인출되도록하여차양막을펼치거나접히도록하는와이어권취부재를포함하는파라솔에있어서, 상기지지암의분리구간에서서로마주하는프론트암 및리어암 사이에는와이어의장력에의해제어되어리어암을회동시켜접을수 있도록힌지수단이구비되는것을특징으로한다.
权利要求
  • 삭제
  •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는 지지암(20), 상기 지지암(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차양막(30), 와이어(50)를 권취 및 인출되도록 하여 차양막(30)을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와이어 권취부재(40)를 포함하는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0)의 분리구간에서 서로 마주하는 프론트 암(21) 및 리어 암(22) 사이에는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제어되어 리어 암(22)을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힌지수단(6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수단(60)은 상기 프론트 암(21)의 단부에 연통 결합되는 제1 힌지브라켓(61)과, 상기 리어 암(22)의 단부에 연통되되 상기 제1 힌지브라켓(61)에 힌지(64)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 힌지브라켓(62)과, 상기 제1 힌지브라켓(61)의 일측에 설치되되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어 제2 힌지브라켓(62)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부재(63)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재(63)는 제1 힌지브라켓(61)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되 일측에 각각의 수직장홈(631)을 갖는 복수의 가이드(632)와, 상기 제1,2 힌지브라켓(61,62)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611,6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부에 상기 수직장홈(63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지지핀(633)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와이어(50)가 관통되는 관통공(634)이 형성되는 록킹로드(635)와, 상기 록킹로드(635)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형 파라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633)의 중간부에는 록킹로드(635)의 관통공(634)을 관통하는 와이어(50)를 안내 지지하기 위한 롤러(6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형 파라솔.
  • 삭제
  • 说明书全文

    접이식 대형 파라솔 {Large parasol}

    본 발명은 대형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비를 피하거나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사용 편의성을 크게 개선시킨 접이식 대형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햇빛을 막아주어 한여름 자외선 차단에 효과적이며, 주로 정원, 테라스, 해변 등에서 사용함은 물론 테이블과 함께 두고 사용하여 카페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파라솔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동형 파라솔과 크기가 큰 대형 파라솔로 구분되며, 특히 대형 파라솔의 경우에는 지면에 직접 고정되고 견고한 프레임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보다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내부의 수용공간이 비약적으로 증대되므로 각종 행사를 진행하거나 각종 작업 등을 그 내부에서 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의 대형 파라솔은 지면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차양막을 절첩하거나 전개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 절첩구조를 채택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대형 파라솔은 한번 설치된 상태에서는 그 파라솔을 해체하기 전까지 늘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렇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폭우나 폭설 또는 강풍을 만나는 경우 그 지지대 및 지지기둥이 파손 및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기에 파라솔을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바닥에 고정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위쪽 끝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굽어져 아암 형상으로 형성된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굽어진 수직부가 형성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수직부에 고정되며 지붕살과 작동살로 이루어져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붕과 상기 기둥 및 지붕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붕을 접고 펼치기 위한 접철장치를 포함하는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일단이 접힐 수 있도록 경첩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지붕에 형성된 지붕살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지지살과 상기 작동살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지지살과 상기 제1 지지살과 제2 지지살을 연결 및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에 대해 � ��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지붕을 접은 상태에서 아암부의 일단을 접을 수 있도록 접철장치에 형성된 레칫을 잠금키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경첩부재의 바디를 사용자가 직접 이동하여 상측으로 올리면 제1 지지대에 형성된 걸림턱과 헤드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홈이 분리되어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재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경첩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서 힘을 가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가 대형이기 때문에 신체가 작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465호(2008.02.1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라솔의 와이어를 권취하면 차양막이 펼쳐지고 와이어를 인출하면 차양막이 접혀지며, 와이어의 권취 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힌지수단을 가압시켜 회동이 차단되게 하고 와이어의 인출 시에는 힌지수단의 가압을 해제시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지암을 누구나 손쉽게 접을 수 있는 대형 파라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파라솔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미사용 시에는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강풍 등의 자연 재해 시 파손 및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접이식 대형 파라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형 파라솔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는 지지암(20), 상기 지지암(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차양막(30), 와이어(50)를 권취 및 인출되도록 하여 차양막(30)을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와이어 권취부재(40)를 포함하는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20)의 분리구간에서 서로 마주하는 프론트 암(21) 및 리어 암(22) 사이에는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제어되어 리어 암(22)을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힌지수단(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수단(60)은 상기 프론트 암(21)의 단부에 연통 결합되는 제1 힌지브라켓(61)과, 상기 리어 암(22)의 단부에 연통되되 상기 제1 힌지브라켓(61)에 힌지(64)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 힌지브라켓(62)과, 상기 제1 힌지브라켓(61)의 일측에 설치되되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어 제2 힌지브라켓(62)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부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63)는 제1 힌지브라켓(61)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되 일측에 각각의 수직장홈(631)을 갖는 복수의 가이드(632)와, 상기 제1,2 힌지브라켓(61,62)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611,6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부에 상기 수직장홈(63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지지핀(633)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와이어(50)가 관통되는 관통공(634)이 형성되는 록킹로드(635)와, 상기 록킹로드(635)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핀(633)의 중간부에는 록킹로드(635)의 관통공(634)을 관통하는 와이어(50)를 안내 지지하기 위한 롤러(6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형 파라솔은 와이어의 권취 및 인출에 따라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힌지수단을 접이식으로 구현되게 하여 지지암을 누구나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라솔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미사용 시에는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강풍 등의 자연 재해 시 파라솔 자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형 파라솔의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형 파라솔의 차양막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힌지수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따른 힌지수단의 결합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와이어의 권취 시의 록킹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와이어 인출 시의 록킹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형 파라솔의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형 파라솔의 차양막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형 파라솔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는 지지암(20), 상기 지지암(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차양막(30), 와이어(50)를 권취 및 인출되도록 하여 차양막(30)을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와이어 권취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암(20)의 분리구간에서 서로 마주하는 프론트 암(21) 및 리어 암(22) 사이에는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제어되어 리어 암(22)을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힌지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지주(10)는 콘크리트 바닥에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고정플레이트(11)에 용접 등의 접합으로 수직 고정한다.

    상기 지지암(20)은 지주(10)에 일체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암(20)은 지주(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 연장 형성되되 일측에서 복수개로 분리되어 프론트 암(21)과 리어 암(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암(22)은 차양막(30)이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일단이 하향 절곡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막(30)은 상기 지지암(20)의 리어 암(22)의 단부에 연결 지지되어 차양 범위를 넓힐 수가 있으며 내구성이 큰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막(30)은 별도의 지지살에 의해 지지되어 펼쳐지고 접혀지는데, 이러한 펼침과 접힘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와이어 귄취부재(40)는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주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양막(30)을 펼치거나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하며, 지주(10)의 일측에 설치하되 사용자의 손이 잘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50)는 와이어 권취부재(40)의 작동에 따라 권취되거나 인출됨과 동시에 차양막(30)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50)는 인장력이 강한 철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러 겹으로 꼬아 만든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10), 다수의 지지살에 의해 지지된 차양막(30), 와이어 권취부재(40) 및 와이어(50)는 통상적으로 파라솔에 공통되게 적용되는 구성들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힌지수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힌지수단의 결합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지암(20)의 프론트 암(21) 및 리어 암(22) 사이에 구비되어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제어되는 힌지수단(60)을 통해 리어 암(22)을 회동시켜 접을 수 있다.

    상기 힌지수단(60)은 상기 프론트 암(21)의 단부에 연통 결합되는 제1 힌지브라켓(61)과, 상기 리어 암(22)의 단부에 연통되되 상기 제1 힌지브라켓(61)에 힌지(64) 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 힌지브라켓(62)과, 상기 제1 힌지브라켓(61)의 일측에 설치되되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어 제2 힌지브라켓(62)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부재(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브라켓(61)은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벽면에는 프론트 암(21)의 단부와 연통되도록 통공(612)이 형성되고 벽면의 하단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 받침부에는 삽입공(6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힌지브라켓(62)은 측면에서 볼 때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벽면에는 리어 암(22)의 단부와 연통되도록 통공(622)이 형성되고 벽면의 하단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 받침부에는 상기 제1 힌지브라켓의 삽입공에 대응되는 삽입공(6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힌지브라켓(62)은 제1 힌지브라켓(61)에 힌지(64)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하면서 제1 힌지브라켓(61)에 결합 및 해제되게 되며, 이는 제1 힌지브라켓(61)의 내측에 설치된 록킹부재(63)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2 힌지브라켓(62)은 벽면이 제1 힌지브라켓(61)의 전체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부 받침부가 제1 힌지브라켓의 하부 받침부보다 낮게 위치함에 따라 상호 결합 시 제2 힌지브라켓(62)의 하부 받침부가 제1 힌지브라켓(61)의 하부 받침부의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와이어의 권취 시의 록킹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와이어 인출 시의 록킹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는 록킹부재(63)를 통해 제2 힌지브라켓(62)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킨다.

    상기 록킹부재(63)는 제1 힌지브라켓(61)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되 일측에 각각의 수직장홈(631)을 갖는 복수의 가이드(632)와, 상기 제1,2 힌지브라켓(61,62)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611,6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상부에 상기 수직장홈(63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지지핀(633)이 수평으로 결합되고 와이어(50)가 관통되는 관통공(634)이 형성되는 록킹로드(635)와, 상기 록킹로드(635)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36)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로드(635)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쪽 가이드(632)의 수직장홈(631)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지지핀(633)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되고, 스프링(636)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부의 힘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제2 힌지브라켓(62)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킨다.

    상기 록킹로드(635)는 관통공(634)으로 관통되는 와이어(50)의 장력이 팽팽하거나 또는 느슨한 정도에 따라 승강 작동된다.

    상기 지지핀(633)의 중간부에는 록킹로드(635)의 관통공(634)을 관통하는 와이어(50)를 안내 지지하기 위한 롤러(63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록킹부재(63)는 와이어 권취부재(40)를 회전 작동시켜 와이어를 권취하면 차양막이 펼쳐지고, 와이어의 장력이 팽팽해지는 동시에 록킹로드(635)를 가압시켜 록킹로드(635)가 하강하면서 제1,2 힌지브라켓(61,62)의 삽입공(611,621)에 삽입되면서 제2 힌지브라켓(62)의 회동을 차단시킨다.

    반대로, 와이어를 인출하면 차양막이 접혀지고, 와이어의 장력이 느슨해지면서 록킹로드(635)의 가압을 해제시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록킹로드(635)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제2 힌지브라켓(62)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리어 암(22)을 손쉽게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힌지수단(60)에 형성된 힌지(64)는 지지암(20)을 중심으로하여 좌측 하방향 또는 우측 하방향으로 1°내지 45°각도로 경사각을 형성하며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차양막을 접고자 와이어(50)를 풀어 와이어 장력이 느슨해지면 중력에 의해 프론트 암(21)이 힌지(64)를 중심으로 자동 회전하여 접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대형 파라솔의 지지암(20)에 대한 접이식 구성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파라솔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미사용 시에는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강풍 등의 자연 재해시 파손 및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지주
    11 : 고정판
    20 : 지지암
    21 : 프론트 암
    22 : 리어 암
    30 : 차양막
    40 : 와이어 권취부재
    50 : 와이어
    60 : 힌지수단
    61 : 제1 힌지브라켓
    611 : 삽입공, 612 : 통공
    62 : 제2 힌지브라켓
    621 : 삽입공, 622 : 통공
    63 : 록킹부재
    631 : 수직장홈, 632 : 가이드, 633 : 지지핀, 634 : 관통공, 635 : 록킹로드, 636 : 스프링, 637 : 롤러
    64 : 힌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