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레판

申请号 KR2020040014376 申请日 2004-05-24 公开(公告)号 KR200358048Y1 公开(公告)日 2004-08-05
申请人 장균식; 发明人 장균식;
摘要 본 고안은 써레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홈과 갈퀴를 동시에 형성시켜 재료의 소실이 없는 써레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써레판 몸체 하단부위를 일부 절개하여, 이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수직 절곡시킴으로써 갈퀴가 형성되게 하고, 절곡된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빈공간은 배수홈이 되게 한 써레판에 있다.
权利要求
  • 써레판 몸체 하단부위를 일부 절개하여, 이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수직 절곡시킴으로써 갈퀴가 형성되게 하고, 절곡된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빈공간은 배수홈이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판.
  • 써레판 몸체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동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절곡한 보강판이 마련된 써레판에 있어서,
    상기 써레판 몸체의 하단부위를 일부 절개하여, 이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수직 절곡시킴으로써 갈퀴가 형성되게 하고, 절곡된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빈공간은 배수홈이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판.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와 배수홈은 다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레판.
  • 说明书全文

    써레판 {A harrow of plate}

    본 고안은 써레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홈과 갈퀴를 동시에 형성시켜 재료의 소실이 없는 써레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써레판은 트렉터 후방(도면미도시)에 연결수단(3)으로 연결되는 써레(1)의 프레임(2)에 지지되어 평탄화 작업시 논과 직접 마찰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종래의 써레판(30)은 몸체(31)의 양측에 하향절곡된 측판부(32)가 형성되며, 써레판 몸체(31)의 하단부를 톱니형상으로 펀칭하여 형성된 배수홈(33)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써레판(30)은 써레가 무논 평탄화 작업시 상기 측판부(32)가 볏짚이나 잡초등을 눌러 흙속에 묻히도록 하고 배수홈(33)을 따라 배수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써레판은 배수홈 형성시 펀칭과정에서 떨어져 나가는 펀칭된 부분을 활용할 수 없이 버려야 하므로 재료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써레판의 배수홈 형성시 펀칭되어 떨어져 나갈 부분을 활용하여 재료절감의 효과가 있는 써레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써레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배수홈과 갈퀴의 형성과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다수의 배수홈과 갈퀴가 형성된 써레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써레판 11: 몸체 12,13: 보강판

    15: 배수홈 16: 갈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써레판 몸체 하단부위를 일부 절개하여, 이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수직 절곡시킴으로써 갈퀴가 형성되게 하고, 절곡된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빈공간은 배수홈이 되게 한 써레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은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에 써레판이 다수개가 지지되는 형태나 단일로 지지되는 형태로 적용 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본 고안의 써레판 구성은 도 2에서와 같이 써레판 몸체(11) 하단부위를 일부 절개하여, 이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수직 절곡시킴으로써 갈퀴(16)가 형성되게 하고, 절곡된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빈공간은 배수홈(15)이 되게 한 것이다.

    이때, 절개된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갈퀴(16)로 형성하므로 재료의 손실을 방지하며 재작공정의 횟수를 단축시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써레판(10)이 기울어져 주행함을 고려하여 갈퀴(16)의 형상이 삼각형상을 갖게하되 밑변이 써레판과 유사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써레판의 주행시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갈퀴(16)는 도 5에서와 같이 써레판(10)이 무논을 주행할때 볏짚이나 잡초를 묻어버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무논에 일정깊이로 묻혀있는 갈퀴(16)가 그 후방에 도랑(A)을 만들면서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갈퀴(16)가 볏짚이나 잡초를 누름과 동시에 도랑(A)에 묻어버리면서 지나가게 된다.

    그리고, 갈퀴(16)가 지난후 도랑(A)은 물과 흙의 하중으로 그 틈새가 메꾸어지게 되므로 상기 볏짚이나 잡초를 무논에 완전히 묻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써레판(10)은 써레판 몸체(11)의 양측부를 상향절곡 내지 하향절곡(도면 미도시)된 보강판(12,13)을 지니게 하여 뒤틀림이나 휨을 방지한다.

    참고로, 상기 갈퀴(16)와 배수홈(15)의 동시형성과정은 도 3에서와 같이,

    써레판 몸체(11)의 하단부위를 펀칭(40)하여 배수홈(15)을 형성하는데.

    이때, 펀칭(40)의 펀칭부가 경사를 이루고 있어, 써레판 몸체(11)에 펀칭시 일측부만 절개되며 타측부는 경사면을 따라 하향절곡하게 된다.

    이후, 펀칭 작업이 끝나면 절개부가 배수홈(15) 일측으로 수직절곡된 갈퀴(16)가 되며, 절개부와 절곡부 사이의 공간이 그대로 배수홈(15)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써레판이 배수홈 형성시 펀칭된 부분을 버리는데 반해 펀칭된 부분을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써레판은 재료손실 방지 및 제작공정횟수의 감소로 인한 제작비용 절감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