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申请号 KR1020140191997 申请日 2014-12-29 公开(公告)号 KR1020160080007A 公开(公告)日 2016-07-07
申请人 김남주; 发明人 김남주;
摘要 본체로부터전원을공급받아외부공기를흡입하여대상물내부를건조시키는탄성부를구비하는공기주입식건조기가개신된다. 일실시예에있어서, 일실시예에있어서, 상기공기주입식건조기는상기외부공기를흡입하여상기대상물내부에공급하며상기대상물내부에공급되어상기대상물내부에서순환된상기외부공기의적어도일부를배출하는송풍기, 일단이상기송풍기와연결되며타단이상기대상물내부로삽입되어상기송풍기로부터흡입된상기외부공기를상기대상물내부에전달하는공급관, 일단이상기송풍기와연결되며타단이상기대상물내부로삽입되어상기대상물내부에서순환된상기외부공기의상기적어도일부를상기송풍기에전달하여상기대상물내부에서순환된상기외부공기의상기적어도일부가상기송풍기를통하여외부로배출되도록하는배출관, 상기공급관의상기타단과일단이연결되는탄성부및 상기탄성부의타단과연결되는모양형성부를포함한다. 상기송풍기는제1날개및 제2날개를포함하며, 상기제1날개및 상기제2날개는서로이격되어배치되며, 상기전원에의하여회전한다. 상기제1날개및 상기제2날개중 어느하나의날개-이하흡입날개라함-는상기전원에의하여회전하여상기외부공기를흡입하며, 상기제1날개및 상기제2날개중 다른하나의날개-이하배출날개라함-는상기전원에의하여회전하여상기대상물내부에서순환된상기외부공기의상기적어도일부를배출한다. 상기공급관및 상기배출관은각각상기흡입날개및 상기배출날개와연결되어상기전원에의한상기흡입날개및 상기배출날개의동작에의하여상기외부공기의흡입과상기대상물내부에서순환된상기외부공기의상기적어도일부의배출이동시에이루어지며, 상기모양형성부는상기대상물내부의공간을확보하며, 상기탄성부는상기대상물내부에상기모양형성부를삽입또는배출하는과정에서자유롭게구부러져상기모양형성부를상기대상물내부에용이하게삽입또는배출가능하게한다. 상기탄성부는제1주름관구조를가지며, 상기제1주름관의표면에는내부와외부를연통시키는적어도하나의관통홀이형성되며, 상기관통홀을통하여상기외부공기가상기대상물내부에전달된다.
权利要求
  •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대상물 내부를 건조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며,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는 송풍기;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흡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전달하는 공급관;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송풍기에 전달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송풍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
    상기 공급관의 상기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모양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날개 및 제2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이하 흡입날개라 함-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다른 하나의 날개-이하 배출날개라 함-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며,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은 각각 상기 흡입날개 및 상기 배출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에 의한 상기 흡입날개 및 상기 배출날개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모양형성부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 상기 모양형성부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구부러져 상기 모양형성부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배출 가능하게 하되,
    상기 탄성부는 제1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주름관의 표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전달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중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배출날개가 배치되는 분리벽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날개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일정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흡입날개의 단부는 상기 분리벽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날개는 상기 흡입날개의 상기 경사와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분리벽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은 상기 분리벽을 경계로 하여 각각 상기 흡입날개 및 상기 배출날개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날개 및 상기 배출날개는 상기 전동기에 의하여 회전하여 각각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형성부는 제1모양형성부, 제2모양형성부 및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모양형성부 및 상기 제2모양형성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모양형성부는 상기 모양형성부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양형성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제2모양형성부는 상기 탄성체의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모양형성부가 삽입되는 상기 방향의 횡방향으로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이 확보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상기 배출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공급관의 상기 타단 및 상기 배출관의 상기 타단을 상기 대상물 내부로 안내하는 상기 대상물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외부공기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가 각각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을 통해서만 상기 대상물 내부로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흡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날개와 연결되는 상기 공급관의 상기 일단에 인접한 상기 공급관의 부분 및 상기 배출날개와 연결되는 상기 배출관의 상기 일단에 인접한 상기 배출관의 부분은 길이의 신장이 가능한 제2주름관 구조를 가지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형성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를 건조하거나 살균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형성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냄새를 제거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
  • 说明书全文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air injection type dryer having elastic matter}

    본 명세서는 대체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가방, 신발 등의 생활용품은 우리의 일상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필수 아이템이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이들 생활용품은 항상 우리 곁을 떠나지 아니한다. 이들 생활용품들은 자주 사용하는 만큼 일상의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다. 특히 비가 오거나 습한 날씨에 이들 생활용품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생활용품은 축축하게 젖거나 습기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아니하면 제품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어 제대로 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신발의 경우 그 어느 생활용품에 비해서 일상에서의 사용빈도가 높고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신발을 신고 생활을 한다. 장시간 신발을 신고 있으며, 신발 안은 축축하고 습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습기는 겨울철에는 동상을 유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좀균 등 각종 세균들은 물론 피부 질환 및 냄새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신발을 건조 및 살균을 하려고 해도 신발의 구조적 특성상 신발 안은 환기 및 통풍이 잘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편리하게 신발을 살균 및 건조 할 수 있는 신발 살균 및 건조기의 개발이 필요 하다.

    이에 신발을 건조, 살균하는 예가 공개 특허 KR 20-2012-0007196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신발 살균기', 등록 특허 KR 10-1226262 '신발 건조기', 등록 특허 KR 10-1319662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 등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인용 발명들은 자외선이나 발열체를 이용하여 신발 안을 살균 및 건조 하여 팬을 이용하여 내부의 공기를 배출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 된 것처럼 하나의 전동기를 이용하며 프로펠러의 날개의 각과 이중관 구조의 관을 이용하여 흡기와 배기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대상물 내부를 건조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공기주입식 건조기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며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는 송풍기,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흡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전달하는 공급관, 일단이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송풍기에 전달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송풍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 상기 공급관의 상기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모양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는 제1날개 및 제2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한다.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이하 흡입날개라 함-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다른 하나의 날개-이하 배출날개라 함-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한다.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은 각각 상기 흡입날개 및 상기 배출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에 의한 상기 흡입날개 및 상기 배출날개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모양형성부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 상기 모양형성부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구부러져 상기 모양형성부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배출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부는 제1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주름관의 표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전달된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사용되는 송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에 사용되는 송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풍기(110)는 제1날개(111), 제2날개(112), 전동기(113), 프레임(114) 및 분리벽(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10)는 외부경계벽(116)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1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대상물 내부에 공급하며, 상기 대상물 내부에 공급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할 수 있다.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본체(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날개(111) 및 제2날개(112)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이하 흡입날개라 함-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제1날개 및 상기 제2날개 중 다른 하나의 날개-이하 배출날개라 함-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배출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흡입날개로서 제1날개(111)를, 상기 배출날개로서 제2날개(112)를 사용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면부호 120 및 130으로 표현된 관은 각각 공급관 및 배출관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날개(111)가 상기 배출날개로, 제2날개(112)가 상기 흡입날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면부호 120 및 130으로 표현된 관은 각각 배출관 및 공급관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날개(111)를 상기 배출날개로, 제2날개(112)를 상기 흡입날개로, 도면부호 120으로 표현된 관을 공급관(120), 도면부호 130으로 표현된 관을 배출관(130)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동기(113)는 상기 전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프레임(114)은 전동기(113)의 중심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날개(111)는 프레임(114)의 외측에 일정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날개(111)의 단부는 분리벽(115)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배출날개(112)는 분리벽(115)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날개(112)는 흡입날개(111)의 상기 경사와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분리벽(1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흡입날개(111)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약 ±35°, 배출날개(112)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약 ±95°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의 경사 각도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배출날개(112)의 단부에 인접하여 외부경계벽(116)이 배치될 수 있다. 외부경계벽(116)은 배출날개(112)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외부경계벽(116)은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급관(120)은 일단이 송풍기(110)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어 송풍기(1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전달한다. 배출관(130)은 일단이 송풍기(110)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대상물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송풍기(110)에 전달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송풍기(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113)에 의하여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흡입날개(111)와 배출날개(112)는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흡입날개(111)와 배출날개(112)를 전동기(113)를 통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의 흡입과 배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공급관(120) 및 배출관(130)은 각각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에 의한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분리벽(115)을 경계로 하여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와 각각 연결된 공급관(120) 및 배출관(13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외부경계벽(116)과 연결된 배출관(13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는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가 전동기(113)에 의하여 회전할 경우,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는 각각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는 이중관 구조의 공급관(120) 및 배출관(1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구성 및 동작을 대상물로서 신발을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적용대상을 신발에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용과 관련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대상물로서 신발을 위주로 상술한 본 명세서의 내용으로부터 신발 이외에 다른 대상물에 대하여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본체(10), 송풍기(110), 공급관(120), 배출관(130), 탄성부(230) 및 모양형성부(24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덮개(140) 또는 발열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선택적으로 광원(미도시) 또는 음이온 발생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송풍기(110), 발열체(150), 상기 광원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풍기(110), 발열체(150), 상기 광원 및 상기 음이온 발생기는 본체(10)의 디스플레이(11)를 통한 동작 명령 입력에 따라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원버튼(12)를 통하여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의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덮개(140)는 공급관(120), 배출관(13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주면을 감싸며, 공급관(120)의 상기 타단 및 배출관(130)의 상기 타단을 상기 대상물 내부로 안내하는 상기 대상물의 개방부를 덮을 수 있다. 덮개(140)의 소재로서 연성재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덮개(140)는 상기 외부공기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가 각각 공급관(120) 및 배출관(130)을 통해서만 상기 대상물 내부로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체(150)는 공급관(120)의 상기 타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송풍기(1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상기 외부공기의 송풍에 의한 상기 대상물 내부 건조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공기의 가열에 의한 열풍 건조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발열체(150)로서 전열선이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흡입날개(111)와 연결되는 공급관(120)의 상기 일단에 인접한 공급관(120)의 부분 및 배출날개(112)와 연결되는 배출관(130)의 상기 일단에 인접한 배출관(130)의 부분은 길이의 신장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배출관(130)의 상기 주름관 구조를 제2주름관 구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2주름관 구조의 단면 모양에는 제한이 없다. 이를 통하여, 신발 목이 짧은 단화에서부터 신발 목이 긴 부츠에 이르기까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의 사용이 가능하다.

    가이드부(160)는 공급관(120)의 상기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60)와 공급관(120)의 상기 타단과의 연결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60)와 공급관(120)의 상기 타단을 직접 연결하여 얻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체(10), 송풍기(110), 공급관(120) 및 배출관(130)을 지지하는 몸체(미도시)에 가이드부(160)를 연결함으로써 가이드부(160)와 공급관(120)을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공급관(120)의 상기 타단과 직접 연결된 가이드부(160)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상물 내부에 모양형성부(240)의 삽입 또는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160)의 소재로 탄성재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탄성부(230)만으로 모양형성부(240)을 지지할 수 있을 경우, 가이드부(160)는 생략될 수 있다.

    탄성부(230)는 공급관(120)의 상기 타단과 일단이 연결된다. 탄성부(230)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 모양형성부(240)를 삽입 또는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유롭게 구부러져 모양형성부(240)를 상기 대상물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배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230)는 주름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탄성부(230)의 상기 주름관 구조를 제1주름관 구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주름관 구조의 단면 모양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제1주름관의 표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32)이 형성되며, 관통홀(232)을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전달될 수 있다. 관통홀(232)은 상기 제1주름관의 상기 표면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형성될 수도 있고, 탄성부(230)와 모양형성부(240)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232)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깊은 부분에 상기 외부공기가 공급되거나 상기 대상물 내부 전체에 골고루 상기 외부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관통홀(232)로서 탄성부(230)와 모양형성부(240)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된 관통홀(232)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한편, 탄성부(230) 내부에는 전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본체(10)로부터 전기에너지, 전기 신호 등을 상기 광원,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230) 내부에 가이드부(16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선은 가이드부(16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60)의 상기 외부에 상기 전선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선은 가이드부(160)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모양형성부(240)는 탄성부(230)의 타단과 연결된다. 모양형성부(240)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양형성부(240)는 제1모양형성부(242) 및 제2모양형성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양형성부(242)는 모양형성부(240)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모양형성부(24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을 확보하며, 제2모양형성부(244)는 모양형성부(240)가 삽입되는 상기 방향의 횡방향으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1모양형성부(242)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의 수평방향의 공간을 확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모양형성부(244)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의 수직방향의 공간을 확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2모양형성부(244)의 일단 및 제1모양형성부(242)의 일단은 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축 결합을 통하여 제2모양형성부(244)는 제1모양형성부(24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모양형성부(244)의 타단 또는 측면은 탄성체(243)를 통하여 제1모양형성부(242)의 내부 또는 표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은 제1모양형성부(242)가 상기 대상물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모양형성부(244)는 상기 대상물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체(243)를 압박하면서 그 높이가 낮아져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의 수직방향의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다. 이 때, 탄성체(243)는 반발력에 의하여 제2모양형성부(244)가 상기 대상물 내부의 상기 공간의 수직방향의 상기 공간의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모양형성부(242), 탄성체(243) 및 제2모양형성부(244)를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상기 대상물 내부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탄성체(243)로서 다양한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탄성체(243)로서 스프링 형상의 탄성체(243)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한편, 모양형성부(24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홈(2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160)는 슬라이딩 홈(242a)을 따라 모양형성부(24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모양형성부(240)의 내부에는 탄성체(242b)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242b)는 슬라이딩 홈(242a)을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부(160)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공기주입식 건조기(1)가 적용되는 상기 대상물 내부의 수평 길이에 대응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의 수평길이가 길 경우, 탄성체(242b)는 가이드부(160)가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다양한 길이, 모양 등을 가지는 상기 대상물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광원은 모양형성부(240)에 배치되며, 본체(10)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를 건조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상기 광원으로는 레이저, 형광등, UV램프, 발광다이오드(LED)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약 180nm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원은 상기 대상물 내부의 살균을 위하여 약 180nm 내지 약 28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로서 신발 내부의 무좀균 등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광원은 상기 대상물 내부의 건조를 위하여 약 700nm 내지 약 1000nm의 파장범위를 가지는 적외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기는 모양형성부(240)에 배치되며, 본체(10)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대상물 내부에 음이온을 생성하여 상기 대상물 내부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가 전동기(113)에 의하여 회전할 경우, 흡입날개(111) 및 배출날개(112)는 각각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 및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공기의 흡입과 상기 대상물 내부에서 순환된 상기 외부공기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탄성부(230) 및 모양형성부(240)를 통하여 건조 대상물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건조기(1)는 탄성부(230)를 통하여 모양형성부(240)의 상기 대상물 내부로의 삽입 또는 배출을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