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 골맞춤 기계와 와이퍼 조립체

申请号 KR1019890005280 申请日 1989-04-21 公开(公告)号 KR1019970002514B1 公开(公告)日 1997-03-05
申请人 데파우에스게엔지니어링운트파텐트페르발퉁즈게젤샤후트밋트베슈렝크테르하후트웅; 发明人 프랭크크리소우퍼프라이스; 게르하르트기이베;
摘要 내용없음.
权利要求
  • 연속한 와이핑면(146 ; 246)과 연속한 주연부(144 ; 244)를 제공하며, 중앙에 배치된 공통의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128,132,152 ; 228,232,252) 및 상기 배열부들(128,132,152 ; 228,232,252)을 신발 길이 방향으로 일제히 움직이도록 하고 또한 상기 공통의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열부들의 와이핑 움직임을 수행하는 구동수단(124,126,130 ; -)으로 구성되는, 작동시에 신발의 앞부리와 앞부분 지역에 있는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이 그 위가 닦여질 수 있고 상기 신발 안창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에 맞대어 눌러지는 걸어 끼운(pulling over) 골맞춤 기계용 앞부리 및 앞부분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 각 배열부들(128,132,152 ; 228,232,252)이 제1앞부리 와이어판(132 ; 232)과 제2� �부분 와이퍼판(152 ; 252)으로 구성되고, 제1와이퍼판(132 ; 232)이 상기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와이퍼 지지체(128 ; 228)에 의해 지지되며, 제2와이퍼판(152 ; 252)은 배역부(128,132,152 ; 228,232,252)의 주변부(144 ; 244)에서 또는 그 근처에 배열된 제2피봇(154 ; 254)을 중심으로 여기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제1와이퍼판(132 ; 232)상에 장착되어서 두 배열부들에 의해 제공된 주연부(144 ; 244)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앞부리 및 앞부분 와이퍼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열부(128,142,152)의 제1와이퍼판(132)이 지지체에 대한 피봇 조정 운동용 와이퍼 지지체(128)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수단(138,140)이 와이퍼 지지체(128)상에 조정된 위치로 제1와이퍼판(132)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며, 고정수단(158)이 제1와이퍼판(132)상에 조정된 위치로 제2와이퍼판(152)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조정수단(156)이 제1와이퍼판(132)에 관하여 제2와이퍼판(15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2와이퍼판(152)의 위치는 와이퍼 배열부들의 와이핑 운동을 수행할 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중앙에 배치된 피봇(234)을 중심으로, 제1와이퍼판(232)을 피봇가능하게 움직여서 이와 함께 제2와이퍼판(252)을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는 제1구동수단 및 제2피봇(254)을 중심으로 제2와이퍼판(252)을 피봇가능하게 움지여서 제1와이퍼판(232)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는, 제1구동수단과는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제2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제1와이퍼판(132)이 중앙에 배치된 피봇(234)과 일치하는 곡률 중심을 갖는 아치형 홈 및 안내 배열부(224,226)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안내하고, 제2와이퍼판(252)이 제2피봇(254)과 일치하는 곡률 중심을 갖는 그외의 아치형 홈 및 안내 배열부(274,276)에 의해 제1와이퍼판(232)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조립체.
  • 골 위의 신발 갑피와 골 바닥위의 안창으로 된, 신발을 지지하는 신발 지지부(10) ; 상기 신발 지지부(10)둘레에 대략 U자형의 대열로 배열된 여러 개의 핀서들(116,118)로 구성되어 신발 갑피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들을 붙잡을 수 있는 핀서 조립체(114)로서, 신발 지지부(10)와 이 핀서 조립체(114) 사이에 일어난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갑피가 그의 골을 중심으로 당겨질 수 있는 상기 핀서 조립체(114) ; 신발의 갑피가 당겨진 후 신발 안창의 가장자리 부분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접착제가 공급되며 안창의 가장자리 부분들과 접촉하게 눌려질 수 있는 대략 U자형의 연속한 면(64)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기(11) ; 연속한 와이핑면(146 ; 246)과 주연부(144 ; 244)를 제공하며 중앙에 배치된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신발 지지부(10)로 지지된 신발에 대한 와이핑 움직임을 수행하여 갑피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들의 위를 닦고 이 부분들을 접착제가 도포된 안창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들에 맞대어 눌러 이 두 부분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128,132,152 ; 228,232,252)로 이루어진 조립체로 구성되는 걸어끼운 골맞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조립체가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 도포기(11)는 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U자 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요소(68)접착제가 이들에 대해 눌러진 신발 바닥의 앞부리 지역에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될 수 있는 두 개의 � ��부요소들(68), 기부요소들(68) 각각에 피봇가능하게 하나씩 연결되고 U자의 다리를 형성함으로써 요소(66) 접착제가 이들에 대해 눌러진 신발 바닥의 앞부분 지역에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될 수 있는 두 개의 다리요소들(66) 및 기부요소들(68)과 다리요소들(66)의 피봇가능한 연결들(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접착제가 도포되어야 하는 바닥에 신발 스타일에 따라 상기 연속한면(64)의 형상을 조절하여 장치의 앞부리 끝의 형상을 변화시키며, 또한 다리요소들(66)의 원격 단부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접착제가 도포되어야 하는 이들의 앞부분 지역내 신발 바닥의 형태에 따라 상기 연속한면(64)의 형상을 조절하는 수단(54,56,60,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 끼운 골맞춤 기계.
  • 说明书全文

    신발 골맞춤 기계와 와이퍼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의 정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퍼 조립체를 보이는 부분 파단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와이퍼 조립체를 보이는 부분 파단 밑면도.

    제4도는 제1도의 기계의 부분을 형성하는 접착제 도포기의 사시도.

    제5도는 상기 도포기가 상기 기계에 장착되는 방식을 보이는 측면도.

    제6도는 도포기의 접착제 도포면을 제공하는 요소들이 제거된 도포기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 지지부 11 : 도포기

    12 : 블럭 20 : 보어

    22 : 지지면 24 : 용융실

    28 : 가열기 32 : 통로

    36 : 돌출부분 44 지지블럭

    54, 50 : 봉 56, 62 : 휘일

    64 : 도포면 78 : 통로

    116, 118 핀서 120, 220 : 와이퍼 조립체

    122,270 : 기판 124 : 캡슬롯

    128, 228 : 와이퍼 지지체 132, 152 : 와이어판

    134, 154 : 피봇 136 : 슬롯

    140 : 클램핑 장치 142 : 안내면

    144 : 주연부 146 : 와이핑면

    148, 150, 160 : 보턴 156 : 조정나사

    162 : 슬라이드 222 : 윗판

    226 : 안내 플랜지

    본 발명은, 연속한 와이핑(wiping)면과 주연부를 제공하며 중앙에 배치된 피봇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신발 지지부로 지지된 신발에 대한 와이핑 움직임을 수행하여 그 신발갑피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들의 위를 닦고 그 부분들을 안창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들에 맞대어 누르는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과, 상기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을 일제히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뒷접합선 지역에 있는 신발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의 위를 닦아 그 부분을 안창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에 맞대어 누르게 하는 구동수단과로 구성되는 신발 골맞춤 기계용 와이퍼 조립체 및 그 신발 골맞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런 구조의 와이퍼 조립체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영국 특허 제A1239326호와 유럽 특허 제A0210824호에 잘 알려져 있다.

    그런 조립체에서는 이 조립체의 주연부와 평면도로 본 바와 같은 연속한 와이핑면의 형상은 각 와이퍼판 배열부가 통상적으로 단일편의 금속에서 기계가공된 단일의 와이퍼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신발의 앞부리끝을 골맞춤하는 경우에 유행의 영향을 종종 받곤 하여 형태에 뚜렷한 차이들이 있지만 각 유행 스타일내의 변동들과 와이퍼판들의 고정된 형상 때문에 작업할 신발의 특정 스타일에 적합하도록 다른 세트들의 와이퍼판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앞부리 형태들이 3개의 일반적인 범주들, 즉 뾰족하거나 둥글거나 사각형으로 구분됨을 알 것이다. 임의의 그런 범주내에서 비슷한 스타일들 사이를 절충하여 만족스런 골맞춤 결과를 완수하는 것이 종종 가능할 수도 있으나 2개 범주들 사이를 절충할 경우는 거의 드물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신발의 어떤 주어진 스타일에 특유한 적합한 와이퍼판 세트들을 제공해 왔다. 이로 인해 그런 맞춤대로의 부품들을 제공하는데 비용이 더 들며 그런 부품들을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손실을 가져올 뿐 아니라 특히 기계의 작업자가 공급부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해 있는 곳에서는 공급의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와이퍼판 배열부들의 형상이 작업한 신발의 스타일과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신발 골맞춤 기계용의 계량된 와이퍼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위한 맞춤대로의 부품들을 설치할 필요없이 신발의 다양한 스타일과 크기에 적응할 수 있는 계량된 걸어끼운 앞부리 골맞춤 기계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의 여러 가지 양상들 중 하나에서 연속한 와이핑면(146 ; 246)과 연속한 주연부(144 ; 244)를 제공하며, 중앙에 배치된 공통의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128,132,152, ; 228,232,252) 및 상기 배열부들(128,132,152 ; 228,232,252)을 신발 길이 방향으로 일제히 움직이도록 하고 또한 상기 공통의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열부들의 와이핑 움직임을 수행하는 구동수단(124,126,130 ; -)으로 구성되는, 작동시에 신발의 앞부리와 앞부분 지역에 있는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이 그 위가 닦여질 수 있고 상기 신발 안창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에 맞대어 눌러지는 걸어끼운(pulling over) 골맞춤 기계용 앞부리 및 앞부분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 각 배열부들(128 ,132,152 ; 228,232,252)이 제1앞부리 와이퍼판(132 ; 232)과 제2앞부분 와이퍼판(152 ; 252)으로 구성되고, 제1와이퍼판(132 ; 232)이 상기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와이퍼 지지체(128 ; 228)에 의해 지지되며, 제2와이퍼판(152 ; 252)은 배열부(128,132,152 ; 228,232,252)의 주연부(144 ; 244)에서 또는 그 근처에 배열된 제2피봇(154 ; 254)을 중심으로 여기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제1와이퍼판(132 ; 232)상에 장착되어서 두 배열부들에 의해 제공된 주연부(144 ; 244)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앞부리 및 앞부분 와이퍼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 와이퍼판 배열부의 여러 부품들 사이와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 사이에 피봇가능한 움직임을 제공함으로써 와이퍼 조립체의 주연부의 형상이 연속한 와이핑면의 손실없이도 작업할 신발의 스타일과 크기에 따라 맞추어질 수 있다.

    신발 골맞춤 기계용 와이퍼 조립체들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된 피봇은 연속한 와이핑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면을 가진 보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조립체에서 각각의 제2피봇은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어 연속한 와이핑면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중앙에 배치된 피봇과 각각의 제2피봇을 제공하는 보턴들은 와이퍼판들 자체와 별도로 형성되거나 한 와이퍼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그런 식으로 피봇연결되는 인접한 와이퍼판에는 그런 보턴과 협력하는 보족적인 부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앙에 배치된 보턴은 각 와이퍼판 배열부와 무관하게 형성되며 전술한 상기 배열부들의 일체적인 움직임에 따라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은 캠트랙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장착되며, 이 캠트랙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와이퍼판 배열부들이 일제히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와이퍼판 배열부들의 피봇 및 와이핑 움직임이 일어나게 하는데 효과적이도록 되어 있다. 중앙 배치된 보턴은 상기 지지부에서 미끄럼 운동하도록 장착된다. 이런 식으로 하여, 와이퍼판 배열부들을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일제히 움직이는데 있어서의 구동수단의 작용은 일차적으로 와이퍼판들의 전방 및 안쪽 움직임이 일어나게 하는데 효과적이며, 와이퍼판 배열부들과 중앙 배치된 보턴 상의 작동적인 연결부에 의해 보턴은 슬라이드에서 선형으로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더욱이 상기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와이퍼판 배열부는 와이퍼판들에 선형의 와이핑 움직임을 전달하는 와이퍼 지지체를 포함하며, 앞부리 와이퍼판이 중앙에 배치된 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체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있어 상기 와이퍼판의 위치가 지지체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그런 실시예에서, 앞부분 와이퍼판이 앞부리 와이퍼판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전술되었듯이 앞부리 와이퍼판의 위치를 조정하면 역시 지지체에 대한 앞쪽 와이퍼판의 위치도 조정되며, 또한 앞부리 와이퍼판과 지지체에 대한 앞쪽 와이퍼판의 위치는 단독적으로 조정가능하다.

    또한 그런 조정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일 실시예는 앞부리 와이퍼판을 그의 조정된 위치에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과 더불어 전술된 바와 같이 앞부리 와이퍼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조정수단과, 앞쪽 와이퍼판을 그의 조정된 위치에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과 더불어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판의 위치를 단독으로 조정하는 제2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하여 와이퍼판 배열부들의 여러 요소들은 기계의 작동전에 작업할 신발의 특정 스타일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런 조정은 예컨대 적당한 핀-슬롯 연결부들과 간단한 클램핑 장치에 의해 또는 실제로는 나사 결합하는 조정나사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동력에 의해서 될 수도 있다. 특히 전자 제어식 기계의 경우에서 그런 동력화는 전자기억장치에 기억된 신발 패턴 데이터에 따라 작동하는 적당한 nc 모터에 의할 수도 있다. 그와는 달리 동력화에 의한 조정은 필요하다면 작업자의 제어하에 있을 수도 있다.

    관례상 여기에 쓰인 nc 모터는 소정의 작업에 적당하게 기억된 정보에 따라 그 모터에 공급되는 제어 또는 구동 신호들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로 이해되며, 그런 정보는 항상 디지탈식 좌표축 값들 형태로 기억된다. 그런 모터의 예는 스테핑 모터와 dc 서보모터이다.

    동력화에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비교적 제한되기 때문에, 임의의 적당한 구동수단은 와이퍼판 배열부들의 선형의 안쪽 움직임의 실제 경로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런 배열 때문에 제1조정수단은 와이퍼판 배열부들이 정지위치에 있을 때 앞부리 와이퍼판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배열부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기 전에 그런 작동적인 연결이 분리되면 제1클램핑 수단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제2조정수단도 유사하게 와이퍼판들이 그런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만 앞쪽 와이퍼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와이퍼판 배열부들은 구동수단에 의해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지는 지지체에 장착된다. 이 지지체상에는 중앙에 배치된 보턴이 고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구동수단은 와이퍼판 배열부들과의 작동적인 연결(제1실시예의 경우에와 같음)을 통해서가 아니라 중앙에 배치된 보턴상에 직접 작용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각 와이퍼판 배열부는 와이퍼 지지체로 구성되며, 이 지지체에 의해 앞부리 와이퍼판이 고정되어 지지되며 앞부분 와이퍼판은 와이퍼 지지체와 앞부리 와이퍼판 둘다에 대해 움직이도록 지지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중앙 배치된 피봇과 일치하는 곡률중심을 각자 가지며 하나는 각 와이퍼판 배열부와 관련하여 그의 와이퍼 지지체를 안내하는 2개의 아치형 캠트랙 부분들을 포함한다. 각 와이퍼 지지체에는 제2피봇과 일치하는 곡률중심을 가지며 관련된 앞쪽 와이퍼판을 안내하는 아치형 캠트랙 부분이 있다.

    이 제2실시예의 경우, 통상의 캠트랙 장치(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음)를 포함하여 통상의 구동수단을 사용하는 대신 제1 및 제2와이퍼판 구동수단들은 와이퍼 지지체와 앞부분 와이퍼판들의 아치형 움직임을 지지체용 구동수단의 작동과 정시적인 관계로 수행하도록 그 와이퍼 지지체 및 앞부분 와이퍼판들과 각자 관련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하여 각 와이퍼판 배열부들의 여러 부품 부분들을 특정한 윤곽 형상에 맞추어 골맞춤 작업을 위해 그 부분들을 상기 형상에 클램핑하는 것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고 앞부리 및 앞부분 와이퍼판들의 움직임 경로가 골맞춤 작업중에 단독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와이퍼판 구동수단들 각자는, 와이퍼판들 각자와 하나가 관련된 2개의 모터들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이런 배열에 의해 한 배열부에 있는 와이퍼판들은 다른 와이퍼판 배열부에 있는 와이퍼판들과 대칭적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으므로 와이퍼판들은 신발이 좌·우측인가의 여부와 신발바닥의 비대칭적인 형상에 따라 움직여질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은 여러 구동수단들 각자가 전자기억장치에 기억된 신발 패턴 데이터에 따라 발생된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nc 모터(지금까지 정의된 바와 같음)로 구성되는 전자제어수단을 가진 기계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며 그 중에서도 제2실시예에 특히 적합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접착제 도포기와 와이퍼 조립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충돌이 일어날 모든 위험은 제쳐두고라도 도포기의 교환이 지루하고 시간 소모적이지만 중간 형태의 도포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만족스럽기 때문에 필요하므로 자체적으로 형상이 변화하는 접착제 도포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변형상을 가지는 와이퍼 조립체가 제공된 신발 골맞춤 기계에 유익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의 걸어 끼운 앞부리 골맞춤 기계 양상들에 있어서, 하기에 설명된 것으로 밝혀진다 : 골 위의 신발 갑피와 골 바닥위의 안창으로 된, 신발을 지지하는 신발 지지부(10) ; 상기 신발 지지부(10) 둘레에 대략 U자형의 대열로 배열된 여러 개의 핀선들(116,118)로 구성되어 신발 갑피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들을 붙잡을 수 있는 핀서 조립체(114)로서, 신발 지지부(10)와 이 핀서 조립체(114) 사이에 일어난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갑피가 그의 골을 중심으로 당겨질 수 있는 상기 핀서 조립체(114) ; 신발의 갑피가 당겨진 후 신발 안창의 가장자리 부분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접착제가 공급되며 안창의 가장자리 부분들과 접촉하게 눌려질 수 있는 대략 U자형의 연속한 면(64)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기(11) ; 그리고 연속한 와이핑면(146 ; 246)과 주연부(144 ; 244)를 제공하며, 중앙에 배치된 피봇(134 ; 234)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신발 지지부(10)로 지지된 신발에 대한 와이핑 움직임을 수행하여 갑피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들의 위를 닦고 이 부분들을 접착제가 도포된 안창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들에 맞대어 눌러 이 두 부분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128,132,152 ; 228,232,252)로 이루어진 조립체로 구성되는 걸어끼운 골맞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조립체가 전술한 와이퍼 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 도포기(11)는 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U자 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요소(68) 접착제가 이들에 대해 눌러진 신발 바닥의 앞부리 지역에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될 수 있는 두 개의 기부요소들(68), 기부요 소들(68)과 각각에 피봇가능하게 하나씩 연결되고 U자형의 다리를 형성함으로써 요소(66) 접착제가 이들에 대해 눌러진 신발 바닥의 앞부분 지역에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될 수 있는 두 개의 다리요소들(66) 및 기부요소들(68)과 다리요소들(66)의 피봇가능한 연결들(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접착제가 도포되어야 하는 바닥에 신발 스타일에 따라 상기 연속한면(64)의 형상을 조절하여 장치의 앞부리 끝의 형상을 변화시키며, 또한 다리요소들(66)의 원격 단부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접착제가 도표되어야 하는 이들의 앞부분 지역내 신발 바닥의 형태에 따라 상기 연속한면(64)의 형상을 조절하는 수단(54,56,60,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끼운 골맞춤 기계.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와이퍼판 배열부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nc 모터로 구동되거나 접착제 도포기의 제1 및 제2조정수단들 각자가 1개 이상의 nc 모터들로 구성되는 전기제어 기계들에 적용될 수 있다(전용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배열은 본 기계가,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신발 패턴 데이터에 따라 상기 nc 모터에 특정한 제어신호들을 보내는 전자제어수단으로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하여 와이퍼판들의 주연부의 형상이 신발 갑피로 하여금 골에 대해 걸리게 하는 중간 위치로 각 와이퍼판 배열부의 여러 부품들이 가져가지면서 자체적으로 적당한 형상으로 바뀐 접착제 도포기가 안창에 대해 눌리어 그 안창의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의 형태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그 뒤 각 개별 와이퍼판은 갑피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을 안창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에 맞대어 눌러 도포된 접착제로 그 두 부분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와이핑 위치를 지난 소정의 위치로 더 움직여진다.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접착제 도포기와 이 접착제 도포기에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와이퍼 조립체의 2개 실시예들과 와이퍼 조립체 양상들을 제각각 병합한 본 발명에 따른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접착제 도포기는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별도 출원의 주제이다. 물론, 본 기계와 그 구성 부품들은 본 발명의 예시로서만 설명을 위해 선택되었지 이것에 국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골맞춤은 지지될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기다란 신발 지지부(10)와, 이 신발 지지부(10)를 둘러싸고 있는 접착제 도포기(11)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도포기에 의해 신발 지지부로 지지된 신발의 앞부리와 안창 앞부분들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도포기(11) 주변에는 핀서(pincer) 조립체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측부에 있는 앞부리 핀서(116)와 4개의 측부 핀서들(118)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기계는 와이퍼 조립체(120)와 신발 지지부(10)로 지지된 신발의 앞부리 끝과 결합하는 반면 앞부리에 있는 신발 갑피의 매달린 골맞춤 가장자리 부위들과 그 앞부분을 클램핑하지 않은 채로 두는 앞부리 밴드(122)와를 포함한다. 신발 지지부(10)의 윗쪽과 그 일측부에는 신발 지지부와 마주보는 위치로 그쪽을 향해 아래로 먼저 움직일 수 있는 앞부리 패드(124)가 있으며, 이 패드는 와이퍼 조립체(120)와 공동으로 골맞춤 작업중에 신발에 압착력을 가한다. 앞부리 패드의 구조와 작동 방식의 상세한 것은 영국 특허 제1351192호에 개시될 것이다. 또한 이 기계는 골맞춤 사이클중 신발의 뒷굽 끝을 지지하기 위해 신발의 뒷굽 끝부위가 결합되는 뒷굽 지지기(126)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기계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통상의 소위 고정 헤드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와 일반적으로 비슷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 기계의 제1실시예에서, 와이퍼조립체(120)는 이 기계에 고정되고, 2세트의 캠슬롯들(124)이 있는 캠판(170)이 떨어져 장착되는 기판(122)를 포함하며, 상기 캠슬롯의 한 세트는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다른 세트는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슬롯들에는 와이퍼 지지체(128)상에 장착된 수용핀들(126)이 있으며, 따라서 이 2개의 와이퍼 지지체들은 와이퍼 조립체에 나란히 배열된다. 그러므로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2개의 와이퍼 지지체들은 이들에 전달되는 선형의 전방 움직임에 따라 캠슬롯들(124)과 핀들(126)의 상호작용에 의해 앞쪽(즉, 앞부리 방향)과 안쪽으로 움직여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이런 선형 앞쪽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 각 와이퍼 지지체에 링크(130)가 피봇 연결되며, 이 링크는 잇따라 피스톤-실린더 장치(도시안됨)로 구동되는 크로스부재(도시안됨)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실린더 장치는 와이퍼 조립체의 구동수단을 구성한다. 와이퍼 조립체들의 그런 앞쪽 및 안쪽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도 역시 통상적인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와이퍼 지지체들(128)은 대칭이며, 와이퍼 지지체에의 와이퍼판의 장착은 제2도에 보이듯이 우측 와이퍼 지지체에 대해서만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와이퍼 조립체의 와이퍼판 배열부는 피봇(134)을 중심으로 피봇 조정식으로 움직이도록 와이퍼 지지체(128)에 설치된 제1의 앞부리 와이퍼판(132)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와이퍼판(132)에는 곡률중심이 피봇(134)에 있는 아치형 슬롯(136)이 있으며, 와이퍼 지지체상에는, 슬롯(136)에 수용되어 와이퍼 지지체에 대한 와이퍼판의 위치 조정중 그 와이퍼판을 안내하는 핀(128)이 있다. 이 핀(138)은 또한 클램핑 장치(140)를 지지하고 있어서, 와이퍼판의 위치가 조정된 후에 와이퍼판이 상기 위치에 클램핑될 수 있다. 더욱이 와이퍼판의 움직임중 이를 안내하기 위해 와이퍼 지지체에는 와이퍼판의 보족적인 뒷면과 협력하는 아치형 안내면(142)이 있다.

    따라서, 와이퍼판(132)은 와이퍼 조립체(120) 주연부(144)의 일부분과 와이핑면(146)의 일부분을 제공한다. 더욱이, 피봇(134)에서 먼쪽에 있는 상기 주연부 부분과 와이핑면 부분의 끝에서 와이퍼판(132)에는 일체의 보턴(1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턴(148)과 겹쳐서 제2의 앞부분 와이퍼판(152)상에 형성된 보족적인 보턴(150)이 배열되어 있다. 이 2개의 보턴들(148,150)은 2개 와이퍼판들(132,152) 사이에 있는 피봇(154)에 피봇 연결부를 제공한다. 앞부분 와이퍼판은 피봇(154)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와이퍼 지지체에 갈라진 연장부(128a)에 의해 구속되어 유지된다. 보턴이 겹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퍼판(152)이 와이퍼판(132)에 대해 삐딱하게 위치해도 와이퍼 주연부(144)와 와이핑면(146)이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와이퍼판들에 압착력을 가할 때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와이퍼판(152)이 갈라진 연장부(128a)에 대해 피봇(154)쪽으로 움직여 그 와이퍼판면의 대부분을 구속하지 않은 채로 둔다는 것을 알면 상기 압착력을 가하는 중에 피봇(154)에 심한 인장력이 가해진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슬롯을 가진 지지판(172)이 제공되어 기판(122)에 체결되며, 이 지지판의 슬롯에는 와이퍼판(152)의 먼쪽 단부가 수용된다. 와이퍼판(132)에 대한 앞쪽 와이퍼판(15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갈라진 연장부(128a)는 조정나사(156)를 지지하며 이 나사의 전단부는 와이퍼판(152)의 뒷면과 결합하여 판(152)의 후방 위치를 피봇(154)을 중심으로 고정시킨다. 적당한 클램핑 장치(158)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앞의 경우와 달리 와이퍼판(152)이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조정나사(156)에 맞닿아 유지된다면 기계가 공전할 때 와이퍼판과 신발이 접촉하면 와이퍼판이 항시 조정나사와 닿게 밀릴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2개의 앞부리 와이퍼판들(132)은 피봇(134)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이를 위해 제2도에 보인 와이퍼 조립체에 별도의 보턴(160)이 제공되며 각 와이퍼판(132)에 아치형 절단부분이 있어 상기 보턴(160)과 교합할 수 있다. 보턴(160)은 기판(122)에 형성된 홈(164)에 수용되는 슬라이드(162)상에 지지된다. 이 슬라이드(162)의 직립 돌출부(166)는 우측 와이퍼판 배열부의 와이퍼 지지체(128)에 형성된 돌출부(168)와 닿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하여 와이퍼 지지체(128)에 전방 선형 움직임이 전달되면 보턴(160)이 와이퍼 지지체와 함께 같은 거리만큼 움직여진다.

    별도의 보턴(160)를 제공하는 대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와이퍼 조립체들에는 2개의 와이퍼판들(132,152)을 연결하는 보턴(148,150)이나 상기 판들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머지 판에 형성된 절단부분과 일치하는 보턴과 비슷한 식으로 보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보턴(148,150)은 보턴(160)의 윤곽을 따라 별도의 보턴으로 교체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보턴의 미끄럼 운동은 전혀 일어나지 않지만 피봇(134)에 대한 보턴의 위치는 앞부리 와이퍼판(132)의 위치조정에 따라 조정된다.

    3개 위치들 어디에나 보턴이 제공되며, 이 보턴들은 경우에 따라 와이퍼판들(132,152)의 인접 부위들에 매끄럽거나 거의 매끄러운 평탄면을 제공하여야 한다. 와이퍼판의 와이핑면(146)은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으며, 물론 불가피하게도 여러 와이퍼판들 사이의 각도 관계들에 따라 보턴면들이 어느 정도는 계단져 있을 것이나 이는 최소로 유지되어야 한다. 여기서 연속한 와이핑면에 대한 기준을 정할 때 그 와이핑면은 여러 와이퍼판들 사이의 피봇 연결부들의 근접한 곳에서는 약간 비교적 유의미하지 않게 계단져 있을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전술된 제1와이퍼 조립체를 병합한 기계의 작동에 있어서, 연속한 와이핑면(146)과 와이퍼 연부(144)의 형상은 시작되고 있는 기계의 작동 사이클전에 수동으로 조정된다. 더욱이 이 형상이 결정되었으면 기계의 작동은 통상의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의 작동과 대략적으로 같다.

    방금 설명된 와이퍼 조립체에서 와이퍼판들의 조정이 클램핑 장치들을 놓아주고 고정하고 다시 클램핑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수행되지만 이는 지루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이와 달리, 예컨대 먼쪽의 위치로부터 조정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런 조정이 더욱 쉽게 수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부리 와이퍼판(132)의 아치형 뒷면을 예컨대 워엄 및 랙크 장치와 물리게 할 수 있는 적당한 구동부(도시안됨)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구동부에는 적당히 배치된 작업자 작동식 노브에 연결된 가요성 구동축이 있다. 즉 유사하게도 조정나사(156)는 가요성 구동축에 의해 적당히 배치된 작업자 작동식 노브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런 배열에서 와이퍼판이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만 워엄과 랙크가 맞물리기 때문에 골맞춤 작업중 조정기구 전체를 움직일 필요성이 줄어든다.

    더욱이, 이런 배열은 자체적으로 쉽게 자동화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자제어식 기계에서 신발 패턴 데이타는 제어수단의 기억장치에 기억될 수 있으며 그 패턴 데이터에 따라 구동 배열부들의 부분 형성하는 스테핑 모터들 또는 여타 nc 모터들에 제어 또는 구동신호들이 보내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클램핑 장치들도 자동으로 작동되어 풀어진다.

    바로 앞구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배열에서 연속한 와이핑면(146)과 관련 선형 와이퍼 연부(144)의 형상은 작업할 각 신발에 개별적으로 쉽게 맞추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와이퍼 조립체(220)(제3도)에서, 윗판(222)에는 중심(234)을 가진 연속적인 아치형 홈(224)이 형성된다. 와이퍼 지지체(228)를 각자 포함하는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은 중심(234)을 중심으로 아치형으로 움직이도록 장착되며, 와이퍼 지지체에는 홈(224)의 일부분과 보족적으로 형성되어 그 일부분에 수용되는 아치형 안내플랜지(226)가 있다.

    와이퍼 배열부들은 퍼칭이므로 제3도를 볼 때 우측 와이퍼 배열부만 설명할 것이다.

    와이퍼 지지체(228)에는, 플랜지(226)의 면을 따라 닿아 있는 후연부를 가지며 와이퍼 조립체의 연속한 와이핑면(246)과 연속한 주연부(244)를 제공하는 제1의 앞부의 와이퍼판(232)이 고정된다.

    또한 와이퍼 지지체(228) 자체에는 아치형 홈이 형성되며, 이 홈의 곡률중심은 제2의 앞쪽 와이퍼판(152)이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도록 장착되는 피봇(254)에 놓여 있다. 와이퍼판(152) 자체에는 아치형이고 홈(274)과 보족적으로 형성되어 그 홈에 수용되는 일체의 안내리브(276)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퍼판(252)은 피봇(254)을 중심으로 아치형으로 움직이도록 안내된다.

    제2와이퍼 조립체(220)에서, 중앙 보턴(260)에는 앞부리 와이퍼판들(232)의 인접 면부위들과 더불어 연속한 와이핑면을 형성하는 면부위가 있다. 보턴(260)은 뒷판(222)에 고정되는 일체의 지지체로 지지된다. 이런 식으로 중앙 보턴은 윗판에 대해 고정된다.

    와이퍼판들(232,252)은, 앞부분 와이퍼판(252)에 일체로 형성되고 앞부리 와이퍼판(232)에 형성된 보족적인 절단부(248)와 협동하는 보턴 부위(250)로 된 다른 보턴에 의해 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물론, 제2와이퍼 조립체(220)와 대략 비슷한 다른 와이퍼 조립체들에서는 중앙 보턴은 상호결합하는 2개의 앞부리 와이퍼판들(232)의 겹치는 또는 보족적인 부위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한편 각 보턴(248,250)도 와이퍼 지지체(229)상에 설치된 독립적인 보턴을 제공함으로써 유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와이퍼 배열부에는, 윗판(222)에 체결되고 그와 더불어 끼움부를 형성하여 사이에 와이퍼판들(232,252)이 들어가는 기판(278)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2개의 와이퍼판 배열부들과 윗판은 기계 프레임에 나사체결된 기판(270)과 이것에 간격봉(282)에 의해 떨어져 고정된 덮개판(280)으로 된 다른 끼움부에서 지지된다. 간격봉(282)은 기판(270)과 덮개판(280) 사이의 공간내에서 미끄럼 운동하도록 윗판(222)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제2와이퍼 조립체의 경우에서, 시작되고 있는 골맞춤 작업전에 중심들(234,254)을 중심으로 한 와이퍼판들의 상대적 위치들을 조정하는 것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는 않으나 오히려 골맞춤 작업중 여러 와이퍼판들의 움직임을 최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바꿔 말하자면, 이런 경우는 골맞춤 작업중에 연속한 와이핑 주연부(244)와 연속한 와이핑면(246)의 형상이 변화되어 각 신발 형태에 적절히 맞추어진다. 이런 식으로 와이퍼판들을 구동하기 위해 임의의 적당한 구동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 제2와이퍼 조립체는 전자제어수단이 제공된 기계에 사용하기가 특히 적당하며, 따라서 여러 와이퍼판들용의 구동수단은 스테핑 모터 또는 여타 nc 모터를 포함하여 구동장치들로 구성된다. 한편 스테핑 모터나 nc 모터에서 여러 와이퍼판들로 구동이 전달되는 방식은 선택의 문제이다.

    즉 예컨대 제1와이퍼 조립체(120)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워엄 및 랙크 장치가 각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그런 경우에 워엄 및 랙크는 항상 물린 채로 유지된다. 더욱이, 윗판(222)(이 윗판은 dl것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퍼판 배열부들용 지지체fmf 구성한다.)을 선형으로 전방으로 움직여 보턴(260)으로 하여금 뒷접합선 지역에 있는 갑피의 골맞춤 가장자리 부분을 닦고 그 가장자리 부분을 안ckd의 대응 가장자리 부분에 맞대어 누르게 하는 유사한 구동장치가 제공되며 이 구동장치는 와이어판용 구동수단들과 정시적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제2와이퍼 조립체(220)의 사용할시 와이핑 주연부가 신발의 각 크기와 스타일에 따라 임시로 조정될 수 있어 일반적으로 둥글거나 뾰족하거나 사각형의 신발 앞부리를 수용할 뿐 아니라 이런 스타일들중 어느 하나의 변화에도 배열될 수 있는 이외에, 각 와이퍼판용으로 독립적인 모터들을 사용함으로써 골맞춤 사이클중 좌·우측 신발들에 대해서 다른 형상, 정말로 다른 형상 변화들이 일어날 수도 있다.

    몇몇 기계들, 예컨대 영국 특허 제A1235096호에서 설명된 기계에서 와이퍼판들은 통상적으로 안창의 연부를 가로질러가 신발 갑피의 가장자리를 안창에 대해 올려놓는 중간 위치로 움직여진다. 이 위치에서 접착제 도포기(11)를 사용하여 접착제 도포 작업을 할 수도 있으며, 그 뒤 도포기는 그의 접착제 도포 위치에서 비도포 위치로 움직인다. 그 뒤에도 와이퍼 움직임은 계속된다. 따라서 통상의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들에서는, 와이퍼판들, 특히 이들의 주연부의 형상과 접착제 도포기의 형상이 일치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와이퍼 조립체들이 그들의 중간위치로 움직일 때 서로 부딪힐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에서 그런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접착제 도포기(11)도 역시 작업할 신발의 다른 스타일과 크기에 따라 그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제5도에서 접착제 도포기(11)는 내부 요홈부가 있는 블록(12)을 포함하며, 이 요홈부에 의해 블록은 도포기(11)의 높이방향 움직임을 수행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의 피스톤 로드(14) 상단부에 수용될 수 있다. 블록(12)은 피스톤 로드상에서 제한적인 요동 움직임을 하도록 장착되며 나사(16)에 의해 그 피스톤 로드상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유지된다. 앞부리끝(즉 제5도에서 볼 때 우측끝)쪽으로 안에 정합보어들(20)이 형성된 2개의 튀어나온 돌출부분들(18)이 제공된다. 또한 블록(12)은 피스톤 로드(14)의 각 측부에 후술되는 지지면(22)을 제공한다.

    또한 도포기(11)는 2개의 용융실들(24)을 포함하며, 각 용융실은, 가열기(28)가 수용되며 고형의 봉 모양 접착제가 용융실 안으로 도입될 수 있는 입구(30)를 가지는 블럭(26)으로 구성된다. 가열기(28)로 공급된 열에 의해 봉모양 접착제가 녹아 통로(32)를 따라 출구(34)로 흘러나간다.

    각 용융실의 전단부(제5도에서 볼 때 우측 단부)에는 정합보어들(38)이 형성된 2개의 돌출부분들(36)이 있다. 상부의 돌출부분(36)에 형성된 보어에는 핀(40)이 지지되며, 이 판상에는 평면도가 대략 콩밭모양인 다른 지지블럭(42)이 지지된다. 핀(40)에서 먼쪽에 있는 2개의 지지블럭들(42)의 단부에는 맞물림 돌출부분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분들에는 보어들(44)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정멸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록(12)에 형성된 보어들(20)과도 정렬될 수 있다. 핀(46)(제6도)과 지지블럭들(42)에 의해 또한 핀들(40)을 통해 용융실들(24)은 모든 핀(46)상에 지지된다. 또한 블록(12)에 의해 제공된 지지면들(22)은 용융실들(24)에 지지부를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핀들(40,44)에 의해 피봇 연결부들에 의해 지금까지 설명된 여러 부품들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런 변화를 수행하기 위해 각 블록(26)의 하부 돌출부분(36)에 형성된 보어(38)에는 하단부에서 블록(50)를 지지하는 핀(48)이 수용되며, 그 블록(50)은 2개의 돌출부분들(35) 사이에 수용된 클램핑 너트(52)에 의해 블록(26)의 아랫쪽에 맞대어 클램핑된다. 2개의 블록들(50)은 각자 나사식 봉(54)의 일단부 부위를 나사결합하여 수용하며, 이 봉의 양단부 부위들에는 반대의 나삿니들이 있다. 따라서, 봉(54)을 회전시키면 블록들(50)과 블록들(26)의 전단부들이 서로의 쪽으로 또는 멀리 움직인다. 봉의 그런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봉(54)의 중앙에 2개의 회전 휘일들(56)이 제공되며, 상기 휘일들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블록(12)의 전방향 돌출부분의 밑면에 형성된 돌출부(58)에 의해 봉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휘일들(56)를 회전시키면 핀들(40)이 서로의 쪽으로 또는 멀리 움직여서 용융실들(24)의 전단부들이 비슷하게 움직여진다. 그러나 핀(46)이 지지블럭(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조정의 결과는 용융실들을 일제히 도포기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핀(46)에서 먼쪽에 있는 용융실들(24)의 단부들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비슷한 조정수단이 제공되며, 이를 위해 각 용융실의 블록(26) 밑면상에 다른 지지블럭(58)이 설치되며, 반대의 나나식 단부 부위들을 가진 다른 봉(60)은 2개의 블록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 봉(60)에는 중앙에 배치된 1쌍의 회전 휘일들(62)이 떨어져 제공되며 블록(12)에 형성된 매달린 돌출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붙잡혀 유지된다. 지금 설명되고 있는 도포기에서 이런 여러 간격들의 조정은 봉들(54,60)의 회전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그런 회전은 예컨대 스테핑 모터 또는 여타 nc 모터에 의해 동력화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술된 바의 나사식 봉들 대신 쐐기식 장치도 이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용융실들에서 녹은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후술되듯이 블록들(26)과 지지블럭들(42)에 의해 지지된 여러 개의 (이 경우는 4개) 요소들(66,68)에 의해 연속한 접착제 도포면(64)이 제공된다. 각 요소(66)는 연속한 도포면(64)의 대략 U형 다리요소를 구성하며 그의 관련 블록(26)의 윗면에 나사(도시안됨)로 고정되어 있어 각 요소의 입구(70)가 블록(26)의 출구(34)와 일치한다. 입구(70)는 요소(66)에 형성된 내부 통로들에 의해 연속한 도포면(64)안으로 열려 있는 출구들(72)에 연결된다. 요소들(68)에는 맞물림 돌출부분들(제4,6도)과 보어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어들은 하나는 폐쇄되어 있으며 핀(46)의 상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지지블럭(42)의 보어들(44)과 정렬된다. 각 요소(68)와 그의 인접 요소(66)에도 또한 보어들을 가진 맞물림 돌출부분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어들은 하나(74)는 폐쇄되어 있으며 각 핀(40)의 상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보어들(38)과 정렬된다.

    제4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접착제가 그의 관련요소(66)와 관련된 용융실(24)로부터 각 요소(68)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블록(26)에 형성된 통로(32)에는 핀(40)에 형성된 통로에 연결되는 분로(76)가 있으며, 따라서 이 분로도 관형이다. 핀(40)의 상단부는 폐쇄 보어(74)안으로 통하여 있고 이 보어안으로는 요소(68)에 형성되고 자체가 출구(72)를 통해 연속한 도포면(64)안으로 통해 있는 내부 통로(78)가 통해 있다.

    이런 식으로 하여 접착제는 연속한 도포면(64)에의 적당한 공급을 보장하도록 모든 출구들(72)을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조립체들(120,220)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가변 형상의 접착제 도포기(11)를 사용하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당김 및 앞부리 골맞춤 기계들에서 통상적인 소위맞추어진 대로 신어볼 필요성을 해소할 수 있는 완전히 조정가능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더욱이, 특히 제2와이퍼 조립체의 경우에서 와이퍼 조립체의 연속한 와이핑면(246)과 주연부(244)의 형상은 골맞춤 작업의 개시에서의 일반적으로 해결책으로서 뿐 아니라 골맞춤 사이클 동안 실제적으로 신발 형태에 따라 들어지는 요건들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