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랙터용 써레

申请号 KR1020120002098 申请日 2012-01-06 公开(公告)号 KR1020130081110A 公开(公告)日 2013-07-16
申请人 제트스타 주식회사; 发明人 김대호;
摘要 PURPOSE: A harrow for a tractor is provided to allow a harrow board to move to the front along two fixing shaft when a rear collision occurs with the harrow, thereby preventing the harrow from being damaged. CONSTITUTION: A harrow for a tractor comprises a frame (200) with the front end connected to a combining member (110) combined to an upper part of a rotary (100) for tractors; a harrow board (300) combin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and a telescopic cylinder (400) with the front end comb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tary by a hinge and with the rear end combined to the frame or the harrow board by a hinge, for moving up and down the harrow board. The frame comprises connection sticks (210); two connection stick brackets (230) with a through-hole (232), which are provided at a bottom surface of each connection stick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orward/backward directions; two harrow board brackets (330) with a fitting hole (332), which is provided at a top surfaces on ei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icks; and a fixing shaft (500) passing through all the harrow board brackets and the connection stick brackets.
权利要求
  • 트랙터용 로타리(100) 상부에 결합된 결합부재(110)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200)과, 그 프레임(200)의 후단에 결합되는 써레판(300)과, 전단은 상기 로타리(100)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200) 또는 써레판(3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써레판(300)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은 서로 나란한 2개의 연결대를 포함하고, 각 연결대(210)의 하면에는 관통공(232)이 형성된 2개의 연결대브라켓(230)이 연결대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대(210)가 결합되는 상기 써레판(300)의 양측 상면에는 끼움공(332)이 형성된 2개의 써레판브라켓(330)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써레판브라켓(330)과 연결대브라켓(230)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축(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500)으로 연결대(210)와 써레판(300)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써레판브라켓(330)이 2개의 연결대브라켓(230) 안쪽에 위치되되, 상기 써레판브라켓(330)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500)으로 연결대(210)와 써레판(300)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써레판브라켓(330)이 2개의 연결대브라켓(230)에 번갈아가며 위치되되, 상기 써레판브라켓(330)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보다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축(500)은 상기 써레판브라켓(330)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은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고 전단이 상기 로타리(100)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대(210)와, 그 연결대의 중간부 또는 후부를 서로 연결하고 중앙부에 상기 신축실린더(400)의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225)이 구비된 횡대(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10)는 상호 간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대(210)에 횡대(22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0) 또는 상기 연결대(210)의 전단에는 장홀(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실린더(400)의 전단이 결합되도록 로타리(100)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102)과 실린더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200) 또는 써레판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225) 중 어느 하나에는 장홀(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실린더(400)의 전단이 결합되도록 로타리(100)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102)과 실린더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200) 또는 써레판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225) 중 어느 하나에는 지구베어링(2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레판브라켓(330)에는 상기 연결대의 이동조립을 위해 상기 고정축(500)이 관통결합되는 끼움공(332)이 써레판(3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500)은 단면의 직경이 19mm 이상 길이가 200mm 이상이고, 높이가 상기 연결대(210)의 하측에 그 연결대와 나란하게 또는 연결대의 전단으로 갈수록 연결대의 하면과 멀어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0)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써레판(300)의 상승시 상기 연결대의 전단 또는 중간부 상면과 접촉되어 주행시 출렁거리지 않도록 상승제한 스토퍼(1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500)에는 써레의 상승시 써레판의 전방이동을 차단하고, 써레의 후진 충돌시 그 압력에 의해 절단되도록 안전핀(510)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의 하부에는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지면에 접촉되는 캐스터(2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
  • 说明书全文

    트랙터용 써레{A 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써레 작업 중 후진 충돌 시 써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을 경작하는 경우에는 모심기에 앞서 쟁기나 로타리로 갈아 놓은 무논을 평탄하게 고르는 써레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28261호에는 중앙써레판 상면에 부설된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이 프레임에 부설된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과 동시에 중앙핀에 삽입 결합되어 써레판이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진 충돌 시에는 중앙핀을 따라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중앙핀이 1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후진 완충 시 충돌의 방향이 중앙핀과 다소 다르거나 또는 도로 주행 시 써레가 출렁걸릴 때 그 부하를 견디지 못하고 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프레임 및 중앙써레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1축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에는 횡방향의 지지부재(횡대)가 전후로 2개가 구비되어야 하고, 중앙 써레판에도 전방에 별도의 지지부재가 필요하므로 원가, 물류비가 늘어났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프레임이 견고하게 용접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폭조절이 불가능하여 로타리의 상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회피하여 장착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프레임과 써레판이 중앙의 1축을 중심으로 임의로 스윙되므로 써레 작업 중 한쪽 끝이 무논에 처박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탄성력으로 일정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중앙써레판의 각 양단에 설치된 인장스프링이, 후진 완충 시 중앙의 1축을 따라 이동되며 인장스프링이 강제로 늘어나서 탄성한도가 초과되거나 탄성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두개의 고정축에 의해 써레판이 지지된 채 후진 충돌 시 두개의 고정축을 따라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써레의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고정축이 휘지 않은 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써레 작업 중 상하높이와 좌우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며, 프레임의 폭 조절이 가능하여 로타리 상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 이를 회피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승제한 스토퍼에 의해 주행 시 써레가 출렁거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안전핀에 의해 써레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진 충돌시 안전핀이 절단되면서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의 구성은, 트랙터용 로타리 상부에 결합된 결합부재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되는 써레판과, 전단은 상기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 또는 써레판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써레판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트랙터용 써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나란한 2개의 연결대를 포함하고, 각 연결대의 하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2개의 연결대브라켓이 연결대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대가 결합되는 상기 써레판의 양측 상면에는 끼움공이 형성된 2개의 써레판브라켓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써레판브라켓과 연결대브라켓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 �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으로 연결대와 써레판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써레판브라켓이 2개의 연결대브라켓 안쪽에 위치되되, 상기 써레판브라켓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게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축으로 연결대와 써레판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써레판브라켓이 2개의 연결대브라켓에 번갈아가며 위치되되, 상기 써레판브라켓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보다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써레판브라켓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마련되게 한다.

    상기 프레임은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고 전단이 상기 로타리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대와, 그 연결대의 중간부 또는 후부를 서로 연결하고 중앙부에 상기 신축실린더의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이 구비된 횡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대는 상호 간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횡대가 끼워져 결속되는 결속관이 구비되고, 그 결속관의 일측에는 횡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 또는 상기 연결대의 전단에는 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실린더의 전단이 결합되도록 로타리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과 신축실린더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써레판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장홀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신축실린더의 전단이 결합되도록 로타리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과 신축실린더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 또는 써레판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지구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써레판브라켓은 상기 연결대의 이동조립을 위해 상기 써레판에 대해 써레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브라켓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써레판브라켓에는 상기 연결대의 이동조립을 위해 상기 고정축이 관통결합되는 끼움공이 써레판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은 단면의 직경이 19mm 이상 길이가 200mm 이상이고, 높이가 상기 연결대의 하측에 그 연결대와 나란하게 또는 연결대의 전단으로 갈수록 연결대의 하면과 멀어지게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 일측에는 절삭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써레판의 상승시 상기 연결대의 상면과 접촉되어 주행시 출렁거리지 않도록 상승제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에는 써레의 상승시 써레판의 전방이동을 차단하고, 트랙터의 후진 충돌시 그 압력에 의해 절단되도록 안전핀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대브라켓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의 하부에는 써레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지면에 접촉되는 캐스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트랙터용 써레에 따르면, 써레의 후진 충돌시 두개의 고정축을 따라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써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유지보수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사용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결합부재에 형성된 장홀과 연결대브라켓에 형성된 장홀 또는 지구베어링에 의해 써레 작업 중 써레의 상하높이와 좌우수평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써레의 파손방지와 함께 써레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써레 장착시 로타리 상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회피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상승제한 스토퍼에 의해 프레임의 상단이 접촉되어져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트랙터 주행 시 써레가 출렁거리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써레의 탈� ��착 시 캐스터에 의하여 손쉽게 장착과 분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에서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에서 써레판이 좌우로 스윙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가 상승된 상태의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가 하강되어 장홀의 하점에 힌지축이 위치한 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에서 써레 하강 후 신축실린더에 의한 강제하강으로 장홀의 상점에 힌지축이 이동하여 위치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에서 신축실린더의 후단이 지구베어링으로 연결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에서 연결대브라켓의 하부에 캐스터가 연결된 상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에서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는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타리(100)의 상부에 전단이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200)과, 그 프레임(200)의 후단에 결합되는 써레판(300)과, 전단은 상기 로타리(100)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프레임(200) 또는 써레판(3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써레판(300)을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타리(100)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200)의 전단을 결합하기 위해 결합부재(110)가 로타리의 횡축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110)는 써레 구조물을 로타리에 장착시키기 위해 로타리의 횡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첨부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축에 결합되는 좌우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또 그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마련되는 수평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바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타리의 상부에 신축실린더의 전단을 결합하기 위한 실린더브라켓이 마련되고, 수평바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 수평바의 중앙부에 상기 신축실린더(400)의 전단을 결합하기 위한 실린더브라켓(102)이 마련되어 진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110)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 써레의 장착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써레판(300)은 도 1에서와 같이 광폭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앙써레판(310)과 그 중앙써레판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외측써레판(3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측써레판(320)은 상기 중앙써레판의 상면으로 접어지거나 또는 중앙써레판의 양측에 전방으로 대략 90° 접어지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신축실린더의 수축동작시 외측써레판(320)이 중앙써레판의 양측에 전방으로 접어지도록 설계한 도면이고, 이 경우 상기 신축실린더(400)와 외측써레판을 연결하도록 작동로드(450)가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 구성인 상기 프레임(200)은 로타리에 전후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2개의 연결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이 2개의 연결대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과 같이 연결대를 상호 연결하는 횡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이 2개의 연결대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신축실린더는 써레판 중 중앙써레판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이 횡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에는 신축실린더가 횡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200)은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고 전단이 상기 로타리(100)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대(210)와, 그 연결대의 중간부 또는 후부를 서로 연결하고 중앙부에 상기 신축실린더(400)의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225)이 구비된 횡대(2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대(210)는 상호 간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대(210)의 상부에 횡대(22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대(210)의 상부에 횡대(220)가 끼워져 결속되는 결속관(212)이 구비되고, 그 결속관(212)의 일측에는 횡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214)가 구비되게 하여 고정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횡대(220) 상에서 연결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로타리의 상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연결대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결속관(212)과 고정볼트(214) 외에도 상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1개 이상의 U볼트 등으로 고정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횡대를 연결대에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의 후진으로 써레가 후진 충돌시 완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위해 각 연결대(210)의 하면에는 관통공(232)이 형성된 2개의 연결대브라켓(230)이 연결대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대(210)가 결합되는 상기 써레판(300)의 양측 상면에는 끼움공(332)이 형성된 2개의 써레판브라켓(330)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써레판브라켓(330)과 연결대브라켓(230)을 모두 관통하고,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연결대브라켓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고정축(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고정축(500)으로 연결대(210)와 써레판(300)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써레판브라켓(330)이 2개의 연결대브라켓(230) 안쪽에 위치되게 하되, 상기 써레판브라켓(330)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게 하여 상기 고정축(500)으로 관통 결합한다.

    상기 써레판브라켓(330)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써레의 후진 충돌시 써레판(300)이 그 이격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완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써레판브라켓(330)이 고정축을 따라 이격거리(써레판브라켓과 연결대브라켓의 이격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써레판(300)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써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축(500)은 써레의 무게나 후진 충돌에 의해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면의 직경이 19mm 이상이고, 써레의 후진 충돌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사용자가 즉시 정지할 수 없는 현실을 대비하여 상기 써레판이 어느 정도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전체 길이가 200mm 이상이 되도록 하며, 이동되는 거리는 100mm이 이상이 되도록 한다. 또 후진 시 써레의 프레임이 지면과 수평이거나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쳐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고정축은 높이가 상기 연결대의 하면에 상기 연결대와 나란하게 마련하거나 연결대의 전단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대의 하면과 멀어지도록 마련하여 후진 충돌 시 써레판이 원활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결합부재(110) 또는 상기 연결대(210)의 전단에는 장홀(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홀(120)을 형성하는 이유는 써레 작업시 무논의 높낮이에 따라 써레판이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써레판의 상하좌우의 높이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장홀(120)은 60mm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게 하고, 작업 중 상기 로타리 또는 써레판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장홀의 상점 또는 하점에 상기 2개의 연결대 각 전단에 결합되는 힌지축(215)이 동일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 상기 신축실린더(400)의 전단이 결합되도록 로타리(100)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102)과 실린더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200) 또는 써레판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225) 중 어느 하나에는 장홀(240)이 형성되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실린더(400)의 전단이 결합되도록 로타리(100)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102)과 신축실린더의 후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200)에 구비된 실린더브라켓(225) 중 어느 하나에는 지구베어링(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구베어링(250)은 신축실린더가 써레판에 연결되는 경우 써레판에 마련된 실린더브라켓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홀(240)을 형성하거나 지구베어링(250)을 구비한 이유는 써레가 유동되는 경우에 써레의 좌우 수평유지를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써레판브라켓(330)은 상기 연결대의 폭 조절을 위해 연결대를 이동시킨 후 결합하는 경우 그 연결대의 이동조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써레판(300)에 대해 써레판의 길이방향으로 써레판브라켓을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써레판브라켓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써레판브라켓(330)을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지 않고, 써레판브라켓에 상기 고정축(500)이 관통결합되는 끼움공(332)을 써레판(3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연결대의 이동조립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공(332)을 다수 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써레판브라켓을 써레판을 이루는 주프레임에 결합되게 형성하여 브라켓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고정부재는 통상의 볼트 또는 핀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재(110)의 상부 일측에는 절삭 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게 상승제한 스토퍼(112)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승제한 스토퍼는 결합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승제한 스토퍼를 구비한 이유는 상기 신축실린더가 수축동작되어 써레가 완전히 상승된 경우 상기 연결대의 상면과 접촉되어 주행시 출렁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축(500)에는 안전핀(510)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데, 그 이유는 써레의 상승시 써레판이 고정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트랙터의 후진으로 인한 써레의 후진 충돌시에는 그 충격압력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하여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전핀은 써레판브라켓 중 하나의 써레판브라켓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축에 홀을 형성하여 R핀이나 볼트 등으로 체결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의 하부에는 캐스터(260)가 장착될 수 있고, 이 캐스터는 무논의 지면에 접촉되게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연결대브라켓에 설치될 수 있다. 로타리 또는 써레의 크기 등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캐스터는 상하 또는 전후 위치조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캐스터에 의해 써레의 탈부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500)으로 연결대(210)와 써레판(300)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2개의 써레판브라켓(330)이 2개의 연결대브라켓(230)에 번갈아가며 위치되게 하되, 상기 써레판브라켓(330)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230) 중 전방에 위치한 연결대브라켓보다 앞쪽에 위치되게 하여 고정축으로 관통 결합하고, 이때 상기 고정축(500)은 상기 써레판브라켓(330) 중 전방에 위치한 써레판브라켓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마련한다.

    상기 써레판브라켓(330)을 연결대브라켓에 번갈아가며 위치되게 한 채 써레판브라켓이 상기 연결대브라켓보다 앞쪽에 위치되게 하고, 고정축을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킨 이유는 써레의 후진 충돌시 써레판(300)이 고정축의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완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써레판브라켓(330)이 고정축을 따라 고정축의 길이(써레판브라켓의 전방으로 돌출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써레판(300)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써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써레 작업 도중에 트랙터의 후진으로 써레가 후진 충돌하는 경우, 써레의 프레임을 이루는 연결대의 하측에 고정축을 따라 써레판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 인해 즉, 2개의 고정축이 써레판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써레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축이 손쉽게 휘지 않게 되고, 또한 고정축이 2개임에 따라 트랙터의 주행 시에 트랙터의 흔들림과 써레의 자중에 의한 출렁임에도 고정축이 휘지 않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경우 장홀 또는 지구베어링에 의해 써레 작업 중 무논의 면이 불규칙하여도 써레판이 유동되어져 써레판의 상하높이와 좌우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로타리 상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연결대의 폭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장애물을 회피하여 써레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100: 로타리 102: 실린더브라켓
    110: 결합부재 112: 상승제한 스토퍼
    120: 장홀 200: 프레임
    210: 연결대 212: 결속관
    214: 고정볼트 215: 힌지축
    220: 횡대 225: 실린더브라켓
    230: 연결대브라켓 232: 관통공
    240: 장홀 250: 지구베어링
    260: 캐스터 300: 써레판
    310: 중앙써레판 320: 외측써레판
    330: 써레판브라켓 332: 끼움공
    400: 신축실린더 450: 작동로드
    500: 고정축 510: 안전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