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申请号 KR1020130126563 申请日 2013-10-23 公开(公告)号 KR101500864B1 公开(公告)日 2015-03-10
申请人 김명수; 发明人 김명수;
摘要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틀체(A)와 상기 지지틀체(A)에 평탄작업을 하는 써레(H)를 써레 연결 장치(C)에 의해 연결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써레 연결 장치(C)는 상기 지지틀체(A)에 결합되는 연결봉(1)과, 상기 연결봉(1)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1 회동축(2)으로 연결되는 상측 연결구(3)와, 상기 상측 연결구(3)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2 회동축(4)으로 연결되는 상측 연결 관절부(5)와, 상기 써레(H)의 헤드부(Ha)에 지지편(6)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편(6)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3 회동축(7)으로 연결되는 하측 연결구(8)와, 상기 하측 연결구(8)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4 회동축(9)으로 연결되는 하측 연결 관절부(10)와, 상기 상측 연결 관절부(5)와 하측 연결 관절부(10) 간에는 후방으로 스톱퍼(11)가 형성된 커넥터(12)를 유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써레를 펼쳤을 때 또는 써레 작동 시 중심을 잃거나 균형을 잃더라도 중심 이탈이 되지 않고 뒤집어 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편리한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权利要求
  •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틀체(A)와 상기 지지틀체(A)에 평탄작업을 하는 써레(H)를 써레 연결 장치(C)에 의해 연결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써레 연결 장치(C)는 상기 지지틀체(A)에 결합되는 연결봉(1)과,
    상기 연결봉(1)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1 회동축(2)으로 연결되는 상측 연결구(3)와,
    상기 상측 연결구(3)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2 회동축(4)으로 연결되는 상측 연결 관절부(5)와,
    상기 써레(H)의 헤드부(Ha)에 지지편(6)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편(6)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3 회동축(7)으로 연결되는 하측 연결구(8)와,
    상기 하측 연결구(8)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4 회동축(9)으로 연결되는 하측 연결 관절부(10)와,
    상기 상측 연결 관절부(5)와 하측 연결 관절부(10) 간에는 후방으로 스톱퍼(11)가 형성된 커넥터(12)를 유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연결봉(1)의 선단 하측으로 볼트 지지구(15)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지지구(15)에 스톱퍼용 볼트(16)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 说明书全文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Connection apparatus of 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모내기하기 위해 평탄하게 되도록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사용하는 써레로써 써레를 펼쳤을 때 중심 이탈이 되지 않고 뒤집어 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편리한 평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용 써레는 모내기를 하기 위해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작업을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써레는 트랙터와 연결되는 지지틀체에 써레를 연결 구성하여 평판작업을 하였다.

    그런데, 작업 도중 논두렁이나 큰 돌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부딪히게 되면 완충 및 유동하지 못하여 써레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지지틀체와 써레 간에 체인 등과 같은 완충 및 유동기능수단을 발명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다(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615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190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638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19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65303호).

    위와 같은 기술은 평탄작업 중 장애물에 써레가 걸리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고 평탄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으나, 써레를 펼쳤을 경우 써레가 중심을 잃고 뒤집어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 경우 써레의 균형을 다시 잡아야 하고 뒤집어진 써레를 다시 교정해야 하기 때문에 평탄작업에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의 유동기능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부품 수와 제작시간이 늘어나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모내기하기 위해 평탄하게 되도록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사용하는 써레로써 써레를 펼쳤을 때 중심 이탈이 되지 않고 뒤집어 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편리한 평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틀체와 상기 지지틀체에 평탄작업을 하는 써레를 써레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써레 연결 장치는 상기 지지틀체에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연결구와,

    상기 상측 연결구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연결 관절부와,

    상기 써레의 헤드부에 지지편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편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연결구와,

    상기 하측 연결구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연결 관절부와,

    상기 상측 연결 관절부와 하측 연결 관절부 간에는 후방으로 스톱퍼가 형성된 커넥터를 유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고,

    상기 연결봉의 선단 하측으로 볼트 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지지구에 스톱퍼용 볼트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써레를 펼쳤을 때 또는 써레 작동 시 중심을 잃거나 균형을 잃더라도 중심 이탈이 되지 않고 뒤집어 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편리한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의 후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의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트랙터(미도시 처리하였음)에 연결되는 지지틀체(A)와 상기 지지틀체(A)에 평탄작업을 하는 써레(H)를 써레 연결 장치(C)에 의해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써레 연결 장치(C)는 상기 지지틀체(A)에 결합되는 연결봉(1)과, 상기 연결봉(1)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1 회동축(2)으로 연결되는 상측 연결구(3)와, 상기 상측 연결구(3)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2 회동축(4)으로 연결되는 상측 연결 관절부(5)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써레(H)의 헤드부(Ha)에 지지편(6)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편(6)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3 회동축(7)으로 연결되는 하측 연결구(8)와, 상기 하측 연결구(8)에 좌우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제4 회동축(9)으로 연결되는 하측 연결 관절부(10)를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상측 연결 관절부(5)와 하측 연결 관절부(10) 간에는 후면으로 스톱퍼(11)가 형성된 커넥터(12)를 유동가능하게 제5 회동축(13)과 제6 회동축(14)으로 각각 연결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결봉(1)의 선단 하측으로 볼트 지지구(15)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지지구(15)에 스톱퍼용 볼트(16)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탄작업을 위해 써레를 펼치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전방(도면의 표현상 좌측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평탄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평탄작업을 위해 써레를 펼쳤을 경우에 도 2에서와 같이 상측 연결 관절부(5)와 하측 연결 관절부(10)는 커넥터(12)의 스톱퍼(11)에 걸려 써레(H)가 후방(도면의 표현상 우측방향)으로 제쳐질 수 있으나 전방(도면의 표현상 좌측방향)으로는 제쳐질 수 없기 때문에 써레가 뒤집어 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또한 써레 작동 시 또는 써레를 펼쳤을 경우에 중심을 잃거나 균형을 잃더라도 스톱퍼(11)에 의해 상측 연결 관절부(5)와 하측 연결 관절부(10)를 좌우 방향 및 후방으로의 제쳐짐을 방지하게 되어 써레(H)가 중심을 잃고 좌우 방향 및 후방으로 뒤집어 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면서 제1 및 제2 회동축(2)(3)과 제3 및 제4 회동축(7)(9)을 기점으로 써레(H)가 소정의 간격만큼 유동되기 때문에 평탄작업 중 장애물에 써레가 걸리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고 평탄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1)의 볼트지지구(15)에 결합된 스톱퍼용 볼트(16)는 제2 회동축(4)과 당접되어 스톱퍼 기능을 함으로써 써레 연결장치(C)와 써레(H) 전체가 전방(도면의 표현상 좌측방향)으로는 제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평탄작업에 악영향을 주지않고 원활한 평탄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용 볼트(16)는 나사로 결합되어 있어 제2 회동축(4)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면 써레의 수직 각도를 조절하게 되어 정확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써레를 펼쳤을 때 또는 써레 작동 시 중심을 잃거나 균형을 잃더라도 중심 이탈이 되지 않고 뒤집어 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편리한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A: 지지틀체 C: 써레 연결 장치
    H: 써레 Ha: 헤드부
    1: 연결봉 2: 제1 회동축
    3: 상측 연결구 4: 제2 회동축
    5: 상측 연결 관절부 6: 지지편
    7: 제3 회동축 8: 하측 연결구
    9: 제4 회동축 10: 하측 연결 관절부
    11: 스톱퍼 12: 커넥터
    13: 제5 회동축 14: 제6 회동축
    15: 볼트지지구 16: 스톱퍼용 볼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