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발 및 그 제조 방법

申请号 KR1020097009329 申请日 2007-10-22 公开(公告)号 KR1020090084855A 公开(公告)日 2009-08-05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发明人 마루야마신이치; 사토다카시; 곤도야스히로;
摘要 In a wig (10) provided with hair materials (12) planted on a wig base, the wig base (11) is defined into a front unit (11a) including an artificial skin unit (110a) and extending from the virtual hair line of the forehead to the top of head of a wearer and a net mold (11b) contiguous to this, and the artificial skin unit (110a) is constituted of a shape-retaining net-integrated synthetic resin skin film, is provided with a front edge area (111) extending from a front edge (11a') positioned at the virtual hair line of the wearer toward the inside and having a specified width and provided with a rear area (112) continuous to the front edge area, and has an arcuate warp preventing structure giving a curved ridge line by bending the front edge area (111) in a slope sharper than the corresponding head profile of the wearer. ® KIPO & WIPO 2009
权利要求
  • 가발 베이스와 상기 가발 베이스에 식설(植設)한 모발재를 구비한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는, 적어도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으로부터 두정부(頭頂部)로 향하는 프론트부에 인공 피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인공 피부부는, 형태 유지용 네트를 일체화한 합성 수지 피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에 위치하는 프론트 에지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폭의 앞쪽주위 영역과 상기 앞쪽주위 영역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앞쪽주위 영역이 상기 장착자의 대응하는 두부 윤곽보다 급 구배(勾配)로 굴곡됨으로써 컬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가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는, 상기 인공 피부부에 의해 구성한 프론트부와 상기 프론트부에 연접된 탑(top)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부가 네트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부의 앞쪽주위 영역을 제외한 후방 영역 및 상기 탑부가 상기 장착자의 두부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 방지 구조는, 상기 앞쪽주위 영역과 이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 사이 의 굴곡 위치에서 곡선형의 능선(稜線)을 이루도록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는, 가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 방지 구조의 앞쪽주위 영역은, 폭 방향으로 부채꼴로 만곡되어 있는, 가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부의 형태 유지용 네트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네트를 포함하는, 가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부의 프론트 에지가 파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자의 상기 가상 헤어라인의 위치에 배치되는, 가발.
  •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부의 두께가 0.08mm∼0.12mm인, 가발.
  •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부가, 상기 인공 피부부의 배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어 상기 인공 피부부에 식설된 모발재의 침족부(針足部)를 고정시키고, 두피에는 재박 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되는 기능을 가진 접착층을 포함하는, 가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재박리 기능이, 상기 접착층의 겔화 반응 종료 후에 발현되는, 가발.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우레탄 겔을 포함하는, 가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겔이, 주제(主劑)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 감압형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이며, 상기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발.
  •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으로부터 두정부로 향하는 프론트부에 배치된 인공 피부부를 구비하는 가발 베이스와 상기 가발 베이스에 장착하는 모발재로 구성되는 가발을, 두부 형상의 숫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숫형이,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 대응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상기 앞이마부의 윤곽보다 급 구배로 커팅된 컷 오프면을 포함하고,
    상기 컷 오프면을 덮도록 상기 형태 유지용 네트를 상기 숫형에 고정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상기 형태 유지용 네트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상기 형태 유지용 네트를 일체화한 인공 피부부를 얻는, 가발의 제조 방법.
  •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 대응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상기 앞이마부의 윤곽보다 급 구배로 커팅된 컷 오프면을 가지는 두부 형상의 숫형을 사용하여, 프론트부에 인공 피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연접하여 네트형의 탑부를 포함하는 가발 베이스와, 상기 가발 베이스에 장착하는 모발재로 구성되는 가발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컷 오프면을 덮도록 형태 유지용 네트를 상기 숫형에 고정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상기 형태 유지용 네트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상기 형태 유지용 네트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며,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에 위치하는 프론트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향한 소정 폭의 앞쪽주위 영역이 장착자의 대응하는 두부 윤곽보다 급 구배로 굴곡되어 컬 방지 구조를 가지는 인공 피부부를 얻는 제1 단계;
    상기 네트 부재에 두부 형상의 형을 떠서 탑부용 네트형을 얻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얻은 네트형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은 인공 피부부를 중첩시키고. 미리 설정한 프론트부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상기 인공 피부부와 네트형을 접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접합 후, 프론트부가 될 인공 피부부의 남은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며, 탑부가 될 네트형의 남은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여 소정 형상의 가발 베이스 를 얻는 제4 단계; 및
    상기 가발 베이스에 모발재를 식설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부의 프론트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향한 소정 폭의 앞쪽주위 영역이 부채꼴로 만곡되도록, 상기 숫형의 컷 오프면의 모서리를 부채꼴로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모따기부가 형성된, 가발의 제조 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 유지용 네트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네트인, 가발의 제조 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부의 프론트 에지를 파형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부의 두께를 0.08mm∼0.12mm로 성형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 제12항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재를 식설한 상기 인공 피부의 배면에 단일층이 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 상기 접착층은 우레탄 겔을 포함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겔은,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혼합형의 우레탄 수지계 감압형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이며, 상기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에지를 파형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 说明书全文

    가발 및 그 제조 방법{WIG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전두부(前頭部)로부터 후두부(後頭部)에 걸쳐서 두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가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두부의 모발이 적어질 경우 장착하는 가발은, 합성 수지제의 인공 피부, 메쉬(mesh)형의 네트 또는 인공 피부와 네트를 조합한 가발 베이스를 구비하고, 이 가발 베이스는 장착자의 두부 형상에 정확하게 대응하거나 또는 유사하도록 성형되어, 사람의 모발이나 인공 모발 등의 모발재가 식설(植設)되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가발을 장착했을 때, 사용자의 앞이마부에서 가발 베이스의 앞쪽주위가 라인형으로 시인(視認)되고, 주위 사람에게 가발을 장착하고 있는 것이 노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앞이마부의 피부와 가발의 경계선이 잘 분별되지 않도록 하여 가발 장착의 노출을 방지하는 몇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가발이 제안되어 있다. 도 17에서, 가발(1)은, 가발 베이스(2)와 이 가발 베이스(2)에 식설된 모발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고, 가발 베이스(2)는, 프론트부(2a)와, 이 프론트부(2a)에 접합되고, 가발 베이스(2)의 후부 영역을 구성하는 네트부(2b)로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부(2a)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 등의 연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극히 얇아서, 예를 들면 두께 0.08∼0.12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네트부(2b)는, 얇은 메쉬형으로 구성되며, 접합부(2c)에 의해 봉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프론트부(2a)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모발재는,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전술한 프론트부(2a) 및 네트부(2b)에 공지의 방법으로 식설된다.

    여기서, 프론트부(2a) 및 네트부(2b)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2)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자의 두부 형상을 모방한 숫형 석고형(3, male plaster mold)을 사용하여, 위쪽으로 팽출한 만곡 형상이 부여되고, 이어서 가발 베이스의 주위둘레를 형성하는 경계선(3a)을 따라 절단됨으로써, 전체가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대응한 이른바 밥공기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형상에 따라 장착 시에, 가발 베이스(2) 전체가 장착자의 두부에 밀착된다. 특히 프론트부(2a)의 선단 에지, 즉 프론트 에지(2a')가 장착자의 앞이마부 상단의, 모발이 난 가장자리(헤어라인)를 따라 밀착됨으로써, 가발 장착이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는, 가발 베이스의 오목형의 내면 소정 위치에, 장착 시의 가발 베이스의 변태 온도보다 높은 변태 온도를 가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형상 기억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형 유지 부재를 구비한 가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발 장착 시에는, 형 유지 부재를 두부 형상에 적절하게 맞추어서 만곡하여 변형시킴으로써, 가발 베이스를 두부 형상에 맞게 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형 유지 부재가 파형 등으로 변형될 경우 에는, 가발 베이스의 형 유지 부재의 영역에 열을 가함으로써, 형 유지 부재를 구성하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형상 기억 플라스틱이 변태 온도 이상이 되어, 기억하고 있는 직선형 또는 만곡 형상 등으로 복원된다. 이로써, 형 유지 부재를 새로 교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가발 베이스의 단부를 덮도록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모발재를 식설한 가발이 개시되어 있고, 바람 등에 의해 모발재가 흩날려도, 가발 베이스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는 가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가발(1)에서는, 장착자가 가발(1)의 장착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가발 베이스(2)의 프론트부(2a)의 프론트 에지(2a')를 포함하는 앞쪽주위 부에 컬(curl)이 발생하고, 장착 시에 가발 베이스(2)의 앞쪽주위부가 위로 젖혀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장착자의 두부와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가발의 외관이 좋지 못하며, 가발의 장착이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가발 베이스(2)의 프론트부(2a) 전체에 잔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프론트부(2a)의 앞쪽주위 부근에 발생하는 잔주름에 의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장착자의 두부와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가발의 외관이 악화되며, 가발의 장착이 노출된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가발은, 형 유지 부재에 의해, 가발 베이스 형상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지만, 가발 베이스의 앞쪽주위의 젖혀짐 등에 의한 장착자의 앞이마부와의 밀착성이 개선된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가발에서는, 형상 기억 합금에 의한 모발재를 사용함으로써, 가발 베이스의 앞쪽주위가 위로 젖혀져도, 가발 베이스의 앞쪽주위 가 용이하게 시인되지 않지만, 가발 베이스의 앞쪽주위부가 위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54524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254955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번호 평05-00980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이며, 반복적 사용에 의한 인공 피부제의 가발 베이스 앞쪽주위가 위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한 가발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발 베이스 앞쪽주위가 위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가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발은, 가발 베이스와 가발 베이스에 식설한 모발재를 구비하고, 가발 베이스는, 적어도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으로부터 두정부(頭頂部)로 향하는 프론트부에 인공 피부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인공 피부부는, 형태 유지용 네트를 일체화한 합성 수지 피막으로 구성되며,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에 위치하는 프론트 에지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폭의 앞쪽주위 영역과 이 앞쪽주위 영역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앞쪽주위 영역이 장착자의 대응하는 두부 윤곽보다 급 구배(勾配))로 굴곡됨으로써

    컬 방지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구배"는, 가발의 종단면에 있어서, 수평선에 대한 프론트부의 전단부의 경사의 정도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부의 전단부의 단면의 형상은 직선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만곡형을 포함한다. 그리고, "프론트부의 전단부가 장착자의 두부의 윤곽보다 급 구배"가 되는 형태에는, 프론트부의 전단부가 장착자의 두부의 앞이마부의 윤곽보다 큰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컬 방지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프론트부의 앞쪽주위 영역과 이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 사이의 굴곡 위치에서 곡선형의 능선(稜線)을 이루도록 부채꼴로 형성되며, 또한, 그 앞쪽주위 영역은 폭 방향으로 부채꼴로 만곡되어 있다.

    프론트부의 인공 피부부와 일체화된 "형태 유지용 네트"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네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발 베이스는, 인공 피부부에 의해 구성한 프론트부와 이 프론트부에 연접된 탑(top)부를 포함한다. 탑부는 네트형으로 구성되며, 프론트부의 앞쪽주위 영역을 제외한 후방 영역 및 탑부가 장착자의 두부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공 피부부의 프론트 에지는, 파형으로 형성되고,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프론트부는, 모발재를 식설한 인공 피부부의 배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하여 모발재의 침족부(針足部)를 고정시키고, 또한 두피와 재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되는 기능을 가진 접착층을 가진다. 이 접착층의 재박리 기능은, 접착층의 겔화 반응 종료 후에 발현된다.

    접착층은,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겔로 이루어지고, 구체적으로는, 주제(主劑)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혼합형의 우레탄 수지계 감압형 접착제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이며,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한다.

    전술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으로부터 두정부로 향하는 프론트부에 배치되는 인공 피부부를 구비하는 가발 베이스와 가발 베이스에 장착되는 모발재로 구성하는 가발을, 두부 형상의 숫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숫형은,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 대응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앞이마부의 윤곽보다 급 구배로 커팅된 컷 오프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 컷 오프면을 덮도록 형태 유지용 네트를 숫형으로 고정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형태 유지용 네트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태 유지용 네트와 합성 수지 피막을 일체화하여 인공 피부부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방법의 제2 구성은,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 대응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앞이마부의 윤곽보다 급 구배로 커팅된 컷 오프면을 가지는 두부 형상의 숫형을 사용하며, 프론트부에 인공 피부부를 구비하며 프론트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연접하여 네트형의 탑부를 구비하는 가발 베이스와 가발 베이스에 장착하는 모발재로 구성하는 가발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숫형의 컷 오프면을 덮도록 형태 유지용 네트를 숫형으로 고정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형태 유지용 네트에 도포해 건조함으로써, 형태 유지용 네트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며,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에 위치하는 프론트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향한 소정 폭의 앞쪽주위 영역이 장착자의 대응하는 두부 윤곽보다 급 구배로 굴곡되어 컬 방지 구조를 구비한 인공 피� ��부를 얻는 제1 단계와, 네트 부재에 두부 형상의 형을 부착하여 탑부용 네트형을 얻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에서 얻은 네트형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제1 단계에서 얻은 인공 피부부를 중첩시키고, 미리 설정한 프론트부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인공 피부부와 네트형을 접합하는 제3 단계와, 접합 후, 프론트부가 될 인공 피부부의 남은 부분을 잘라내며, 탑부가 될 네트형의 남은 부분을 잘라내어 소정 형상의 가발 베이스를 얻는 제4 단계와, 가발 베이스에 모발재를 식설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가발에 의하면, 가발 베이스의 프론트부가, 형태 유지용 네트를 기재(基材)로 한 인공 피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극히 얇은 프론트부의 강성과 형태 유지력이 형태 유지용 네트에 의해 높여지고, 앞쪽주위가 위로 젖혀지거나 늘어짐이나 잔주름의 발생 등이 방지된다. 이 프론트부의 구성에 의해, 가발 베이스가, 특히 장착자의 헤어라인으로부터 천정부측으로 향하는 프론트부의 영역에서, 장착자의 두부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가발 베이스의 프론트부를, 프론트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앞쪽주위 영역과 이 앞쪽주위 영역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으로 나누고, 앞쪽주위 영역이,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윤곽보다 급 구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프론트부가 장착자의 전두부에 파고들어가도록 만곡된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프론트부의 앞쪽주위 영역, 특히 헤어라인에 대응하는 프론트 에지가 장착자의 앞이마부 상단에 확실하게 밀착된다. 또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프론트부의 앞쪽주위가 약간 위로 젖혀지더라도, 내측으로 만곡된 상태로부터 위로 젖혀지므로, 프론트부의 앞쪽주위가 휘어져서 장착자 두부 형상과 맞지 않게 될 만큼 떠오르지는 않아서, 두부에 확실하게 밀착된다.

    본 발명의 가발에 의하면, 프론트부가 형태 유지용 네트를 일체화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앞쪽주위 영역이 두부 형상에 대하여 두부 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가발 베이스의 특히 프론트부에 위로 젖혀짐이나 잔주름 또는 늘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장착자의 두부로부터 떠오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발 베이스, 특히 프론트부의 장착자의 두부와의 밀착성이 유지되므로, 가발의 외관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가발을 장착한 것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석고형의 컷 오프면과 거기에 접하는 앞이마부의 윤곽과의 경계의 능선이 잘라내어져서, 둥그스럼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능선에서의 곡률 반경이 비교적 커지고, 프론트부의 앞쪽주위 영역에서의 곡률이 완화되므로, 장착자의 두부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는, 곡률을 완화함으로써 장착자의 두부 형상에 보다 근사시킨 프론트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능선이, 2∼5mm의 폭으로, 바람직하게는 3mm의 폭으로 잘라내어져서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자의 두부에 대한 밀착성이 최적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발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에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다.

    도 2는 도 1의 가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발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발에 있어서의 프론트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형상 처리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 도 6으로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6에서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도 1의 가발에 있어서의 인공 피부의 제조 단계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가발에 있어서의 인공 피부를 성형하기 위한 두부 형상의 숫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두부 형상의 숫형에서의 능선의 둥그스럼함을 상세하게 나 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의 가발에 사용되는 인공 피부와 형태 유지용 네트가 없는 인공 피부의 컬 강성의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종래의 가발의 일례의 구성에서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가발에서의 가발 베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두부 형상의 숫형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가발 11: 가발 베이스

    11a: 프론트부 11a': 프론트 에지

    11b: 네트형 11c: 접합부

    12: 모발재 12A: 침족부

    20: 숫형 20a: 경계선

    21: 시트 22: 석고형

    22a: 컷 오프면 22b: 능선

    23: 형태 유지용 네트 24a, 24b: 고정용 침구(針具)

    30: 접착층 40: 박리 시트

    51, 51a, 51b: 정점 52: 골 사이

    110: 컬 방지 구조 11Oa: 인공 피부부

    111: 앞쪽주위 영역 112: 후방 영역

    이하,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발(10)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가발(10)은, 가발 베이스(11)와, 이 가발 베이스(11)에 식설한 복수의 모발재(12)와, 가발 베이스(11)의 배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한 접착 테이프 혹은 가발용 스토퍼 등의 고정 장착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가발 베이스(11)의 구조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가발 베이스(11)에 장착한 모발재(12)를 몇개만 나타내고 대부분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발재(12)는, 가발 베이스(11)의 표면 전체에 걸쳐 위쪽으로 돌출시켜서 촘촘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발 베이스(11)는,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가상 헤어라인으로부터 두정부로 향하는 프론트부(11a)와, 이 프론트부(11a)에 연접되고 베이스 주체를 구성하는 네트형(11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발 베이스(11)는,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헤어라인 L을 따라 프론트부(11a)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가발 장착자의 헤어라인 L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가발 장착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헤어라인 L은, 장착자의 앞이마부 M의 최상 둘레에 위치하고, 양 측부의 앞이마의 모발이 난 가장자리의 끝에서 전두부를 횡단하여 앞이마부와 모발이 난 가장자리를 나눈 경계선이다.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의 모발이 탈모되어 헤어라인이 불명료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두부에 모발이 자연스럽게 존재하고 있다면 눈썹으로부터 3∼6cm 정도 위쪽으로 존재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헤어라인 L를 상정하고 있다. 이 상정한 헤어 라인을 본 발명에서는 가상 헤어라인 L 또는 간단히 헤어라인 L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가발 베이스(11)의 프론트부(11a)는, 가발 장착자를 정면에서 본 경우에 모발 내를 통하여 보이는 전두부 영역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점선 B로 둘러싼,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 L로부터 두정부 측으로 소정 거리, 예를 들면, 2∼5cm 정도의 이마 영역 α에 대응하도록 사이즈가 선정되어 있다. 이 프론트부(11a)는,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 L에 대응하는 프론트 에지(11a')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폭의 앞쪽주위 영역(111)과, 이 앞쪽주위 영역(111)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112)으로 나누어져 있다. 앞쪽주위 영역(111)은, 헤어라인 L을 구성하는 프론트 에지(11a')로부터 두정부 측으로 1∼5mm정도 들어간 폭을 가지는 가장 선단부의 영역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발(10)은,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 영역(111)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발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상하 방향의 윤곽 R, 즉 두정 측으로부터 가상 헤어라인 L에 이르는 만곡된 세로의 라인보다 급 구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발 베이스(11)의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 영역(111)이 급 구배로 형성되고, 컬 방지 구조(110)를 구성하고 있다. 즉, 프론트부 선단으로부터 후방 영역(112)에 이르는 1∼5mm 정도까지의 영역이 이에 대응하는 가발 장착자의 두부의 형상보다 급 구배로 형성되고, 또는 헤어라인 L로부터 두정부 측에 이르는 1∼5mm까지의 윤곽 R1보다 급 구배로 형성되어, 컬 방지 구조(110)를 구성하고 있다. 앞쪽주위 영역(111)이 장착자의 대 응하는 두부 윤곽보다 급 구배로 굴곡된 컬 방지 구조(110)에 의해, 가발의 반복적인 착탈이나 강풍 등에 의해서도 프론트 에지가 신장되거나 느슨해져서, 프론트부의 젖혀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컬 방지 구조(110)는, 앞쪽주위 영역(111)과 이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112) 사이의 굴곡 위치(113)에 의해 곡선형의 능선을 이루는 부채꼴로 형성되고, 앞쪽주위 영역(111)과 후방 영역(112)의 경계가 가로 방향의 선형을 이루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컬 방지 구조(110)의 앞쪽주위 영역(111)은 폭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이른바 모따기하여 부채꼴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부(11a)는, 형태 유지용 네트(도 13 참조)를 기재로 하여, 이 형태 유지용 내트를 매립한 우레탄 수지 등의 연질 합성 수지 피막으로 이루어지고, 극히 얇게, 예를 들면 두께 0.08∼0.12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기재로서의 형태 유지용 네트를 구성하는 실(絲)은, 그것이 프론트부(11a)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프론트부(11a)의 두께보다 가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형태 유지용 네트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합성 수지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신축성을 가지는 네트를 기재로 하여 사용한 경우, 프론트부(11a)의 제작 과정에서 인공 피부가 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네트에 도포·건조시킨 후, 네트의 신축이 생기며, 완성된 프론트부의 형태가 흐트러진다. 또한, 형태 유지용 네트는 기포(基布)로서 적합한 강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강성이 너무 낮은 경우, 프론트부(11a)의 젖혀짐이나 잔주름을 방지하는 효과가 약하며, 강성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프론트부(11a)의 유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형태 유지용 네트의 메쉬는, 그 형상이나 메쉬 수는, 종래 가발 베이스의 네트로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조건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즉, 전술한 실의 직경이나 강성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또한 사용 시에 쉽게 노출되지 않는 형상이라면, 일반적인 메쉬 네트가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나일론(등록상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로 구성된 네트[실 직경 43㎛, 메쉬 105(개/인치), 컬 강성 0.0126(gf·cm 2 /cm)]가 형태 유지용 네트로서 사용된다. 이에 비해, 예를 들면 시판중인 나일론(등록상표)제 스타킹용 네트(실 직경 50㎛)는, 신축성이 크며 형태 안정성이 낮다. 나일론제 스타킹용 네트(실 직경 50㎛)는, 형태 유지용 네트로서 사용된 경우에는 프론트부(11a)에서 신축이 발생하며, 컬 강성이 0.0012(gf·cm 2 /cm)로 비교적 낮으므로, 프론트부(11a)에 젖혀짐이나 잔주름을 방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제의 네트(실 직경 50㎛)는 컬 강성이 0.0896(gf·cm 2 /cm)으로 현저하게 높으므로, 이를 형태 유지용 네트로 하여 프론트부(11a)를 구성한 경우, 이 프론트부(11a)는 딱딱해지고, 유연성이 없어지므로 두부에 대한 밀착성이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발(10)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부(11a)의 배면에,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가발용 접착층(30)(이하, 적절하게 접착층이라고 함)이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 영역(111) 또는 앞쪽주위 영 역(111) 및 후방 영역(112)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도포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 영역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재(12)는 프론트부(11a)의 표면 측으로부터 배면으로 관통하여 식설되고, 다시 프론트부(11a)의 표면 측으로 뽑아냄으로써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식설되어 있다. 이 프론트부(11a)의 배면으로 관통하고, 배면 측으로 노출되는 점형 또는 선형의 모발재를 침족부(12A)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식설 방법을 통상 V 심기라고 칭하고 있다.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가발용 접착층(30)은, 프론트부(11a)의 배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고, 가발 장착자의 두부에는 재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접착층(30)은 프론트부(11a)의 배면에 관통하여 식설되는 모발재(12)의 침족부(12A)를 고정시키는 모발 고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발(10)의 프론트부(11a)는, 이 프론트부(11a)와 그 배면에 접착된 단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접착층(30)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프론트부(11a)의 배면에는, 모발 고정용 우레탄 용액이 도포되어, 모발재(12)의 침족부(12A)가 프론트부(11a)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층(30)은, 프론트부(11a)의 배면에 도포된 접착제 용액의 겔화 반응에 의해, 프론트부(11a)의 배면에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모발재(12)의 침족부(12A)는, 접착층(30)이 프론트부(11a) 에 접착될 때 프론트부(11a)와 접착층(30) 사이에 침족부(12A)가 끼워져서, 이 모발재(12)의 침족부(12A)도 동시에 프론트부(11a)의 배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층(30)에는 장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는 염화 비닐 시트 등의 박리 시트(40)를 설치해도 된다.

    접착층(30)의 두부에 맞닿는 면은, 두부에 재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될 수 있다. 이 접착층(30)의 두부로의 재박리 기능은, 상기 접착제의 겔화 반응 후에 발현된다. 그러므로, 겔화 반응 종료 후의 접착층(30)은 두부에 대해서는, 상온에서, 단시간에, 근소한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접착할 수 있다. 즉, 가압 접착할 수 있는 감압형 접착층(이른바 점착층)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겔화 반응 종료후의 접착층(30)은, 미량의 물이나 유기 용제 등으로 그 표면을 닦음으로써, 두피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접착할 수 있다. 이 반복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에서 재박리 기능 또는 간단히 박리 기능이라고 칭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발용 접착층(3O)의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층(30)의 형성에 사용되는 가발용 접착제는, 크게 나누면, 우레탄 수지계, 아크릴 수지계, 고무계를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는, 모발재(12)의 침족부(12A)를 프론트부(11a)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론트부를 구성하는 인공 피부부와의 접착성이 양호하며, 접착층(30)과 프론트부(11a) 사이를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두부에 접착하는 경우의 재박리 성능이 양호하므로, 피부 자극성이 적다. 그러므로,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는, 본 발명의 접착층(30)을 형성하는 가발용 접착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아크릴 수지계의 접착제는, 점착성은 뛰어나지만, 재박리 성능이 약하며 피부 자극성도 강하다. 고무계는, 초기의 점착성은 우수하지만,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재박리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발용 접착층(30)을 아크릴 수지계 및 고무계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하면, 수지 자체의 경도에 의해, 두피에 접착할 때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고 두부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쉽게 박리되며, 모발재(12)의 침족부(12A)를 프론트부(11a)에 고정하는 접착력이 약하고, 접착층(30)과 프론트부(11a) 사이의 접착력이 약하여 쉽게 박리되므로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다음으로,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층(3O)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로서는,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혼합형의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주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이들 2액을 혼합하여 겔화 반응시키고, 겔화 반응 종료 후에 겔화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이 겔화는 가열에 의해 촉진시킬 수 있다. 이로써, 겔화 과정에 있어서, 경화제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작용에 의해 표면 장력 등의 물리적인 결합력뿐만 아니라 화학적인 결합력이 더해진다. 그러므로, 프론트부(11a)를 구성하는 인공 피부와 접착층(30)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식설된 모발재(12)의 침족부(12A)와의 고착력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종래의 접착제에 의한 모발 고정 단계와 동일한 정도의 고착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고착력은, 본 발명의 접착층(30)에서, 인공 피부에 식설된 모발재(12)의 침족부(12A)에 대한 접착력으로 정의하고, 통상적인 열활성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과는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는 반응 후에 겔상 구조의 접착층, 즉 점착층이 되므로, 앞이마부에 프론트부(11a)를 배치했을 때 두부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우수한 반응을 나타내고, 두피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충분한 가발 점착력이 발현한다.

    다음으로, 식설된 모발재(12)의 침족부(12a)의 프론트부(11a)에 대한 고착력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혼합하고, 이 2액 중에 프론트부(11a) 재질의 유기 용제를 소량 첨가한 접착제를 프론트부(11a)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용제로서는, 프론트부(11a)의 재료가 우레탄 엘라스토머인 경우에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나 메틸에틸케톤(ME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30)의 모발재(12)의 침족부(12A)의 고착력 및 두부에 대한 점착력의 크기는,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의 주제 및 경화제의 혼합 비율의 조정과, 도공 점도의 조정과, 2액을 혼합한 후에 모발재(12)를 식설한 프론트부(11a)에 도포할 때까지의 정치 시간의 조정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발은, 프론트부(11a)의 프론트 에지가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프론트부(11a)의 프론트 에지에 실시하는 형상 가공의 모식도이다. 도면 중의 파형 형상에 대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볼록형 부분의 정상을 정점(51), 양쪽 산의 사이에 있는 골의 바닥 부분을 골 사이(52)로 표기한다.

    도 7∼도 12는 도 6에서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먼저, 프론트 에지의 잘려진 형상을 파형으로 하는 이유는, 프론트 에지의 형상을 도 7 및 도 8과 같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하면, 가발을 장착한 경우에 프론트부(11a)의 프론트 에지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53)이 젖혀져서, 가발의 노출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잘려진 형상은 선단부가 둥그스름한 파형이 적합하다.

    또한, 파형 형상의 치수에 대하여, 도 6에서의 정점(51)으로부터 골 사이(52)까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길이, 즉 깊이 A는 1.0mm∼3.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 A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mm보다 큰 경우, 가발 장착 시에 정점(51)을 포함한 돌기가 젖혀져서 노출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깊이 A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Omm보다 작은 경우, 프론트부 외측 둘레에 파형 형상으로 자르지 않고 직선형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프론트 에지의 형상의 차이가 없고, 충분한 미채(迷彩) 효과를 갖게 할 수 없다.

    도 6의 정점(51a)으로부터 거기에 인접하는 정점(51b)까지의 길이 방향의 길이 B는 7.0mm∼30.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의 파형의 길이 B가 30.0mm보다 큰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에지의 형상을 직선형으로 처리한 것과 유사하며, 미채 효과를 갖게 할 수 없다. 길이 방향의 파형의 길이 B가 7.0mm보다 작으면, 프론트 에지의 형상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날형이 되어 정점(51)을 포함하는 산 모양 부분이 돌출한 형상으로 되므로 장착 시에 컬이 발생 할 가능성이 있다.

    네트형(11b)은, 프론트부(11a)와 접합하고 있고, 가발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일치하거나 유사한 모양을 가진다. 이 네트형(11b)은, 예를 들면 전술한 프론트부(11a)의 기재로서 사용되는 형태 유지용 네트와는 다른 강성, 실 직경 및 메시를 가지게 되며, 접합부(11c)에 의해 봉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프론트부(11a)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네트형(11b) 및 접합부(11c)에는, 공지된 모발재의 식설 방법, 예를 들면 카우히치(cow hitch), 클로브 히치(clove hitch) 등에 의해, 모발재(12)가 장착되어 있다. 모발재(12)로서는, 사람 모발 외에, 나일론(등록상표),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만든, 예를 들면 직경 0.05 내지 0.2mm정도의 인공 모발이 매우 적합하다. 또한, 가발(10)에 있어서는, 네트형(11b)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는, 가발(10)을 장착자의 두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공지의 가발용 스토퍼나 접착제 등의 고착 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발(10)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발(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단계로서, 프론트부를 구성하는 인공 피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3의 (A)에 있어서, 장착자의 두부 형상을 모방한 숫형(20)의 석고형(22)에 대하여, 평탄한 합성 수지제의 형태 유지용 네트(23)를 잔주름이 모이지 않게 팽팽하게 펼쳐져서 밀착된다. 이어서,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태 유지용 네트(23)를 고정용 침구(24a, 24b)를 사용하여 숫형(20)의 석고형(2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이어서, 형태 유지용 네트(23)를 고정시킨 숫형(20)의 석고형(22)의 표면에 대하여, 형태 유지용 네트(23) 위로부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용액, 예를 들면 우레탄 엘라스토머를 DMF 및 MEK에 용해시키고, 방미제(antifungal agent)를 첨가한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온도 60℃로 약 1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그 후, 상기 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에 대하여, 우레탄 엘라스토머 농도를 3% 정도 저감한 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을, 이 인공 피부에 도포하고, 마찬가지로 가열 온도 60℃로 약 30분간 건조시킨다. 이로써, 형태 유지용 네트(23)는 네트 및 그 망눈(mesh) 전체가 우레탄 피막으로 덮이고, 두께 약 0.07mm 정도의 인공 피부재, 즉 프론트부(11a)가 형성된다. 이 경우, 인공 피부재의 표면에는, 내부의 형태 유지용 네트(23)의 격자형의 요철부가 나타남으로써 윤지우기(deglossing) 효과가 얻어지지만, 윤지우기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하여, 우레탄 엘라스토머 용액에 윤지우기제로서 분말 상 실리카(평균 3.1∼4.2)㎛를 약 8중량%로 첨가하며,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첨가한 윤지우기용 용액을 인공 피부재에 더 도포하여, 가열 온도 60℃로 약 2∼4시간 정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윤지우기용 용액의 도포 두께 약 0.03∼ 0.035mm정도가 더해지는 것에 의해, 두께 약 0.09∼0.11mm 정도의 인공 피부재가 형성된다.

    이상의 제1 단계에서의 인공 피부재의 제작 시에는, 하기와 같은 숫형(20)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나타낸 장착자의 두부 형상의 숫형(20)을 사용한다. 이 숫형(20)은 시트(21) 상에 설치된 석고형(22)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러 종류의 전형적인 두부 형상의 석고형을 준비해 두고, 장착자의 두부 형상에 가장 근사한 형을 선택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착자 개개인의 두부 형상을 엄밀하게 형을 뜬 석고 숫형이 사용된다. 이 숫형의 표면에는, 미리 설정한 프론트부(11a)와 네트형(11b)의 영역을 나타낸 경계선(20a)이 그려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숫형(20)은, 장착자의 두부 형상(점선으로 도시)에 대하여, 가발 베이스(11)의 윤곽을 형성하는 경계선(20a)의, 앞이마부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이 컷 오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착자의 가상 헤어라인에 해당하는 앞이마부의 상단으로부터 석고형의 하방을 향하여 장착자의 앞이마부의 윤곽보다 급 구배로 커팅된 컷 오프면(22a)을 가진다. 이 컷 오프면(22a)은, 가상 헤어라인의 좌우의 앞이마의 모발이 난 가장자리의 끝에 걸쳐서 잘라내어지며,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θ1을 가지고 있다. 이 각도 θ1은, 75∼90°가 바람직하고, 90°로 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도 θ1이 75°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젖힘 방지 또는 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90°를 초과하는 각도인 경우에는, 컬 방지 효과는 얻어지지만, 숫형(20)이 언더컷(undercut)을 구비하게 되므로, 인공 피부의 이형이 잘 행해지지 않으며, 기재로 되는 형태 유지용 네트를 잔주름없이 숫형에 씌우기 곤란하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컷 오프면(22a)과, 석고형(22)의 두부 형상의 표면 사이에 경계로서의 능선(22b)이 형성되고, 컷 오프면(22a)은 석고형(22)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θ2를 가진다. 예를 들면, 150° 이상의 각도 θ2를 가지는 능 선(22b)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이 능선(22b)은, 도 15에 의해 인용부호 "22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폭 w로 곡선형으로 모따기되어 둥그스럼하게 되어있다. 이 모따기 폭 w는, 2∼5mm가 바람직하며, 3mm로 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따기 폭 w가 2mm 미만인 경우에는, 능선(22b)을 둥그스럼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한 컬 방지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다. 모따기 폭 w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따기된 부분의 형상이, 두부 형상에서 많이 벗어나게 되므로 장착자의 두부에 대한 밀착성이 결여된다. 이와 같이 석고형(22)의 능선(22b)이 곡선형으로 모따기되어 만곡됨으로써, 성형된 가발 베이스(11)의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 영역(111)과 후방 영역(112) 사이에서 좌우로 횡단하는 굴곡선이 소실되어, 프론트부(11a)의 부분이 부채꼴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숫형(20)을 사용하여, 가발 베이스(11)를 제작하는 경우, 숫형(20)의 석고형(22)에 형태 유지용 네트(23)를 씌워서, 특히 컷 오프면(22a)에 형태 유지용 네트(23)가 잔주름이나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이로써, 인공 피부와 상기 인공 피부와 일체화된 형태 유지용 네트로 구성된 인공 피부부(11O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단계로서, 합성 수지제의 네트를 준비하고, 이 네트에 장착자의 두부의 형상에 맞춘 형을 떠서, 탑부가 될 네트형(11b)을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네트를 장착자의 두부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두부 형상의 숫형의 위에 네트를 팽팽하게 덮어서 수지 가공을 행한다. 이 수지 가공은, 준비한 가발 장착자 의 두부 형상의 숫형에 나일론(등록상표)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네트를 팽팽하게 덮어서 고정시킨 후, 이 네트의 위로부터 열강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온도 100℃로 8시간동안 건조시켜 성형을 행한다. 다음으로, 숫형으로부터 네트를 벗겨서 초음파 가공을 행한다. 이 초음파 가공은, 네트를 구성하는 실이 교차하는 부분을 초음파와 가압에 의해 용착시키고, 교차하는 부분을 고정시키는 처리이다. 초음파 가공을 행한 후에, 석고형의 위에 초음파 가공을 행한 네트를 앞이마부에서 후두부로, 그리고, 좌우 측 두부의 위치에 맞추어서 팽팽하게 덮어서 고정시키고, 열강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을 그 위로부터 도포하고, 가열 온도 100°로 4시간동안 건조시켜 성형을 행한다. 본 예에서는 네트로서 폴리아미드제 네트를 사용하였으므로, 열강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에 의한 수지 가공 후에 초음파 가공 및 재성형 처리 단계를 행하였으나, 이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흡수성이 높으므로 치수 안정성이 좋지 못하며, 또한 두부 형상으로 성형한 형상이 쉽게 흐트러지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폴리아미드 섬유 외의 네트의 경우에는, 흡수성이 낮고 치수 안정성이 양호해서, 열강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에 의한 수지 가공만으로도 특별히 문제될 것은 없다. 그리고, 성형에 사용하는 네트의 실의 직경은 220D, 메쉬는 25메쉬 정도(개/인치)의 네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성형에 사용하는 네트는 두부 형상의 형을 부착할 수 있는 소재이면 되고, 실의 직경이나 메시의 수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3 단계로서, 제1 단계에서 제작한 인공 피부부(110a) 상에, 제2 단계에 의해 미리 장착자의 두부 형상에 맞춘 네트형(11b)을 중첩시키고, 접합 부(11c)의 위치에서 봉착 또는 접착하여 인공 피부부(11Oa)와 네트형(11b)을 접합하여 일체화한다.

    접합 후, 제4 단계로서, 프론트부(11a)가 될 인공 피부재의 남은 부분을 잘라내고, 탑부가 될 네트형의 남은 부분을 잘라내어 소정 형상의 가발 베이스(11)를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인공 피부재의 남은 부분으로서는 접합부(11c)로부터 후방의 부위를 잘라내고, 네트형의 남은 부분으로서는 접합부(11c)로부터 전방의 부위를 잘라낸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프론트부(11a)와 네트형(11b)이 나누어진 가발 베이스(11)의 기본 형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잘라낼 때, 가발 앞이마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프론트부(11a)의 프론트 에지(11a')의 파형 형상 가공을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발 베이스(11)가 완성된다.

    이 가발 베이스(11)의 전체면에, 제5 단계로서, 원하는 모발량 또는 소정의 모발량과 모류(毛流)가 되도록 공지의 식모 방법으로 모발재(12)를 식설한다.

    제6 단계에서는, 모발재(12)를 식설한 프론트부(11a)의 배면에 가발용 접착층(30)을 형성한다. 가발용 접착층(30)는, 식설되어 인공 피부부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모발재(12)의 침족부(12A)를 프론트부(11a)에 고정하는 기능과, 두부에 접착하는 기능을 겸비한 가발용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가발용 접착제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법이나 솔을 사용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발용 접착층(30)의 구체적인 제조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모발재(12)를 식설한 인공 피부재를 뒤집어서 가발 장착자의 두부 형상 숫형에 고정시킨다. 이 두부 형상 숫형은, 예를 들면, 열강화성 에폭시 수지로 형성된다. 주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2액 혼합형 접착제를 혼합 교반한다.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인 DMF 및/또는 MEK를 적정량 첨가해도 된다.

    이 용액을 상온에서 소정 시간 정치하여 반응을 진행하여, 가발용 접착제 용액을 만든다. 소정 시간 정치하는 것은, 혼합 교반된 상기 용액 중의 분자끼리의 가교 반응을 어느 정도 진행시키기 위해서이다. 소정 시간 정치된 가발용 접착제 용액을, 인공 피부의 배면에 귀얄로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온 이상의 가열 온도로 소정 시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가발용 접착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원하는 두께의 접착층(30)을 얻기 위하여, 상기 가발용 접착제 용액의 도포 및 가열에 의한 건조를 반복해도 된다. 그리고, 접착층(30)이 도포되지 않은 인공 피부부의 배면에는, 모발 고정용 우레탄 용액을 도포하여, 모발재(12)의 침족부(12A)를 인공 피부에 고정시킨다.

    [실시예]

    여기서, 형태 유지용 네트(23)를 고정시킨 프론트부(11a)의 컬 강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서, 전술한 프론트부(11a)와 마찬가지로, 형태 유지용 네트(23)를 포함하지 않는 인공 피부만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부를 제작하였다. 컬 강성의 측정은, 시료로서 인공 피부의 샘플 전체를 일정 곡률까지 원부채꼴로 등 속도로 굴록시켜서, 이에 따른 미소한 벤딩 모멘트를 검출하고, 이 벤딩 모멘트와 곡률의 관계를 측정하여 행하였다. 측정 조건으로서는, 척간 거리: 1cm, 토크 검출기: 토 션 와이어(스틸 와이어)의 비틀림 검출 방식, 토크 감도: 1.0gf·cm(전체 스케일 10V에서), 곡률: ±2.5cm×10 -1 , 컬 변위 각도: 0.5cm×10 -1 /sec, 측정 사이클: 1왕복, 샘플폭: 1cm, 샘플막 두께: 네트 있음·네트 없음 모두 100∼110㎛, 온도: 22℃, 습도: 60%RH였다.

    이와 같은 측정 실험의 결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 있음의 경우, 컬 강성치(gf·cm 2 /cm)는 0.03215이며, 네트 없음의 경우의 0.01388과 비교하여, 높은 컬 강성치가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바꾸어 말하면, 네트(형태 유지용 네트) 있음의 인공 피부, 즉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부(11a)는, 네트 없음의 경우와 비교하여 컬 강성이 높다.

    따라서, 컬 강성이 높을수록, 절곡 등의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에 대한 내성이 높으므로, 컬이나 잔주름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컬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발(10)은, 가발 베이스(11)의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 영역(111)이 장착자의 대응하는 두부 윤곽보다 급 구배로 굴곡됨으로써 컬 방지 구조(11O)를 가지고 있다. 이 컬 방지 구조(11O)는, 프론트부(11a)의 프론트 에지(11a')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앞쪽주위 영역(111)과 이에 계속되는 후방 영역(112) 사이의 굴곡 위치에서 곡선형의 능선을 이루도록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곡선형의 굴곡부는, 석고 숫형(20)에 형성된 모따기부(22c)의 만곡 형상이 충실히 전사(轉寫)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가발 장착 시에 프론트부(11a) 자체를 장착자의 전두부에 파고들어가도록 만곡된 상태로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부(11a) 자체가 내측으로 만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복적 사용에 의해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가 위로 젖혀지려도 해도, 프론트부(11a)의 앞쪽주위 영역이 휘어져서 장착자의 두부 형상과 맞지 않게 될수록,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발 베이스(11)의 앞이마부를 구성하는 프론트부(11a)는, 우레탄 수지 등의 연질 합성 수지 피막 중에 형태 유지용 네트(23)를 기재로 하여 매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형태 유지용 네트(23)에 의해, 극히 얇은 프론트부(11a)의 강성 그리고 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고, 앞쪽주위의 젖혀짐이나 잔주름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로써, 가발 베이스가, 특히 앞이마부의 영역에 의해, 장착자의 두부에 한층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형(11b)의 전방부에 설치한 프론트부(11a)가 형태 유지용 네트를 기재로서 형성되며, 앞쪽주위가 두부 형상에 대하여 내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복적 사용에 의해, 가발 베이스(11)의 특히 프론트부(11a)에 젖혀짐이나 잔주름에 의해 컬이 발생하여 장착자의 두부로부터 떠오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가발 베이스(11), 특히 프론트부(11a)의 장착자의 두부와의 밀착성이 유지되므로, 가발(10)의 외관이 저하되지도 않으며, 또한 가발(10)의 노출이 저지된다.

    또한, 가발(10)은 프론트부(11a)의 배면의 예를 들면, 전단부 측에 접착층(3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접착층(30)에 의해 프론트부(11a)가 장착자의 두 부에 밀착되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은, 모발재(12)의 침족부(12A)를 고착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이면 되며, 예를 들면, 식설하는 모발재(12)의 굵기가 0.08∼0.09mm이면 0.05mm정도이면 되므로, 앞이마부의 극히 얇은 프론트부(11a)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두부측에 접착하는 측의 접착층(30)은 재박리성을 가지고, 접착층 부분을 물이나 유기 용제로 씻는 것만으로 점착력이 회복되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비용으로 가발(10)을 만들 수 있고, 장착자의 부담이 적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가발 베이스(11)는, 장착자의 앞이마부에 대응하는 영역, 즉 프론트부(11a)의 프론트 에지(11a')가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발 장착 시에, 장착자의 앞이마부에 대한 프론트부(11a)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앞이마부의 언저리에서의 미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30)을 프론트부(11a)의 배면의 전단부 측에 도포할 경우, 프론트부(11a)의 프론트 에지의 윤곽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된 점형으로 복수의 접착층(30)을 도포해도 되며, 또는 프론트부(11a)의 배면 전체에 도포해도 된다. 그리고, 프론트부(11a)에 대한 접착층(30)의 형성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른 접착 수단, 예를 들면 의료용 순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착시킬 수도 있다.

    프론트부(11a)는, 앞이마부에 대응하는 모든 영역에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장착자의 분발부(分髮部)에 해당되는 위치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부(11a)는, 형태 유지용 네트를 인공 피부에 매립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인공 피부와 형태 유지용 네트 중 어느 하나를 상하에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부(11a)의 에지에만 파형의 절결을 형성하였지만, 측부나 후두부 등의 앞이마부 외의 외측 둘레부에도 동일한 절결을 형성하여 미채 효과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탑부에 배치하는 네트 형(11b)의 외프레임을 파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파형의 절결은, 본 발명의 구성상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으로서, 우레탄 겔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프론트부(11a)에 식설된 모발재(12)의 침족부(12A)와의 고착력과 두피에 대한 재박리성을 가지고 있으면, 접착제의 종류는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윤지우기제는 실리카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윤지우기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체적 수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부와 탑부로 나누고, 탑부를 네트형으로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물론 가발 베이스 전체를 프론트부와 동일한 인공 피부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부가 형태 유지용 네트를 일체화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로 형성되며, 앞쪽주위 영역이 두부 형상에 대하여 두부 측으로 약간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가발 베이스의 특히 프론트부에 젖혀짐이나 잔주름 또는 늘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장착자의 두부로부터 떠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가발 베이스, 특히 프론트부의 장착자의 두부와의 밀착성이 유지되므로, 가발의 볼품이 저하되지 않으며, 또한 가발의 사용이 노출되지도 않는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