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人类生活必需 / 服装 / 人造花;假发;面具;羽饰 / 假发 / .{假发的基底} / 가발용 투습성 소재 및 이 투습성 소재를 가진 가발 또는 가발용 기초캡

가발용 투습성 소재 및 이 투습성 소재를 가진 가발 또는 가발용 기초캡

申请号 KR1020087031258 申请日 2006-10-03 公开(公告)号 KR1020090021183A 公开(公告)日 2009-02-27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发明人 스가이가쓰오; 사쿠마사나에; 야마구치다카야;
摘要 A moisture-permeable material for wigs which is excellent in moisture permeability, can prevent stuffiness during wearing a wig and can be easily attached. Namely, a moisture-permeable material for wigs having a three-layered structure comprising a porous polyurethane employed as the core material, a mesh layer made of a synthetic fiber or a natural fiber which is located in the sid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core material and a fiber layer made of a synthetic fiber or a natural fiber for planting artificial hair or natural hair which is laminated in the other side of the core material, wherein the three-layered structure has a moisture permeabilit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JIS L-1099A) of 8000 g/m2 24 hr or above, a tensile strength of 90 N/in. or above and a tear strength of 15 N or above.
权利要求
  • 다공질 폴리우레탄을 심재로서, 한쪽의 면에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물코층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이 심재의 다른 면 측에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라미네이트 해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체로서, 상기 3층 구조체의 투습도가 JIS L-1099A법으로 8000g/㎡ㆍ24hr 이상, 인장강도 90N/인치 이상, 인렬강도가 15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투습성 소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층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이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진 그물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투습성 소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된 가발 베이스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투습성 소재.
  • 가발의 아래에 피착되는 기초캡이, 제 1 항에 있어서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캡.
  • 상기 가발의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가발 베이스를 형성하는 주 부재와, 제 1 항에 있어서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가 꿰매붙임 혹은 접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 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 제 1 항에 있어서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1매 또는 복수매를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이어 붙여서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기초캡.
  • 说明书全文

    가발용 투습성 소재 및 이 투습성 소재를 가진 가발 또는 가발용 기초캡{MOISTURE-PERMEABLE MATERIAL FOR WIGS AND WIG OR UNDER CAP FOR WIG HAVING THE MOISTURE-PERMEABLE MATERIAL}

    본 발명은, 투습성, 내구성을 겸비한 가발 용도에 적합한 투습성 소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투습성 소재를 이용한 가발 또는 가발용 기초캡에 관한 것이다.

    머리 부분에 장착하는 가발은,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된 토대가 되는 가발 베이스와, 상기 가발 베이스에 인모 또는 인공모발을 식모한 것으로, 가발 베이스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인공피부로 불리는 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무공질 열가소성 수지막과,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쉬 형상 직편물로 이루어지는 네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무공질 열가소성 수지막으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의 경우, 식모하는 모발의 개수, 식모하는 각 모발의 간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스타일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투습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발한 등에 의한 끈적거림, 땀이 차는 느낌, 가려움 등 불쾌감을 일으키기 쉬운 결점이 있다.

    한편, 메쉬 형상 직편물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의 경우, 상기 직편물에는 다수의 틈새가 있으므로, 투습성은 무공질 열가소성 수지막과 비교하여 현격히 향상하지만, 모발을 식모하는 경우에, 메쉬 형상 직편물을 구성하고 있는 합성섬유 필라멘트에만 식모할 수 있다는 것, 메쉬 형상에 의해서 식모할 수 있는 모발의 개수, 식모하는 각 모발의 간격이 제한되므로, 제작 가능한 스타일이 한정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어, 열가소성 수지막의 이점과 메쉬의 이점을 겸비한 가발 베이스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것들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폴리-α-아미노산 유도체와, 나일론 스타킹 등의 직편물을 보강재로 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다층 구조를 가진 투습도가 500∼2000g/㎡ㆍ24hr의 시트가,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아크릴 섬유를 주로 하여 이루어지는 얇은 니트천의 한쪽면에 폴리우레탄 수지층을, 다른 면에 폴리아미드 수지층을 형성한 투습도가 5000∼6000g/㎡ㆍ24hr의 가발용 기포(基布)가 개시되어 있다.

    가발을 머리 부분에 장착한 경우, 머리 부분에 땀이 차지 않고 쾌적하게 피착할 수 있는 투습도는 JIS L-1099A법에서 8000g/㎡ㆍ24hr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상기의 2개의 특허문헌 1, 2에서는 투습도가 어느 쪽도 충족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소재의 두께를 얇게 하면 투습도가 향상하는 경향이 있지만, 강도는 저하하기 때문에 양자를 양립하기 어렵다.

    가발의 경우에는, 토대가 되는 가발 베이스에, 선단이 예각인 구침(鉤針: 끝이 갈고리처럼 생긴 바늘)의 갈고리부분에 인공모발이나 천연모발을 걸고, 삽입 통과시켜, 결착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어, 이러한 인공모발이나 천연모발 식모 작업시에 가발 베이스의 소재가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등에는 소재의 강도에 대해서 구체적인 개시가 되지는 않았다.

    또한, 숱이 적은 머리를 숨기는 것이 목적인 가발의 경우에는 문제는 없지만, 패션가발의 경우에는 가발 장착자의 머리카락이 있는 상태로 장착하기 때문에, 특히 자신의 머리카락이 긴 경우는 그 머리카락을 정리하여 가발안에 수납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장착 후에 머리 부분이 부분적으로 부풀어 오르거나, 반대로 움푹들어가거나 하는 것이 발생한다. 이러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3에는, 가발을 장착하기 전에 기초로서 머리 부분에 씌우는 기초 네트가 개시되어 있다. 기초 네트는, 경량감이나 피착시에 땀이 차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충분한 투습성이 요구되지만, 기초 네트의 투습도나 피착시 머리 부분에 땀이 차는 것에 대해서 구체적인 개시는 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58-201644호 제 1 페이지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61-289105호 제 1 페이지

    특허문헌 3 :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2042호 공보 제 1 페이지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특허문헌 등에 기재되어 있는 가발의 과제를 개선하여, 부착이 간단하고 우수한 투습성을 구비한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는, (1) 다공질 폴리우레탄을 심재로서, 한쪽의 면에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물코층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그 심재의 다른 면측에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라미네이트하여 이루어지는 3층 구조체이며, 상기 3층 구조체의 투습도가 JIS L-1099A법으로 8000g/㎡ㆍ24hr 이상, 인장(引張)강도 90N/인치 이상, 인렬(引裂)강도가 15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투습성 소재이다.

    또한, (2) 상기 그물코층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이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물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가발용 투습성 소재이다.

    또한, (3)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된 가발 베이스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2)에 기재된 가발용 투습성 소재이다.

    또한, (4) 가발 아래에 피착되는 기초캡이, (1)에 기재된 가발용 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캡이다.

    또한, (5) 상기 가발의 가발 베이스에 있어서, 가발 베이스를 형성하는 주 부재와, (1)에 기재된 가발용 투습성 소재가 꿰매붙임 혹은 접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이다.

    또한, (6) (1)에 기재된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1매 또는 복수매를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이어 붙여서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용 기초캡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에 의하면, 다공질 폴리우레탄의 한쪽의 면에 폴리에스테르 등의 메쉬를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투습성이 매우 우수하다. 다른 쪽의 면에 식모하는 그물코 부재는 나일론 섬유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평활성에도 우수하다. 이와 같이 3층 구조면서 투습성이 우수한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에 이용하는 다공질 폴리우레탄은, 건식법, 습식법에 의해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습식법으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수혼화성 유기용매 용액을 이형재 상에 도포한 후, 수중에 침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응고시켜 제조한다. 다른 한편, 건식법으로서는, 발포제나 충전제를 이용하는 방법과, 폴리우레탄 수지의 수형 에멀젼을 조정하여 물과 용제의 비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중공수지 입자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315817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라도 좋고, 어느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두께로서는 0.005∼0.01㎜가 바람직하다. 또한, 그 투습도는 JIS L-1099A법으로 10000g/㎡ㆍ24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도성 소재에 사용하는 다공질 폴리우레탄으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주체의 수지 조성물에 무기계 위스커(whisker)를 가하여 시트형상으로 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 주체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50∼100중량%를 포함하고 이 폴리우레탄 수지에 다른 수지를 혼합해도 좋다. 이 폴리우레탄 수지에 극성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15∼40중량%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농도로 하여 시트형상으로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 폴리우레탄층과 상기 섬유 구조체를 접착하는 점착성 수지는, 50% 이상의 습도 상황하에 있어서 장기간 접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고, 에틸렌비닐렌아세테이트계, 합성고무계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등의 핫멜트(hotmelt)라고 칭해지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점착성 수지는 다공질 폴리우레탄 시트 전면에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점(dot) 형상 또는 바이어스(bias) 형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수지를 전면에 도포해 버리면, 다공질 폴리우레탄의 투습 성능을 저하시켜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식모시에 섬유 구조체와 다공질 폴리우레탄의 양쪽에 구멍을 뚫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도포량은, 10∼100g/㎡가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10g/㎡ 미만에서는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없어 벗겨져 버릴 우려가 있고, 100g/㎡ 이상에서는 유연성이 손상되고, 중량이 무거워지므로 가발 등에는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에 사용하는 다공질 폴리우레탄에 적층된 메쉬 형상의 그물코층은, 머리 부분에 접촉하는 측에 이용되어, 두피의 끈적거림과 땀이 차는 느낌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외형으로 청량감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 면이나 비단 등의 천연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트리아세테이트 또는 디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량이며 내구성이나 세탁 등에 견디는 것으로서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의 섬유로 형성된 그물코층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메쉬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메쉬의 거칠기는 180∼500메쉬로, 멀리서 보아 가발이라 인식하기 어려운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메쉬 편물로 칸은 60∼70g/㎡, 두께는 0.20∼0.30㎜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메쉬를 구성하는 실은, 폴리에스테르사와 다른 합성섬유사와의 꼬임실이더라도 좋다. 칸을 60∼70g/㎡의 범위로 한 것은, 칸이 60g/㎡ 미만이라면 식모한 후에, 모재의 무게에 의해 가발 베이스가 둥글게 성형된 머리 부분 형상이 무너져 버려, 미묘한 머리 부분 만곡의 형상도 잃게 될 우려가 있고, 칸이 70g/㎡보다 크면, 폴리에스테르 메쉬의 중량이 무거워져, 가발 베이스 둘레 가장자리부 분에 젖혀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가발 베이스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져 가발 장착시에 부담이 된다. 한편, 두께가 0.20㎜ 보다 얇아지면, 가발을 장착했을 때에 가발과 머리 부분의 틈새가 없어져 머리 부분이 다공질 폴리우레탄에 접촉해 버려, 투습성이 저하한다. 두께가 0.30㎜ 보다 두꺼워지면, 가발 전체가 두꺼워져 가발을 장착했을 때에 가발 둘레 가장자리 부분과 머리 부분에 단차가 생겨 가발이 뜬 것처럼 보여 볼품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다공질 폴리우레탄의 다른 면에 적층된 섬유층은 표면에 인공모발이나 천연모발을 이식하는 것으로, 섬유층은, 식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그물코가 바람직하고, 이용되는 섬유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나일론 섬유가 바람직하며, 특히 나일론 6,6 섬유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나일론 섬유는, 힘이 없고 부드러워 접히는 성질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접히는 성질이 생긴 경우에도 수정하기 쉽기 때문에,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 가발 베이스의 형태가 무너져도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발 베이스의 소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사용하는 그물코 형상은 벌집형상이 바람직하고, 그 크기는 장착하는 사람의 머리카락의 양에 따라서 상이하다. 예를 들면, 비교적 적은 사람은, 한 변의 길이가 1∼2㎜이며, 전혀 자신의 머리카락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는 1㎜ 미만이다. 편물로서 칸은 20∼30g/㎡이고, 두께 0.20∼0.35㎜이다.

    이 칸을 20g/㎡ 미만으로 하면, 식모시에 모재가 섬유층에 충분히 결착하지 못하고 결착강도가 저하한다. 또한 식모 작업시에 구침을 섬유층 뿐만이 아니라, 그 아래의 다공질 폴리우레탄 수지를 관통하여 다공질 폴리우레탄에 구멍을 뚫어 버린다. 칸을 30g/㎡ 보다 크게 하면, 가발 전체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것, 특히 높은 습도의 환경하에서는 섬유층이 습기를 포함하기 쉬워져 더 무거워진다.

    한편, 두께가 0.20∼0.35㎜의 범위인 것은, 가발을 장착했을 때에, 가발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과 머리 부분의 경계선이 단차가 되지 않고, 뜬 것처럼 보이지 않는 가발의 두께가 0.45∼0.70㎜이며, 본 발명의 3층 구조의 투습성 소재에서는 다공질 폴리우레탄층의 두께가 0.005∼0.01㎜이고, 그물코층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층의 두께가 0.20∼0.30㎜이며, 섬유층에 모재를 식모했을 때에, 모재의 고정 개소가 자연스럽게 보이는 섬유층의 두께는 0.20㎜ 보다 두꺼우면 좋지만, 가발 전체의 두께를 고려하면, 섬유층의 나일론 섬유의 두께는 0.20∼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일론 그물코 부재로서는 나일론 필라멘트를 세로 방향에 복수개 배치한 날실군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평면과, 날실군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일론 필라멘트를 복수개 배치한 씨실군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평면을 겹쳐 맞추고, 각 필라멘트의 교접점을 녹여 붙여 형성되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인공모발이나 천연모발의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식모하는 방법은, 가발 베이스에 선단이 예각인 구침을 관통시키고, 그 구침에 모재를 걸어 삽입 통과시켜 결착시킨다. 이 구침을 가발 베이스에 관통시켜 모재를 걸 때에 구침을 강한 힘으로 당기기 때문에, 모재를 식모하는 섬유층이 어느 정도의 탄력성이 없으면 가발 베이스가 파손되거나 식모 후에 가발 베이스가 물결을 친 것처럼 되어 성형한 머리 부분 형상이 무너져 버리므로, 탄력성이 있는 나일론 6,6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1매 또는 복수매를 석고 등의 숫틀에 고정하고 수지를 도포하여 성형하거나, 또는 꿰매붙임 혹은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이어 붙여서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하여 가발 베이스나 가발용 기초캡으로 할 수 있다.

    이 가발용 투습성 소재는 가발 베이스나 가발용 기초캡의 적어도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는, JIS L-1099A법에서의 투습도가 8000g/㎡ㆍ24hr 이하이기 때문에 장기간 머리 부분에의 착용시에 땀이 찰 우려가 있어,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가발용으로서의 투습성 소재는, 인장강도는 90N/인치 이상, 인렬강도가 15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강도는 90N/인치 미만, 인렬강도가 15N 미만이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몇 차례의 머리 부분에의 착탈 작업에 견디지 못하고, 균열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가발을 장착할 때는, 가발을 머리 부분의 전후좌우의 위치에 맞추어, 접착제, 핀으로 두발을 끼워 지지하는 등의 수단으로 가발을 머리 부분에 고정하지만, 이 때에 가발을 잡아당기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머리 부분에 피트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가발 베이스가 되는 소재의 인장강도가 90N/인치 미만의 경우, 가발 장착시에 파손되거나, 내구성이 저하하여 반복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인렬강도가 15N 미만이면, 가발 베이스에 모재를 식모하기 위한 구침을 관통시켰을 때에 구멍이 뚫려 모재를 베이스에 결착할 수 없고, 설령 결착할 수 있었다고 해도, 결착력이 약하여 스타일 세트의 브러싱 등으로 모재가 탈락하여 통상의 사용에 견딜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에 의해서 틀 제조한 가발 베이스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로부터 틀 제조한 기초 네트의 설명도로서, (a)는 상기 기초네트의 사시도, (b)는 상기 기초네트를 사람의 머리 부분에 장착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사용한 부분가발의 실시형태의 개략 도이며, (a)는 상기 부분가발의 평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공질 폴리우레탄층 2 : 폴리에스테르 메쉬

    3 : 섬유층 4 : 가장자리부분

    5 : 네트 6 : 꼭대기부분

    7 : 모발 20 : 가발 베이스

    21 : 네트형상 부재 211 : 인공피부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발용 투습성 소재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측정 평가는 아래와 같은 시험 방법에 따랐다.

    [라미네이트 강도]

    JIS L-1089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단위는 N/인치.

    [인장강도]

    JIS L-1018A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단위는 N/인치.

    [인렬강도]

    JIS L-1096(싱글탱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단위는 N.

    [투습도]

    JIS L-1099A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단위는 g/㎡ㆍ24hr.

    [모재 식모 후의 가발 상태]

    모재 식모 후의 가발 상태를 눈으로 평가하였다.

    ◎ 파손이나 구멍이 없고, 식모 후의 모재의 결착력도 양호하다.

    ○ 약간의 파손이나 구멍을 볼 수 있다.

    △ 상당한 파손이나 구멍이 있어, 식모 후의 결착력이 약하다.

    × 전체에 파손이 있어, 필요량의 모재를 식모할 수 없다.

    [가발 장착시의 상태]

    가발의 장착시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 땀이 차는 일이 없어, 머리 부분에 땀을 흘리는 일 없이 쾌적하다.

    ○ 머리 부분에 땀을 흘리는 일은 없지만, 땀이 차는 일이 발생한다.

    △ 땀이 차서 머리 부분에 땀을 흘려, 머리 부분이 가려워진다.

    × 머리 부분에 대량의 땀을 흘려, 가발 베이스 이면에 땀이 머무른 상태에서, 머리 부분 전체가 가려워진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식법으로 제작한 다공질 폴리우레탄층(1)의 표면에 핫멜트 타입 우레탄수지(미쓰이 타케다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번호:타케멜트 MA3229K)를 점형상으로 15g/㎡ 도포하고, 그 위에 폴리에스테르 메쉬(2)(조직: 트리코트, 혼용율: 폴리에스테르 100%, 실 사용:84T/36f, 코스(course: 가로방향의 루프열): 44개/inch, 웰(wale: 세로방향의 루프열): 28개/inch)를 라미네이트 한다. 다른 한편, 다공질 폴리우레탄층(1)의 이면측에 모재를 식모하기 쉽도록 그물코의 섬유층(3)(조직 : 트리코트, 혼용율 : 나일론 100%, 실사용 : 66나일론 22 T/7f, 코스:42개/inch, 웨일:28개/inch)을 핫멜트 타입 우레탄수지(미쓰이 타케다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번호 : 타케멜트 MA3229K)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제작하였다. 모재를 더 식모하여, 가발을 제작하였다.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석고로 이루어지는 머리 부분 형상의 숫틀에, 열가소성 수지의 우레탄 엘라스토머(일본 폴리우레탄 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품명코드 E-985)를 유기용제(디메틸포름아미드와 메틸에틸케톤의 8:2 혼합액)에 용해한 수지용액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 두께 0.2㎜의 인공 피부 타입의 가발 베이스를 제작한다.

    다음에, 실시예 1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의 그물코층이 아래가 되도록 건 태커(gun tacker)를 이용하여 스테이플로 석고의 숫틀에 고정하고, 폴리비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제, 제품명 쿠라놀) 30% 농도의 수용성 수지 용액을 도포한 후, 100℃에서 6시간 건조하여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다.

    계속하여,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 가발 인공피부의 위에 마찬가지로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 가발용 투습성 소재의 머리 부분이 접촉하는 그물코층이 아래가 되도록 위치를 맞추어 겹쳐 맞춘다. 그리고, 가발 베이스 중에서 투습성 소재로 하는 부분의 주위를 2㎝의 폭으로 봉제에 의해 접착을 행하여, 일체화시킨다. 마지막으로, 일체화시킨 가발 베이스에서 불필요한 가발용 투습성 소재부분을 잘라내어 완성한다. 가발 베이스에의 식모는, 구침을 가발 베이스에 관통시키고, 인공모발이나 천연모발을 구침에 걸어 삽입 통과하여 결착한다. 투습성 소재부분의 식모에 있어서는, 나일론 섬유의 섬유층만을 구침으로 떠내어 제거하여 행하였다. 실시예 2의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굵기 0.10㎜의 폴리에스테르의 필라멘트를 60메쉬/인치로 평직한 소위 네트를, 석고로 이루어지는 머리 부분 형상의 숫틀에 주름이나 느슨해짐이 없도록 당겨, 건 태커를 이용하여 스테이플로 고정하고, 2액 혼합형의 우레탄 열경화성수지(닛신레진가부시키가이샤제, ADAPTE-No.2)를 유기용제(디메틸포름아미드와 메틸에틸케톤의 8:2 혼합액)로 희석한 용액을 네트의 위로부터 도포한 후, 100℃에서 10시간의 가열처리를 하여,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된 네트를 제작한다.

    실시예 1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실시예 2의 인공피부의 경우와 같이 성형한다. 그 후,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 가발용 투습성 소재의 위에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 네트를 전후 좌우의 위치를 맞추어 겹쳐 맞춘다. 그 후에는 인공피부와 같이 행하여, 여분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 부분을 잘라내어 완성한다. 가발 베이스에의 식모는 실시예 2와 같이 행하였다. 실시예 3의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 가장자리부분(4)을 끈 형상으로 고무재를 기계적으로 짜 넣어 띠형상으로 형성하여, 자유롭게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이 가장자리부분(4)에 연달아 접하여 다공질 폴리우레탄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메쉬가 라미네이트되고, 다른 면측에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물코 섬유층을 접착하여 형성한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투습성 소재(5)로 대략 반구형상으로 넓어지는 꼭대기부분(6)이 폐색된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하여, 전체가 자유롭게 신축 가능하도록 짜 넣어 머리 부분에 장착하는 기초 네트를 얻었다. 이 기초 네트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석고로 이루어지는 머리 부분 형상의 숫틀에 폴리에스테르 메쉬측을 아래쪽이 되도록 당겨 고정한 후, 10% 농도의 수용성 수지 용액을 도포한 후, 100℃에서, 6시간의 가열처리를 하여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하여, 기초 네트를 제작하였다. 이 기초 네트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가발의 일부에 본 발명의 투습성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메쉬의 표면에 다공질 폴리우레탄을 라미네이트한 폴리우레탄층의 표면에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물코 섬유층을 접착한 네트형상 부재(21)를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네트형상 부재(21)를 실시예 2와 같이 제작한 인공피부타입의 머리 부분 형상의 가발 베이스(20)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한, 가발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이 인공피부 부분 및, 네트형상 부재(21)의 나일론 섬유의 그물코 섬유층 표면에 인공모발을 식모하여 부분가발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6의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본 발명과 같은 3층 구조로 인장강도 및 인렬강도는 실시예 1과 같은 정도이지만, 투습도는 JIS L-1099A법으로 7000 g/㎡ㆍ24hr의 투습성 소재를 이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가발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이 기초 네트에 모재를 식모하여, 가발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의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본 발명과 같은 3층 구조로 투습도는 실시예 1과 같은 정도이지만, 인장강도가 세로 80N/인치, 가로 55N/인치, 및 인렬강도가 세로 16N, 가로 14N의 투습성 소재를 이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가발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이 가발 베이스에 모재를 식모하여 가발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의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다공질 우레탄은 본 발명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이 다공질 우레탄에 폴리에스테르 메쉬층을 라미네이트한 2층 구조의 투습성 소재를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가발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이 가발 베이스에 모재를 식모하여, 가발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의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다공질 우레탄은 본 발명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이 다공질 우레탄에 나일론의 섬유층을 라미네이트한 2층 구조의 투습성 소재를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가발 베이스를 제작하였다. 이 가발 베이스에 모재를 식모하여 가발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의 가발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직경 0.12㎜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55메쉬/인치의 네트를 머리 부분 형상의 숫틀에 건 태커를 이용하여 스테이플로 고정하고, 2액 혼합형의 우레탄 열경화성 수지(닛신레진가부시키가이샤제, ADAPT E-No.2)를 유기용제로 희석한 용액을 네트의 위로부터 도포한 후, 100℃에서 10시간의 가열처리를 하여, 가발용 기초캡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5의 가발용 기초캡의 물성 및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작한 가발 베이스에 모재를 식모한 후의 가발 상태와 가발 장착시의 상태의 평가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은 식모의 강도에는 문제가 없지만, 가발을 장착하면 단시간에 땀이 차서 머리 부분이 가려워졌다. 비교예 2는 식모한 부분의 파손을 볼 수 있어 가발의 외관이 열악하지만, 가발 장착시는 땀이 차는 일도 없고 투습성은 양호하였다. 비교예 3은 모재를 식모하는 장소인 섬유층이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모는 다공질 우레탄층과 그 아래의 폴리에스테르 메쉬층에 식모되므로, 다공질 우레탄층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모재가 결착할 수 없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메쉬층에는 모재를 폴리에스테르 메쉬에 감아돌려 결착하고 있으므로, 가발을 장착했을 때에 모재가 머리 부분에 닿아 아픔을 느꼈다. 비교예 4는 모재를 식모하는 장소인 섬유층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식모는 할 수 있지만, 가발 베이스 자체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베이스가 파손되거나, 모재의 결착강도가 약하여 통상의 사용으로 모재의 탈락이 일어난다. 게다가 폴리에스테르 메쉬층이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발을 장착하면 다공질 폴리우레탄층에 머리 부분이 직접 닿아 밀착하므로, 땀이 차서 땀이 머리 부분과 다공질폴리우레탄의 사이에 머물러 불쾌하게 되었다.

    비교예 5의 기초캡은 장시간 씌우면 머리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여 땀이 차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캡을 감싼 후에 가발을 장착하면, 기초캡과 가발이 잘 맞지 않기 때문에, 가발이 불안정하고 또한, 뜬 것처럼 되었다.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그 외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체를 가로세로로 왔다갔다 하게 하여 교점을 꿰매붙임 혹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으로 고정하여, 머리 부분 형상의 캡을 제작한다. 다음에 인공모발 혹은 천연모발을 미싱 등을 사용하여 꿰매붙이는 실로 꿰매어 머리카락을 제작하고, 그 머리카락을 머리 부분 형상으로 성형한 캡을 구성하고 있는 띠형상체에 꿰매붙임하여 캡에 상기 모발을 부착하고, 가발용 투습성 소재를 소정의 위치에 꿰매붙임 또는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발용 투습성 소재로서 다공질 폴리우레탄이나 나일론 섬유층에 착색제 등을 혼입하여 착색할 수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