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人类生活必需 / 服装 / 人造花;假发;面具;羽饰 / 假发 / .{假发的基底} /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

申请号 KR1020130132397 申请日 2013-11-01 公开(公告)号 KR101559873B1 公开(公告)日 2015-10-13
申请人 주식회사 씨크릿우먼; 发明人 김영휴; 김기성;
摘要 본발명은전면부와기층식모라인으로이루어지는기준면또는캡형태의식모부의상부로다층식모라인이하나이상돌출되어형성되는것을특징으로하는다층구조의식모라인을구비하는헤어웨어에관한것이다. 상기목적을달성하기위한본 발명의헤어웨어는, 스킨컬러부와, 상기스킨컬러부의양 측면에형성되는클립고정부로이루어지는전면부및 상기전면부에양 측끝단이고정결합되어형성되는하나이상의기층식모라인을포함하여형성되되, 상기전면부와기층식모라인이기준면을이루도록형성되는헤어웨어에있어서, 양측 끝단이상기전면부에고정결합되어형성되며, 상기전면부와기층식모라인으로형성되는기준면의상부로다층식모라인이하나이상돌출되어형성되도록하며, 상기다층식모라인은전면부와기층식모라인으로형성되는기준면과상기기준면의상부로돌출되어형성되는상기다층식모라인과의사이의공간확보또는상기다층식모라인의위치고정을통한볼륨-업형성이용이하게이루어지도록, 형태및 위치고정이가능한재질로이루어지는것을특징으로한다.
权利要求
  • 스킨컬러부와, 상기 스킨컬러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클립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에 양 측 끝단이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기층식모라인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이 기준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헤어웨어에 있어서,
    양 측 끝단이 상기 전면부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기준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다층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일측 끝단이 전면부를 이루는 클립고정부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 끝단은 상기 클립고정부의 다른 일측 또는 스킨컬러부에 고정 형성되며,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다층식모라인과의 사이의 공간확보 또는 상기 다층식모라인의 위치고정을 통한 볼륨-업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태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준면과 다층식모라인과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뇌파 측정장치 또는 뉴로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
  • 삭제
  • 인조모발 또는 천연모발이 식모될 수 있는 캡형태의 식모부를 갖는 헤어웨어에 있어서,
    양 측 끝단이 상기 식모부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식모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다층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일측 끝단이 캡형태의 식모부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 끝단이 상기 식모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되, 고정위치는 사용자의 양 쪽 귀의 상부쪽 위치 또는 사용자의 두상의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캡형태의 식모부와 상기 식모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다층식모라인과의 사이의 공간확보 또는 상기 다층식모라인의 위치고정을 통한 볼륨-업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태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모부와 다층식모라인과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뇌파 측정장치 또는 뉴로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
  • 삭제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부분 볼륨-업 형성을 위한 부분식모라인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분식모라인은 상기 부분식모라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층식모라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 {Hairwear equipped with multi-layer structures}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기준면 또는 캡형태의 식모부의 상부로 다층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발제품은 캡형태의 식모부로 전체의 가발틀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식모부에 모발을 이식하여 이루어지는 정형화된 형태로 이루어지곤 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한 가발제품은 모발을 풍성하게 하는 효과 외에 두상성형의 효과는 갖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뒷머리부위가 가라앉는 납작한 형태의 두상을 갖는 사용자들의 경우, 미용실 등에서 정수리 부위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수리부위가 다시 가라앉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후 등록되었던 등록특허 제0844139호 (등록일자: 2008. 06. 30.) 의 경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면부에 식모라인을 복수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식모라인에 인조모발 또는 천연모발을 이식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모발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식모라인이 사용자의 자모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현상을 통해 볼륨-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일시적으로 볼륨-업 효과가 유지될 수 있을 뿐, 시간이 지날수록 식모라인 및 상기 식모라인에 이식된 인조모발 또는 천연모발에 의한 무게로 인해 볼륨-업 효과가 점차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844139 B1 2008. 06. 30.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기준면 또는 캡형태의 식모부의 상부로 다층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기준면 또는 캡형태의 식모부와 상기 다층식모라인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또한 형태의 유지 및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재질로 상기 다층식모라인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층식모라인의 형태 및 위치고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볼륨-업 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어웨어는, 스킨컬러부와, 상기 스킨컬러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클립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에 양 측 끝단이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기층식모라인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이 기준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헤어웨어에 있어서, 양 측 끝단이 상기 전면부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기준면의 상부로 다층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다층식모라인과의 사이의 공간확보 또는 상기 다층식모라인의 위치고정을 통한 볼륨-업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태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헤어웨어는 인조모발 또는 천연모발이 식모될 수 있는 캡형태의 식모부를 갖는 헤어웨어에 있어서, 양 측 끝단이 상기 식모부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식모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다층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상기 캡형태의 식모부와 상기 식모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다층식모라인과의 사이의 공간확보 또는 상기 다층식모라인의 위치고정을 통한 볼륨-업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태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헤어웨어에 형성되는 다층식모라인은, 부분 볼륨-업 형성을 위한 부분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분식모라인은 상기 부분식모라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층식모라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기준면 또는 캡형태의 식모부의 상부로 다층식모라인이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을 통해, 상기 기준면 또는 식모부와 다층식모라인과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게 되며, 상기 공간에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거나 현대인의 정신질환 또는 두뇌의 성향을 다룰 수 있는 뉴로 바이오피드백 장치 등 뇌공학 관련 소형 전자장치의 장착이 가능할 수 있으며,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상기 다층식모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두상의 실질적인 볼륨-업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과 함께, 부분식모라인을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두부의 일정위치의 부분 볼륨-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분식모라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층식모라인의 처짐이 상기 부분식모라인을 통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어웨어를 나타내는 모습.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헤어웨어의 기준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면부와 기층식모라인으로 이루어진 기준면으로부터 상부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층식모라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캡형태의 식모부의 상부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층식모라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층식모라인이 실제 구현된 헤어웨어 및 부분식모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헤어웨어(Hairwear)'는 빠진 머리 등을 보충하는 의미로 사용되던 종래의 가발 개념과 달리, 기본적으로 두상 성형을 고려한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뒷머리 상부인 정수리 부위를 볼륨-업시켜 뒤통수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점차 발전하는 뇌공학에 이용되는 장치, 예를 들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거나, 특정 주파수의 음파 또는 임의의 파동을 방사하거나, 정신질환 등을 연구하기 위한 센서 기능을 갖는 소형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포함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상 성형뿐만 아니라 칩(chip)과 같은 형태를 포함하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뇌파의 측정, 음파 또는 임의의 파동의 방사 등이 일상생활 속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개념을 내포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부 중 스킨컬러부, 기층식모라인 및 다층식모라인에는 인조모발 또는 천연모발이 식재되게 되나, 상기 인조모발 또는 천연모발이 식재되지 않은 상태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공간확보 또는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의 효과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면부 중 클립고정부는 헤어웨어가 사용자의 두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클립고정부의 내측에 클립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이 사용자의 모발에 결합되면서 헤어웨어가 사용자의 두상에 고정되게 되며, 전면부 중 스킨컬러부와 클립고정부는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나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해 연결부(13)를 통해 상호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헤어웨어(100)의 기준면(70)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다. 즉,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킨컬러부(11)와 상기 스킨컬러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클립고정부(12)로 이루어지는 전면부(10) 및 상기 전면부의 양 측 끝단이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기층식모라인이 기준면(70)을 형성하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준면의 상부, 즉 기준면에 대해 두상으로부터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식모라인을 다층식모라인으로 하며, 상기 다층식모라인이 기준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두상을 성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면부(10)와 기층식모라인(20)으로 이루어지는 기준면(70)으로부터 상부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층식모라인(30)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와 도 4(a)는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b)와 도 4(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다층식모라인이 제1다층식모라인 내지 제6다층식모라인 및 제1다층식모라인, 제2다층식모라인 및 제7다층식모라인 내지 제10다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각각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갯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제3다층식모라인 내지 제6다층식모라인(33, 34, 35, 36)의 일측 끝단이, 전면부를 이루는 클립고정부(12)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 끝단이 상기 클립고정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실시 예로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면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다층식모라인(31), 제2다층식모라인(32)을 포함하여, 제3다층식모라인 내지 제6다층식모라인(33, 34, 35, 36)이 모두 다층식모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다층식모라인 및 제2다층식모라인은 기준면과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공간확보 기능보다는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 기능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다층식모라인 내지 제6다층식모라인의 경우, 기준면(7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상,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 기능뿐만 아니라 공간확보 기능이 더해져 뇌공학을 위한 소형 전자장치의 설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뇌공학 연구를 위한 소형 전자장치를 상기 기준면과 제3 ~ 제6다층식모라인 사이의 공간에 부착 또는 설치하게 되면, 의료시설 등 제한된 공간 내에서의 일시적인 측정에 의한 연구뿐만 아니라, 헤어웨어의 공간 내부에 설치된 전자장치 등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일상생활 속의 자연스런 활동과정 중에 나타나는 다양한 연구결과를 얻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제7다층식모라인 내지 제10다층식모라인(37, 38, 39, 40)의 일측 끝단이, 전면부를 이루는 클립고정부(12)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 끝단은 전면부를 이루는 스킨컬러부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실시 예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4의 구조를 통해서도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 기능뿐만 아니라 공간확보 기능이 더해지게 되며, 이를 통해 뇌공학을 위한 소형의 전자장치 설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소형의 전자장치를 안정되게 구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공간확보 및/또는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을 위한 재질로는 철 또는 구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양의 변형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변형에 따라 위치 고정 및 형태의 유지가 가능한 형상기억 합성수지 등도 재질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철을 이용하는 경우 비 또는 눈의 수분에 노출되어도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기층식모라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섬유소재의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며, 다층식모라인 또한 섬유소재의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층식모라인을 섬유소재의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다층식모라인의 양 측 끝단을 전면부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볼륨-업 및 공간확보가 가능할 수 있으나, 상기 다층식모라인을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다층식모라인이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다층식모라인의 양 측 끝단이 전면부에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다층식모라인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b)를 참조하면 제3다층식모라인 내지 제6다층식모라인(33, 34, 35, 36)을 형태 유지와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하는 경우, 제3다층식모라인(33)을 화살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위치에서든 고정이 가능할 수 있어, 두상 성형이 보다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면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다층식모라인(31) 및 제2다층식모라인(32) 또한 형태유지 및 위치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두상성형이 보다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격되어 형성된 제3 ~ 제6다층식모라인(33, 34, 35, 36) 또는 제7 ~ 제10다층식모라인(37, 38, 39, 40)과의 공간이 보다 더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소형의 전자장치 설치 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캡형태의 식모부(80)의 상부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층식모라인(30')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와 도 6(a)는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5(b)와 도 6(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6(c)는 도 6(a)의 사시도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는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와 기준면을 이루는 구성에서 차이가 있을 뿐 공간확보 및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의 기능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의 경우 다층식모라인이 제11다층식모라인 내지 제6다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다층식모라인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갯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제13다층식모라인 내지 제16다층식모라인(33', 34', 35', 36')의 일측 끝단이, 캡형태의 식모부(8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 끝단이 상기 식모부의 반대쪽 다른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11다층식모라인 내지 제14다층식모라인의 양 측 끝단이 고정되는 식모부의 위치는 사용자의 양 쪽 귀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부위로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두상의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위치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3다층식모라인 내지 제16다층식모라인의 경우에도, 캡형태의 식모부(8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상,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 기능뿐만 아니라 공간확보 기능이 더해져 뇌공학을 위한 소형 전자장치의 설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제17다층식모라인 내지 제20다층식모라인(37', 38', 39', 40')의 일측 끝단이, 캡형태의 식모부(8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 끝단은 반대쪽이 아닌 다른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실시 예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6의 구조를 통해서도 볼륨-업을 통한 두상성형 기능뿐만 아니라 공간확보 기능이 더해지게 되며, 이를 통해 뇌공학을 위한 소형의 전자장치 설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에서도 다층식모라인이 제13다층식모라인 내지 제16다층식모라인 및 제17다층식모라인 내지 제20다층식모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각각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다층식모라인 또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갯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층식모라인이 실제 구현된 헤어웨어 및 부분식모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헤어웨어가 모형의 두상에 씌워진 모습을 나타내며, 도 7(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층식모라인 중 부분식모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확대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스킨컬러부(11)와 클립고정부(12)로 이루어지는 전면부(10)와 함께 후면밴드(90)가 기준면을 이루게 되며, 상기 기준면의 상부에 부분식모라인(51, 52, 53) 및 상부식모라인(61, 62, 63, 64)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부분식모라인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분 볼륨-업을 위한 것으로서, 기준면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헤어웨어의 일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게 되며, 바람직하기는 헤어웨어의 일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2개 이상 상호 연속하여 형성되며, 부분식모라인 상호간 상황에 따라 상호 겹침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도 7(c)에서는 부분식모라인(51 ~ 56)이 다수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느 하나의 부분식모라인(52)과 이웃하는 다른 부분식모라인(53)이 상호 중첩되어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부분식모라인(51, 52, 53) 상부에 상부식모라인(61, 62, 63, 64)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다층식모라인이 부분식모라인과 상기 부분식모라인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식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상부식모라인은 하부에 위치한 상기 부분식모라인에 의해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식모라인은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층식모라인과 동일하게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은 섬유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식모라인이 섬유재질로 이루어지고, 부분식모라인이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부분식모라인의 형태와 위치 고정을 통해 상부식모라인의 처짐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면 또는 식모부의 상부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을 통해 상기 기준면 또는 식모부와 다층식모라인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게 되며, 상기 다층식모라인을 형태 유지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두상의 실질적인 볼륨-업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과 함께, 부분식모라인을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두부의 일정위치의 부분 볼륨-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분식모라인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층식모라인의 처짐이 상기 부분식모라인을 통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전면부
    11: 스킨컬러부 12: 클립고정부
    13: 연결부
    20: 기층식모라인 30, 30': 다층식모라인
    51 ~ 56 : 부분식모라인 61 ~ 64 : 상부식모라인
    70: 기준면
    80: 캡형태의 식모부
    90: 후면밴드
    100: 헤어웨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