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메탈을 이용한 인공 식물

申请号 KR1020120122593 申请日 2012-10-31 公开(公告)号 KR1020140055554A 公开(公告)日 2014-05-09
申请人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우림; 发明人 노경석; 서우림;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with regard to an artificial plant including at least one among a stem part supporting the plant body, a flower part extended from the stem part, and a leaf part extended from the stem part, to an artificial plant comprising a bimetal in at least one part among the stem part, the flower part, and the leaf part, wherein the bimetal is included in at least one part among the stem part, the flower part and the leaf part, thereby enabling a change in 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of at least one among the stem part, the flower part and the leaf part through the principle of the bimetal.
权利要求
  • 식물체를 지탱하는 줄기부, 상기 줄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꽃부 및 상기 줄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잎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에 있어서,
    상기 줄기부, 상기 잎부 및 상기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부는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잎부는 지지체인 잎맥부 및 상기 잎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잎살을 포함하고,
    상기 잎맥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꽃부는 화엽을 포함하며,
    상기 화엽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
  • 说明书全文

    바이메탈을 이용한 인공 식물{An artificial plant using bimetal}

    본 발명은 바이메탈을 이용한 인공 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형태가 변화될 수 있는 인공 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천 등을 사용하여 식물의 잎이나 열매, 꽃, 작은 가지 등을 인공적으로 가공하여 인공 식물의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인공적으로 제조된 식물의 잎, 열매, 꽃, 작은 가지 등은 그 제조방법 등이 상당히 발전하여 육안으로 구별해 내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만져보거나 냄새를 맡아봐야 구별이 될 정도로 실제 식물과 유사하게 제조되고 있다.

    인공적으로 제조된 식물의 잎, 열매, 꽃, 작은 가지 등은 나무와 흡사한 색깔을 가진 테이프와 가는 철사 등을 사용하여 잎이나 열매를 가진 작은 가지 형태로 제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공적으로 제조된 잎, 열매, 꽃, 작은 가지 등을 사용하여 꽃다발이나 꽃꽂이 형태의 제품은 상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공 식물은 실제 식물과 유사하게 제조되고 있다 하더라도, 자연 식물과는 달리, 그 형태에 있어서 최초 인공적으로 제조된 형태로 고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 즉,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이유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는 인공 식물에 대하여 쉽게 싫증을 느끼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형태가 변화될 수 있는 인공 식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식물체를 지탱하는 줄기부, 상기 줄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꽃부 및 상기 줄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잎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에 있어서, 상기 줄기부, 상기 잎부 및 상기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줄기부는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잎부는 지지체인 잎맥부 및 상기 잎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잎살을 포함하고, 상기 잎맥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꽃부는 화엽을 포함하며, 상기 화엽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을 포함하는 인공 식물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식물의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바이메탈을 포함시킴으로써, 바이메탈의 원리를 통하여, 상기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온도 변화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공 식물이라 하더라도, 온도 변화에 따라, 줄기부, 잎부 또는 꽃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 식물을 감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바이메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줄기부를 도식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잎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식물이란, 생물을 크게 두 갈래로 나눌 때 동물과 구분하는 한 부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체로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신경이 없으며 세포벽이 있고, 또한,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하여 영양을 보충하며 종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식물은 뿌리, 줄기, 잎, 꽃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뿌리는 식물체가 흙에서 버티고 설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 주로,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인공 식물에 관한 것으로, 인공 식물의 제조시, 뿌리까지 제조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므로, 이하, 본 발명에서 식물의 뿌리의 구성은 논외로 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줄기는 잎과 뿌리를 연결시키며 식물체를 지탱하는 부분으로, 주로, 뿌리로부터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을 잎까지 운반하거나, 잎에서 만들어진 영양분을 여러 저장 기관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줄기는 곧은 줄기, 감는 줄기, 기어오르는 줄기, 기는 줄기, 저장 줄기, 가시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줄기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잎은 증산작용, 광합성 작용, 호흡작용 등을 하기 위한 부분으로, 크게 잎맥과 잎살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잎은 완전한 잎과 불완전한 잎으로 구분될 수 있고, 또한, 편평한 잎 뿐만 아니라, 바늘 모양, 가시, 덩굴손 등의 형태로 변한 것으로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잎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꽃은 식물의 가지나 줄기 끝에 예쁜 색깔과 모양으로 피어나는 부분으로 주로, 종자 식물의 유성색식을 위한 기관으로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꽃은 줄기에 해당하는 화축과 잎에 해당하는 화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꽃의 종류로써, 장미, 개나리, 국화, 매화, 벚꽃, 수선화, 데이지 등의 다양한 꽃이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꽃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물의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인공식물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도 1에서는 인공식물로 장미꽃을 도시하였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인공 식물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100)은 식물체를 지탱하는 줄기부(120), 상기 줄기부(120)로부터 연장되는 꽃부(110) 및 상기 줄기부(120)로부터 연장되는 잎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은 상기 줄기부(120), 상기 꽃부(110) 및 상기 잎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줄기부(120)의 줄기는 곧은 줄기, 감는 줄기, 기어오르는 줄기, 기는 줄기, 저장 줄기, 가시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줄기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잎부의 잎은 편평한 잎 뿐만 아니라, 바늘 모양, 가시, 덩굴손 등의 형태로 변한 것을 포함하며, 또한, 도면에서는 장미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개나리, 국화, 매화, 벚꽃, 수선화, 데이지 등의 다양한 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잎 및 꽃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100)의 상기 꽃부(110)는 잎에 해당하는 화엽을 포함하며, 상기 잎부(130)는 지지체인 잎맥부(132) 및 상기 잎맥(1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잎살(131)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100)은 상기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바이메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바이메탈이라 함은 열팽창계수가 매우 다른 두 종류의 금속판을 포개어 붙여 한 장으로 만든 것으로, 열을 가했을 때 휘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기를 온도에 따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일컫는다.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수축하는 정도인 열팽창계수가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을 포개어 접함으로써, 온도가 높아지면 열팽창계수가 큰 쪽이 더 많이 팽창하면서 반대쪽으로 휘고, 다시 온도가 내려가면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1)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10)과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20)을 포개어 접함으로써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계수가 큰 금속이 더 많이 신장하게 되고, 상기 제1금속 및 제2금속은 서로 접해 있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작은 금속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열팽창계수가 큰 금속으로는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열팽창계수가 작은 금속으로는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니켈-망간-구리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금속(20)의 열팽창계수가 제1금속(10)의 열팽창계수보다 크다고 가정시, 바이메탈(1)에 가해지는 온도를 상승시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큰 제2금속(20)이 더 많이 신장하게 되고, 이들 제1금속과 제2금속은 접해 있으므로, 결국, 열팽창계수가 작은 제1금속(10)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는 달리, 제2금속(20)의 열팽창계수가 제1금속의 열팽창계수(10)보다 크다고 가정시, 바이메탈(1)에 가해지는 온도를 하강시키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큰 제2금속(20)이 더 많이 수축하게 되고, 이들 제1금속과 제2금속은 접해 있으므로, 결국, 열팽창계수가 큰 제2금속(20)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 경우, 즉, 제2금속(20)의 열팽창계수가 제1금속(10)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2금속(20)은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금속(10)은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또는 니켈-망간-구리 합금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100)은 상기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바이메탈의 원리를 통하여, 상기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온도 변화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인공 식물은 실제 식물과 유사하게 제조되고 있다 하더라도, 자연 식물과는 달리, 그 형태에 있어서 최초 인공적으로 제조된 형태로 고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인공 식물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이유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는 인공 식물에 대하여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줄기부, 잎부 또는 꽃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 식물을 감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줄기부, 잎부 및 꽃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줄기부를 도식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줄기부(120)는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120a)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120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금속(120b)은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금속(120a)은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또는 니켈-망간-구리 합금일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상기 제1금속(120a)은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금속(120b)은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또는 니켈-망간-구리 합금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줄기부(120)는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120a)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120b)을 포함하는 바이메탈로 구성되어 있어, 온도 변화에 따라, 줄기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금속(120b)의 열팽창계수가 제1금속(120a)의 열팽창계수보다 크다고 가정시, 줄기부(120)에 가해지는 온도를 상승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큰 제2금속(120b)이 더 많이 신장하게 되고, 이들 제1금속과 제2금속은 접해 있으므로, 결국, 열팽창계수가 작은 제1금속(120a)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는 달리, 줄기부(120)에 가해지는 온도를 하강시키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큰 제2금속(120b)이 더 많이 수축하게 되고, 이들 제1금속과 제2금속은 접해 있으므로, 결국, 열팽창계수가 큰 제2금속(120b)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결국, 이러한, 온도 변화에 따른 줄기부의 휘어짐에 의해, 줄기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금속 및 제2금속을 포함하는 줄기부의 외관을 위하여, 상기 줄기부(120)을 다양한 종류의 색을 지닌 천으로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잎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잎부(130)는 지지체인 잎맥부(132) 및 상기 잎맥(1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잎살(131)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잎맥(132)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132a)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132b)을 포함한다.

    상기 제2금속(132b)은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금속(132a)은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또는 니켈-망간-구리 합금일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상기 제1금속(132a)은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금속(132b)은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또는 니켈-망간-구리 합금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잎부(130)의 잎맥(132)는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320a)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132b)을 포함하는 바이메탈로 구성되어 있어, 온도 변화에 따라, 잎맥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줄기부와 동일한 원리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잎살(131)은 다양한 천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잎살(131a) 및 하부 잎살(131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잎살(131a)과 상기 하부 잎살(131b)의 사이에 상기 잎맥(13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잎맥의 형태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잎살의 형태로 함께 변화하여, 전체적으로 잎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꽃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꽃부(110)는 잎에 해당하는 화엽(111)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화엽(111)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111a)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11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금속(111b)은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금속(111a)은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또는 니켈-망간-구리 합금일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상기 제1금속(111a)은 철 또는 니켈-철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금속(111b)은 구리, 구리-아연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니켈-망간-철 합금, 니켈-몰리브덴-철 합금 또는 니켈-망간-구리 합금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의 잎부(110)의 화엽(111)은 제1열팽창계수를 갖는 제1금속(111a) 및 상기 제1금속과 접하고, 제2열팽창계수를 갖는 제2금속(110b)을 포함하는 바이메탈로 구성되어 있어, 온도 변화에 따라, 화엽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줄기부와 동일한 원리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이러한 온도 변화에 따른 화엽이 휘어짐에 의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봉오리 형태의 꽃부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짝 핀 형태로 꽃부로 형태가 변화될 수 있으며, 물론, 온도 변화에 따라, 도 5b에서 도 5a로 형태가 변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금속 및 제2금속을 포함하는 화엽의 외관을 위하여, 상기 화엽(111)을 다양한 종류의 색을 지닌 천으로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식물의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바이메탈을 포함시킴으로써, 바이메탈의 원리를 통하여, 상기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온도 변화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할 수 있다.

    이로써, 인공 식물이라 하더라도, 온도 변화에 따라, 줄기부, 잎부 또는 꽃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 식물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이메탈의 온도 변화는 자연 상태의 온도 변화를 의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체 및 전원을 통한 인공적인 온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줄기부, 잎부 및 꽃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발열체를 연결하고,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발열체에서 열을 발생하고, 발생된 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줄기부, 잎부 또는 꽃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인공식물 110 : 꽃부
    120 : 줄기부 130 : 잎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