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나무

申请号 KR1020110007580 申请日 2011-01-26 公开(公告)号 KR1020120086392A 公开(公告)日 2012-08-03
申请人 주식회사 필룩스; 发明人 노시청;
摘要 PURPOSE: An artificial tree is provided to selectively provide fluid pressure to the inside of leaves or petals, thereby variously changing the shape of the artificial trees. CONSTITUTION: An artificial tree(10) comprises an artificial trunk part(110) and an expandable part(120). A fluid pipe(111) is formed inside the artificial trunk part. The expandable part is combined with the artificial trunk part and has a hollow part(121) which is connected to the fluid pipe. The artificial tree additionally includes an artificial branch part between the artificial truck part and the expandable part. A supplemental fluid pipe is formed on the artificial branch part. The expandable part is formed with a flexible material. The expandable part is a leaf and/or a petal shape. The artificial tree additionally includes a control part(140).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side a stream tube.
权利要求
  • 내부에 유체관이 형성된 인조기둥부; 및
    상기 인조기둥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관과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팽창부;를 포함하는 인조나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기둥부와 상기 팽창부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유체관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보조 유체관이 형성된 인조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인조나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인조나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나무잎 및 꽃잎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인조나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기둥부 일측에 상기 유체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조나무.
  • 제1 및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인조기둥부 및 상기 인조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조나무.
  • 제1 및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기둥부, 상기 인조가지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인조나무.
  • 说明书全文

    인조나무{artificial wood}

    본 발명은 인조나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조나무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인조나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인조나무나 조화는 살아있는 나무를 대신하여 장식용 내지 관상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장식용 인조나무나 조화는 천이나 합성수지,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소재에 색상을 칠하거나 염색을 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장식용 인조나무나 조화의 경우 획일적으로 형상이 제작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루하게 느껴지거나 한시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의 공급을 통해 인조나무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인조나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조나무는 내부에 유체관이 형성된 인조기둥부; 및 상기 인조기둥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관과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팽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조기둥부와 상기 팽창부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유체관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보조 유체관이 형성된 인조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는 연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팽창부는 나무잎 및 꽃잎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조기둥부 일측에 상기 유체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는 상기 인조기둥부 및 상기 인조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조기둥부, 상기 인조가지부, 및 상기 팽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조나무의 나뭇잎 또는 꽃잎을 연성재질로 형성하고 나뭇잎 내부로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다양한 형상의 나뭇잎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인조나무를 통해 다양한 장식효과를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인조나무(10)는 내부에 유체관(111)이 형성된 인조기둥부(110), 및 인조기둥부(110)에 결합되고 유체관(111)과 연통된 중공부(121)가 형성된 팽창부(120)를 포함한다.

    인조기둥부(110)는 인조나무(10)의 기둥으로, 팽창부(120)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관(111)을 포함한다. 유체관(111)은 인조나무(10)의 미관을 위해 인조기둥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팽창부(120)와 접촉되는 영역에 유체관(111)이 배치된다.

    또한, 인조기둥부(110) 내부에는 유체관(111)에 흐르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설치된다. 제어부(140)는 입력장치(150)에 의해 입력된 값에 따라 유체의 유량을 단속한다. 구체적으로, 입력장치(150)에 소정 값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유체공급부(160)를 작동시킨다. 유체공급부(160)를 통해 유체관(111)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제어부(140)는 밸브(130)의 개폐여부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유체관(111)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입력장치(150)는 인조나무(10) 외부에 배치되어 직접 제어되거나, 인조나무(10) 내부에 배치되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팽창부(120)는 인조나무(10)의 나뭇잎으로, 인조기둥부(110)에 결합된다. 이때, 팽창부(120)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21)는 인조기둥부(110)의 유체관(111)과 연통되게 배치된다. 또한, 팽창부(120) 내부에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121)가 형성된다. 중공부(121)에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부(120)는 유체의 유압에 따라 팽창된다.

    또한, 팽창부(120)는 유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신축성 및 탄력성이 있는 연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팽창부(120)는 우레탄계열의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성재질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팽창부(120)는 연성재질로 형성되어 바람이 불면 흔들릴 수 있다.

    또한, 팽창부(120)는 인조기둥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부(120)는 인조기둥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인조기둥부(110) 상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팽창부(12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교체될 수 있도록 인조기둥부(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팽창부(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부(120)는 나뭇잎 및 꽃잎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유체의 유량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팽창부(120)가 나뭇잎 형상으로 제작될 때, 팽창부(120) 내부의 유량이 낮을 경우 나뭇잎은 침엽수와 같은 형상을 나타내고, 유량이 높을 경우 팽창부(120) 크기가 증가되어 잎이 넓은 활엽수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팽창부(120)가 꽃잎 형상으로 제작될 때, 팽창부(120) 내부의 유량을 낮게 할 경우 꽃잎은 봉오리 형상으로 나타내고, 유량이 높을 경우 만개한 꽃잎 형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팽창부(120)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그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되어 다양한 형상의 인조나무(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120)는 인조기둥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의 팽창부(120)를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인조나무(1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입력장치(150)를 통해 소정값을 입력한다. 입력장치(150)에 소정값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유체공급부(160)를 작동시켜 유체관(111)으로 유체를 공급시키고 밸브(130)를 통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를 뜻한다.

    이후, 유체관(111)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팽창부(120)의 중공부(121)로 공급되면, 팽창부(120)는 외부로 팽창(d)된다. 이때, 팽창부(120)의 팽창 정도는 중공부(121)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제어된다.

    이와 같이, 팽창부(120)는 중공부(121)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에 따라 그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되어 다양한 형상의 인조 나뭇잎 및 꽃잎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인조나무(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양한 형태의 인조나무(20)를 구현하기 위해 인조기둥부(210)와 팽창부(220) 사이에 인조가지부(230)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인조가지부(230)는 인조나무(20)의 가지부로, 인조기둥부(210)와 팽창부(220)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인조가지부(230)는 인조기둥부(210)에 결합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인조가지부(230)에 팽창부(220)가 결합된다. 또한, 인조가지부(230)는 인조기둥부(210)의 유체관(211)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팽창부(220)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 유체관(2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 유체관(231)의 일단은 인조기둥부(210)의 유체관(211)과 연통되고 타단은 팽창부(220)의 중공부(211)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인조가지부(230)는 인조기둥부(210)와 팽창부(230)를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인조나무(2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조나무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따른 인조나무(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되 다양한 색상의 인조나무(30)를 제공하기 위해 인조기둥부(310) 내부에 조명부(34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조명부(340)는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고정부(341)와 광원부(342)를 포함한다.

    고정부(341)는 광원부(342)를 유체관(31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광원부(342)가 인조나무(30)의 상측 및 측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유체관(3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광원부(342)는 광을 발광하는 것으로, 인조기둥부(310), 인조가지부(미도시), 및 팽창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광원부(342)는 유체관(311) 외측에 설치되어 인조나무(30) 상측 및 측면으로 광을 발광한다. 광원부(342)는 광을 발광하는 발광체로 엘이디(LED), 형광램프, 백열램프, 할로겐램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조기둥부(310) 일측에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어 조명부(3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조기둥부(310) 내부에는 조명부(340)가 설치되어, 다양한 색상의 인조나무(30)를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에도 인조나무(30)를 통해 다양한 색상이 구현되는 경관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인조기둥부 111 : 유체관
    120 : 팽창부 121 : 중공부
    130 : 밸브 140 : 제어부
    150 : 입력장치 160 : 유체공급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