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포장삼.

申请号 KR2020050023671 申请日 2005-08-17 公开(公告)号 KR200400805Y1 公开(公告)日 2005-11-09
申请人 조남진; 发明人 조남진;
摘要 본 고안은 승복의 종류중 하나인 장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장삼의 옆단 전방에 상기 옆단 폭을 넓혀주는 폭조절단을 구비하여 장삼을 착용한 승려들이 자리에 앉는과정에서 옆단이 당겨지더라도 거추장스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한 도포장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도포장삼에 있어서, 상기 도포장삼의 양쪽 옆단 전방에는 포개어진 상태에서 펼쳐지며 도포장삼의 옆단 폭을 넓혀주는 폭조절단이 재봉 처리되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삼을 제시한다.
权利要求
  • 도포장삼(10)에 있어서,
    상기 도포장삼(10)의 양쪽 옆단(20) 전방에는 포개어진 상태에서 펼쳐지며 도포장삼(10)의 옆단(20) 폭을 넓혀주는 폭조절단(30)이 재봉 처리되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단(30)은 상단부(30a)에서 하단부(30b)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삼.
  • 说明书全文

    도포장삼{a long-sleeved Buddhist robe}

    본 고안은 승복(僧服)의 종류중 하나인 장삼(長衫)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장삼의 옆단 전방에 상기 옆단 폭을 넓혀주는 폭조절단을 구비하여 장삼을 착용한 승려들이 자리에 앉는과정에서 옆단이 당겨지더라도 거추장스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한 도포장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복이란 승려들이 입는 옷을 통칭한 것으로서, 이러한 승복의 의 종류로는 가사, 장삼, 평상복, 행전[각반], 모자 또는 관, 신과 버선, 주장자와 불자, 두루마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승복의 종류중 하나인 장삼(이하에서는 "도포장삼"이라 칭함)은 승려들이 입는 겉옷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길이가 길고 품과 소매가 넓게 제작되며, 특히 전체적인 외관은 불교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온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승려들은 상기와 같이 제작된 도포장삼을 착용한 상태에서 자리에 좌정(坐定)하여 불경을 외거나 수행을 행하게 되는 데, 이때 도포장삼의 옆단이 승려들의 몸에 감기며 당겨지게 됨으로서 승려들의 행동에 제약을 가해 거추장스러움등 착용에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포장삼의 옆단에 폭조절단을 부착하여 승려들이 자리에 앉을 때, 상기 폭조절단이 펼쳐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승려들의 행동에 거추장스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한 도포장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폭조절단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게 제작되도록 하여 도포장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도포장삼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포장삼에 있어서, 상기 도포장삼의 양쪽 옆단 전방에는 포개어진 상태에서 펼쳐지며 도포장삼의 옆단 폭을 넓혀주는 폭조절단이 재봉 처리되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삼을 제시한다.

    상기 폭조절단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한 개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에서는 승복의 종류중 하나인 도포장삼을 승려들이 착용한 상태에서 불경을 외우거나 기타 수행등을 위해 자리에 앉을 때, 도포장삼의 한정된 옆단 폭으로 인해 옆단이 당겨짐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착용의 거추장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포장삼의 양쪽 옆단에 폭조절단을 부착하여 승려들이 자리에 앉을 경우, 상기 폭조절단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펼쳐지며 도포장삼의 옆단 폭을 넓혀주도록 함으로서 착용의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도포장삼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폭조절단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로 폭이 넓혀지도록 구성함으로서 도포장삼의 전체 외관을 해치지 않은 상태에서 장삼의 옆단 폭을 효과적으로 넓혀줄 수 있도록 구성한 도포장삼을 제시한다.

    상술한 기술적 구성 및 특징들을 가지는 도포장삼은 후술하는 실시 예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하지만 아래에 기술될 실시 예 1은 본 고안의 특징 및 기술적 사상을 이루기 위한 최상의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다 할 것이므로, 상기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 1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포장삼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장삼(10)은 일반적인 코트와 같이, 착용시 승려의 몸 전체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하되, 착용의 편리함을 위해 소매의 품과 둘레의 품이 어느 정도 여유를 가지도록 크게 제작한다.

    한편, 상기 도포장삼(10)의 양쪽에는 옆단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옆단(20), 바람직하게는 상기 옆단(20)의 전방에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폭조절단(30)이 재봉 처리되어 부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조절단(30)은 천의 중앙을 접어 두겹으로 나눈 상태에서 접힘부(32)를 중심으로 포개어진 구성으로서, 옆단(20)의 양쪽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즉, 상기 폭조절단(30)은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포개어진 상태로 옆단(20)을 포위하며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도포장삼(10)을 착용한 승려들이 자리에 앉을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조절단(30)이 각각 펼쳐지며 옆단(20)의 폭을 넓혀주게 됨으로서 도포장삼(10)의 옆단(20)이 당겨지더라도 펼쳐진 폭조절단(30)이 옆단(20)의 당김을 보상하여 착용과정에서 발생하는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폭조절단(30)은 상단부(30a)에서 하단부(30b)로 갈수록 폭이 넓혀지도록 경사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포장삼(10)의 전체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장삼(10)의 옆단(20) 폭을 효과적으로 넓혀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승려들이 자리에 앉을 때 가장 많이 당겨지는 부위가 옆단(20)의 하단부이며, 따라서 폭조절단(30)의 하단부(30b)를 상단부(30a)보다 넓게 제작함으로서 옆단(20)의 당김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폭조절단(30)이 포개어진 상태에서는 옆단(20)을 감싸며 포개어지되, 상기 옆단(20)이 가지는 형태인 삼각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포개어 짐으로서 폭조절단(30)을 설치하더라도 도포장삼(10)의 외관, 특히 옆부분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도포장삼(10)의 형태를 해치지 않은 상태에서 폭조절이라는 기능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폭조절단(30)을 도포장삼(10)의 옆단(2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기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폭조절단(30)을 도포장삼(10)의 뒤쪽단에도 부착시켜 제작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포장삼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먼저, 도포장삼의 옆단에 설치된 폭조절단을 통해 승려들이 자리에 앉을 경우, 상기 폭조절단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펼쳐지며 도포장삼의 옆단 폭을 넓혀주도록 하여 착용의 거추장스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폭조절단을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게 제작되도록 하여 도포장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옆단 폭을 효과적으로 넓혀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포장삼의 전체구조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포장삼의 착용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폭조절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포장삼 20: 옆단

    30: 폭조절단 32: 접힘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