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바지

申请号 KR1020120021886 申请日 2012-03-02 公开(公告)号 KR1020130100562A 公开(公告)日 2013-09-11
申请人 김남훈; 发明人 김남훈;
摘要 PURPOSE: Functional trousers are provided to rest a waist comfortably by relaxing a lumbar vertebra with inserting an inner cloth between the back of the knee and both knees when taking a rest or sleeping with wearing the trousers and lying down. CONSTITUTION: Functional trousers comprise a le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leg of the wearer; and waist part which is formed by being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leg part. Functional trousers comprise first outer cloths (20, 20') in which back knee inner cloths (22, 22') capable of bending the knee with the constant angle by supporting the back knee from the bottom surface, and which are installed in the rear side of the leg part are inserted. An opening part is equipped in one side of the first outer cloth and the back knee inner cloth is inserted and separated. The opening part is equipped in one side of the second outer cloth and the knee interval inner cloth is inserted and separated.
权利要求
  •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허리부로 구비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배면과 결합되고, 바닥으로부터 뒷 무릎을 받쳐 주어 무릎을 일정각도로 굽혀지게 하는 뒷무릎속감(22, 22')이 삽입되는 제1겉감(20, 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허리부로 구비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내측과 결합되고, 양 무릎 사이에서 무릎의 내측을 상호 받쳐주는 무릎사이속감(32, 32')이 삽입되는 제2겉감(30,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겉감(20, 20')의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이 삽입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겉감(30, 30')의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이 삽입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지.
  • 说明书全文

    기능성 바지{A functional trousers}

    본 발명은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식 또는 취침시 허리를 편안하게 하기 위한 속감이 삽입되고 활동시에는 불편하지 않게 속감이 분리되는 기능성 바지에 관한 것이다.

    IT산업의 발전으로 현대인들은 각종 컴퓨터를 이용하여 업무처리, 정보검색, 쇼핑 및 영화관람 등 직접 움직일 필요없이 앉아서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은 기립하여 움직이며 보내는 시간 보다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기립시 허리가 받는 하중보다 앉아 있을 때 허리가 받는 하중이 훨씬 크므로 특히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은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요추를 이완시켜 허리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 등을 바닥에 대고 바르게 누워 뒷 무릎을 굽혀 바닥과 뒷 무릎 사이의 공간에 쿠션을 놓고 자세를 유지하거나 옆으로 양다리를 나란히 하고 누운 후 양 무릎 사이 공간에 쿠션을 넣어 허리가 비틀리지 않게 하면서 휴식 및 취침을 취하는 것이 우리의 일반적인 상식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이, 허리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 자세를 취한 후 자세를 바꿀 때에는 받쳐놓은 베개나 쿠션 등을 다시 위치를 조정해야 하고 숙면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특허등록번호 제10-0807528 호의 '허리를 찜질하고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뒷무릎 베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삼각구조로 허리를 받쳐주는 좌우측 뒷 무릎 베개와 무릎 사이 쿠션으로 구성되어 벨크로가 부착된 밴드를 이용하여 허벅지에 고정시켜 사용자가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바지와 베개가 분리되어 착용되며, 착용 후 등을 바닥에 대고 바르게 누울 경우 무릎을 굽히는 자세를 유지해야하므로 다양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고, 일어서거나 앉아서 활동하는 데 있어 베개를 분리해야 한다.

    특히 수면 중에 무의식 중에 양다리가 자유롭지 못해 잠에서 깨어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식 및 취침시 허리 건강을 위한 속감이 바지에 탈부착 되고,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바지는,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허리부로 구비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배면과 결합되고, 바닥으로부터 뒷 무릎을 받쳐 주어 무릎을 일정각도로 굽혀지게 하는 뒷무릎속감이 삽입되는 제1겉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허리부로 구비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내측과 결합되고, 양 무릎 사이에서 무릎의 내측을 상호 받쳐주는 무릎사이속감이 삽입되는 제2겉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겉감의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뒷무릎속감이 삽입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겉감의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무릎사이속감이 삽입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바지를 착용하고 누워서 취침 및 휴식을 취할 시 뒷 무릎과 양 무릎 사이에 속감을 삽입하여 요추를 이완시켜 허리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취침시 무의식 중에 움직임이 있어도 양다리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잠에서 깨지 않고 숙면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지에 속감이 삽입된 상태에서 활동이 가능하고 속감으로 인해 활동에 장애가 있을 시 속감을 바지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배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a)와 같이 본 발명은 다리부(10)와 허리부(12)로 이루어지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의 배면과 결합되고, 바닥으로부터 뒷 무릎을 받쳐 주어 무릎을 일정각도로 굽혀지게 하는 뒷무릎속감(22, 22')이 삽입되는 제1겉감(20, 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지는 일반적으로 착용되는 바지 형태로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부(10)와 상기 다리부(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허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허리부(12)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바지는 면바지, 등산용 바지, 운동용 바지, 잠옷의 하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겉감(20, 20')은 상기 다리부(10)의 배면과 결합하여 뒷무릎속감(22, 22')을 수용하고, 일측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이 삽입분리 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겉감(20, 20')은 상기 다리부(10)의 재질과 동등한 것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상 면, 나일론, 스판, 망사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겉감(20, 20')의 일측에는 개구부(미도시)가 구비되고, 타측의 나머지 부분을 박음질, 지퍼, 벨크로 및 단추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다리부(10)의 배면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미도시)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상 조정 가능하며 착용시에도 손을 뻗어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을 삽입분리할 수 있도록 허리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구부(미도시)의 일측에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의 삽입분리시 상기 개구부(미도시)가 개폐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미도시)으로는 지퍼, 벨크로, 단추 등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겉감(20, 20')에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을 삽입분리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휴식 및 취침시에는 허리건강을 위해 상기 제1겉감(20, 20')에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을 삽입하여 상기 바지와 일체화되어 양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숙면을 유지할 수 있고, 활동시에는 불편함이 없게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을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을 자세히 설명하면, 바닥에 등을 대고 바로 누운 후 허리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 다리를 일정각도로 굽힐 시 바닥으로부터 뒷 무릎을 받쳐주어 허리를 편안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의 재질은 솜, 조류의 털, 공기주입식 튜브, 라텍스 및 메모리 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라텍스와 메모리 폼을 재질로 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은 일정높이를 가지고 상면은 인체의 뒷무릎의 형상에 대응되고 하면은 편편하게 형성되어 바닥과 대응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겉감(20, 20')은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의 재질을 솜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성 바지를 착용하고 바닥에 등을 대고 바르게 눕게 되면 인체의 무릎 하중에 의해 상기 뒷무릎속감(22, 22')의 하면은 바닥에 대응하여 편편하게 되고 상면은 뒷 무릎 형상에 대응되어 바닥으로부터 뒷 무릎을 받쳐주게 되어 자연스럽게 무릎이 굽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뒷무릎속감(22,22')이 바닥으로부터 뒷 무릎을 견고하게 받쳐주어 요추를 이완시켜 허리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바지의 배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a)와 같이 본 발명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기술한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부(10)와 상기 다리부(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허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허리부(12)로 구비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의 내면과 결합되고, 양 무릎 사이에서 무릎의 내측을 상호 받쳐 주는 무릎사이속감(32, 32')이 삽입되는 제2겉감(30, 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겉감(30, 30')은 상기 다리부(10)의 내면과 결합하여 무릎사이속감(32, 32')을 수용하고, 일측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이 삽입분리되며,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이 삽입분리시 상기 개구부(미도시)가 개폐되게 한다.

    상기 제2겉감(30, 30'), 개구부(미도시) 및 개폐수단(미도시)의 자세한 설명은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기술한 제1겉감(20, 20'), 개구부(미도시) 및 개폐수단(미도시)의 내용과 중복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을 자세히 설명하면, 양다리를 나란히 하고 옆으로 누운 후 허리가 비틀리지 않게 양 무릎의 내측을 맞대었을 때 양 무릎 사이에서 무릎의 내측을 상호 받쳐주어 허리 비틀림을 방지하고 인체의 허벅지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허리를 편안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의 재질은 솜, 조류의 털, 공기주입식 튜브, 라텍스 및 메모리 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라텍스와 메모리 폼을 재질로 하여 사용될 경우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은 일정높이를 가지고 내면은 인체의 무릎 내측의 형상에 대응되고 외면은 편편하게 형성되어 일측의 무릎사이속감(32)의 외면과 타측의 무릎사이속감(32')의 외면과 상호 대응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겉감(30, 30')은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의 재질을 솜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바지를 착용하고 양 무릎을 나란히 하여 옆으로 눕게 되면 상측의 다리 하중에 의해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이 상호 압착되어,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의 내면은 무릎 내측의 형상과 대응하게 되고 일측의 무릎사이속감(32)과 타측의 무릎사이속감(32')의 외면이 상호 접촉하여 '一'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은 양 무릎 사이에서 무릎의 내측을 상호 받쳐주게 되고 무릎을 일정각도로 굽히더라도 양 무릎이 서로 엇갈리지 않도록 상호 견고하게 받쳐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이에 응용하여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바지를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뒷무릎속감(22, 22')과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없으며, 만약 활동에 장애가 있을 시에는 상기 뒷무릎속감(22, 22')과 상기 무릎사이속감(32, 32')을 분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바지를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바지를 착용할 경우 휴식 및 취침시에는 허리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취침시 무의식 중에 몸이 움직이더라도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잠에서 깨지않고 숙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휴식 및 취침시 요추를 이완시켜 허리를 편안하게 유지하기 위한 속감이 탈착 가능하고,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기능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바지부 12: 허리부
    20, 20': 제1겉감 22, 22': 뒷무릎속감
    30, 30': 제2겉감 32, 32': 무릎사이속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