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人类生活必需 / 服装 / 外衣;防护服;衣饰配件 / 专门适用于特定目的的服装的用途 /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申请号 KR1020110052508 申请日 2011-05-31 公开(公告)号 KR1020120133715A 公开(公告)日 2012-12-11
申请人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정우; 发明人 천종숙; 지정우;
摘要 PURPOSE: A functional wear to balance and strengthen shoulders and arms is provided to correct bad postures through an antagonism by fabric muscle. CONSTITUTION: A functional wear to balance and strengthen shoulders and arms comprises a fabric shoulder joint(10), a fabric collarbone and shoulder blade support(41), a fabric humerus part(42), and a fabric elbow joint part(20). The fabric shoulder joint part has a band shape surrounding a shoulder joint located in a fabric shoulder joint. The fabric collarbone and shoulder blade support stand have a ladder form. The fabric collarbone and shoulder blade support stand are mounted to the neckline of a pattern from the top of the fabric shoulder joint. The fabric humerus part has a strip shape. The fabric dealer valley part is mounted under the fabric humerus part. [Reference numerals] (1) Pattern; (10) Fabric shoulder joint; (20) Fabric elbow joint part(main joint); (30) Fabric wrist joint part; (41) Fabric collarbone and shoulder blade support stand; (42) Fabric humerus part; (51) Fabric radius and ulna part; (61) Fabric carpal part; (62) Fabric metacarpal; (63) Fabric maniphalanx part; (AA) Collarbone; (BB) Shoulder blade; (CC) Shoulder joint; (DD) Humerus; (EE) Elbow joint(main joint); (FF) Radius; (GG) Ulna; (HH) Wrist joint; (II) Carpal; (JJ) Metacarpal; (KK) Maniphalanx
权利要求
  • 상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상지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사다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견관절부의 상부에서 옷본의 목둘선까지 장착되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견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팔굽관절 대응 부위까지 위치되는 직물상완골부;
    직물상완골부의 밑에 장착되되, 팔굽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팔굽관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팔굽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손목 관절 대응 부위까지 장착되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오훼완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삼각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견관절부,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직물팔굽관절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3항에 있어서,
    오훼완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50 ~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3항에 있어서,
    삼각근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20 ~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띠형태를 이루며, 상기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상완골부의 상단 2/5지점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오훼완근부;
    2개의 기시부와 1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되, 하나의 기시부는 직물견관절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다른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장착되고, 종지부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직물상완이두근부;
    제1기시부, 제2기시부, 제3기시부로 이루어진 3개의 기시부와 1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부착하며, 상기 제2기시부는 옷본 후면의 직물상완골부 중앙에 부착하며, 상기 제3기시부는 직물견관절부의 상단에 부착되고, 종지부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상완삼두근부;
    사다리꼴형을 이루며, 기시부는 다르고, 종지부는 같은, 직물전삼각근, 직물 중삼각근, 작물후삼각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직물전삼각근의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전면(前面)의 하단에 부착하고, 직물 중삼각근의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측면 하단에 부착하며, 작물후삼각근의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후면하단에 부착하고, 종지부는 옷본 후면의 직물상완골부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삼각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상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상지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띠 형태를 이루며, 인체 견관절 대응부에서 인체 팔굽관절 대응 부위까지 수직으로 위치되는 직물상완골부;
    직물상완골부의 밑에 장착되되, 팔굽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팔굽관절부;
    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팔굽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손목 관절 대응 부위까지 장착되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7항에 있어서,
    회외근, 원회내근, 상완근, 완요골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견관절부, 직물상완골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2항에 있어서,
    오훼완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삼각근, 회외근, 원회내근, 상완근, 완요골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견관절부,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직물팔굽관절부, 상기 직물상완골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외근, 원회내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50 ~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완근, 완요골근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20 ~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7항에 있어서,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후면 직물상완골부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측면을 돌아 다른 일측은 전면(前面)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 내측 상단 면에 부착되는 직물회외근부;
    꼭지점들이 연접된 2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의 직물상완골부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외측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원회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의 1/2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 내측 상단 면에 부착하는 직물상완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 상단 2/3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외측 하단에 부착되는 직물완요골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7항에 있어서,
    손목관절 대응부에 위치되되, 손목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손목관절부;
    인체의 수근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손목관절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수근골부;
    인체의 중수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수근골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중수골부;
    인체의 지절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중수골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상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상지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팔굽관절 대응부에 위치되되, 팔굽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팔굽관절부;
    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직물팔굽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손목 관절 대응 부위까지 장차되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손목관절 대응부에 위치되되, 손목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손목관절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4항에 있어서,
    인체의 수근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손목관절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수근골부;
    인체의 중수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수근골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중수골부;
    인체의 지절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중수골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지절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5항에 있어서,
    장무지굴근,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장단무지신근, 척측수근신근, 수장근, 심천지굴근, 장단요측수근신근, 지신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팔굽관절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직물손목관절부, 직물수근골부, 직물중수골부, 직물지절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3항에 있어서,
    오훼완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삼각근, 회외근, 원회내근, 상완근, 완요골근, 장무지굴근,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장단무지신근, 척측수근신근, 수장근, 심천지굴근, 장단요측수근신근, 지신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견관절부,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직물팔굽관절부, 상기 직물상완골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직물손목관절부, 직물수근골부, 직물중수골부, 직물지절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무지굴근,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장단무지신근, 척측수근신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50 ~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장근, 심천지굴근, 장단요측수근신근, 지신근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20 ~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외측상단 1/4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엄지손가락 대응 부위의 직물지절골부 중앙부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의 내측하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두 번째 장골과 세 번째 장골의 손바닥 부위인 직물중수골부 중앙부에 부착되는 직물요측수근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직물상완골부 내측 하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수근골부 내측 면에 부착되는 직물척측수근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직물상완골부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 수근골부 및 인체 중수골부의 손바닥 근막 대응 부위인 직물수근골부 및 직물중수골부가 이루는 면의 중간부에 부착되는 직물수장근부;
    인체의 심지굴근 및 인체의 천지굴근이 합쳐진 형태를 이루며, 기시부는 직물상완골부 하단내측면과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상단내측면에 장착되며, 종지부는 엄지 대응부를 제외한 직물지절골부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심천지굴근부;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이 합쳐진 형태를 이루며, 기시부는 후면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1/2 내측에 장착되며, 종지부는 후면의 직물지절골부 외측에 장착되는 직물장단무지신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직물상완골부 외측 하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수근골부 내측 면에 부착되는 직물척측수근신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후면 직물상완골부의 3/4외측면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의 직물수근골부 외측에 부착되는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이 합쳐진 형태를 이루며, 1개의 기시부와 4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며, 기시부는 후면의 직물상완골부 하단에 부착되며, 종지부는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의 대응부위에서, 후면의 직물지절골부에 부착되는 직물지신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기능성 의류.
  • 说明书全文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Functional wear to balance and strenghten for shoulder and arm}

    본 발명은 어깨 및 상지의 골격 기능과 관련된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어깨 및 상지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어깨 및 상지의 균형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하 “기능성 의류”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어깨 및 상지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근육인 길항근을 설계함으로써 어깨 및 상지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균형된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고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 크기만큼 골격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자세 이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및 장애는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바르지 않은 자세(나쁜자세)가 체형으로 고착화됨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은 산업재해 질환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쁜자세에서 바른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쁜자세에 따른 통증이나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나쁜자세의 고착화를 방지하는 일상적인 방법으로는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 운동을 하거나 바른자세를 만들어주는 재활의료 보장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보장기로써, 자세(재활)의학 이나 정형외과 환자들이 착용하는 것이 주로 사용된다.

    척추 측만증이나 자세의 교정 목적으로 개발된 자세 교정벨트 등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어, 일반인들도 이를 사용하나, 지나친 압박감과 고정된 틀을 제시하는 것이 제한점이다.

    일반인들이 주로 착용하는 체형 보정용 피복류는 대부분 허리나 골반의 위치를 보정하거나 보호하는 거들이나 자세 교정 벨트 등이다. 이러한 제품들의 기술적인 한계는 나쁜 자세가 발생하는 원인과 관련된 인체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각각 반영하지 않고,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인체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띠나 조작적인 모양의 탄성재질을 옷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하체 형태나 자세를 보정하는 거들과 하반신 운동을 써포트하는 기능으로 골반의 연동운동과 무릎의 회전 운동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들로도 인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 및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가 없어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는 데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의류의 “장력효과”에 의하여, 일상생활에서의 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을 할 경우는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인체균형을 잡아주어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운동과 같은 격한 활동을 할 경우는 골격근의 파워를 증가시켜 활동효과를 높여주는 “기능성 의류”가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어깨 및 상지의 골격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되, 어깨 및 상지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로 설계된 직물근육이 어깨 및 상지근육에 대한 길항근으로 동일한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SI 등)로 바른자세를 도출하여 3D 스캐너로 스캔 후 이 제원을 상지의 옷본으로 설계하고, 옷본에 견관절, 견갑골, 상완골, 요골(척)골 등(等)의 어깨 및 상지 근골격기능이 발휘되도록 인체의 근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 근골격을 설계하되 인체 근육의 힘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부 직물 근골격의 경우에는 그 형태를 변형시켰다.

    직물근육은 “장력효과”로 수축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기존 인체의 길항근과는 독립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상생활의 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어깨 및 상지의 균형을 안정되게 바로 잡아줌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준다. 또한 직물근육(길항적 역할)이 복원할 때, 운동과 같은 격한 활동을 하는 경우는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 크기만큼 근 파워가 증가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어깨 및 상지의 골격기능과 관련된 근육기능을 반영하되, 어깨 및 상지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로 설계된 직물근육이 어깨 및 상지근육에 대한 길항근으로 동일한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어깨 및 상지의 골격기능을 하는 직물골격과, 상기 직물골격에 연계된 직물근육을 구비하되, 직물근육은 어깨 및 상지의 인체 근육의 형태와 동일, 유사하며 신축성을 구비하여 길항적인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상활동 시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설계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균형된 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어깨 및 상지근골격을 보정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움직이는 어깨 및 상지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장력효과에 의하여 길항근이 주동근으로 전환 시 근파워가 증가되어 적은 근력으로도 작업 및 운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근 피로도의 감소 및 근육통 예방이 가능한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상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상지 기능성 의류는,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사다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견관절부의 상부에서 옷본의 목둘선까지 장착되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견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팔굽관절 대응 부위까지 위치되는 직물상완골부; 직물상완골부의 밑에 장착되되, 팔굽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팔굽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지 기능성 의류는 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팔굽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손목 관절 대응 부위까지 장착되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상지 기능성 의류는 오훼완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삼각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견관절부,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직물팔굽관절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지 기능성 의류에서, 오훼완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50 ~ 170%이며, 삼각근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20 ~ 140%이다.

    본 발명의 상지 기능성 의류는, 띠형태를 이루며, 상기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상완골부의 상단 2/5지점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오훼완근부; 2개의 기시부와 1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되, 하나의 기시부는 직물견관절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다른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장착되고, 종지부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직물상완이두근부; 제1기시부, 제2기시부, 제3기시부로 이루어진 3개의 기시부와 1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부착하며, 상기 제2기시부는 옷본 후면의 직물상완골부 중앙에 부착하며, 상기 제3기시부는 직물견관절부의 상단에 부착되고, 종지부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상완삼두근부; 사다리꼴형을 이루며, 기시부는 다르고, 종지부는 같은, 직물전삼각근, 직물 중삼각근, 작물후삼각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직물전삼각근의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전면(前面)의 하단에 부착하고, 직물 중삼각근의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 측면 하단에 부착하며, 작물후삼각근의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후면하단에 부착하고, 종지부는 옷본 후면의 직물상완골부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삼각근부;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상지 기능성 의류는,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띠 형태를 이루며, 인체 견관절 대응부에서 인체 팔굽관절 대응 부위까지 수직으로 위치되는 직물상완골부; 직물상완골부의 밑에 장착되되, 팔굽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팔굽관절부;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팔굽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손목 관절 대응 부위까지 장착되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 의류는 회외근, 원회내근, 상완근, 완요골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견관절부, 직물상완골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 의류에서, 회외근, 원회내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50 ~ 170%이며, 상완근, 완요골근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20 ~ 140%이다.

    본 발명의 상지 기능성 의류는,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후면 직물상완골부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측면을 돌아 다른 일측은 전면(前面)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 내측 상단 면에 부착되는 직물회외근부; 꼭지점들이 연접된 2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의 직물상완골부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측면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외측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원회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의 1/2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 내측 상단 면에 부착하는 직물상완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 상단 2/3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외측 하단에 부착되는 직물완요골근부;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상지 기능성 의류는, 팔굽관절 대응부에 위치되되, 팔굽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팔굽관절부; 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직물팔굽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손목 관절 대응 부위까지 장차되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손목관절 대응부에 위치되되, 손목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손목관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의류는, 인체의 수근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손목관절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수근골부; 인체의 중수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수근골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중수골부; 인체의 지절골과 같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직물중수골부의 밑에 부착되는 직물지절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의류는, 장무지굴근,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장단무지신근, 척측수근신근, 수장근, 심천지굴근, 장단요측수근신근, 지신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을, 상기 직물팔굽관절부,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직물손목관절부, 직물수근골부, 직물중수골부, 직물지절골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의류에서, 장무지굴근,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장단무지신근, 척측수근신근 중의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50 ~ 170%이며, 수장근, 심천지굴근, 장단요측수근신근, 지신근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근육은 신축성을 구비하되, 신장율이 120 ~ 140%이다.

    본 발명의 상지 기능성 의류는,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외측상단 1/4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의 엄지손가락 대응 부위의 직물지절골부 중앙부에 부착되는 직물장무지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의 내측하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두 번째 장골과 세 번째 장골의 손바닥 부위인 직물중수골부 중앙부에 부착되는 직물요측수근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직물상완골부 내측 하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수근골부 내측 면에 부착되는 직물척측수근굴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직물상완골부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 수근골부 및 인체 중수골부의 손바닥 근막 대응 부위인 직물수근골부 및 직물중수골부가 이루는 면의 중간부에 부착되는 직물수장근부; 인체의 심지굴근 및 인체의 천지굴근이 합쳐진 형태를 이루며, 기시부는 직물상완골부 하단내측면과 직물 요골 및 척골부 상단내측면에 장착되며, 종지부는 엄지 대응부를 제외한 직물지절골부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심천지굴근부;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이 합쳐진 형태를 이루며, 기시부는 후면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1/2 내측에 장착되며, 종지부는 후면의 직물지절골부 외측에 장착되는 직물장단무지신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직물상완골부 외측 하단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수근골부 내측 면에 부착되는 직물척측수근신근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후면 직물상완골부의 3/4외측면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의 직물수근골부 외측에 부착되는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이 합쳐진 형태를 이루며, 1개의 기시부와 4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며, 기시부는 후면의 직물상완골부 하단에 부착되며, 종지부는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의 대응부위에서, 후면의 직물지절골부에 부착되는 직물지신근부;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어깨 및 상지의 골격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어깨 및 상지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직물근육을 설계하여 인체 해당 골격근에 대한 길항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발휘하게 되어 어깨 및 상지골격을 바르게 잡아주고, 어깨 및 상지 골격근에 대한 항상성을 유지시켜준다. 여기에서 직물근육의 “길항적 기능 및 역할”이란 어깨 및 상지의 골격근에 대한 직물근육의 “상반된 장력”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자동적으로 본래의 균형된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직물근육에 해당되는 어깨 및 상지 골격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는 되돌아오는 상반된 장력만큼 주동근의 근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또한 운동과 같은 격한 활동을 할 경우에는 상반된 장력의 크기에 의한 가속도 만큼 근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본 발명의 기능성의류는 일상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설계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균형된 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어깨 및 상지 근골격을 보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일상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에 의해 조기에 유지되는 항상성에 의한 근파워의 증가로 필요한 근력보다 적은 힘의 근육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젖산 등의 찌거기가 근육내에 적게 쌓이게 함으로써 근피로의 감소는 물론, 근섬유 및 건초의 파열과 Trigger Point(통증 유발점)에 의한 근육통 예방이 가능하다.

    나쁜자세로 인한 중력의 편중은 어깨 및 상지의 각종 관절에 부하가 심하게 작용되어 근육, 인대, 연골, 뼈, 신경(중추 및 자율)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신체의 혈액순환에도 방해가 된다. 따라서 기능성 의류는 자세 불균형에 대한 치료하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만성소화불량, 허약체질의 경우처럼 정밀검사를 해봐도 특별한 효과가 없는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다.

    둘째, 신경계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신지대사가 잘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통해 식욕, 정력, 활력 등을 되찾게 해준다.

    셋째, 관절이 닿거나 비정상적으로 자라게 되는 퇴행성 변이를 예방하고 인체의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갑작스럽게 상해를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넷째, 모든 세포의 생명력, 치유력, 재생능력, 성장력 등을 향상시켜 이상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지균형 및 항상성을 유지시키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의 전면 및 측면부의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기능성의류의 후면부의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오훼완근부(4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상완이두근부(4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상완삼근부(4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삼각근부(4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회외근부(5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원회내근부(5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상완근부(5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완요골근부(5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무지굴근부(6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수장근부(6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심천지굴근부(6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장단요측수근근부(608)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에서 직물지신근부(6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하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어깨 및 상지골격은 도 1의 설명도로 어깨 및 상지의 세부 골격인 전면골격 도1 (a), 후면골격 도1 (b)는 위치에 따라 보이는 골격의 형태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어깨 및 상지의 전? 후면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어깨 및 상지의 전? 후면 골격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적용하는 전? 후면 골격에는 어깨골격인 견관절, 견갑골, 쇄골과 상지골격인 상완골, 요(척)골, 수근골, 중수골, 지절골 등이 있다.

    견관절(shoulder joint)은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에 있는 구관절로, 상하좌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다축성이어서 인체 중 가동성이 가장 큰 관절이다. 즉, 견관절은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에 있는 관절로, 앞뒤, 좌우,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쇄골(clavicle)은 가슴 가운데 있는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S자 모양의 긴 뼈로, 상완골과 견갑골을 거쳐 흉골에 연결시켜 견갑대를 이루는 뼈의 하나이다. 그 안쪽 끝은 흉골과 흉쇄관절을 만들고, 바깥쪽 끝은 견갑골의 견봉과 견쇄관절을 만들어 연결한다. 이들 관절은 비교적 잘 움직여 견관절에서 상완골의 운동을 돕는다.

    견갑골(scapula, 肩胛骨)은 두 팔이 체간에 연결되는 골격의 일부를 이루는 뼈로, 쟁기?방패?귀갑(龜甲)?날개 등과 모양이 비슷한데, 흉곽(胸廓)의 뒷면에 좌우대칭으로 제2번?7번 늑골에 걸쳐 있으며, 길이 9?10cm의 넓적한 삼각형 모양이다.

    상완골(humerus)은 어깨에서 팔꿈치까지 뻗어있는 긴 뼈이다. 상완골의 위쪽 끝은 견갑골의 관절와에 들어맞는 매끈하고 둥근 상완골두이다. 상완골두의 바로 아래에는 외측의 대결절과 앞쪽의 소결절의 두 돌기가 있다. 이 곳에는 위팔을 움직이는데 사용되는 근육들이 부착한다. 결절들 사이에는 좁은 결절사이고랑이 있는데 이곳을 통해 팔 근육의 힘줄이 지나간다. 상완골의 아래쪽 끝에는 외측의 혹 모양의 상완골소두와 내측의 도르레 모양의 활차인 2개의 매끈한 과가 있다.

    팔꿈치관절(elbow joint)은 주관절이라고도 하며 상완골과 요골 및 척골로 구성되고 완척골절, 완요골절, 상요척관절로 나뉘어 진다. 팔꿈치에서 상완골소두는 요골과, 활차는 척골과 각각 관절을 이룬다. 양쪽 관절구의 위에는 팔꿈치의 근육과 인대가 부착하는 상과(epicondyle)가 있다. 상과 사이에서 앞쪽에 움푹 패인부위는 구상돌기와(coronoid fossa)이며 이곳은 팔꿈치를 굽힐 때 척골의 구상돌기(coronid process)가 들어가는 부위이다.

    요골(radius)은 앞팔에서 엄지손가락 쪽에 위치하며 이와 동반되는 뼈인 척골에 비해 약간 짧다. 요골은 팔꿈치로부터 손목까지 뻗으며 손을 돌려 손바닥이 뒤로 향하게 할 때 척골을 가로지른다. 요골의 위쪽 끝에 있는 두꺼운 원반모양의 요골두는 상완골 소두 및 척골의 절흔과 관절을 이룬다. 이러한 뼈의 배열로 요골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요골두의 바로 아래의 요골 몸통에는 요골조면(radialtuberosity)이라는 돌기가 있다. 여기에는 팔꿈치에서 위팔을 구부리는데 사용하는 근육이 부착된다. 요골의 원위단의 외측에는 손목인대가 부착하는 경상돌기(styloid process)가 있다.

    척골(ulna)은 요골보다 길며 뒤쪽에서 상완골의 말단과 겹쳐진다. 척골의 근위단에는 상완골 활차와 관절을 이루는 랜치모양의 활차절흔(semilunar notch)이 있다. 활차의 돌기가 이 절흔의 양옆에 놓여있다. 활차절흔 위에 위치한 오훼돌기에는 팔꿈치에서 팔을 펼 때 사용되는 근육이 부착된다. 이 운동시 척골의 오훼돌기는 상완골의 오훼돌기와로 들어간다. 마찬가지로 활차절흔의 바로 아래에 있는 구상돌기도 팔꿈치를 굽힐 때 상완골의 구상돌기와로 들어간다. 척골의 원위단에서 혹 모양의 척골두는 외측으로는 요골의 절흔과, 아래로는 섬유연골원반(disk of fibrocartilage)과 각각 관절을 이룬다. 이 원반의 한 쪽은 손목뼈와 결합한다. 척골 원위단에 있는 내측경상돌기에는 손목 인대가 부착된다.

    손목관절(wrist jont)은 전완과 손의 경계에 있다. 이 경계를 손목이라하며, 손목의 근위면은 둥근형태로 요골 및 척골의 섬유연골원반에 의해 이루어진 관절이다.

    수근골(carpal bone)은 손목 골격으로 4개씩 2줄로 단단하게 결합된 8개의 작은 뼈로 구성된다. 손목의 앞쪽은 오목하여 손바닥으로 뻗는 힘줄과 신경이 지나는 굴(canal)이 형성되어 있다. 손목의 원위면은 중수골과 관절을 이룬다.

    중수골(metacarpal bone)은 5개의 각 손가락에 맞추어 한줄로 배열되어 손바닥의 골격구조를 형성한다. 이 뼈들은 원통형이며 둥근 원위단은 손가락과 관절을 이루어 주먹을 쥘 수 있게 해준다. 중수골의 근위단은 수근골과, 원위단은 지절골과 관절을 이룬다. 중수골은 외측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어떤 것을 움켜쥘 때 엄지손가락을 다른 손가락과 마주보게 한다.

    지절골(phalanx)은 손가락의 뼈이다. 각 손가락은 근위지절골(proxinal phalanx), 중간(middle phalanx)지절골, 원위지절골(distal phalanx)의 3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지손가락은 2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엄지손가락은 중간지절골이 없음). 따라서 각 손에는 14개의 손가락뼈가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SI 등)로 어깨, 상완 및 전완의 골격과 이들을 움직이는 근육을 설계하여 어깨, 상완 및 전완 골격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어깨 및 상지의 균형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어깨, 상완 및 전완의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어깨, 상완 및 전완의 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은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한 것이다.

    반면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어깨 골격의 각 근육을 설계에 반영 시 “견갑골 및 쇄골”의 경우에는 인체의 해당위치에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설계 시 견실력이 약해 어깨 전(全)부분을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로 기능성 의류의 설계에 반영하여 인체 견갑골 및 쇄골 주변에 부착되는 근육의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의류의 전면 및 측면부의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기능성의류의 후면부의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을 "기능성 의류"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옷본(1)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SI 등)로 도출한 상체의 바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하여 산출된 제원에 의해 설계된 틀이다.

    직물견관절부(10)는 인체 견관절은 인체의 상완골과 견갑골이 접합된 관절로써 인체 상완골에서 견갑골에 이르는 둥근타원형의 지지수단이다. 다시말해, 직물견관절부(10)는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인체 견관절과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인체 견갑골 및 쇄골로부터 인체 상완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견관절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옷본(1)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 직물견관절부(10)를 설계하였다.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는 인체 어깨부위를 의류에 제작한 사다리 형태의 지지대로 두 개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즉,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는 사다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직물견관절부의 상부에서 옷본의 목둘선까지 장착된다.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는 첫째는 직물견관절부(10)를 견실하게 지지하여주며, 둘째는 인체의 쇄골 및 견갑골로부터 상완골 및 전완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쇄골 및 견갑골 일부와 동일한 형태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옷본(1)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를 설계하였다.

    직물상완골부(42)는 인체의 상완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 견갑골 및 쇄골로부터 상완골에 부착되고, 상완골로부터 요골 및 척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상완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옷본(1)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 직물상완골부(42)를 설계하였다. 즉, 직물상완골부(42)는 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견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팔굽관절 대응 부위까지 위치되는 직물골격이다.

    직물팔굽관절부(20)는 인체 팔굽관절은 인체의 상완골과 요골 및 척골이 접합된 관절로써 인체의 상완골에서 요골 및 척골에 이르는 둥근타원형의 지지수단이다. 즉, 인체 팔굽관절과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인체 견갑골 및 쇄골, 상완골로부터 요골 및 척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직물팔굽관절부(20)는 직물상완골부의 밑에 장착되되, 팔굽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진다.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는 인체의 요골 / 척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 상완골로부터 요골 / 척골에 부착되고, 요골 / 척골로부터 수근골, 중수골, 지절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요골 / 척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옷본(1)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를 설계하였다. 즉,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는 띠 형태를 이루며, 직물팔굽관절부의 밑에서 인체 손목 관절 대응 부위까지 장착된다.

    실시예 1에 의해 "기능성 의류"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체근육으로, 설계목적상 골격근을 피부접촉 근육인 겉근육, 골격 내의 근육인 골격 내재근, 겉근육과 골격 내재근 사이의 근육인 안근육 등의 종류로 구분하되 설계반영에 의미가 없는 골격 내재근은 제외하고, 안근육 및 겉근육 만을 직물근육으로 “기능성 의류” 설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의 견갑골 및 쇄골, 상완골, 요골 및 척골 근육을 정리하면 표1과 같다.

    <표 1>

    오훼완근은 견갑골에서 상완골의 내측면을 따라 중간 부분까지 뻗어있는 근육이다. 즉, 오훼완근은 견갑골의 오훼돌기를 기시점으로 상완골의 몸통에 부착되어 있다.

    상완이두근은 팔의 앞면에서 길고 둥근 덩어리로 존재하는 두터운 근육이다. 즉, 상완이두근은 두 개의 기시점이 존재하여 첫째 긴 두부는 오목위 결절, 둘째 짧은 두부는 견갑골의 오훼돌기를 기시점으로 요골 결절과 두 개의 건막에 부착되어 있다.

    상완삼두근은 팔의 뒤쪽에 있는 유일한 근육이다. 즉, 상완삼두근은 세 개의 기시점이 존재하여 첫째 긴 두부는 견갑골의 오목 아래결절, 둘째 측면 두부는 상완골의 후면의 상위지점, 셋째 중앙 두부는 상완골의 후면의 원위 1/2지점을 기시점으로 척골의 주두돌기에 부착되어 있다.

    삼각근은 인체의 전면, 측면, 후면에 걸쳐 두꺼운 삼각형 모양의 근육으로 어깨관절을 덮고있다. 이것은 쇄골과 견갑골에서부터 상완골의 외측면까지 연결되어있다. 즉, 삼각근의 전면은 쇄골의 전면과 측면의 1/3지점을 기시점으로 측면 상완골에 있는 삼각조면에 부착되어 있고, 측면은 견봉의 측면을 기시점으로 측면 상완골에 있는 삼각조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후면은 견갑극을 기시점으로 측면 상완골에 있는 삼각조면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직물근육들은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2와 같다.

    <표 2>

    즉, 어깨, 상완 및 전완의 골격 근육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이 필요하다.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직물안근육인 직물오훼완근, 직물상완이두근, 직물상완삼두근은 150 ~ 170%가 요구되며, 직물겉근육인 직물삼각근은 120 ~ 140%가 요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오훼완근부(4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직물오훼완근부(4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오훼완근부(401)의 경우, 직물오훼완근부(401)는 인체의 오훼완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인체 견갑골 부리돌기인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의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상완골부(42) 상단 2/5지점의 면에 부착한다.

    직물오훼완근부(401)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 하단 내측에서 직물상완골부(42) 중앙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오훼완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오훼완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오훼완근부(401)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오훼완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굴곡과 수평내전으로 벤치 프레싱, 컬링(동계 올림픽종목) 등의 운동 시 인체의 오훼완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상완이두근부(4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직물상완이두근부(402)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상완이두근부(402)의 경우, 직물상완이두근부(402)는 인체의 상완이두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두 개의 기시부위로 인체 상완이두근의 고효율을 위하여 첫 번째 위치(긴 두부)는 인체의 견갑골 오목위결절 위치이나 요구되는 힘의 방향은 직물견관절부(10)의 위쪽 직물견관절면과 동일하므로 직물견관절부(10)의 위쪽 직물견관절면에 부착하고, 두 번째 위치(짧은 두부)는 인체 견갑골 부리돌기 위치인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의 하단 면에 부착한다. 반면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상단 면에 부착한다. 즉, 직물상완이두근부(402)은 V형으로 이루어며, 2개의 기시부와 1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되, 하나의 기시부는 직물견관절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다른 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장착되고, 종지부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기시부는 직물근육의 시작부분의 장착된 위치를 가리키며, 종지부는 직물근육의 끝부분의 장착된 위치를 가리킨다.

    직물상완이두근부(402)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의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 하단에서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상완이두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상완이두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상완이두근부(402)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상완이두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팔꿈치의 굴곡, 전완의 회외전, 어깨관절의 약한 굴곡으로 컬링(동계 올림픽종목), 바벨, 덤벨, 턱걸이, 로프 클라이밍 등의 운동 시 인체의 상완이두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상완삼두근부(4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은 직물상완삼두근부(403)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상완삼두근부(403)의 경우, 직물상완삼두근부(403)는 인체의 상완삼두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세 개의 기시부위로 첫 번째 위치(긴 두부)는 인체 견갑골 오목아래결절 위치인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의 하단 면에 부착하고, 인체 상완삼두근의 고효율을 위하여 두 번째 위치(측면 두부)는 인체의 상완골 상단위치 이나 요구되는 힘의 방향이 동일한 직물견관절부(10)의 위쪽 직물견관절 면에 부착하며, 세 번째 위치(중앙 두부)는 후면의 직물상완골부(42) 중앙에 부착한다. 반면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후면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상단 면에 부착한다. 즉, 직물상완삼두근부(403)는 삼지창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기시부, 제2기시부, 제3기시부로 이루어진 3개의 기시부와 1개의 종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기시부는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의 하단 면에 부착하며, 상기 제2기시부는 옷본 후면의 직물상완골부 중앙에 부착하며, 상기 제3기시부는 직물견관절부의 상단에 부착되고, 종지부는 직물 요골 및 척골부의 상단에 부착된다.

    직물상완삼두근부(403)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의 직물상완골부(42) 상단 전면(全面)에서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상완삼두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상완삼두근관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상완삼두근부(403)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상완삼두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팔꿈치 신장, 어깨관절 신장, 어깨관절 내전으로 푸쉬업, 평행바, 바벨, 덤벨, 벤치 프레싱 등의 운동 시 인체의 상완삼두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삼각근부(4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직물삼각근부(404)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삼각근부(404)의 경우, 직물삼각근부(404)는 인체의 삼각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세 개의 기시부위로 첫 번째 위치(前面)는 전면(前面)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의 하단인 인체 쇄골의 측면인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 전면(前面) 하단에 부착하고, 두 번째 위치(측면)는 인체의 견봉 측면인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 측면하단에 부착하며, 세 번째 위치(후면)는 인체의 견갑극인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 후면하단에 부착한다. 반면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후면의 직물상완골부(42) 상단 면에 부착한다.

    직물삼각근부(404)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 하단의 전측후면에서 직물상완골부(42)의 해당방향 중앙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삼각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삼각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삼각근부(4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삼각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외전, 굴곡, 수평내전과 내부회전, 상완관절의 신장, 수평외전과 외부회전으로 리프팅, 덤벨, 역기를 들어올리는 운동 시 인체의 삼각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근은 옷본(1)상에 ①직물오훼완근부(401) ②직물상완이두근부(402) ③직물상완삼두근부(403) ④직물삼각근부(404) 순으로 설계한다. 그러나 순서는 기능상에 장애가 없을 경우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기시와 종지는 반드시 준수하여야하나 직물의 폭은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반영된 직물근육은 어깨 및 상지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조기에 어깨 및 상지의 균형 및 항상성이 유지된다. 이는 어깨 및 상지를 균형되게 유지시키고,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 크기만큼 근파워를 증가시킨다. 또한 인체근육에 젖산 및 인산염 등(等)의 분비를 억제시킴으로써 근피로를 감소시키고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SI 등)로 상완 및 전완골격과 이들을 움직이는 근육을 설계하여 상완 및 전완골격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상지의 균형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상완 및 전완의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인체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인체의 상완 및 전완의 직물골격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한 것이다.

    반면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상완골, 요골 및 척골의 각 근육을 설계에 반영 시 “요골과 척골”의 경우에는 인체의 해당위치에서 구분이 곤란하나 인체 근골격의 기능구현은 가능하여 요골과 척골을 통합한 직물골격으로 설계하였다.

    도 2a 및 도 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골격의 설계 및 설명도로써 실시예 2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은 실시예 1의 "기능성 의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부에서의 옷본(1), 직물상완골부(42), 직물팔굽관절부(20),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의해 "기능성 의류"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 2에 적용된 인체근육 및 골격계로, 도 2a 및 도 2b의 인체 상완골, 요골 및 척골의 골격 근육을 정리하면 표3와 같다.

    <표 3>

    회외근은 척골과 상완골의 외측끝에서 요골로 주행하는 짧은 근육이다. 즉, 회외근은 상완골의 외측 상과와 척골의 능선을 기시점으로 요골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원회내근은 상완골 말단과 척골에서 시작하여 요골로 연결되는 짧은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내측 상과와 척골의 구상돌기를 기시점으로 요골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완근은 상완이두근 심부에 있는 근육이다. 즉, 상완골 결절 몸통를 기시점으로 척골의 구상돌기에 부착되어 있다.

    완요골근은 상완골과 요골을 연결시켜주는 근육이다. 즉, 상완골 전면(前面)의 원위부 말단 외측를 기시점으로 경상돌기 위의 요골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4과 같다.

    <표 4>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직물안근육인 직물회외근, 직물원회내근은 150 ~ 170%, 직물겉근육인 직물상완근, 직물완요골근은 120 ~ 140%가 요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회외근부(5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직물회외근부(5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회외근부(501)의 경우, 직물회외근부(501)는 인체의 회외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후면 인체의 상완골 외측상과인 의류후면 직물상완골부(42)의 외측 하단 면에 부착하여야 하나 기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측면을 돌아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요골 외측면인 의류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외측 상단 면에 부착하여야 하나 기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내측 상단 면에 부착 한다.

    직물회외근부(501)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상완골부(42)의 외측 하단에서 측면을 돌아 의류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외측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회외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회외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회외근부(501)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회외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전완의 회외전으로 야구공(커브)을 던지거나 스크류드라이버를 돌릴 때 인체의 회외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원회내근부(5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직물원회내근부(502)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원회내근부(502)의 경우, 직물원회내근부(502)는 인체의 원회내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상완골 내측상과인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요골 외측면인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외측 상단 면에 부착하여야 하나 기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의류측면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외측 상단 면에 부착한다.

    직물원회내근부(502)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 하단에서 의류측면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외측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원회내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원회내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원회내근부(502)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원회내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전완의 회외전으로 야구공(커브)을 던지거나 스크류드라이버를 돌릴 때 인체의 회외근과 같이 원회내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상완근부(5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직물상완근부(503)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상완근부(503)의 경우, 직물상완근부(503)는 인체의 상완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상완골 결절 몸통인 직물상완골부(42)의 1/2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척골 구상돌기인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내측 상단 면에 부착한다.

    직물상완근부(503)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의 중앙에서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내측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상완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상완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상완근부(503)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상완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팔꿈치에서 전완을 굴곡시킴으로써 컬링(동계 올림픽종목) 등의 훈련을 할 때 인체의 상완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완요골근부(5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직물완요골근부(504)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완요골근부(504)의 경우, 직물완요골근부(504)는 인체의 완요골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원위부 말단 외측인 직물상완골부(42) 상단 2/3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경상돌기 위의 요골 외측면인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외측 하단 면에 부착한다.

    직물완요골근부(504)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의 상단 2/3 지점에서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외측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완요골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완요골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완요골근부(5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완요골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팔꿈치 굴곡, 회외된 자세에서 중립자세로의 회내전, 회내된 자세에서 중립자세로의 회외전으로 전완을 내외로 회전시키는 실내축구 등의 운동을 할 때 인체의 완요골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근은 옷본(1)상에 ①직물회외근부(501) ②직물원회내근부(502) ③직물상완근부(503) ④직물완요골근부(504) 순으로 설계한다.

    또한, “실시예 1”과 결합 시는 “실시예 2”설계 후 “실시예 1”를 설계한다. 그러나 순서는 기능상에 장애가 없을 경우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기시와 종지는 반드시 준수하여야하나 직물의 폭은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반영된 직물근육은 상완 및 전완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조기에 상완 및 전완의 균형 및 항상성이 유지된다. 이는 상지를 균형되게 유지시키고, 상반된 장력의 크기만큼 근파워를 증가시킨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근피로를 감소시키고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SI 등)로 상지의 골격과 이들을 움직이는 근육을 설계하여 상지골격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상지의 균형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고, 특히 손목이하의 근골격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상지의 골격은 도 1과 같다.

    도 1의 인체골격에 있어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인체의 상지의 직물골격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기능성 의류"의 전면 및 측면(도 2a), 후면(도 2b)부에서 직물골격을 설계하고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을 "기능성 의류"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물손목관절부(30)는 인체 손목관절은 인체의 요골 및 척골과 수근골이 접합된 관절로써 인체의 요골 및 척골에서 수근골에 이르는 둥근타원형의 지지수단이다. 즉, 인체 손목관절과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인체 요골 및 척골로부터 수근골, 중수골, 지절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직물수근골부(61)는 인체의 수근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상완골, 요골 및 척골로부터 수근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수근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옷본(1)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 직물수근골부(61)를 설계하였다.

    직물중수골부(62)는 인체의 중수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상완골, 요골 및 척골로부터 중수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중수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옷본(1)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 직물중수골부(62)를 설계하였다.

    직물지절골부(63)는 인체의 지절골을 의류에 제작한 부분으로, 인체의 상완골, 요골 및 척골로부터 지절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지절골과 동일한 형태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옷본(1)의 전면 / 측면(도 2a), 후면(도 2b) 부에 직물지절골부(63)를 설계하였다.

    인체 전? 후? 측면의 옷본(1), 직물상완골부(42), 직물팔굽관절부(20),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에 의해 "기능성 의류"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 3에 적용된 인체근육 및 골격계로, 도 2a 및 도 2b의 인체 상완골, 요골 및 척골, 수근골과 중수골 및 지절골의 골격 근육을 정리하면 표5와 같다.

    <표 5>

    장무지굴근은 전완의 전면(前面)에서 중앙을 따라 엄지손가락으로 주행하는 근육이다. 즉, 장무지굴근은 요골의 중앙전면(前面)과 근돌기의 원위에 있는 척골의 중앙경계를 기시점으로 엄지손가락의 원위지골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요측수근굴근은 전완의 전면(前面)에서 내측을 따라 주행하는 큰 근육이다. 즉, 요측수근굴근은 상완골의 내상과를 기시점으로 두 번째 장골과 세 번째 장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척측수근굴근은 전완의 내측을 따라 주행하는 근육이다. 즉, 척측수근굴근은 상완골 원위부 말단과 척골 근위부 말단을 기시점으로 수근골과 중수골에 부착되어 있다.

    수장근은 요측수근굴근과 척측수근굴근 사이의 전완 내측면에 있는 가느다란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내측 상과를 기시점으로 손바닥의 근막에 부착되어 있다.

    심지굴근은 척골에서 손가락 말단까지 연결된 큰 근육이다. 즉, 척골의 전면(全面)을 기시점으로 제2 ~ 5번째 손가락 원위부의 기저면에 부착되어 있다.

    천지굴근은 장요측수근굴근 바로 심부에 있는 큰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내측상과와 척골의 구상돌기, 요골을 기시점으로 손가락의 힘줄에 부착되어 있다.

    장무지신근은 단무지신근 및 단무지외전근과 전완 후면의 심부를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하위 중앙 척골의 후측면을 기시점으로 엄지손가락 원위지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단무지신근은 장무지신근 및 단무지외던근과 전완 후면의 심부를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하위중앙요골 의 후면을 기시점으로 엄지손가락의 근위지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단무지외전근은 장무지신근 및 단무지신근과 전완 후면의 심부를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요골의 후면과 척골의 중앙부분을 기시점으로 첫 번째 장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척측수근신근은 완요골근, 장요측수근신근, 단요측수근신근, 지신근과 함께 전완 후면의 얕은 부분을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내상과와 척골의 후면경계 중앙 2/4를 기시점으로 다섯 번째 장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장요측수근신근은 완요골근과 섬유가 섞이기도 하고 전완 후면의 얕은 부분을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외측 과상부 융기부의 하위 1/3과 상완골의 외상과를 기시점으로 두 번째 장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단요측수근신근은 장요측수근신근과 기시점에서 합쳐지기도 하며 전완 후면의 얕은 부분을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내상과를 기시점으로 세 번째 장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수지신근은 회외근, 단무지외전근, 장무지신근과 함께 전완 후면의 심부를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외상과를 기시점으로 네 손가락의 중앙 지골과 근위지골의 기부로의 네가지 건에 부착되어 있다.

    소지신근은 완요골근, 장요측수근신근, 단요측수근신근, 지신근, 척측수근신근과 함께 전완 후면의 심부를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상완골의 외상과를 기시점으로 다섯 번째 지골의 원위지골과 가운데 지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시지신근은 회외근, 단무지외전근, 장무지신근과 함께 전완 후면의 심부를 형성하는 근육이다. 즉, 후면의 척골 중앙에서 원위 1/3까지를 기시점으로 두 번째 지골의 중앙지골과 원위지골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6과 같다.

    <표 6>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직물안근육인 직물장무지굴근, 직물요측수근굴근, 직물척측수근굴근, 직물장단무지신근, 직물척측수근신근은 150 ~ 170%, 직물겉근육인 직물수장근, 직물심천지굴근,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 직물지신근은 120 ~ 140%가 요구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무지굴근부(6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직물장무지굴근부(601)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무지굴근부(601)의 경우, 직물장무지굴근부(601)는 인체의 장무지굴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전면(前面) 인체 요골의 앞쪽과 근돌기의 원위에 있는 척골의 중앙경계인 의류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의 외측상단 1/4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엄지손가락 원위지골의 손바닥 면인 의류전면(前面) 직물지절골부(63) 중앙지점 면에 부착 한다.

    직물장무지굴근부(601)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의 외측상단 1/4지점에서 직물지절골부(63) 중앙지점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장무지굴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장무지굴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무지굴근부(601)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장무지굴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엄지손가락의 수근장관절과 수장수지관절 및 지간관절의 굴곡, 손목의 굴곡으로 기구를 잡고 경기하는 운동이나 컴퓨터 자판사용 시 인체의 장무지굴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피로를 감소시켜준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은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의 경우,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는 전면(前面) 인체의 장무지굴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상완골 내상과인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두 번째 장골과 세 번째 장골의 손바닥 면인 의류전면(前面) 직물중수골부(62) 중앙지점 면에 부착 한다.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하단에서 직물중수골부(62) 중앙지점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요측수근굴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요측수근굴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요측수근굴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손목의 굴곡 및 외전, 팔꿈치의 약한 굴곡으로 줄다리기, 테니스 및 골프스윙 시 인체의 요측수근굴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의 경우,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는 인체의 척측수근굴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상완골 원위부 말단과 척골 근위부 말단인 직물상완골부(42)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수근골과 중수골 인 직물수근골부(61) 내측 면에 부착한다.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 하단에서 직물수근골부(61)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척측수근굴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척측수근굴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척측수근굴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손목관절에서 손을 굴곡시키고 내전시킴으로써 줄다리기 시 인체의 척측수근굴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수장근부(6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직물수장근부(604)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수장근부(604)의 경우, 직물수장근부(604)는 인체의 수장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상완골 내측상과인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전면(前面) 인체의 척골 구상돌기인 직물수근골부(61) 및 직물중수골부(62)의 손바닥 근막 면에 부착한다. 즉, 직물수장근부(604)는 끝에 삼각형이 붙은 띠형태를 이루며, 일측은 직물상완골부의 내측 하단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인체 수근골부 및 인체 중수골부의 손바닥 근막 대응 부위인 직물수근골부 및 직물중수골부가 이루는 면의 중간부에 부착된다.

    직물수장근부(604)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의 내측 하단에서 직물수근골부(61) 및 직물중수골부(62)의 손바닥 근막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수장근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수장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수장근부(6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수장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손에서 손목을 굴곡시킴으로 써 기구를 잡고 경기하는 운동이나 컴퓨터 자판 및 마우스를 사용할 때 인체의 수장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피로를 감소시켜준다.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심천지굴근부(6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은 직물심천지굴근부(605)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심천지굴근부(605)의 경우, 직물심천지굴근부(605)는 전면(前面) 인체의 심지굴근과 천지굴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착용의 불편감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두 근육을 통합한 직물심천지굴근부(605)를 제작하였으며, 직물심천지굴근부(605)의 기시점은 심지굴근 및 천지굴근의 척골전면(全面) 및 상완골 내측상과에 해당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상완골부(42) 하단내측면과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상단내측면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심천지굴근부(605)의 종지점은 심지굴근의 제2 ~ 5번째 손가락 원위부의 기저면과 천지굴근의 손가락 힘줄에 부착되는 의류전면(前面)의 직물지절골부(63) 전면(全面, 엄지제외)에 설계하였다.

    직물심천지굴근부(605)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전면(前面) 직물상완골부(42) 하단내측과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상단내측에서 직물지절골부(62)를 향하도록 하여 인체 심지굴근 및 천지굴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심지굴근 및 천지굴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심천지굴근부(605)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심지굴근 및 천지굴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심지굴근과 천지굴근 둘다 손목까지 손바닥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목의 굴곡을 도와 라켓을 쥐거나 로프로 오르기 등의 운동 시 인체의 심지굴근 및 천지굴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의 경우,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는 후면 인체의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착용의 불편감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세 근육을 통합한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를 제작하였으며,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의 기시점은 장무지신근의 하위 중앙 척골의 후측면, 단무지신근의 하위중앙요골의 후면, 단무지외전근의 요골의 후면과 척골 중앙부분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1/2 내측면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의 종지점은 장무지신근의 엄지손가락의 원위지골의 기부, 단무지신근의 엄지손가락의 근위지골의 기부, 단무지외전근의 첫 번째 장골의 기부에 근접하고 기능구현이 가능한 의류후면의 직물지절골부(63) 외측면에 설계하였다.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1/2 내측에서 직물지절골부(63)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 모두는 엄지손가락 지절골 기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목의 신장을 필요로 하는 골프나 테니스 등과 같은 운동 시 인체의 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 단무지외전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의 경우,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는 인체의 척측수근신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후면 인체의 상완골의 내상과 척골의 후면경계의 중앙 2/4지점인 직물상완골부(42) 외측 하단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후면 인체의 다섯 번째 장골의 기부인 직물수근골부(61) 내측 면에 부착한다.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상완골부(42) 외측 하단에서 직물수근골부(61)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척측수근신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척측수근신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척측수근신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척측수근신근은 손목의 신장, 척측수근굴근과 함께 손목의 내전, 팔꿈치의 약한 신장으로 창문을 닦는 등의 일상활동 시 인체의 척측수근신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의 경우,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는 후면 인체의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착용의 불편감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두 근육을 통합한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를 제작하였으며,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의 기시점은 인체 후면의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의 상완골의 외상과에 해당하는 의류후면 직물상완골부(42)의 3/4외측면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의 종지점은 장요측수근신근의 두 번째 장골의 기부와 단요측수근신근의 세 번째 장골의 기부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수근골부(61) 외측에 설계하였다.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 직물상완골부(42)의 3/4외측에서 직물수근골부(61)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의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 둘다 손목외측까지 연결되어 손목신장이 요구되는 테니스 및 골프 등의 운동 시 인체의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지신근부(6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은 직물지신근부(609)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지신근부(609)의 경우, 직물지신근부(609)는 후면 인체의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은 인체에 있어서 그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의류에 반영 시에는 착용의 불편감 등 제한요소의 개연성이 상존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세 근육을 통합한 직물지신근부(609)를 제작하였으며, 직물지신근부(609)의 기시점은 수지신근 및 소지신근의 상완골 외상과면, 시지신근의 후면 척골 중앙에서 원위 1/3지점 면에 해당하는 의류후면의 직물상완골부(42) 하단 면에 설계하였다.

    또한 직물지신근부(609)의 종지점은 수지신근의 네 손가락의 중앙 지골과 근위지골의 기부로의 네가지 건면, 소지신근의 다섯 번째 지골의 원위지골과 가운데 지골의 기부 면, 시지신근의 두 번째 지골의 중앙지골과 원위지골의 기부면에 근접하고 기능구현이 가능한 의류후면의 직물지절골부(63) 전면(全面, 엄지제외)에 설계하였다.

    직물지신근부(609)의 신축성 방향은 의류후면의 직물상완골부(42) 하단에서 직물지절골부(63) 전면(全面, 엄지제외)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지신근부(609)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은 네 손가락 지절골의 신장, 손목의 신장, 팔꿈치의 약한 신장으로 물건을 쥐고 있다가 놓을 때 등과 같은 일상활동 시 수지신근, 소지신근, 시지신근을 안전하게 하여주고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의 골격근은 옷본(1)상에 ①직물장무지굴근부(601) ②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 ③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 ④직물수장근부(604) ⑤직물심천지굴근부(605) ⑥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 ⑦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 ⑧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 ⑨직물지신근부(609) 순으로 설계한다.

    또한, “실시예 1,2”와 결합 시는 “실시예 2”설계 후 “실시예 1,3”를 설계한다. 그러나 순서는 기능상에 장애가 없을 경우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기시와 종지는 반드시 준수하여야하나 직물의 폭은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반영된 직물근육은 상완 및 전완, 손에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조기에 상완 및 전완, 손의 균형 및 항상성이 유지된다. 이는 상지를 균형되게 유지시키고, 상반된 장력의 크기만큼 근파워를 증가시킨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근피로를 감소시키고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SI 등)로 어깨 및 상지의 골격과 이들을 움직이는 근육을 설계하여 어깨 및 상지골격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어깨 및 상지의 균형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다.

    실시예 4는 전술한 제1 내지 실시예 3를 통합한 "기능성 의류"로 여기에 적용된 인체골격에 대한 직물골격은 옷본(1), 직물견관절부(10), 직물 쇄골 및 견갑골지지대(41), 직물상완골부(42), 직물팔굽관절부(20), 직물 요골 및 척골부(51), 직물손목관절부(30), 직물수근골부(61), 직물중수골부(62), 직물지절골부(63)로 이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3개의 실시예, 즉 제1 내지 실시예 3가 통합된 실시예 4의 인체 근골격계를 정리하면 표7와 같다.

    <표 7>

    또한 3개의 실시예, 즉 제1 내지 실시예 3이 통합된 실시예 4의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8와 같다.

    <표 8>

    실시예 4의 “기능성 의류”, 즉 제1 내지 실시예 3의 3개의 실시예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은, 직물오훼완근부(401), 직물상완이두근부(402), 직물상완삼두근부(403), 직물삼각근부(404), 직물회외근부(501), 직물원회내근부(502), 직물상완근부(503), 직물완요골근부(504), 직물장무지굴근부(601), 직물요측수근굴근부(602), 직물척측수근굴근부(603), 직물수장근부(604), 직물심천지굴근부(605), 직물장단무지신근부(606), 직물척측수근신근부(607),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608), 직물지신근부(609)를 구비하며, 이들은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는 3개의 실시예(제1 내지 실시예 3)가 통합된 "기능성 의류"로 실시예 1 보다는 더욱 견실하게 어깨 및 상지를 균형되게 유지시키고,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 크기만큼 근파워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탄성 직물 또는 편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니트와 같은 유사한 탄성 직물 또는 편물로도 평면직조 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1 : 옷본 10 : 직물견관절부 41 : 직물쇄골/견갑골지지대
    42 : 직물상완골부 20 : 직물팔굽관절부 51 : 직물요골/척골부
    30 : 직물손목관절부 61 : 직물수근골부 62 : 직물중수골부
    63 : 직물지절골부 401 : 직물오훼완근부 402 : 직물상완이두근부 403 : 직물상완삼두근부 404 : 직물삼각근부 501 : 직물회외근부 502 : 직물원회내근부 503 : 직물상완근부 504 : 직물완요골근부 601 : 직물장무지굴근부 602 : 직물요측수근굴근부 603 : 직물척측수근굴근부 604 : 직물수장근부 605 : 직물심천지굴근부 606 : 직물장단무지신근부 607 : 직물척측수근신근부 608 : 직물장단요측수근신근부 609 : 직물지신근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