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 버클이 달린 의복

申请号 KR1020057012961 申请日 2003-12-17 公开(公告)号 KR1020060056881A 公开(公告)日 2006-05-25
申请人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제노아; 发明人 사또오요시아끼; 다지마가즈히꼬;
摘要 A technique is provided whereby a pressurization muscle buildup garment for executing a pressurization muscle buildup method can be easily applied to people different in the thickness of the limbs and can be used continuously even if the limbs gain muscle by execution of the pressurization muscle buildup method. This pressurization muscle buildup garment (1) comprises a buckle-equipped garment (10) having buckles (12) attached to the base ends of the branches of a half-pant type garment main body (11), and belts (20). Each belt (20) is removably fixed at one end thereof to the buckle (12). Fixed to the buckle (12), the belt (20) can tighten the base end of the user's leg passed through the branch to limit the bloodstream to the leg. Using this pressurization muscle buildup garment (1)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the pressurization muscle buildup method.
权利要求
  • 의복 착용 시에 사지 중 어느 하나를 덮는 통형 부분을 적어도 하나 갖는 의복 본체와, 상기 통형 부분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긴장 체결 띠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이며,
    상기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을 착용했을 때에, 상기 긴장 체결 띠가 부착된 통형 부분의 안쪽에 위치하는 사지를, 그 통형 부분에 부착된 상기 긴장 체결 띠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사지에 혈류를 저해하기 위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긴장 체결 띠는, 긴장 체결 띠가 부착된 통형 부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이루어지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분의 소정 부위에, 상기 긴장 체결 띠를 상기의복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버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긴장 체결 띠는 이 버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 체결 띠는 그 일단부가 상기 버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일단부 근방에는 되접힌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일단부를, 상기 긴장 체결 띠의 타단부측 부분과 고정함으로써,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상기 일단부측에 루프를 만드는 루프 형성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버클에는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상기 타단부측에 만들어진 상기 루프를 관통한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루프로부터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막대 형상 부재인 고정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
  • 의복 착용 시에 사지 중 어느 하나를 덮는 통형 부분을 적어도 하나 갖는 의복 본체와, 상기 통형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소정의 긴장 체결 띠를 상기 의복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버클을 구비하고 있고,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의 부품이 되는 버클이 달린 의복.
  • 说明书全文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 버클이 달린 의복{PRESSURIZATION MUSCLE BUILDUP GARMENT, AND GARMENT WITH BUCKLES}

    본 발명은 근육의 증강에 이용하는 근육 증강 기구에 관한 것으로,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운동 기능에 장애를 가진 사람이라도 효율적으로 근육 증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는 데 적합한 근육 증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자 중 한 사람은, 근육의 증강을 쉽고도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근육 증강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 행하여, 그 성과로서 1993년 특허 출원 제313949호의 특허 출원을 행하여, 특허 제2670421호를 획득하는 데 이르렀다.

    이 특허에 관한 근육 증강 방법은 근육에 대한 가압을 이용하여 행하는「가압 근육 증강 방법」이라 불리는 종래에는 없는 특징적인 것이었다. 이 근육 증강 방법은 이하와 같은 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근육의 증강은, 일반적으로 근육을 피로하게 하여 근육 세포를 파괴한 경우에, 근육이 피로 회복 과정에서 근육 세포 파괴 이전의 상태를 넘어선 상태가 된다고 하는「초회복」의 과정을 지나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로 인해, 근육의 증강에 있어서는 바벨 등을 이용한 운동에 의해 부하를 주어 그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통상이다.

    한편, 증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근육에 있어서의 혈류를 저해함으로써도 매우 많은 운동을 한 것과 같은 피로를 근육에 줄 수 있다. 따라서 근육에 있어서의 혈류를 저해함으로써도, 근육의 비약적인 증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특허에 관한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은 이 혈류 저해에 의한 근육 증강의 이론을 응용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증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근육에 대하여 근접하는 심장에 가까운 부위, 즉 그 근육에 대하여 근접하는 상위 부위에 혈류를 저해시키는 체결력을 부여하고, 그 체결력을 조정함으로써 근육에 혈류 저해에 의한 적절한 부하를 주어, 그에 의해 근육에 피로를 발생시킴으로써 근육의 효율적인 증강을 도모한다고 하는 것이다.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은 혈류 저해에 의한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근육의 증강을 행하는 것이므로, 근육을 증강하는 데 있어서 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잘 된다고 하는 큰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은, 혈류 저해에 의한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근육에 주는 부하의 총량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운동과 함께하는 경우에는 운동에 의한 부하를 종래보다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 이점은 근육에 행하게 하는 운동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절이나 근육 손상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트레이닝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만들어 낸다.

    그런데 이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증강을 도모하고자 하 는 근육에 흐르는 혈류를 저해할 수 있고, 또한 증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근육에 대한 혈류를 저해하는 데 상응하는 적절한 가압을 근육에 대하여 부여할 수 있는 가압 근육 증강 기구가 불가결하다.

    이러한 가압 근육 증강 기구는, 일반적으로 끈 형, 혹은 벨트형의 긴장 체결 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가압 근육 증강 기구의 긴장 체결 띠는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그 루프 길이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압 근육 증강 기구는 이하와 같이 이용한다. 즉,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는 사람은 긴장 체결 띠가 만드는 루프 속에 증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신체의 소정 부위(예를 들어 팔, 또는 다리)를 통과시켜, 긴장 체결 띠가 근육에 주는 체결력이 혈류를 저해시키는 데 적당해질 정도로 그 루프의 길이를 줄여(체결을 행함), 그 루프의 길이를 유지하도록 고정을 위한 상술한 수단으로 루프의 길이를 고정한다. 그리고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는 사람은,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긴장 체결 띠를 몸에 부착한 채로 운동을 한다. 이에 의해,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이 실행되게 된다.

    본원 발명자는 혈류 저해에 의한 근육 증강 방법을 널리 공중 보급시키기 위해 가압 근육 증강 기구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1998년 특허 출원 제186277호에 기재된 발명을 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근육 증강 기구를, 사지를 덮는 통형 부분(예를 들어 트레이닝 셔츠 소매의 기단부 부분, 혹은 트레이닝 팬츠 옷자락의 기단부 부분)에 부 착하여 구성되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패션성이 뛰어나, 통상의 의복과 다를 바 없는 착용법으로 착용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혈류 저해에 의한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손쉬움이 있으므로, 혈류 저해에 의한 근육 증강 방법을 널리 공중 보급시키는 데 충분히 기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에도 개량해야 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혈류의 저해를 하기 위해서 사지에 부여하는 가압의 조정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정에 기인한다. 상술한 의복에서는 가압 근육 증강 기구가 의복의 사지를 덮는 통형 부분과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사지의 굵기가 다른 사람에 대응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가압 근육 증강 기구의 작용에 의해 사지에 근육이 붙은 경우에는 동일인이라도 사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물론, 가압 근육 증강 기구가 부착된 의복을 통째로 교환하면, 이들의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한 해결은 경제적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본원 발명은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을, 사지의 굵기가 다른 사람에 대하여 대응하기 쉽고, 또한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의 실행에 의해 사지에 근육이 붙은 경우라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는 이하의 발명을 제안한다.

    본원 발명에 관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의복 착용 시에 사지 중 어느 하나를 덮는 통형 부분을 적어도 하나 갖는 의복 본체와 상기 통형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긴장 체결 띠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을 착용했을 때에 상기 긴장 체결 띠가 부착된 통형 부분의 안쪽에 위치하는 사지를, 그 통형 부분에 부착된 상기 긴장 체결 띠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사지에 혈류를 저해하기 위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에 있어서의 상기 긴장 체결 띠는 그것이 부착된 통형 부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긴장 체결 띠를 의복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사지의 굵기가 다른 사람이 사용할 때나,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의 실행에 의해 사지에 근육이 생긴 경우에는 긴장 체결 띠만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긴장 체결 띠의 교환만 행할 수 있으면, 다른 사람이 이용하는 경우라도 대응 가능하며, 또한 동일인의 체형이 변한 경우라도 계속적인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 효과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긴장 체결 띠로서 길이, 폭 중 적어도 한 쪽이 다른 것을 복수 준비해 두면 좋다.

    또한, 긴장 체결 띠를 신축성이 있는 것으로 하는 동시에, 신축성이 다른 복수의 긴장 체결 띠를 준비해 둠으로써,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예를 들어 운동 선수가 행하는 근육 증강으로부터 일반인이 행하는 체력 만들기까지 혹은 재활의학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긴장 체결 띠를 의복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세탁이 쉬워진다고 하는 작용 효과도 갖게 된다. 세탁 시에는 긴장 체결 띠를 제거하고 의복 본체만을 세탁할 수 있게 되므로,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다른 의복과 동일하게 세탁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에 있어서의 의복 본체는 셔츠와 같은 상반신용인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바지와 같은 하반신용인 것이라도 좋다. 전자인 경우에 있어서의 사지 중 어느 하나를 덮는 통형 부분은 소매가 되고, 후자인 경우에 있어서의 사지 중 어느 하나를 덮는 통형 부분은 옷자락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에 있어서의 의복 본체는 셔츠와 바지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소위「연결」 형인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긴장 체결 띠는, 주로 사지의 근육 증강을 목적으로 하는 상기 혈류 저해에 의한 근육 증강 방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지의 예를 들어 기단부를 체결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지만, 사지를 덮는 통형 부분의 전부에 이것이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반드시 없다.

    본 발명에 의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긴장 체결 띠를 의복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긴장 체결 띠를 의복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은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의복 본체의 통형 부분의 소정 부위에 상기 긴장 체결 띠를 상기 의복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버클을 설치해 두고, 상기 긴장 체결 띠를 이 버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긴장 체결 띠를 의복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 근육 증강 방법에서는 가압해야 할 소정의 부위 및 그 부위에 부여해야 할 체결력이 일정한 범위로 정해져 있어, 이들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의복 본체의 통형 부분의 소정 부위에 상술한 바와 같은 버클을 부착해 두고, 이 버클에 긴장 체결 띠를 부착하는 것으로 하면, 긴장 체결 띠의 착탈이 있었다고 해도 긴장 체결 띠로 체결할 수 있는 신체 부위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압을 행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이 상술한 바와 같은 버클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긴장 체결 띠는 버클에 부착되게 된다. 긴장 체결 띠와 버클의 부착 방법은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버클에 부착되는 긴장 체결 띠의 위치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긴장 체결 띠는 그 일단부가 상기 버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긴장 체결 띠가, 그 일단부가 상기 버클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면, 통형 부분의 외주를 일주함으로써 긴장 체결 띠가 만드는 고리의 안쪽에 긴장 체결 띠가 남는 일이 없어지므로, 체결에 의해 신체의 소정 부위에 주는 가압의 설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주는 사용감을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일단부 부근에, 되접힌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일단부를, 상기 긴장 체결 띠의 타단부측 부분과 고정함으로써,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상기 일단부측에 루프를 만드는 루프 형성 기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버클에는 상기 긴장 체결 띠의 상기 타단부측에 만들어진 상기 루프를 관통한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루프로부터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막대 형상 부재인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긴장 체결 띠와 버클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루프 형성 기구를 이용하여 루프를 만들거나 혹은 해제함으로써, 고정부를 루프에 관통한 상태로 하거나, 루프로부터 빠진 상태로 할 수 있게 되므로, 긴장 체결 띠와 버클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버클과 의복 본체를 구비한 버클이 달린 의복은 버클을 구비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을 구성하는 것으로 가치가 높다.

    이러한 버클이 달린 의복은 의복 착용 시에 사지 중 어느 하나를 덮는 통형 부분을 적어도 하나 갖는 의복 본체와, 상기 통형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소정의 긴장 체결 띠를 상기 의복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버클을 구비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에 포함되는 버클이 달린 의복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버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버클에 벨트를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4에서 도시한 벨트의 체결 시에 있어서의 버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이 달린 의복에 벨트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에 포함되는 버클이 달린 의복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이 달린 의복에 벨트를 체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또한 중복되는 설명은 경우에 따라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것은, 하지의 근육을 증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이며, 버클이 달린 의복(10)과 벨트(20)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또,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버클이 달린 의복(10) 및 벨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버클이 달린 의복(10)은 의복 본체(11)와, 2개의 버클(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의복 본체(11)는 일반적인 하프 팬츠로, 다리를 통과시키는 2개의 통형 부분을 갖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의복 본체(1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운동을 하기 쉽도록 일정한 신축성과 탄력을 갖는 옷감으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의복 본체(11)의 배면에는 버클이 달린 의복(10)의 배면도인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 본체(11)의 배면 사이에 고리를 만들어, 그 고리 안에 벨트(20)를 통과시켜 걸어 고정하기 위한 가는 띠 형상의 천으로 만들어진 복수의 벨트 통과 고리(13)를 구비하고 있다.

    버클(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벨트(20)를 의복 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의복 본체(11)의 상기 통형 부분의 기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클(12)은 2개의 통형 부분의 양쪽에 부착되어 있다. 하지만, 버클(12)은 2개의 통형 부분 중 한 쪽에 부착되어 있어도 충분하다.

    버클(12)이 부착되어 있는 높이는 상술한 벨트 통과 고리(13)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버클(12)은 또한 의복 본체(11)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다. 버클(12)의 이 부착 위치는 버클이 달린 의복(10)을 입은 사람이, 버클이 달린 의복(10)에 벨트(20)를 고정하여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으로 할 때에 있어서의 그 탈착 작업의 용이함을 의도하여 결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버클(12)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도3은 버클(12)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버클(12)은 막대 형상의 부재를 직사각형으로 늘어놓아 형성된 프레임부(12a)와, 프레임부(12a)를 구성하는 변 중 대향하는 2개의 대략 중앙 사이에 걸쳐진 막대 형상의 부재인 부착부(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 부착부(12b)에 의해 프레임부(12a)가 분할됨으로써, 프레임부(12a)의 내부에는 2개의 버클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2b)는 버클(12)을 의복 본체(11)에 부착할 때에 이용되는 것이다. 버클(12)은 U자형으로 절곡되는 동시에 그 양단부가 의복 본체(11)에 봉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의복 본체(11)와 같은 질로 된 띠 형상의 고정용 천(14)을 통해 의복 본체(11)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지만, 상술한 부착부(12b)를 고정용 천(14)의 되접음 부분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의복 본체(11)에의 부착이 이루어져 있다. 즉, 고정용 천(14)에 부착부(12b)를 걸치게 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용 천(14)의 양단부를 의복 본체(11)에 고정함으로써 버클(12)의 의복 본체(11)에의 고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 버클(12)의 의복 본체(11)에의 고정에 고정용 천(14)을 이용함으로써 버클(12)이 다소의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벨트(20)의 탈착 작업의 용이함을 늘리는 것이다.

    다음에, 벨트(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벨트(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클이 달린 의복(10)의 버클(12)에 부착하여 이용된다. 벨트(20)는 버클이 달린 의복(10)을 착용했을 때에 통형 부분의 안쪽에 있는 사용자 신체의 소정 부위(본 실시 형태이면, 다리의 기단부)를 체결하여, 그곳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다리에 흐르는 혈류를 적절히 저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상태에서, 안정적이거나 또는 손쉬워도 좋으므로 운동을 행함으로써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이 실행되게 된다.

    벨트(20)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만들 수 있다. 벨트(20)는 그 일단부가 버클(1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벨트(20)의 버클(12)에 대한 고정을 행할 수 있도록 벨트(20)의 일단부측에는, 벨트(20)의 일단부측을 되접고, 그 되접은 벨트(20)의 일단부를 벨트(20)의 타단부측 부분에 고정하여 루프를 만들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벨트(20)의 한 쪽면의 일단부에 2개의 훅(21)이, 또한 그것과 동일한 면의 약간 타단부측에 상기 훅(21)으로 각각 걸어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그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2개의 훅(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벨트(20)는 벨트(20)의 일단부측을 버클 구멍(12c) 중 의복 본체(11)의 중심선 측에 위치하는 구멍에, 도1의 이면 측으로부터 통과시키는 동시에, 버클(12)의 프레임부(12a) 중 의복 본체(11)의 중심선 측에 위치하는 종방향의 부재를 걸치도록 하여 되접고, 서로 대응하는 훅(21)과, 훅(22)을 서로 걸어 고정함으로써 버클(12)에 고정된다. 버클(12)의 프레임부(12a) 중 의복 본체(11)의 중심선 측에 위치하는 종방향의 부재는 벨트(20)의 일단부측에 만들어진 루프를 관통한 상태가 되어 루프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되므로, 버클(12)과 벨트(20)가 고정되는 것이다.

    벨트(20)의 훅(21, 22)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서로 고정 부착되는 면 패스너(23, 24)가 설치되어 있다. 면 패스너(23, 24) 중 일단부측에 있는 면 패스너(23)는 벨트(20)가 만드는 후술하는 고리 부분에 대략 따르도록, 타단부측에 있는 면 패스너(24)는 벨트(20)가 만드는 후술하는 고리 이외의 부분에 대략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면 패스너(23, 24)는, 예를 들어 벨로크로 테이프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버클이 달린 의복(10)과 벨트(2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고정되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이 되어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을 이용하여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순서에 대하여 도4, 도5 및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와 같은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도4와 같은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을 착용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4,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의 주위를 배후로부터 한 바퀴 돌도록 벨트 통과 고리(13)를 통과시키면서 돌린 벨트(20)의 타단부측을 2개의 버클 구멍(12c) 중 의복 본체(11)의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멍에, 도4의 이면측, 도5의 상측으로부터 통과시킨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벨트(20)의 타단부측을 인장하여, 버클(12)을 기점 및 종점으로 하여 벨트(20)에 의해 형성된 고리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고리 형상으로 된 벨트(20)가 의복 본체(11)의 안쪽에 있는 사용자 다리의 기단부를 체결한다. 이때, 벨 트(20)의 타단부측을 인장하는 강도를 조절하여, 다리의 근육에 부여되는 체결력이 적당해지도록 조절한다. 벨트(20)를 도5의 X 방향으로 인장하면, 버클(12)의 위치가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벨트(20)의 타단부측을, 버클(12)의 프레임부(12a) 중 의복 본체(11)의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종방향의 부재를 지지점으로 하여 되접어, 면 패스너(23, 24)를 서로 고정 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벨트(20)가 만드는 상기 고리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다리의 근육에 부여되는 체결력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정적이거나 또는 손쉬워도 좋으므로 운동을 행함으로써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이 실행된다. 또, 이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을 사용하면,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은 한 쪽 다리나, 양쪽 다리 동시에라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12)은 벨트(20)의 체결에 수반하여 그 위치가 이동하여 다리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의 위치, 구체적으로는 의복 본체(11)의 외측부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버클(12)이 사용자가 행하는 운동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의복 본체(11)의 형상, 소재(신축성), 고정용 천(14)의 형상, 소재(신축성)는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행하는 데 상응하는 가압을 근육에 부여하는 데 알맞은 위치까지 벨트(20)를 인장하였을 때에 버클(12)이 다리 운동을 방해하지 않은 위치에 오도록 선택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것은, 상지의 근육을 증강시키는 경우에 사용되 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2)이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버클이 달린 의복(10)과 벨트(20)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또,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버클이 달린 의복(10) 및 벨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2)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7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2)은 제1 실시 형태의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1)과 가압하는 장소의 차이에 따른 차이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벨트(20)에 대해서는 사이즈와, 신축성 이외의 차이를 갖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20)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20)보다도 가늘고, 짧고, 그리고 신축성이 크다.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이 달린 의복(10)은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이 달린 의복(10)과 마찬가지로, 의복 본체(11)와 버클(12)을 포함하고 있다. 단,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가압 근육 증강용 의복(2)은 상지의 근육을 증강시키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의복 본체(11)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달리 일반적인 티셔츠 형상으로, 팔을 통과시키는 2개의 통형 부분을 갖고 있다. 버클(12)은 의복 본체(11)의 통형 부분의 양 기단부의 전방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의복 본체(11)의 배면에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은 벨트 통과 고리(13)가 설치되어 있지만, 벨트 통과 고리(13)와 버클(12)의 위치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달리 그 가로 방향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의복 본체(11)는 제1 실시 형태의 의복 본체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의복 본체(11)도,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벨트(20)로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 이 경우에 체결되는 것은 팔의 기단부이며, 팔의 근육에 대하여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압 근육 증강 방법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9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버클(12)은 팔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의 위치, 구체적으로는 의복 본체(11)의 외측부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버클(12)이 사용자가 행하는 운동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