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착식 넥타이

申请号 KR1020110091540 申请日 2011-09-09 公开(公告)号 KR1020130028194A 公开(公告)日 2013-03-19
申请人 양혜지; 发明人 양혜지;
摘要 PURPOSE: An attachable tie is provided to attach and detach a shirt and a tie to and from each other by binding a part of the shirt and the tie through one binding member selected from a magnet, a Velcro, a button, a haak, and a loop. CONSTITUTION: An attachable tie comprises a knot part(40) of an inverted triangle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vacant or filled; a Y-type neck string having a Y-shape which is worn around the neck of the shirt; a binding member(160) which comprises an apron part and is detachable from a part(100) of the shirt. The binding member of the Y-type neck string and the shirt is comprised of one binding member selected from a magnet, a Velcro, a button, a haak, and a loop.
权利要求
  • 목에 착용하는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본체(20)는 역 삼각형 형태(▽)의 속이 비거나 찬 중앙 매듭 부(40)와; 와이셔츠(200) 목에 착용하는 Y자 형태의 Y자형 목 끈(120)과; 앞면에 펼쳐지는 대검 부(8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셔츠(200)의 앞면 목 부분의 ∧존(100)에 Y자형 목 끈(120)이 결합 부재(160)에 의하여 상호 탈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넥타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목 끈(120)과 와이셔츠(200)의 결합 부재(160)는 자석,벨크로(Velcro), 단추,호크(haak), 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 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넥타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매듭 부(40)는 역 삼각형(▽) 형태의 풀림이 방지되는 고정형이며 상기 중앙 매듭 부(40)의 일측에는 상기 Y자형 목 끈(120)이 부착되며 와이셔츠(200)의 양측 컬러(220) 안쪽 일측과 두 개의 Y자형 목 끈(120)일 측에는 결합 부재(160)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 부재(160)가 서로 대응되어 와이셔츠(200)와 넥타이가 상호 결합 및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넥타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셔츠(200)의 양쪽 컬러(220) 일측과 넥타이의 Y자형 목 끈 (120) 후면에 는 각각 결합 부재(160)를 고정하여 와이셔츠(200)와 넥타이가 상호 결합 및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넥타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는 매듭 부(40)는 고무, 금속, 실리콘, 또는 합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구조물이 구성된 역 삼각형 형태의 중앙 매듭 부(40)가 구성되며 여기에 넥타이와 동일한 색상과 섬유가 상기 매듭부(40) 구조물을 감싸게 되며 상기 Y자형 목 끈(120)은 상기 넥타이와 동일직물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넥타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목 끈(12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넥타이.
  • 说明书全文

    부착식 넥타이 {Tie Attachment}

    본 발명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에서 사용하는 넥타이의 기원은 2세기 초 로마 시대의 군인들이 착용했다고 하는 "포칼"(Focal)이라는 울 소재의 수건에서 유래한다. 포칼은 병사들이 전쟁에 참가할 때나 혹은 북방지역의 험악한 기후를 견디는데 사용한 것으로 목에 두르거나 허리 띠 속에 넣거나 하여 목수건 또는 손수건으로 구분없이 사용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이것이 넥타이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다. 본원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본원의 넥타이 본체에는 중앙 매듭 부가 구성되고 아래로 대검 부가 구성되며 와이셔츠의 ∧존인 양쪽 컬러에 Y자형 목 끈이 접합 되어 상기 와이셔츠의 ∧존과 넥타이가 자석,벨크로(Velcro), 단추,호크(haak), 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 부재로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원은 넥타이의 착용시에 상기 결합 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넥타이를 와이셔츠의 목 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해체시에도 빠르고 간편하게 해체토록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넥타이의 착용과 해체가 쉽고 목에 착용시에 조임 감이 대폭 반감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한 기능성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넥타이는 양끝이 칼처럼 생겼으며 한쪽은 큰칼, 다른 한쪽은 작은 칼처럼 생겼다 하여, 넓고 큰 쪽은 '대검(Apron)' (이하 대검부 라함), 작고 좁은 쪽은 '소검(Tip)'이라 하고 (이하 소검부 라함) 양쪽을 연결하는 중앙 부분을 '중검'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기 소검이 통과하는 부분을 루프(Loop)라 하며 소검을 통과시켜 두 개의 검을 한데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택(Bar Tack)이라 부르며 넥타이는 대검, 중검, 소검 이 세 부분이 맞춰 꿰매 져고 내부에 심지를 넣어 완성된다.

    통상적인 넥타이의 종류로는 손으로 매는 핸드 노티드 타이(hand knotted tie),

    포인 핸드 타이"(For in hand), 스카프를 매는듯한 에스코트 타이(Ascot tie),

    나비 넥타이인 보우 타이(bow tie) 턱시도 착용시 사용하는 스턱타이스턱 타이(Stuck Tie) 등이 있다.

    현대 넥타이의 길이는 135㎝~143㎝, 폭은 시대나 유행에 따라 좌우되지만 8.5㎝~10㎝로 현재로서는 약 9.5㎝ 정도의 폭을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넥타이는 일체가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넥타이가 있으나 최근에는 간편성으로 내부 구조물을 둘러싸면서 섬유 넥타이 매듭이 형성되고 넥타이가 이어지며 지퍼나 끈에 의해 조임 조절을 할 수 있는 끈 넥타이가 젊은 층을 대상으로 널리 유행하고 있다.

    이는 섬유 넥타이와 끈 넥타이는 착용시 외견상으로는 차이가 거의 없게 되어 있으며 넥타이 매듭을 맬 줄 모르는 신세대나 매기 귀찮아 하거나 바쁜 일과를 갖는 학생들이나 젊은층에 점차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상기 지퍼 또는 끈 넥타이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내부 구조물에 넥타이와 동일한 섬유가 내부 구조물을 감싸게 되어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부가 일체를 이루면서 여기에 끈을 연결하여 쉽게 탈착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

    그런데 종래의 끈이나 지퍼식 넥타이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강조되었을 뿐 외관상으로는 사실상 종래의 섬유 넥타이와 동일하여 단정함을 표현하는 획일적인 기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본원 이전에 동일 카테고리로 선행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출원번호 20-2010-0009393 고안의 명칭: 목걸이형 자석 넥타이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목걸이 형태 장신구의 핵심장식물에 천-조형물(造形物)을 부착시켜 만든 혼합형-넥타이 또는 최근에 개발된 묶음매듭고정식의 천-넥타이(일명 자동넥타이) 등의 목 띠나 목줄의 둘레에, 인체건강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석(Magnet)을 여러 가지 형태와 방식으로 부착시켜 완성한 자석넥타이 자체가 기술되어있으며;

    또 다른 등록 특허 10-0667601은 넥타이를 보다 편리하고 다양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넥타이 착용 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넥타이의 매듭과 같은 형상으로 착용 구를 별도 형성하여 내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이에 다양한 종류의 넥타이를 삽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이 쉽고 간편함은 물론, 하나의 착용 구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으며, 넥타이의 길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구에 있어서, 착용시 와이셔츠와의 결합성을 향상시켜 사용중 넥타이가 와이셔츠로부터 이탈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선행되었으며 또 다른 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222179호와 같이 넥타이의 매듭과 같은 형상이고 외피로 감싸져 있는 체결 판을 형성하고, 뒤쪽에는 상하 삽입공이 형성된 삽탈판을 부착설치하� �� 결착력을 향상시켜 매듭 부가 삐뚤어지거나 와이셔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넥타이의 길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고, 하나의 착용 구에 다수의 넥타이를 번갈아가며 삽입 착용함으로써 넥타이에 의한 다양한 연출이 가능토록 한 기술이 선행 기술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넥타이를 삽입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시 넥타이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지 않아서 사용에 큰 불편함이 있었고 뒤쪽 케이스와 클립에 의해서만 넥타이가 와이셔츠에 고정되므로 착용중 넥타이를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넥타이가 와이셔츠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퍼 결속 넥타이는 이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지퍼가 쉽게 망가지고 목 부분이 제대로 조여지지 않아 흘러내리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매듭을 매지 않고 와이셔츠 목 부분의 목 끈을 다양한 결합 부재를 이용해 간단히 붙였다 뗐다 할 수 있는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목을 죄는 답답함이 없고 착 탈이 매우 신속하며 많은 활동을 하여도 상기 Y자형 목 끈 단부에 설치된 결합 부재가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여 쉽게 해체되지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연구, 창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최근에 개발 사용되는 지퍼나 끈으로 목에 조이는 묶음 매듭 고정식의 넥타이(일명 자동넥타이)를 이용하여 본원이 도출되는바 상기 넥타이 본체의 설치된 중앙 매듭부(40)는 합성수지류나, 고무, 실리콘, 금속 등으로 중앙 매듭 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외장은 넥타이 원단과 동일 색상과 재질의 섬유가 둘러싸여 사용되며, 본체의 하방향으로 상기 대검이 형성되어 있고 와이셔츠의 ∧존에 Y자형 목 끈이 접합 되어 상기 와이셔츠의 ∧존과 넥타이가 자석,벨크로(Velcro), 단추,호크(haak), 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 부재로 서로 상기 와이셔츠와 넥타이가 탈부착 되는 것을 본원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원의 넥타이는 고무, 금속,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내부 구조물이 구성된 역 삼각형 형태의 중앙 매듭 부가 구성되며 여기에 넥타이와 동일한 색상과 섬유가 상기 내부 구조물을 감싸게 되어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부가 일체를 이루면서 여기에 탄성력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 재질인 Y자형 목 끈을 구성 연결하여 쉽게 와이셔츠에 탈착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 Y자형 목 끈은 조임이 거의 없는 탄성 재질로 보다 견고하게 와이셔츠에 고정시켜 착용중 넥타이가 흘러내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넥타이 결합 부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중 넥타이의 분실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와이셔츠에 고정시켜 착용중 넥타이가 흘러내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넥타이의 활동중에 흘러내림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은 종래의 획일적인 넥타이의 착용 기능에서 탈피하여 보다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조시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며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종래 지퍼식 조임 넥타이에 비하여 수명이 다할 때까지 고장이 전혀 없으며 상기 넥타이를 매거나 푸는데 매우 이상적인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원은 넥타이의 착용시에 상기 결합 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넥타이를 와이셔츠의 목 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해체시에도 빠르고 간편하게 해체토록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넥타이의 착용과 해체가 쉽고 특히 목에 착용시에 조임 감이 대폭 반감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한 기능성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착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넥타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착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와이셔츠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식 부착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와이셔츠와 넥타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구성의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의 상기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첨부된 5개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그림으로 3회를 사용하고서 지퍼가 망가져 사용이 불가능한 넥타이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사진에서와 같이 지퍼식 넥타이를 사용하는 것은 바쁜 일상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매우 적합하고 사람의 육안으로 어떤 방식의 넥타이를 착용하였는지 알 수가 없는 넥타이지만 여기에 따르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지퍼 조임식 넥타이는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이 편한 것은 기정 사실이나 상기 넥타이를 당겨주는 지퍼가 금세 마모되거나 상기 지퍼를 잠 그어 주는 지퍼 헤드 부나 지퍼의 이빨이 고장이 나므로 상기 사진에서와 같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넥타이를 풀고 잠그는 과정에서 상기 넥타이의 소검부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긴 지퍼가 사용되며 강한 당김이나 풀어주는 충격이 발생하므로 이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지퍼가 고장이 나는 것은 어쩌면 필연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퍼식 넥타이와 일반적인 종래 손으로 매는 넥타이의 또 다른 취약점은 목에 두르는 넥타이의 Y자형 목 끈(120)이 탄성체가 아니므로 목에 착용하고 조금만 활동을 하다 보면 넥타이가 와이셔츠(200)의 넥타이 ∧ 존에서 쉽사리 벗어나게 되어 보기가 안 좋아 수시로 넥타이의 역삼각형 형태(▽)의 중앙 매듭 부(40)를 수시로 당겨 주어야 하는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여기에 반하여 본원 발명은 결합 부재(160)를 이용함으로 와이셔츠(200)와 넥타이의 결합이 매우 자유스럽고 착용이 매우 쉬우며 한번 넥타이를 착용하게 되면 상기 넥타이를 목에 고정하는 Y자형 목 끈(120)이 소프트한 탄성체이므로 넥타이를 착용하는 동안에 자신도 모르게 점차 상기 넥타이 ∧ 존에 걸맞게 조금씩 댕겨 주므로 별다른 이물감 없이 항상 점잖고 단정한 이미지의 남성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착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넥타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목에 착용하는 상기 넥타이 본체(20)는 역 삼각형 형태(▽)의 속이 비거나 채워진 중앙 매듭 부(40)와 목에 착용하는 Y자형 목 끈(120)과 앞면에 펼쳐지는 대검 부(80)로 구성되며 본원의 넥타이 본체에는 중앙 매듭 부(40)가 구성되고 아래로 대검 부(80)가 구성되며 와이셔츠(200)의 ∧존(100)인 양쪽 컬러(220)에 Y자형 목 끈(120)이 부착되는 Y자형 목 끈 결합부(140) 상기 와이셔츠(200)의 ∧존(100)과 넥타이가 자석,벨크로(Velcro), 단추,호크(haak), 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 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부재(160)는 벨크로(Velcro)테잎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강력자석인 네오디뮴자석(Neodymium Magnet)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단추나, 호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본원에서 선택적으로 넥타이 결속 부재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넥타이 본체(20)는 역 삼각형 형태(▽)의 속이 비거나 찬 중앙 매듭 부(40)로 구성되며 여기에 넥타이와 동일재질이 씌워지며 목에 착용하는 Y자형 목 끈(120)과 앞면에 펼쳐지는 대검 부(80)를 구성하여 와이셔츠(200)의 목에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넥타이의 전 방부를 이루는 대검 부(80)가 구비되고, 상기 대검 부(80)의 상부 쪽 선단에 일체로 중앙 매듭 부(40)가 형성되되, 상기 중앙 매듭 부(40)를 이루는 천의 선단이 일정 길이만큼 접혀진 상태로 사선 방향으로 재봉 되어 상기 대검 부(80) 선단에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된 넥타이 원단 선단을 외 측에서 또다시 재봉하여 고정케 한 중앙 매듭 부(40)가 형성되어 체결된 소검 부 를 상기 중앙 매듭 부(40)에 결합하여 사람의 목에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착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와이셔츠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대응 식 결합 부재(16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앞서 말한 상기 결합 부재(160)가 마주보며 탈 부착되는 대응 식 결합 부재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합 부재(160)는 봉제나, 조임식, 리벳이나 끼움식, 접착식, 나 사식 등으로 상기 넥타이의 Y자형 목 끈(120) 단부에 Y자형 Y자형 목 끈 결합부(140)에 각각 고정되며 체결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 부재(160) 일측에 사진에서와 같이 가이드 형태의 결합 부재(160)를 설치토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식 부착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와이셔츠와 넥타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남성이 본원의 넥타이를 착용한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넥타이 본체(20)는 역 삼각형 형태(▽)의 속이 비거나 찬 중앙 매듭 부(40)와; 와이셔츠(200) 목에 착용하는 Y자 형태의 Y자형 목 끈(120)과; 앞면에 펼쳐지는 대검 부(8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셔츠(200)의 앞면 목 부분의 ∧존(100)에 탈 부착되는 구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Y자형 목 끈(120)과 와이셔츠(200) 결합 부재(160)는 자석,벨크로(Velcro), 단추,호크(haak), 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결합 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매듭 부(40)는 역 삼각형(▽) 형태의 풀림이 방지되는 고정형이며 상기 중앙 매듭 부(40)의 일측에는 상기 Y자형 목 끈(120)이 부착되며 와이셔츠(200)의 양측 컬러(220) 안쪽 일측과 두 개의 Y자형 목끈(120)일측에는 결합 부재(160)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 부재(160)가 서로 대응되어 셔츠와 넥타이가 상호 결합 및 해체되는 것이다.

    또한, 와이셔츠(200)의 양쪽 컬러(220) 중앙과 넥타이의 Y자형 목 끈 (120) 후면에 각각 결합 부재(160)를 고정하여 셔츠와 넥타이가 상호 결합 및 해체되며 상기 넥타이는 고무, 금속,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내부 구조물이 구성된 역 삼각형 형태의 중앙 매듭 부(40)가 구성되며 여기에 넥타이와 동일한 색상과 섬유가 상기 내부 구조물을 감싸게 되며 상기 Y자형 목 끈(120)은 상기 넥타이와 동일직물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Y자형 목 끈(12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1~도 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결합 부재(160)를 구비한 탄성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 부재(160)를 다시 설명하여 보면 상기 넥타이 본체(20)는 넥타이 중앙의 중앙 매듭 부(40)의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넥타이의 풀림과 조임을 조절하는 목 끈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하였듯이 넥타이 본체(2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매듭 부(40)는 종래의 넥타이와 육안 판별이 어렵게 손으로 매는 넥타이와 동일한 매듭부(40)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역 삼각형상(▽)을 한 합성 수지류나 금속,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관에 상기 넥타이와 상응하는 동일재질과 색상의 섬유가 둘러싸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 매듭부(40)둘 레는 ▽형 홈을 구비하며 Y자형 목 끈(40)이 통과하는 개구부를 구비되어 넥타이 본체(20)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넥타이를 연결하는 봉제 작업의 편의성과 결합성 등을 고려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타이 본체(20)의 후면에는 넥타이의 소검부와 소검 끼움 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이 소검 끼움 부에는 상기 넥타이의 소검부가 정렬시키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소검 끼움 부를 넥타이 연결부에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소검 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조립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돌출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넥타이 본체(20)에 일체로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넥타이 목 끈(140)을 쉽게 와이셔츠(200)에 착용케 하는 결합 부재(160)로 하고 상기 결합 부재(160) 말단에는 Y자형 목 끈(120)을 결합하는 Y자형 Y자형 목 끈 결합부(140) Y자형 목 끈 결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Y자형 목 끈(120)이 단단하게 결합이 되며 여기 말단부에는 본원의 결합 부재(160)가 부착하여 넥타이를 와이셔츠(200)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며 종래의 손으로 매는 넥타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부재(160)와 Y자형 목 끈(120)에 의하여 와이셔츠(200)의 넥타이를 매는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넥타이 본체 40: 중앙 매듭부
    60: 종래 목 끈 80: 대검 부
    100: ∧존 120: Y자형 목 끈
    140: Y자형 목 끈 결합부 160: 결합 부재
    200: 와이셔츠 220: 양쪽 컬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