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터치형 넥타이 매듭구

申请号 KR1020110043408 申请日 2011-05-09 公开(公告)号 KR1020120125773A 公开(公告)日 2012-11-19
申请人 최수빈; 发明人 최수빈;
摘要 PURPOSE: A one-touch type knotting unit for a necktie enabling users easily wearing the necktie using tongs is provided to use a hook and a supporter installed on a handle forming the predetermined angle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necktie. CONSTITUTION: A one-touch type knotting unit for a necktie includes a bottom unit(10), tongs(20), and a hook(30). The bottom unit includes a fixing unit(12) and a fixing reinforcement stand(14). A knot of the necktie is located on the fixing unit. A fixing stand(11) is installed on the fixing unit. A fixing groove is installed on the fixing reinforcement stand. The tongs include a connection stand(22) and a handle(24).
权利要求
  • 넥타이의 매듭이 위치되며 고정대(11)가 형성되는 고정부(12)와, 상기 고정부(12)의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며 고정홈(13)이 형성된 고정보강대(14)로 구성된 바탐(10);
    상기 바탐(10)의 고정대(14)와 밀착되며 고정홈(13)과 대응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는 연결대(2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지지대(23)가 형성되는 손잡이(24)로 구성된 집게(20);
    상기 바탐(10)의 고정부(12)의 상측이나 집게(20)의 지지대(23)에 일측 중 어느 한곳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바탐(10)과 집게(20)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되, 일부 개방된 홈(31)이 형성된 고리(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넥타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탐(10)의 고정대(11)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넥타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20)의 손잡이(24)에 형성된 지지대(23)에 장공형태의 보조홈(25)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넥타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30)가 집게(20)의 지지대(23)에 형성될 경우, 지지대(23)에서 40 ~ 120°의 경사각(θ)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넥타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30)가 바탐(10)에 형성될 경우 고리(30)가 바탐(10)의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고리(30)가 집게(20)에 형성될 경우 고리(30)가 바탐(10)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넥타이.
  • 说明书全文

    원터치형 넥타이{An one touch typed necktie}

    본 발명은 원터치형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게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원터치형식으로 단추에 매거나 풀 수 있으며, 집게가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신체에 상처와 같은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고, 넥타이로 인한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할 수 있으며 넥타이가 쉽게 흔들리지 않는 원터치형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긴 끈형태를 사용자가 직접 목에 매도록 사용하였는데, 이는 사용자가 일일이 줄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매기 불편하였다.

    그래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21649호와 같이 집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집게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매더라도 집게의 일부를 신체와 맞닿도록 하여 넥타이를 매야 했기 때문에, 알레르기 등이 있는 사용자의 피부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게만을 이용하여 넥타이를 맬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집게가 흔들리게 되면서 넥타이의 바탐분이 쉽게 흔들리게 되어 사용자가 자주 넥타이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덧붙여, 넥타이를 매기 위해 집게를 사용자의 목이 있는 드레스셔츠의 상측에서부터 삽입하여야 했기 때문에, 집게부분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상처가 생기거나 사용자가 목을 움직이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사용자의 셔츠에 고정되는 집게의 고리부분과 집게를 움직이기 위한 손잡이가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넥타이가 쉽게 흔들리거나 신체와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넥타이는 넥타이의 매듭이 위치되며 고정대가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며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보강대로 구성된 바탐과, 상기 바탐의 고정대와 밀착되며 고정홈과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지지대가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집게와, 상기 바탐의 고정부의 상측이나 집게의 지지대에 일측 중 어느 한곳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바탐과 집게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되, 일부 개방된 홈이 형성된 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추에 끼워지는 고리와 상기 고리와 연결되는 손잡이의 지지대를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넥타이가 쉽게 흔들리지 않으면서 신체와 이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넥타이를 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집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자의 의복에 원터치형태로 매거나 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사용자가 넥타이를 착용한 후, 외부의 힘에 의해 넥타이가 당겨지게 되더라도 넥타이가 쉽게 풀려 지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압력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해를 입게 되는 상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집게 등이 접촉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가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넥타이를 착용할 때, 넥타이를 사용자의 몸이 있는 하측부분에서부터 단추에서 끼워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불편을 주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장공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고리가 고정되는 단추의 하측에 위치된 단추에 상기 홈을 결합하게 되면, 넥타이가 더욱 견고하게 사용자의 의복에 고정될 수 있어, 넥타이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넥타이를 착용할 때, 집게를 셔츠의 외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상처를 입히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터치형 넥타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원터치형 넥타이의 분해사시도.
    도 3과 4는 본 발명인 원터치형 넥타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넥타이(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탐(10)와 집게(20)와, 고리(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탐(10)은 넥타이의 매듭이 위치되며 고정대(11)가 형성되는 고정부(12)와, 상기 고정부(12)의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며 고정홈(13)이 형성된 고정보강대(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게(20)는 상기 바탐(10)의 고정대(14)와 밀착되며 고정홈(13)과 대응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는 연결대(2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지지대(23)가 형성되는 손잡이(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리(30)는 상기 바탐(10)의 고정부(12)의 상측이나 집게(20)의 지지대(23)에 일측 중 어느 한곳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바탐(10)과 집게(20)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되, 일부 개방된 홈(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탐(10)의 고정대(11)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넥타이의 매듭을 형상을 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집게(20)의 손잡이(24)에 형성된 지지대(23)에 장공형태의 보조홈(25)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홈(27)에 사용자의 단추를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넥타이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고리(30)가 집게(20)의 지지대(23)에 형성될 경우, 지지대(23)에서 40 ~ 120°의 경사각(θ)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넥타이가 신체에서 너무 벌어지거나 안쪽으로 말리지 않도록 하여, 넥타이의 착용감을 편하게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고리(30)가 바탐(10)에 형성될 경우 고리(30)가 바탐(10)의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고리(30)가 집게(20)에 형성될 경우 고리(30)가 바탐(10)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단추에 고정되는 바탐(10) 및 집게(2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바탐(10), 집게(20), 고리(30)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사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탐(10), 집게(20) 등을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바탐(10)에 형성된 고정보강대(14)와 집게(20)에 형성된 연결대(22)를 밀착시키면서, 상기 고정보강대(14)의 고정홈(13)과 연결대(22)의 결합홈(21)을 대응시키고 고정홈(13)과 결합홈(21)에 축(도면에 미도시), 핀(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30)를 바탐(10)이나 집게(20) 중 어느 한 곳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고리(30)를 집게(20)에 형성할 경우, 집게(20)에 형성된 지지대(23)와 고리(30)를 40 ~ 120°의 경사각(θ)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이는, 상기 고리(30)를 집게(20)에서 일정간격 돌출되도록 하여, 넥타이의 매듭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넥타이의 매듭이 안쪽으로 말리지 않고 넥타이의 매듭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리(30)를 바탐(10)에만 형성할 경우, 고리(30)의 일부가 개방된 홈(31)이 바탐(10)의 내측방향(집게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집게(20)에만 형성될 경우 고리(30)의 홈(31)이 바탐(10)을 향하도록 하여 위치시킨다.

    이는, 바탐(10)과 집게(20)를 이용하여 넥타이(도면에 미도시)를 착용할 때, 사용자가 자신의 의복에 넥타이를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 바탐(10)과 집게(20)의 양측으로 고리(30)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바탐(10)과 집게(20)에 형성되는 고리(30)의 방향을 각각 대향되어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마주보는 고리(30)가 단추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상기 고리(30)가 바탐(10)에 형성될 경우, 집게(20)의 지지대(23)가 고리(30)의 홈(31)에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대(23)의 폭을 홈(31)의 간격보다 넓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집게(20)의 지지대(23)에 장공형태의 보조홈(25)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넥타이를 착용하고 고리(30)를 단추(도면에 미도시)에 결합시키고, 다른 위치의 단추에 보조홈(25)을 끼움으로써, 넥타이가 흔들리지 않고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의복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탐(10)을 형성할 때, 넥타이의 매듭이 위치되는 고정대(11)의 외측면을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형성하여, 넥타이의 매듭이 찌그러지지 않고, 정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바탐(10)과 집게(20), 고리(30) 등을 형성한 후, 바탐(10)과 집게(20)가 원활하게 닫히고 열릴 수 있도록 바탐(10)과 집게(20)의 사이에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의복에 넥타이를 착용할 경우, 단추에 상기 바탐(10)이나 집게(20)에 형성된 고리(30)의 홈(31)에 단추를 끼우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탐(10)과 집게(20)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바탐(10)과 집게(20)의 간격을 벌린 후, 바탐(10)이나 집게(20)에 형성된 고리(30)이 단추가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힘에 의해 바탐(10)과 집게(20)의 간격이 벌어져 고리(30)를 의복에 끼울 때, 고리(30)가 바탐(10)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바탐(10)을 사용자의 신체(얼굴) 상부부분에서 하부부분으로 내리면서 단추에 고리(30)를 끼우도록 하고, 고리(30)가 집게(20)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바탐(10)의 사용자의 신체(얼굴) 하부부분에서 상부부분으로 올리면서 단추에 고리(30)를 끼우도록 한다.

    이는, 상기 고리(30)가 바탐(10)에 형성될 경우 고리(30)가 바탐(10)의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집게(20)에 형성될 경우 고리(30)가 바탐(10)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상기 고리(30)의 방향으로 바탐(10)과 집게(20)의 위치에 따라 그 방향을 다르게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넥타이를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리(30)의 홈(31)에 단추가 끼워지게 되면, 바탐(10)가 집게(2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여 바탐(10)과 집게(20)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여 넥타이의 착용을 마무리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넥타이를 사용자의 의복에서 떼어낼 때에는 상술한 방법과 역순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탐(10)과 집게(20), 고리(30)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착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20)를 사용자의 의복의 내측으로 위치하지 않아도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집게(20)에 의한 신체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넥타이를 사용자의 목에 감지않고도 넥타이를 맬 수 있어, 넥타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로 전해지는 압력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넥타이가 당겨지게 되더라도 쉽게 넥타이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이격되게 되어 넥타이에 의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탐(10)에 형성된 고정부(11)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게 되면 넥타이의 매듭이 바탐(10)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지 않게 되어, 넥타이의 매듭을 보다 풍성하게 보이면서 넥타이의 매듭이 쉽게 우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게(20)의 지지대(23)에 장공형태의 보조홈(25)을 형성하여 넥타이를 사용자가 착용할 때, 상기 보조홈(25)에 다른 단추를 끼우게 되면 넥타이가 사용자의 의복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자가 심하게 움직이더라도 넥타이가 쉽게 흔들리거나 흐트러지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넥타이를 자주 정리를 하지 않아도 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바탐(10)이나 집게(20) 중 어느 한 곳에만 고리(30)를 형성하여 넥타이를 사용자의 의복에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바탐(10)과 집게(20) 양측으로 고리(30)를 형성하여 넥타이가 더욱 견고하게 사용자의 의복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탐(10)에만 고리(30)를 형성할 경우, 집게(20)의 지지대(23)의 폭을 고리(30)의 홈(31)보다 크게 하여, 지지대(23)가 홈(31)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고리(3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지지대(23)가 홈(3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대(23)가 홈(31)으로 삽입될 경우 바탐(10)과 집게(20)에 의해 단추가 의복에서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넥타이를 사용자가 착용할 때, 사용자의 의복 외측으로 바탐(10)와 집게(20)가 위치되게 됨으로써, 사용자와 직접 신체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알레르기를 발생시키거나 신체에 해를 가하지 않게 되며, 사용자가 집게(2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터치 형태로 넥타이를 풀거나 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게(20)의 지지대(23)와 고리(30)를 직선형태가 아닌 40 ~ 120°의 경사각(θ)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넥타이 매듭이 신체에서 일정하게 돌출하게 됨으로써, 넥타이의 매듭이 말리지 않도록 하고 넥타이의 매듭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3)와 고리(30)를 일자형태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자로 형성하게 될 경우 넥타이의 매듭이 신체방향으로 말리거나 찌그러질 수도 있게 때문이다.

    10 : 바탐 11 : 고정대
    12 : 고정부 13 : 고정홈
    14 : 고정대 20 : 집게
    21 : 결합홈 22 : 연결대
    23 : 지지대 24 : 손잡이
    30 : 고리 31 : 홈
    50 : 원터치형 넥타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