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타이, 셔츠, 버튼 및 냅킨

申请号 KR1020067004442 申请日 2004-09-06 公开(公告)号 KR1020060096987A 公开(公告)日 2006-09-13
申请人 사토 노리카즈; 发明人 사토노리카즈;
摘要 A completely new type of necktie usable irrespective of age and sex, wherein a knot or a knot-like part is formed thereon and fitted to the neck of the shirt through a clasp which is separable from a necktie body and fitted to the neck of the shirt to suspend the necktie from the clasp. Since the clasp is used, the neckti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pressure on the periphery of the neck is absent. Since the necktie can be manufactured by slightly changing a normal necktie,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Since the necktie can be washed, does not cause elapse of shape after washing, and can be easily returned to the normal state thereof, its appearance doe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mal necktie.
权利要求
  • 넥타이를 절단·분리·구멍내기 가공 등 하지 않고, 넥타이에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매듭)을 형성하고, 그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를,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 옷깃에 부착함으로써, 넥타이가 걸쳐 매달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에 있어서, 넥타이를 그 대검부와 소검부 사이에서, 양쪽 부분의 이면끼리가 마주하도록 접음선을 따라 접는 것을 전제로 하여, 그 접음선 근방의 소검부를 중앙선을 따라 접음으로써 좁힘부를 형성하고, 넥타이를 접음선을 따라 접은 후, 이 좁힘부를 접음선 근방의 대검부로 감싸고, 또한 그 양쪽 가장자리부를 결합함으로써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고, 이 잘록한 부분과 접음선 사이에 노트 형상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2 항에 있어서, 좁힘부는 소검부를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또는 이면측에서 표면측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내에, 형태 조정기구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 형상부와 대검부는 연속되고, 그것들의 표면에 무늬나 각종 디자인, 장식을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 조정기구와 상기 고정기구의 주위에 넥타이를 맴으로써, 통상의 넥타이와 동일한 노트를 형성하고, 그 노트를 셔츠의 옷깃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넥타이를 통상의 매는 방법으로 맨 후, 이 노트 속에 목 주위부를 끌어넣음으로써, 넥타이에 노트 형상부를 형성하고, 그 노트 형상부를 상기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 옷깃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7 항에 있어서, 노트 형상부가 통상의 노트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목 주위부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노트 형상부 아래 근방의 대검부 및 소검부에서, 소검부를 감싸도록 대검부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결합함으로써, 노트 형상부의 아래에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기구가 양단에 결합부가 설치된 띠편으로서, 상기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에 상기 띠편을 통과시킨 후, 이 결합부를 셔츠의 옷깃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기구가 양단에 결합부가 설치된 띠편으로서, 이 결합부를 셔츠의 옷깃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띠편의 위에 설치된 다른 결합부에, 상기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에 설치된 또다른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의 결합부의 적어도 1개가, 띠편의 표리에 동심원상으로 고정된 똑딱단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검부의 일부를, 이면측으로부터 집음으로써, 이 대검부의 표면에 딤플(움푹 들어간 곳)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검부의 이면, 또는 소검부의 표면 또는 이면에, 셔츠의 제 1 버튼 이외의 버튼에 거는 버튼 걸음부를 설치하고, 그 위치를 버튼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제 14 항에 있어서, 버튼 걸음부에 걸리는 셔츠의 버튼이, 버튼과 똑딱단추를 합체시켜, 양쪽 기능을 갖게 한 똑딱단추 부착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양단에 결합부가 설치된 띠편으로서, 이 결합부를 셔츠의 옷깃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시킨 이 띠편을 넥타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 셔츠의 옷깃에 결합되는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 옷깃에 부착하도록 한 나비 넥타이 또는 리본 넥타이.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넥타이가 장착되는 셔츠.
  • 버튼과 똑딱단추를 합체시켜 양쪽의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똑딱단추 부착 버튼.
  • 냅킨에 1개 이상의 똑딱단추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냅킨.
  • 说明书全文

    넥타이, 셔츠, 버튼 및 냅킨{NECKTIE, SHIRT, BUTTON, AND NAPKIN}

    본 발명은, 고정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장착이 용이하고 게다가 목 주위의 압박감이 전혀 없는 등 여러 이점을 갖는 넥타이 및 셔츠, 버튼, 냅킨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넥타이는 그것을 착용하는 사람의 취미, 성격, 사회적인 지위나 감정의 표현 등을 나타내는 남성의 장식품으로서 19세기 초기부터 사용되어 온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넥타이의 장착 즉 매는 방법은 익숙해지지 않으면 어려운 데다, 장착시의 목 주위의 압박에 의해 체열의 발산이 억제됨과 동시에, 혈행이 나빠져, 개중에는 어깨가 결리는 사람도 많이, 이것들의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또, 종래의 넥타이에서는 매듭(노트)과, 그 아래에 있는 대검부에서는 넥타이의 무늬가 연속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것이었다.

    그래서, 종래, 장착을 쉽게 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예 1과 같이, 미리 장착시의 형태로 형성된 넥타이(1)의 매듭(2)에 끈(3)을 고리 모양으로 통과시키고, 이 끈(3)의 고리를 목에 걸치고 이 끈(3)의 일단(3a)를 잡아 당겨서 고리를 죔으로써 장착하는 것이 있었다. 그런데, 이 종래예도 장착시의 목 주위의 압박을 해소하는 것은 아니고, 끈(3)의 일단(3a)을 더욱 강하게 잡아당겼을 경우에는, 질 식마저 일으킬 지 모르는 것이었다. 또, 셔츠의 옷깃에 겹쳐서 소검부가 휘감아지므로, 체열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고, 특히 여름철에 몹시 무더운 것이었다. 또한, 미리 전문 업자가 매듭(2)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높아, 땀에 의해 가장 더럽혀지기 쉬운 매듭(2)은 세탁되면 수분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잘 마르지 않아, 형태 변형도 일어나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장착을 쉽게 한 넥타이로서, 도 2에 도시한 예 2와 같이, 미리 장착시의 형태로 형성된 넥타이(1)의 매듭(노트)(2)에 협착(挾着) 훅(똑딱단추 금구)(4)을 편입하고, 이 협착 훅으로 셔츠의 옷깃을 끼워 유지함으로써 장착하는 것이 있었다. 그런데, 이 종래예는 장착시의 목 주위의 압박을 해소하는 것이지만, 셔츠의 제 1 버튼을 반드시 끼울 필요가 있어, 장착은 간단하지만, 탈착에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또 협착 훅(4)의 훅부가 직접 피부에 접촉하므로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기 쉬운 것이었다.

    또 미리 전문 업자가 매듭(2)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높고, 땀에 의해 가장 더럽혀지기 쉬운 매듭(2)은, 협착 훅(4)이 편입되어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세탁이 불가능하고, 할 수 없이 세탁했을 때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잘 마르지 않아, 형태 변형도 일어나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어느 넥타이도, 미리 장착시의 형태로 가공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넥타이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 복잡한 매는 방법으로 노트를 만들었기 때문에, 넥타이의 무늬가 연속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2-317321호

    [특허문헌 2] 일본 등록 실용신안 제 3012134호

    그래서, 본 발명은, 고정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장착·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셔츠의 제 1 버튼은 채우지 않아서 되고, 목 주위의 압박이 전혀 없고, 통상의 넥타이에 약간의 변경을 행하기만 하면 되므로, 제조 코스트가 싸고, 세탁이 가능하며, 세탁해도 형태 변형을 일으키지 않아, 통상의 넥타이의 상태로 용이하게 되돌아갈 수 있는 등 여러 이점을 갖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넥타이를 절단·분리·구멍내기 가공 등을 하지 않고, 넥타이에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를 형성하고, 그것들을 넥타이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또한 셔츠 옷깃의 표면에 부착되는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 옷깃에 부착함으로써, 넥타이가 걸쳐 매달아 지도록 한 넥타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넥타이를 목에 감지 않으므로, 목 주위의 압박감을 제로로 할 수 있고, 넥타이를 간단하게 장착·탈착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넥타이를 그 대검부와 소검부 사이에서, 양쪽 부분의 이면끼리 마주하도록 접음선을 따라 접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때 접음선 근방의 소검부를 중앙선을 따라 접음으로써 좁힘부를 형성하고, 넥타이를 접음선을 따라 접은 후, 이 좁힘부를 접음선 근방의 대검부로 감싸고, 또한 그 양 가장자리부를 결합함으로써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고, 이 잘록한 부분과 접음선 사이에 노트 형상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목에 감지 않고, 노트가 없는(노트 형상부는 있음) 넥타이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좁힘부는 소검부를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또는 이면측에서 표면측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내에, 형태 조정기구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형태 조정기구에 의해, 넥타이의 형태를 아름답게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넥타이의 노트 형상부와 그 아래쪽의 대검부가 연속되어 있는 장점을 살려, 그 표면에, 무늬나 각종 디자인, 장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통상의 넥타이에서는, 노트와 그 아래의 대검부의 표면은 불연속이기 때문에, 무늬 등을 노트로부터 연속해서 나타낼 수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이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형태 조정기구와, 상기 고정기구의 주위에 넥타이를 맴으로써, 통상의 넥타이와 동일한 노트를 형성하고, 그 노트를 셔츠의 옷깃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목에 감지 않는 넥타이임에도 불구하고, 외견상은 통상의 넥타이와 다르지 않은 넥타이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넥타이를 통상의 매는 방법으로 맨 후, 이 매듭 속에 목 주위부를 끌어넣음으로써, 넥타이에 노트 형상부를 형성하고, 그 노트 형상부를 상기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 옷깃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넥타이도 청구항 6의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외견상은 통상의 넥타이와 다르지 않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노트 형상부가 통상의 매듭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목 주위부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노트 형상부 아래 근방의 대검부 및 소검부에 있어서, 소검부를 감싸도록 대검부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결합함으로써, 노트 형상부의 아래에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기구가 양단에 결합부가 설치된 띠편으로서, 상기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에, 상기 띠편을 통과시킨 후, 이 결합부를 셔츠의 옷깃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기구가, 양단에 결합부가 설치된 띠편으로서, 이 결합부를 셔츠의 옷깃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띠편의 위에 설치된 다른 결합부에, 상기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에 설치된 또 다른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의 결합부중 적어도 1개가, 띠편의 표리에 동심원상으로 고정된 똑딱단추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검부의 일부를, 이면측으로부터 집음으로써, 이 대검부의 표면에 딤플(움푹 들어간 곳)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검부 또는 소검부의 표면 또는 이면에, 셔츠의 제 1 버튼 이외의 버튼에 거는 버튼 걸음부를 설치하고, 그 위치를 버튼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버튼과 버튼 걸음부는, 통상의 넥타이 핀을 대신하게 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4에 있어서,

    버튼 걸음부에 걸리는 셔츠의 버튼이 버튼과 똑딱단추를 합체시켜, 양쪽의 기능을 갖게 한 똑딱단추 부착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양단에 결합부가 설치된 띠편으로서, 이 결합부를 셔츠의 옷깃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시킨 이 띠편을, 넥타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넥타이에서는, 손으로 상자 등을 들어 나를 때, 통상의 넥타이와는 달리, 대검부, 소검부가 없으므로, 그것들이 방해되지 않는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셔츠의 옷깃에 결합되는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 옷깃에 부착하도록 한 나비 넥타이 또는 리본 넥타이를 나타내고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넥타이가 장착되는 셔츠를 나타내고 있다.

    이 셔츠에는 예를 들면, 옷깃에 결합부가 있고, 또 똑딱단추 부착 버튼이 붙어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 버튼과 똑딱단추를 합체시켜, 양쪽의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똑딱단추 부착 버튼을 나타내고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은, 냅킨에 1개 이상의 똑딱단추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냅킨을 나타내고 있다.

    이 냅킨을 식사시에, 본 발명의 각종 넥타이를 덮도록 장착함으로써, 넥타이를 더럽히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넥타이에 의하면, 그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를,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의 옷깃에 부착하도록 한 것 뿐이므로, 장착·탈착이 대단히 용이하다. 또, 띠의 고리를 목 주위에 걸치지 않으므로, 또 셔츠의 제 1 버튼은 채우지 않아도 되므로, 장착시의 목 주위의 압박이 전혀 없어, 혈행이 나빠지거나, 어깨가 결리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 타인이 잡아당긴 경우에 용이하게 벗겨지므로, 안전성이 높다. 또, 체열도 빠져나가기 쉬워, 여름철에도 시원하다. 또, 간단한 고정기구를 사용하고, 접는 것, 봉합이나 끈을 매는 것 등에 의해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여 노트 형상부를 형성하는 것 뿐이며, 또는 통상의 넥타이의 매는 방법으로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를 형성하 것만으로 되므로, 제조 코스트가 싸다. 또, 간단히 접고, 접음선 근방에 잘록한 부분을 준비함으로써 노트 형상부를 만들므로, 넥타이의 무늬가 연속되어, 미관이 우수하다. 또한, 접음선 및 잘록한 부분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노트 형상부의 크기를 변화시켜, 장착시의 넥타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결합부를 서로 분리하는 것 등에 의해, 전개한 상태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으므로, 세탁이 가능하며 세탁해도 형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넥타이 예 1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넥타이 예 2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넥타이의 제 1 실시예의 전개도,

    도 4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장착시의 기본적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VV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의 VV선에 따르는 다른의 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넥타이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6 실시예의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에 삽입되는 형태 조정기구의 1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넥타이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6 실시예의 노트 형상부 또는 노트에 삽입되는 형태 조정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의 고정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기구가 부착되는 셔츠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0의 고정기구를 넥타이의 노트 형상부(17)에 통과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a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넥타이를 셔츠에 장착한 도면,

    도 13b는 도 13a에서 셔츠의 옷깃을 젖혀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 1 실시예에서 무늬가 연속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형태 조정기구와 고정기구의 도면,

    도 16a는 제 2 실시예의 넥타이의 정면도,

    도 16b는 제 2 실시예의 넥타이의 배면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제 3 및 4 실시예의 넥타이를 셔츠에 장착한 도면,

    도 17b는 도 17a에서 셔츠의 옷깃을 젖혀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a는 통상의 넥타이를 맨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8b는 도 17a의 배면도,

    도 1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넥타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9b는 도 19a의 배면도,

    도 20a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넥타이를 셔츠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b는 도 20a에서 셔츠의 옷깃을 젖혀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a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넥타이의 정면도,

    도 21b는 도 21a의 배면도,

    도 22a는 제 5 실시예의 넥타이의 정면도,

    도 22b는 제 5 실시예의 넥타이의 배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넥타이의 제 6 실시예의 고정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상기 제 6 실시예의 넥타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a는 똑딱단추쌍 부착 띠편의 평면도,

    도 25b는 똑딱단추쌍 부착 띠편의 정면도,

    도 26은 넥타이의 딤플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6의 VI-VI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8a는 버튼 걸음부에 걸리는 셔츠의 똑딱단추 부착 버튼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8b는 도 28a의 VII-VII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9a는 버튼 걸음부의 일부인 소검 고정부에 붙인 매직 테이프의 수형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b는 도 29a의 하면도,

    도 30a는 버튼 걸음부의 일부인 매직 테이프의 암형 부분과 암형 똑딱단추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b는 도 30a의 하면도이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넥타이의 제 1 실시예의 전개도이며, 도 4는 장착시의 기본적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그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VV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넥타이(10)는, 대검부(11)와 소검부(12)로 이루어지고, 대검부(11)와 소검부(12) 사이에서, 양 부분의 이면끼리가 마주하도록 접음선(13)을 따라 접음으로써, 넥타이의 장착시의 기본적인 형태가 되게 되어 있다. 또, 종래의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대검부(11)의 이면의 적소에는, 소검부(12)를 삽입 통과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소검 고정부(1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접음선(13)의 근방의 소검부(12)를, 중앙선을 따라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접고, 필요하면 또한 끈으로 매거나, 봉합함으로써, 좁힘부(15)를 형성한다. 또한, 좁힘부(15)는 소검부(12)를 중앙선을 따라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접은 것이어도 좋다. 이 좁힘부(15)를 형성하고나서, 접음선(13)을 따라 접고, 또한 좁힘부(15)를 대검부(11)로 감싸고, 또한 그 양쪽 가장자리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잘록한 부분(19)을 형성하고, 잘록한 부분(19)과 접음선(13) 사이에 노트 형상부(17)를 형성시켜 있다. 또한, 상기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검부(12)의 이면에 한 쌍의 결합부(16a 및 16b)(예를 들면, 똑딱단추, 매직 테이프, 훅 등)을 설치하고, 이것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양쪽 가장자리를 봉합시키는 방식이나, 끈이나 스카프 등으로 대검부(12)의 주위를 묶는 방법도 있다.

    도 4나, 그 배면도인 도 5에서의 잘록한 부분(19)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좁힘부(15)를 형성할 때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검부(12)를 이중으로 접을 수도 있다.

    또, 노트 형상부(17) 내에,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략 삼각형의 형태 조정기구(27)나, 도 9에 도시하는 대략 삼각형의 본체부(28a)와 수하부(28b)로 이루어지는 것 다른 형태 조정기구(29)를 삽입하여, 노트 형상부(17)의 형상을 아름답게 조정해도 좋다. 이 형태 조정기구에, 고정기구를 위한 구멍(40)을 뚫어도 좋다.

    또, 대검부(11)의 이면 또는, 소검부(12)의 표면 또는 이면의 잘록한 부분(19)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셔츠의 제 1 버튼 이외의 버튼에 거는 버튼 걸음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버튼 걸음부(18)로서는, 버튼구멍부착 띠편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후술하는 똑딱단추 부착 버튼(70)과 서로 꼭 맞는 똑딱단추이어도 좋고, 또는 소검부(12)에 직접 형성된 버튼 구멍이어도 좋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넥타이(10)에서 사용되는 고정기구인 띠편(30)을 도시하고 있다. 또, 도 11은 이 띠편(30)과 결합되는 셔츠(20)의 옷깃에 설치된 결합부(22)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11에서는, 셔츠의 옷깃(21)을 젖혀 올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12는, 이 띠편(30)을 노트 형상부(17)에 통과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3a는, 결합부(31)를 결합부(22)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넥타이(10)를 셔츠(2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b는 도 13a에서 셔츠의 옷깃(21)을 젖혀 올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도 13b에서 도시되는 넥타이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은 참신한 디자인의 것이며, 넥타이의 무늬가 불연속 되지 않고 그대로 표현되어, 미관이 우수하다.

    예로서 도 14에서는, 사람의 머리부가 노트 형상부에 있고 대검부의 동체에 연속해서 그려져 있다.

    또한, 도 12에서, 버튼 걸음부(18)가 붙어 있으면, 띠편(30)을 셔츠(20)로부터 떼어도, 아직 넥타이(10)는 셔츠(20)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넥타이(10)를 떨어뜨려서 더럽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넥타이(10)의 떠오름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에서의 띠편(30)은, 어느 정도의 신축성이나 가요성을 갖는 재료가 좋고, 고무 제품, 천, 플라스틱 등이 적합하다. 또 양단의 결합부(31)에는, 결합되는 셔츠(20)를 세탁할 것을 고려하여, 착탈이 가능한 것이 좋고, 똑딱단추, 매직 테이프, 버튼, 버튼 구멍, 훅 등이 있다. 또한, 결합부(31)는, 좌우가 상이한 것이어도 좋고, 도 10과 같이, 좌측이 똑딱단추이고 우측이 버튼구멍인 경우도 있다. 또, 이들 결합부(31)는 봉합, 접착, 코킹 등의 방법으로, 띠편(30)에 부착한다. 또, 도 11의 결합부(22)도, 결합부(31)와 동일한 방법으로 셔츠(20)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이 대단히 용이하다. 또, 장착시의 목 주위의 압박이 전혀 없어, 혈행이 나빠지거나, 어깨가 결리 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 체열도 빠져나가기 쉬워, 여름철에도 시원하다. 또, 간단한 띠편(30)을 사용하여, 통상의 넥타이에, 잘록한 부분(19)이나 버튼 걸음부(18)를 부착하는 등, 약간의 변경만 하면 되므로 제조 코스트가 싸다. 또, 간단히 접고, 접음선(13)의 근방에 잘록한 부분(19)을 설치함으로써 노트 형상부(17)를 만들므로, 넥타이의 무늬가 연속되어, 미관이 우수하다. 또한, 접음선(13) 및 잘록한 부분(19)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노트 형상부(17)의 크기를 바꾸어, 장착시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결합부(16a 및 16b)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상태, 즉 전개한 상태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으므로, 세탁이 가능하며 세탁해도 형태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더욱이, 한 쌍의 결합부(16a 및 16b)나 버튼 걸음부(18)를 떼어내고, 좁힘부(15)의 접음, 봉합 또는 맨 끈을 풀면, 통상의 넥타이의 상태로 용이하게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넥타이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15와 같이, 형태 조정기구(29)의 구멍(40)에 띠편(30)을 통과시키고, 이것들의 주위에 넥타이를 통상의 매는 방법(세미·윈저 노트, 윈저 노트 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단지 목 주위부가 없음)으로 매면 도 16a, 도 16b(도 16a의 배면도)가 얻어진다. 그리고 띠편(30)을 셔츠 옷깃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17a, 도 17b(도 17a의 배면도)가 얻어진다.

    도 17a만을 보면, 목에 감아서 장착되는 통상의 넥타이라고 누구라도 생각하지만, 셔츠의 옷깃(21)을 젖혀 올리면, 도 17b와 같이 되어 있어,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타입의 넥타이인 것을 알 수 있다. 외견상은 통상의 넥타이와 다름없지만, 목에 감지 않으므로, 목 주위의 압박감이 없어, 착용하고 있어도 상쾌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넥타이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18a, 도 18b(도 18a의 배면도)와 같이, 넥타이를 통상의 매는 방법(세미·윈저노트, 윈저노트 등)으로 매고, 도 19a(정면도), 도 19b(배면도)와 같이, 그 매듭(50)을 포함하는 노트 형상부(17)에 띠편(30)을 통과시키고, 이 띠편(30)을 셔츠 옷깃에 결합시킴으로써 걸쳐 매달아지도록 한 넥타이를 도시한다.

    도 18a, 18b의 넥타이는, 통상의 매는 방법으로 맨 것으로, 목 주위부(51)가 목의 둘레에 감기는 것이다. 소검부(12)를 잡아당기면, 목 주위부(51)가 작아지고, 매듭(50)의 매듭 정면부(52)에 숨어버리면, 도 19a(정면도), 도 19b(배면도)가 얻어진다.

    즉, 도 19a, 19b에서 띠편(30)을, 매듭 좌측부(54), 매듭 우측부(53) 속에 통과시킨 후에, 소검부(12)를 잡아 당기고, 매듭(50)의 속으로 목 주위부(51)를 끌어들임으로써 노트 형상부(17)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넥타이를, 도 11의 결합부(22)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17a, 17b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제 4 실시예인 도 20a, 20b에 도시되는 새로운 타입의 넥타이를 설명한다. 도 20b는 도 20a에 있어서 셔츠의 옷깃(21)을 젖혀 올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넥타이를 셔츠(20)의 옷깃으로부터 벗겨낸 것을 도 21a, 21b(도 21a의 배면도)에 도시한다.

    이 넥타이에서는, 통상의 넥타이 매듭(50)의 상부에, 목 주위부의 일부(55)를 노출한 상태로 남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도 21a, 21b에서 띠편(30) 을, 매듭 좌측부(54), 매듭 우측부(53) 속에 통과시킨 후에, 소검부(12)를 잡아 당겨, 매듭 정면부(52)의 상부에, 목 주위부의 일부(55)가 남도록 함으로써 노트 형상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이 실시예의 넥타이를 도 11의 결합부(22)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20a, 20b에서 도시되는 전혀 새로운 디자인의 넥타이가 얻어진다.

    이 새로운 넥타이는, 매듭이 2단으로 된 것으로, 상하에 색 차이가 나게 하여 색채의 변화를 즐겨도 좋다. 또 윗단에, 단체 등의 문장을 곁들이는 것 등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제 5 실시예인 도 22a, 22b(도 22a의 배면도)에 도시되는 지금까지 없던 디자인의 넥타이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내지 4 실시예의 넥타이에서, 그 노트 형상부(17) 아래 근방에 잘록한 부분(56)을 형성한 것이다.

    즉 도 16a, 16b, 19a, 19b, 21a, 21b에 있어서, 노트 형상부(17) 또는 노트(50) 아래 근방의 대검부(11) 및 소검부(12)에 관해서, 소검부(12)를 감싸도록 대검부(11)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결합하고(이 결합방법은 잘록한 부분(19)과 동일함), 노트 형상부(17) 또는 노트(50) 아래에 잘록한 부분(56)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 실시예의 넥타이의 형상은, 통상의 목 주위에 감아서 매어지는 넥타이와 아무런 차이도 없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넥타를 대신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도 19b, 도 2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검부(12)의 이면에, 셔츠(20)의 제 1 버튼 이외의 버튼에거는 버튼 걸음부(18)를 설치해도 좋다.

    또, 제 6 실시예로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편(30)에 결합부(32a)로서 똑딱단추, 버튼, 매직 테이프, 훅 등을 부착하고, 도 24에 도시한 넥타이(10)의 결합부(32b)에는, 각각의 한 쌍이 되는 것을 부착하고, 이 결합부(32a)에 결합함으로써, 넥타이(10)를 셔츠(20)의 옷깃에 걸쳐 매달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내지 6실시예에 의한 넥타이에 의하면, 통상의 매는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노트(50) 또는 노트 형상부(17)를 갖는 넥타이를, 간단하게 셔츠(20)의 옷깃에 장착시켜, 목 주위의 압박이 전혀 없고, 타인에게 잡아 당겨진 경우에도 용이하게 빠지므로, 안전성이 높다. 또 넥타이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서, 세탁할 수도 있어, 하계에는 특히 유리하다. 또 무엇보다, 이 넥타이를 사용하면, 매일 출근전에 넥타이를 매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또한 넥타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생긴다. 따라서 넥타이를 싫어하는 사람이, 본 발명의 넥타이를 기꺼이 사용해 줄 것이라고 확신하는 바이다.

    다음에 똑딱단추에 서로 끼워지는 똑딱단추쌍 부착 띠편(80)을 도 25a(평면도) 도 25b(정면도)에 도시한다. 이 똑딱단추쌍 부착 띠편(80)은, 그 결합부의 적어도 1개가, 표리에 동심원상으로 고정된 수형·암형의 똑딱단추로 구성되어 있고, 수형 똑딱단추(81), 암형 똑딱단추(82)의 똑딱단추쌍과, 버튼 구멍(83)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넥타이(10)에 있어서의 띠편(30) 대신에, 상기 똑딱단추쌍 부착 띠편(80)을 사용하여, 도 13b와 같이 넥타이(10)를 셔츠(20)(도 11의 결합부(22)에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을 사용함)에 장착하면, 셔츠(20)의 옷깃의 좌우에 수형 똑 딱단추(81)가 있게 된다. 이들 수형 똑딱단추(81)에, 예를 들면 냅킨(이것에는, 서로 끼워지는 암형 똑딱단추(82)을 부착함)의 암형 똑딱단추(82)를 결합함으로써, 식사할 때에 넥타이(10), 셔츠(20) 등을 더럽히지 않고 식사를 마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 예 이외에도, 똑딱단추 부착 버튼(70), 똑딱단추쌍 부착 띠편(80)은, 이것들과 결합되는 것을 간단하게 장착하고, 떼어낼 수 있으므로 이용범위가 넓어, 넥타이에 한하지 않고 의복 전반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넥타이에 딤플(움푹 들어간 곳)을 만드는 것이 유행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26에 그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도 26의 VI-V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노트 형상부(17)의 하부에 딤플(60)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27의 대검부(11)의 일부를, 이면측으로부터 집음으로서, 집은 자국(61)을 만들어 내고 있다. 집는 방법으로서는, 봉합이나, 클립 등으로 대검부(11)을 집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2, 도 19b, 도 2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검부(12)의 표면 또는 이면에, 버튼 걸음부(18)를 설치하고, 셔츠(20)의 제 1 버튼 이외의 버튼에 걸리게 함으로써, 넥타이를 떨어뜨려서 더럽혀지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넥타이의 떠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버튼 걸음부(18)로서, 똑딱단추를 사용하고, 이것과 서로 끼워지는 상대로서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을 발명했다.

    즉, 도 28a, 28b(도 28a의 VII-VII선에 따르는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71)의 표면을, 똑딱단추(72)의 외경보다 조금 큰 직경으로 오목하게 하 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그 면과 똑딱단추(72)의 바닥면을, 서로 붙임으로써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이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의 버튼의 오목부를 만들지 않고 붙여서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을 만들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이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을 버튼 구멍(73)을 사용하여 셔츠(20)에 꿰매 붙여서 고정되게 하여, 버튼 걸음부(18)와 결합시킨다.

    또 상기의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은, 성형(재료는 나일론이나 요소 등)으로 만들어지는 버튼에 있어서는, 버튼과 똑딱단추를 성형으로 일체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이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을 사용하여, 넥타이 핀과 동일한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셔츠의 제 5 버튼 등을, 이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으로 변경하고, 이것에 서로 끼워지는 암형 똑딱단추(82)를, 도 29a, 29b, 30a, 3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넥타이의 대검부(11)에 설치한다. 그러나 꼭 정확하게 수형·암형 똑딱단추를 맞추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매직 테이프의 수형(41), 암형(42)을 사용하여 똑딱단추 부착 버튼(70)의 위치에 따라, 대검부(11)에 있는 암형 똑딱단추(82)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발명했다.

    즉 도 29a, 29b에서, 대검부(11)에 있는 예를 들면 소검 고정부(14)의 중앙부에, 매직 테이프의 암형(42)을 붙인다. 붙이는 방법으로서 접착, 봉합 등이 있다.

    그리고 이것에 서로 맞추어지는 매직 테이프의 수형(41)을 도 30a, 30b와 같 이 천(43)(암형 똑딱단추(82)가 예를 들면 봉합되어 있음)에 붙인다. 붙이는 방법은 접착, 봉합 등이다. 이 매직 테이프의 수형(41)·암형(42)의 겹침량을 자유롭게 변화시킴으로써, 수형·암형 똑딱단추의 위치를 꼭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수형·암형 똑딱단추에 의해, 넥타이 핀과 같이, 넥타이가 비뚤어지는 것, 흔들흔들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패션적으로도 보기 좋은 것이다.

    또 매직 테이프끼리의 결합력을, 똑딱단추의 그것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넥타이를 셔츠로부터 떨어지게 할 때, 똑딱단추로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차를 타서 안전벨트를 할 때, 넥타이를 셔츠로부터 때고 벨트를 조르거나 하는데 대단히 편리하다.

    다음에 새로운 넥타이로서, 도 25a, 25b에 도시되는 양단에 결합부를 갖는 띠편을 넥타이로 하는 것이다. 띠편의 재료로서는 고무 제품, 천 등이며, 그 표면에 채색하여, 각종 마크를 붙이거나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검부(11) 등이 없으므로, 물품을 가슴에 안고 나를 때에 편리한 것이다.

    또 통상의 나비 넥타이·리본 넥타이는 끈을 목에 두르고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고정기구를 채용함으로써 목 주위의 압박감이 없게 된다.

    최후에, 본 발명의 넥타이에 맞는 셔츠가 요구된다. 옷깃에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똑딱단추 부착 버튼이 사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넥타이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넥타이, 간이 착탈식 넥타이를 대신하는, 신규한 넥타이로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넥타이에서는, 고정기구를 통하여 셔츠의 옷깃에 걸쳐 매달아지게 하는 것뿐이므로, 목 주위의 압박감이 없고, 장착·탈착을 수초에 행할 수 있다. 또 넥타이를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고, 노트 형상부와 대검부가 이어져 있기 때문에, 무늬가 연속하여 미관이 우수하다. 여름의 더운 날에 장착해도 쾌적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도 있다. 그리고, 넥타이를 싫어하는 사람도 반드시 좋아하게 될 것이다.

    넥타이는 목에 감는 것, 번거로운 것이다라고 하는 고정관념을 타파하는 넥타이 혁명이 된다. 이것들에 의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넥타이는 실용상의 효과가 큰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