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랙터용 전방 써레

申请号 KR1020120066158 申请日 2012-06-20 公开(公告)号 KR1020130142712A 公开(公告)日 2013-12-30
申请人 제트스타 주식회사; 发明人 김대호; 황방전;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harrow for a tractor. Previously, there were problems that simultaneous earth digging and leveling tasks were impossible, the leveling task time and the oil consumption increased due to frequent rotation of the tractor, the paddy field became a quagmire or the ground of the paddy field was squashed due to the weight of the tractor, which makes the operation of a rice transplanter difficult in the rice transplanting work, and that the structure became complicated as a separate cylinder wa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a harrow plat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ont harrow for a tractor easy to control the angel of the harrow plat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earth digging and leveling tasks, easy to attach/detach to an unloader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a loader, preventing frequent rotation of the tractor in the leveling task, and capable of reducing the leveling task time and the oil consump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ont harrow for a tractor installed to be attachable/detachable on one side to an unloader (10) installed to be able to be bent front and back by a cylinder (110) on the front end of a loader (100) installed in front of the tractor so as to move front and back, and up and down. The front harrow for a 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rame (30); a coupling device (20) having a hook (22) and a fastening ring (24) fastening to a hooking bar (12) and a fastening bar (14) formed in the unloader (10) to be able to attach/detach respectively on one side, and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 to be able to attach/detach on the other side; and a harrow plate (40) coupled with the other side facing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 on one side, and alternately having a lead-in (52) and a protrusion (54) on the other side to be curved.
权利要求
  • 전후 및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로더(100)의 전단에 실린더(110)에 의해 전후방으로 젖힘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된 탈착기(10)에 일 측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30);
    일 측은 상기 탈착기(10)에 형성된 걸림봉(12)과 체결봉(14)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걸림고리(22)와 체결고리(24)가 형성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 결합구(20); 및
    일 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에 결합 되고, 타 측은 굴곡지도록 인입부(52)와 돌출부(54)가 교대로 형성된 써레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20)의 타 측이 체결수단(25)을 통해 슬라이딩 결합 되는 한 쌍의 체결편(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20)는 상기 탈착기(10)의 폭에 따라 상기 체결편(27)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체결편(27)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4)에는 써레판(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써레판(40)의 상하 방향으로 수직 하게 돌출편(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써레판(40)은,
    상기 인입부(52)의 양측에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편(56)이 형성된 써레편(50)이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써레판(40)은,
    상기 인입부(52)의 양측에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편(56)이 형성된 써레편(50)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56)은 상기 지지프레임(30)에서 돌출부(54)의 단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은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리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은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리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으로 이루어진 주써레판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보조써레판이 상기 주써레판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으로 이루어진 주써레판의 외측에는 상기 주써레판과 동일하게 구성된 보조써레판이 상기 주써레판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
  • 说明书全文

    트랙터용 전방 써레{Front 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써레판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흙 파기와 평탄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로더의 선단에 설치된 탈착기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평탄 작업 시 트랙터의 잦은 선회를 방지하여 평탄 작업 시간 및 기름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을 경작하는 경우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된 로터리를 이용하여 모내기 전에 논을 갈아 엎고, 상기 로터리의 후방에 설치된 써레를 이용하여 무논을 평탄화시킨다.

    이러한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상기 트랙터는 전진하면서 무논의 높은 부분의 흙을 파내어 무논의 평탄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무논의 높고 낮은 상황에 따라 트랙터가 자주 선회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많은 기름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트랙터가 자주 선회하게 되면 무논이 더욱 곤죽이 되거나 트랙터의 무게로 인해 논바닥이 더욱 빠지게 되므로 모내기를 위한 이앙 작업 시 이앙기의 운전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리 후단에 설치되는 써레는 써레를 접더라도 중앙 써레판의 폭이 로터리 폭과 동일한 상태에서 로터리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좁은 골목길을 주행할 때 주변과 충돌하는 경우가 많고, 써레판을 직각으로 세워 흙을 파내는 게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써레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실린더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져 로터리의 후방에 써레를 탈부착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된 로더의 전단에 버켓이나 그레이더를 설치하여 써레 작업을 할 수 있으나, 버켓은 폭이 좁기 때문에 흙을 파낸 부분은 깊어지고 양 옆부분은 높아지므로 이앙 작업 시 움푹 패인 부분에 바퀴가 빠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흙 파기와 동시에 평탄화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그레이더는 트랙터가 전진하면서 흙을 밀기만 할 뿐 당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하단이 -자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흙을 긁으면서 평탄화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써레판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전후진 모든 방향으로 흙 파기와 평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흙 파기와 동시에 평탄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로더의 선단에 설치된 탈착기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평탄 작업 시 트랙터의 잦은 선회를 할 필요가 없어 평탄 작업 시간이 절감되고, 기름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 및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되는 로더(100)의 전단에 실린더(110)에 의해 전후방으로 젖힘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된 탈착기(10)에 일 측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랙터용 전방 써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30); 일 측은 상기 탈착기(10)에 형성된 걸림봉(12)과 체결봉(14)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걸림고리(22)와 체결고리(24)가 형성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 결합구(20); 및 일 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에 결합 되고, 타 측은 굴곡지도록 인입부(52)와 돌출부(54)가 교대로 형성된 써레판(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20)의 타 측이 체결수단(25)을 통해 슬라이딩 결합 되는 한 쌍의 체결편(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20)는 상기 탈착기(10)의 폭에 따라 상기 체결편(27)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체결편(27)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54)에는 써레판(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써레판(40)의 상하 방향으로 수직 하게 돌출편(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써레판(40)은, 상기 인입부(52)의 양측에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편(56)이 형성된 써레편(50)이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써레판(40)은, 상기 인입부(52)의 양측에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편(56)이 형성된 써레편(50)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편(56)은 상기 지지프레임(30)에서 돌출부(54)의 단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은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리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은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리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으로 이루어진 주써레판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보조써레판이 상기 주써레판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으로 이루어진 주써레판의 외측에는 상기 주써레판과 동일하게 구성된 보조써레판이 상기 주써레판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더에 설치된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로더의 전단에 설치된 탈착기가 전후방으로 젖힘 구동되므로 상기 탈착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트랙터용 전방 써레의 써레판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 방향으로 눕힐 수 있어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써레판을 수직으로 세워 흙을 긁어 파낼 수 있으며, 상기 써레판의 하부면을 통해 평탄 작업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더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실린더를 이용하여 써레판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별도의 실린더가 필요 없고, 간단한 방법으로 트랙터용 전방 써레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후방 써레에 비해 써레판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트랙터가 자주 선회할 필요가 없으므로 평탄 작업 시간이 절감되고 기름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로더를 치켜들 수 있기 때문에 걸리는 것들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장착된 상태로 좁은 골목길의 주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골목길 주행 시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용 전방 써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로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흙 파기 작업을 위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용 전방 써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써레편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들과 일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용 전방 써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로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흙 파기 작업을 위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용 전방 써레는 지지프레임(30); 트랙터의 전방에 설치된 로더(100)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탈착기(10)에 일 측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20); 및 일 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에 결합 되고, 타 측은 굴곡지도록 인입부(52)와 돌출부(54)가 교대로 형성된 써레판(40)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프레임(30)은 상기 써레판(4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더(100)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착기(10)는 한 쌍의 몸체(11) 내부에 걸림봉(12)과 체결봉(1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더(100)의 규격에 따라 상기 탈착기(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프레임이 상기 한 쌍의 몸체(11)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11)에는 상기 로더(100)의 선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 1 결합공(16a)과 상기 로더(100)에 설치된 실린더(110)의 동작에 의해 전후방으로 젖힘 구동하는 구동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제 2 결합공(16b)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 1 결합공(16a)은 상기 체결봉(14)의 하단에 형성되고, 제 2 결합공(16b)은 상기 걸림봉(12)과 체결봉(14)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탈착기(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공지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탈착기(10)는 상기 로더(100)의 전단에 설치되되 상기 로더(100)에 설치된 실린더(110)에 의해 전후방으로의 젖힘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탈착기(10)에는 다양한 작업기들이 탈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20)는 탈착기(10)에 형성된 걸림봉(12)과 체결봉(14)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걸림고리(22)와 체결고리(24)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에는 한 쌍의 체결편(27)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에 결합 되는데, 상기 결합구(20)의 타 측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25)을 통해 상기 체결편(27)과 탈착 방식으로 상기 체결편(27)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또한, 상기 체결편(27)은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결합구(20)의 타 측이 상기 체결수단(25)을 통해 탈착 방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게 하도록 상기 체결편(27)이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써레판(40)이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인접하게 결합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0)는 상기 탈착기(10)의 제조사에 따라 규격이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제조사가 동일한 1세트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상기 결합구(20)가 규격에 관계없이 상기 체결편(27)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별도의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을 상기 결합구(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랙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탈착기(10)의 폭(즉, 몸체(11)들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면, 상기 결합구(20)는 그 폭에 맞게 상기 체결편(27)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후 체결수단(25)에 의해 상기 체결편(2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써레판(40)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에 일 측이 결합 되고, 타 측은 굴곡지도록 인입부(52)와 돌출부(54)가 교대로 형성된다.

    이때, 써레판(40)의 타 측은 톱니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인입부(52)와 돌출부(54)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1과 같이 상기 인입부(52)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54)에는 상기 써레판(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써레판(4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 하게(즉, 직각으로) 돌출편(56)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편(56)은 상기 써레판(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편(56)은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흙과 물이 잘 빠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0)에서 돌출부(54)의 단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써레판(40)은 도 1과 같이 돌출편(56)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4 및 도 5와 같이 인입부(52)의 양측에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의 가장자리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편(56)이 형성된 써레편(50)이 서로 인접하게 결합 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써레판(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써레편(50)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용 전방 써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써레편의 확대도이며, 상기 써레판(40)이 다수의 써레편(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써레편(5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용 전방 써레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전방 써레는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이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리와 동일한 폭을 갖거나, 상기 로터리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랙터용 전방 써레는 상술한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으로 이루어진 주써레판의 외측에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써레판(40)을 포함하는 보조써레판이 상기 주써레판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주써레판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로더(100)에 설치된 실린더(1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탈착기(10)가 전후방으로 젖힘 동작되므로 상기 탈착기(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써레판(40)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 방향으로 눕힐 수 있어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써레판(40)을 수직으로 세워 흙을 긁어 파낼 수 있고, 상기 써레판(40)을 눕혀서 상기 써레판(40)의 하부면(즉, 인입부(52)와 돌출부(54)가 형성된 타 측)을 통해 평탄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더(100)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실린더(110)를 이용하여 써레판(40)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써레판(40)의 각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실린더가 필요 없고, 간단한 방법으로 트랙터용 전방 써레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무논의 평탄화 작업 시 써레판(40)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터의 잦은 선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평탄 작업 시간 및 기름의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전방 써레는 로더(100)를 높이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걸리는 것들을 피할 수도 있고, 시야 확보가 쉬워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장착된 상태로 좁은 골목길의 주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골목길 주행 시 트랙터용 전방 써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탈착기 11 : 몸체
    12 : 걸림봉 14 : 체결봉
    16a, 16b : 결합공 20 : 결합구
    22 : 걸림고리 24 : 체결고리
    25 : 체결수단 27 : 체결편
    30 : 지지프레임 40 : 써레판
    50 : 써레편 52 : 인입부
    54 : 돌출부 56 : 돌출편
    100 : 로더 110 : 실린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