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원용 장갑

申请号 KR2020120003382 申请日 2012-04-25 公开(公告)号 KR2020130006350U 公开(公告)日 2013-11-04
申请人 박지훈; 发明人 박지훈;
摘要 본 고안은 응원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바닥 또는 손등과 대응하는 내피의 일부에 내피와 외피가 서로 접합되도록 리브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의 공간에 삽입된 손이 빠지지 않도록 구비된 응원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1공간이 형성되고 이 제1공간에 손이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내피, 상기 내피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내피와의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제2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 및 상기 내피의 제1공간에 손이 진입했을 때 손등과 대응하는 내피의 일부와 손바닥과 대응하는 내피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에 내피와 외피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응원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손이 상기 제1공간으로 진입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응원용 장갑을 제공한다.
权利要求
  • 내부에 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1공간이 형성되고 이 제1공간에 손이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내피, 상기 내피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피와의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제2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응원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제1공간에 손이 진입했을 때 손등과 대응하는 내피의 일부와 손바닥과 대응하는 내피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에 내피와 외피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손이 상기 제1공간으로 진입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일측으로 특정기호를 표시하는 표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현부는 발광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열에 의해 압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장갑.
  • 说明书全文

    응원용 장갑{Glove for cheering}

    본 고안은 응원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바닥 또는 손등과 대응하는 외피의 일부에 내피가 서로 접합되도록 리브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의 공간에 삽입된 손이 빠지지 않도록 구비된 응원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 야구, 농구 등의 경기를 관전하는 관객은 응원의 의사를 보여주기 위해서 소리를 지르거나, 악기를 사용하거나, 플랭카드 등을 게시하여 본인이 좋아하는 팀이나 선수를 응원한다.

    특히 최근 팬투표나 경연을 통해 순위를 정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응원의 수요 또한 함께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응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응원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크기를 늘려 시인성을 높인 응원용 장갑이 개발되었고, 이 응원용 장갑의 일예가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910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종래의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응원용 장갑은 풍선 내부의 접지선(121)에 의해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손방; 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손방(110)에 손을 집어넣기 위하여 입구(111)가 풍선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풍선은 손방(110)의 접지선(121)에 의해 차단된 외측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주입구(120)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접지선(121)을 경계로 손방의 외측이 크게 부풀어 올라 시인성이 향상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응원용 장갑은 손바닥과 손등이 대응되는 손방(110)의 상하면은 접지선(1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풀려 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손방(110)에 손을 집어넣어도 손이 바로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9108호(1999. 03. 15.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바닥 또는 손등과 대응하는 외피의 일부가 내피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응원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피와 외피가 서로 접합된 리브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리브 사이의 공간이 부풀려지도록 함으로서 내피에 형성된 제1공간에 손이 삽입될 때 부풀려진 공간에 의해 손등과 손바닥이 가압되므로 손이 빠져나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응원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피에 일측으로 특정기호를 표시하는 표현부가 형성되므로 응원하는 대상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된 응원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표현부에 발광수단이 더 설치되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킨 응원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상기 리브가 열에 의해 압착되어 형성되므로 제조가 용이한 응원용 장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1공간이 형성되고 이 제1공간에 손이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내피, 상기 내피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피와의 사이에 제2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제2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응원용 장갑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제1공간에 손이 진입했을 때 손등과 대응하는 내피의 일부와 손바닥과 대응하는 내피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에 내피와 외피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손이 상기 제1공간으로 진입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된 응원용 장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피는 일측으로 특정기호를 표시하는 표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표현부는 발광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열에 의해 압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손바닥 또는 손등과 대응하는 외피의 일부에 내피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내피와 외피가 서로 접합된 리브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리브 사이의 공간이 부풀려지도록 함으로서 내피에 형성된 제1공간에 손이 삽입될 때 부풀려진 리브 사이의 공간에 의해 손등과 손바닥이 가압되므로 손이 빠져나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외피에 일측으로 특정기호를 표시하는 표현부가 형성되므로 응원하는 대상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상기 표현부에 발광수단이 더 설치되므로 시인성이 향상된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상기 리브가 열에 의해 압착되어 형성되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종래의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절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표현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일실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을 절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의 표현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장갑은 내부에 손(H)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1공간(12)이 형성된 내피(10), 상기 내피(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피(10)와의 사이에 제2공간(22a, 22b)을 형성하는 외피(20)와, 상기 제2공간(22a, 22b)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30) 및 상기 외피(20)의 일부에 내피(10)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된 리브(40)를 포함한다.

    상기 내피(10)는 주머니 형상으로 내부에 손(H)이 수용될 수 있도록 된 제1공간(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공간(12)에 손(H)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하부에 출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피(10)는 외력에 의해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가요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가요성 합성수지로는 실리콘, PVC,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및 우레탄을 합성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피(20)는 상기 내피(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내피와의 사이에 제2공간(22a, 22b)을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22a, 22b)에 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제2공간(22a, 22b)은 리브(40)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제2공간(22a)과, 상기 제1공간(12)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제2공간(22b)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외피(20)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표현부(24)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공간(12)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현부(24)는 상기 외피(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22a, 22b)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부풀려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현부(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하고 싶어하는 대상의 이니셜 등 다양한 특정기호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형태의 표현부(28)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외피(20)의 재질 또한 내피(10)와 동일한 가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가요성 합성수지로는 실리콘, PVC,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및 우레탄 등을 합성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현부(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수단(26)이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광수단(26)은 LED(Light Emmiting Diode), EL(Electro Luminescenct), 발광튜브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내피(10)와 외피(20)는 열에 의해 압착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구(30)는 상기 제2공간(22a, 22b)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2공간(22a, 22b)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공간(22a, 22b)에 주입된 공기는 제2공간(22a, 22b)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제2공간(22a)에 주입된 공기는 리브(40) 사이의 외피(20)를 밖으로 부풀리고 내피(10)는 제1공간(12)측으로 부풀린다. 여기서 상기 내측 제2공간(22a)의 제1공간(12) 측으로 부풀려진 내피는 제1공간(12)에 삽입된 손(H)의 손바닥이나 손등을 가압하게 되며, 더욱이 손(H)의 진입방향의 직각으로 내측 제2공간(22a)이 부풀려져서 제1공간(12)에 삽입된 손(H)이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주입구(30)는 공기가 역류되어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체크밸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30)는 외피(20)에 열에 의해 압착하여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40; rib)는 상기 내피(10)의 제1공간(12)에 손(H)이 진입했을 때 손등과 대응하는 내피(10)의 일부와 손바닥과 대응하는 내피(10)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에 내피(10)와 외피(20)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40)는 손등과 대응하는 내피(10)의 일부와 손바닥과 대응하는 내피(10)의 일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리브(40)는 내피(10)와 외피(20)가 서로 접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가요성이 있는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응원용 장갑이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40)는 손(H)이 제1공간(12)으로 진입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40)는 내피(10)와 외피(20)가 접합되어 형성되므로 리브(40)와 대응되는 내측 제2공간(22a)의 내피(10)가 제1공간(12)측으로 부풀어 올라서 손바닥과 손등을 가압하므로 일단 제1공간(12)에 손(H)이 삽입되면 빠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리브(40)가 손(H)이 제1공간(12)에 진입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므로 제1공간(12) 측으로 부풀려진 내피(10)가 손바닥이나 손등을 가로질러 밀착되므로 손(H)이 제1공간(12)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브(40)는 열에 의해 용융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번거롭게 접착하는 것보다 열에 의해 압착하여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내피
    12 : 제1공간
    20 : 외피
    22a, 22b : 제2공간
    24 : 표현부
    26 : 발광수단
    30 : 공기주입구
    40 : 리브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