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라의 탈, 부착이 자유로운 와이셔츠

申请号 KR2020000001499 申请日 2000-01-13 公开(公告)号 KR200195879Y1 公开(公告)日 2000-09-15
申请人 김명숙; 发明人 김명숙;
摘要 본 고안은 칼라의 탈, 부착이 자유로운 와이셔츠에 관한 것이다.
셔츠를 제작할 때 칼라가 없는 몸체부와, 칼라만으로 된 칼라부로 나누어 제작하되, 셔츠 몸체부의 목 부분에는 칼라부착대(2)를 형성하고 칼라부에는 칼라결합부(3)를 형성하여 각각 별도로 완성하고 서로 짝을 이루는 결합구의 한 짝씩을 칼라결합부와 칼라부착대에 각각 수개 부착하여, 서로 짝을 이루는 이들 결합구의 결합,분리에 의해 칼라가 몸체로부터 자유로이 착,탈 되게 하므로 써 여러 가지 색깔의 칼라를 자유롭게 교체시킴으로써 변화를 주어 여러 벌의 효과를 낼 수 있고, 칼라 목 부분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또 칼라 목 부분이 마모로 인하여 손상되었을 때도 칼라만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써 셔츠를 통째로 버리게 되는 불합리한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오염이 심할 경우 칼라만 교체해서 입을 수도 있으므로 세탁의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칼라를 떼고 입을 수 도 있다.
权利要求
  • 칼라, 몸통, 소매의 결합으로 된 통상의 와이셔츠에 있어서, 결합구를 이용하여 칼라의 탈, 부착을 자유롭게 한 와이셔츠.
  • 说明书全文

    칼라의 탈, 부착이 자유로운 와이셔츠{.}

    본 고안은 칼라나 커프스가 자유로이 착,탈 가능한 와이셔츠에 관한 것으로 결합구를 이용하여 칼라를 셔츠몸체의 목 부분에서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셔츠는 목 부분과 소매 끝이 다른 곳에 비해 먼저 마모되는데 기존의 와이셔츠는 칼라와 커프스가 몸체와 소매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써, 칼라나 소매 끝이 마모로 인해 손상되면 특별히 칼라교체를 위한 봉제작업을 하지 않는 한 셔츠를 어쩔 수 없이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칼라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조로우며 여러 색상의 칼라를 교체했을 때의 다양한 효과도 기대 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셔츠의 칼라를 몸체로부터 자유로이 착,탈 되게 하여, 칼라의 목 부분이 마모로 인해 손상되었을 때 칼라만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셔츠를 통째로 버리는 불합리한 낭비를 줄이고, 셔츠를 구입 할 때 수 개의 칼라를 같이 구입할 수 있게 하여 여러 색깔의 칼라를 교체하여 입을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부득이 할 경우 오염이 심한 칼라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세탁의 부담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도 1은 칼라부착대가 형성된 경우의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

    도 2는 칼라부착대를 없게 한 경우의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

    도 3은 결합구를 이용하여 커프스와 소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셔츠몸체 2. 칼라부착대

    3. 칼라결합부 4. 칼라결합부의 배면

    5. 칼라부착대의 전면 6. 볼록한 합단추

    7. 오목한 합단추 8. 칼라

    9. 지퍼의 한쪽 10. 지퍼의 다른쪽

    11. 커프스 부착대 12. 커프스

    본 고안에 따른 칼라의 탈 부착이 자유로운 셔츠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셔츠몸체의 목 부분에 칼라부착대를 형성했을 때의 칼라의 탈, 부착이 자유로운 셔츠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셔츠몸체(1)의 목 부분 즉 기존의 셔츠에서 칼라가 부착되는 위치에 칼라부착대(2)를 별도 재단하여 부착시킨다.

    별도로 제작된 칼라에는 몸체에 부착되는 쪽에 칼라결합부(3)를 별도로 재단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칼라결합부의 배면(4)과 칼라부착대의 전면(5)에, 각각 짝을 이루는 합단추나 짝짝이 등의 결합구(6,7)의 한 짝씩을 서로 구형이 되게 적당한 간격으로 수개 부착하므로 써 칼라의 탈, 부착이 자유로운 와이셔츠는 완성되고 짝을 이루는 이들 결합구의 결합, 분리에 의해 칼라는 셔츠로부터 자유로이 부착, 분리된다. 또한 칼라부착대에 단춧구멍을 만들고 칼라결합부에 단추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칼라를 몸체에 결합시킬 수 도 있다.

    도2는 칼라부착대 없이, 칼라 결합 부와 셔츠의 목부분을 결합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칼라에 형성된 칼라결합부와 셔츠 몸체의 목부분에 길게 지퍼(9,10)의 한쪽씩을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이들 지퍼의 닫힘과 열림에 의해 칼라는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된다. 즉 칼라의 탈 부착이 자유로운 와이셔츠가 완성된 것이다.

    도3은 소매 끝에 착,탈 가능한 커프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긴소매 셔츠의 소매 끝에 커프스 부착대(11)를 별도 재단하여 부착하고, 커프스부착대의 바깥쪽 면에 오목형 합단추나 짝짝이를 간격을 맞춰 수 개 부착하고 커프스(12)의 안쪽 면의 상단부 소매 쪽에 볼록형 합단추나 짝짝이를 커프스 부착대의 것과 구형이 되게 부착시킨다.

    서로 짝을 이루는 이들 결합구의 결합 분리에 의해 커프스는 소매로부터 자유로이 착,탈 된다. 소매가 긴 셔츠의 경우 칼라와 커프스를 자유로이 교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칼라를 와이셔츠로부터 자유로이 착, 탈 가능하게 하므로 써 색깔이 다른 칼라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여러 벌의 효과를 낼 수 있고, 칼라를 자주 교체 하므로 써 칼라 목부분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또 칼라 목 부분이 마모로 인해 손상되었을 때 칼라만 쉽게 교체 하므로 써 셔츠를 통째로 버려야 하는 불합리한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때로는 오염이 심한 칼라만 교체하여 입을 수 있으므로 세탁의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소매가 긴 셔츠의 경우 커프스도 자유로이 교체하므로 써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