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셔츠

申请号 KR1020070018842 申请日 2007-02-26 公开(公告)号 KR100792477B1 公开(公告)日 2008-01-07
申请人 김연임; 发明人 김연임;
摘要 White shirts are provided to form creases easily by forming crea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when forming creases on a front plate and/or a rear plate of the white shirts. White shirts include a front plate, a rear plate(14), sleeves(16) and a collar(18). An upper crease end(32) is formed on the upper parts of both sides of the rear plate. The upper crease end is connected to the collar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plate with a sewing line. Lower crease ends(3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rear plate through a sewing line such that creases are formed through an inner folding portion and an outer folding portion that are form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ar plate to the lower end portion.
权利要求
  •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셔츠,
  •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앞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앞상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앞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앞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부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셔츠.
  •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 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셔츠.
  •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앞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앞상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앞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앞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부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셔츠.
  •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되, 상기 뒤판의 상부를 시단부로 하여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와이셔츠.
  •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되, 상기 뒤판의 상부를 시단부로 하여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되, 상기 앞판의 상부를 시단부로 하여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셔츠.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판과 앞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주름단을 재봉 없이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에 의존하여 주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셔츠.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판과 앞판에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의 사이 폭을 상부는 좁고 하단부로 갈수록 넓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셔츠.
  • 说明书全文

    와이셔츠{white shirts}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 예의 변형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실시 예의 변형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3실시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실시 예의 변형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FF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10d, 10e : 와이셔츠

    12 : 앞판 14 : 뒤판

    16 : 소매 18 : 칼라

    20 : 등판 22 : 앞상판

    30, 34, 40 : 재봉선 32, 42 : 상부주름단

    36, 44 : 하부주름단 38, 46 : 주름

    38a, 46a : 내측절첩부 38b, 46b : 외측절첩부

    48, 50 : 스티치 52, 54 : 시단부

    본 발명은 남방셔츠 또는 드레스셔츠(이하에서 "와이셔츠"로 통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셔츠의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스티치(stitch)(일명 : 호시)로써 주름을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와이셔츠 주름을 쉽게 형성하면서 돋보이게 하고, 동시에 와이셔츠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위에서부터 아래까지의 주름선이 온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셔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와이셔츠는 뒤판의 상부 양측에 주름단이 봉재로 형성되어 이를 다림질 함으로써 주름을 형성하게 되는바, 뒤판 상부에만 주름단이 봉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을 다림질하여 형성할 때 주름이 항상 일정하게 형성되는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주름잡기에 어려움이 있고, 형성된 주름이 쉽게 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셔츠의 주름이 아랫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셔츠의 아랫부분을 바지의 안쪽으로 넣어 단정하게 입게 되는바, 와이셔츠 아랫부분을 바지 안쪽으로 넣는 과정에서 주름이 겹쳐지게 되어 와이셔츠의 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와이셔츠의 뒤판 또는 앞판 또는 뒤판과 앞판 모두에 주름을 형성함에 있어 주름을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형성함으로써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와이셔츠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주름선이 온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셔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셔츠의 뒤판 또는 앞판 또는 뒤판과 앞판 모두에 주름을 형성함에 있어 스티치(일명 : 호시)로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셔츠의 주름을 쉽게 형성하면서 돋보이게 하는 와이셔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앞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앞상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앞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앞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부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뒤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등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뒤판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양측 상부에 칼라와 연결되고 앞판과 재봉선으로 연결되는 앞상판을 통해 상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앞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주름단에 의해 앞판의 상부에 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부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되, 상기 뒤판의 상부를 시단부로 하여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판과 뒤판, 소매와 칼라로 구성되는 와이셔츠로서, 상기 뒤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상기 뒤판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되, 상기 뒤판의 상부를 시단부로 하여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하단 양측에 재봉선을 통해 하부주름단을 형성하고 상기 앞판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를 통해 주름을 형성하되, 상기 앞판의 상부를 시단부로 하여 외측절첩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뒤판과 앞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주름단을 재봉없이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에 의존하여 주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뒤판과 앞판에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와 외측절첩부의 사이 폭을 상부는 좁고 하단부로 갈수록 넓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 및 변형 예에 따른 도면 설명에서 동일 내지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 예의 변형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와이셔츠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와이셔츠(10)는 앞판(12)과 뒤판(14), 앞판(12)과 뒤판(14) 양측으로 형성되는 소매(16) 및 칼라(18)로 크게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뒤판(14)은 그 상부로 등판(20)이 재 봉선(30)로 연결되고 상기 등판(20)의 상부는 칼라(18)와 연결된다.

    상기 뒤판(14)의 양측 상부에는 등판(20)과 연결하기 위한 재봉선(30)을 통해 상부주름단(32)이 재봉으로 형성되고, 뒤판(14)의 하단 양측에 하단 마무리를 위한 재봉선(34)을 통해 하부주름단(36)이 재봉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주름단(32)과 하부주름단(36)에 의해 뒤판(14)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되는 내측절첩부(38a)와 외측절첩부(38b)에 의해 주름(38)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뒤판(14)에 형성된 주름(38)에 따르면, 내측절첩부(38a)와 외측절첩부(38b)가 상부주름단(32)과 하부주름단(36)의 재봉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온전한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다림질할 때도 주름(38)을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변형 예의 와이셔츠(1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판(14)에 주름(38)을 형성한 것과 함께 앞판(12)의 양측 상부에 칼라(18)와 연결되고 앞판(12)과 재봉선(40)으로 연결되는 앞상판(22)을 통해 상부주름단(42)을 재봉으로 형성하고, 앞판(12)의 하단 양측에 하단 마무리를 위한 재봉선(34)을 통해 하부주름단(44)을 재봉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주름단(42) 및 하부주름단(44)에 의해 앞판(12)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부절첩부(46a)와 외측절첩부(46b)를 통해 주름(46)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뒤판(14)과 앞판(12)에 형성된 주름(38)(46)에 따르면, 내측절첩부(38a)(46a)와 외측절첩부(38b)(46b)가 상부주름단(32)(42)과 하부주름단(36)(44)의 재봉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온전한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며, 이와 동 시에 다림질할 때도 주름(38)(46)을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셔츠(10a)는 뒤판(14)과 앞판(12)에 주름(38)(46)을 형성함으로써 주름을 통해 와이셔츠(10a)를 돋보이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학생이나 군인 등의 제복용 와이셔츠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실시 예에 의하면, 와이셔츠(10)(10a)의 하단을 바지 안에 넣고 단정히 할 때도 상기 주름(38)(46)이 흐트러짐 없이 온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2실시 예의 변형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셔츠(10b)는 뒤판(14)의 양측 상부에 칼라(18)와 연결되고 뒤판(14)과 재봉선(30)으로 연결되는 등판(20)을 통해 상부주름단(32)을 재봉으로 형성하고, 뒤판(14)의 하단 양측에 하단 마무리를 위한 재봉선(34)을 통해 하부주름단(36)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주름단(32) 및 하부주름단(36)에 의해 뒤판(14)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38a)와 외측절첩부(38b)를 통해 주름(38)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38b)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stitch)(48)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셔츠(10b)에 따르면, 뒤판(14)에 형성된 주름(38)이 내측절첩부(38a)와 외측절첩부(38b)를 통해 형성됨과 함께 외측절첩부(38b)에 스티치(이른바, "호시(일본어 표기)"작업)(48)로 마무리함으로써 주름(38)을 더욱 쉽게 형성함과 함께 다림질로 각이 선 주름(38)은, 스티치(48)의 보조적 도움으로 예리하게 선 각 주름(38)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변형 예의 와이셔츠(10c)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판(14)에 스티치(48)와 함께 형성된 주름(38)을 형성하고, 앞판(12)의 양측 상부에 칼라(18)와 연결되고 앞판(12)과 재봉선(40)으로 연결되는 앞상판(22)을 통해 상부주름단(42)을 재봉으로 형성하고, 앞판(12)의 하단 양측에 하단 마무리를 위한 재봉선(34)을 통해 하부주름단(44)을 재봉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주름단(42) 및 하부주름단(44)에 의해 앞판(12)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부절첩부(46a)와 외측절첩부(46b)를 통해 주름(46)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절첩부(46b)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50)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셔츠(10c)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뒤판(14)과 앞판(12)에 형성된 주름(38)(46)이 스티치(48)(50)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주름(38)(46)을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3실시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3실시 예의 변형 예를 예시한 와이셔츠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FF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와이셔츠(10d)는 뒤판(14)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38a)와 외측절첩부(38b)를 통해 주름(38)을 형성하되, 상기 뒤판(14)의 상부를 시단부(52)로 하여 외측절첩부(38b)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48)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뒤판(14)의 하단 양측에 하단 마무리를 위한 재봉선(34)을 통해 하부주름단(36)이 재봉으로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와이셔츠(10e)는, 뒤판(14)에 시단부(52)로부터 스티치(48)를 형성하여 주름(38)을 형성하고, 이와 함께 앞판(12)의 양측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내측절첩부(46a)와 외측절첩부(46b)를 통해 주름(46)을 형성하되, 상기 앞판(12)의 상부를 시단부(54)로 하여 외측절첩부(46b)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방향으로 스티치(50)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앞판(12)의 하단 양측에 하단 마무리를 위한 재봉선(34)을 통해 하부주름단(44)이 재봉으로 형성된다.

    상기 3실시 예의 와이셔츠(10d)(10e)는 앞서 설명된 1,2실시 예와는 달리 등판(20) 및 앞상판(22)이 없는 것으로서, 뒤판(14)과 앞판(12)에 주름(38)의 형성은 시단부(52)(54)로부터 스티치(48)(50)를 함으로써 내측절첩부(38a)(46a)와 외측절첩부(38b)(46b)가 형성된 주름(38)(46)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2,3실시 예에서의 뒤판(14)과 하판(12)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주름단(36)(44)이 재봉선(34)을 통해 재봉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부주름단(36)(44)을 재봉 없이 내측절첩부(38a)(46a)와 외측절첩부(38b)(46b)에 의존하여 주름(38)(4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2,3실시 예에서, 상기 뒤판(14)과 앞판(12)에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 내측절첩부(38a)(46a)와 외측절첩부(38b)(46b) 사이 폭을 상부는 좁고 하단부로 갈수록 넓게 하는 이른바 핀탁 형태(의류업계에서 사용되는 언어임)로 구 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3실시 예에서 설명된 스티치(48)(5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은 와이셔츠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실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스티치(48)(50)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와이셔츠의 색상과 다른 컬러 색상의 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셔츠에 따르면, 와이셔츠의 뒤판 또는 앞판 또는 뒤판과 앞판 모두에 주름을 형성함에 있어 주름을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형성함으로써 주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와이셔츠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주름선이 온전히 유지할 수 있으며, 주름을 형성함에 있어 스티치로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셔츠의 주름을 쉽게 형성하면서 돋보이게 하며, 학생이나 군인 등의 제복용 와이셔츠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