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人类生活必需 / 服装 / 衬衣;内衣;婴儿内衣;手帕 / 内衣、婴儿内衣或手帕的材料 /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申请号 KR1020000015240 申请日 2000-03-24 公开(公告)号 KR1020010090346A 公开(公告)日 2001-10-18
申请人 김우재; 发明人 김우재; 김동식;
摘要 PURPOSE: A sports undershirt maximized in function of absorbing and evaporating sweat and keeping warm is provided to absorb and evaporate the dripping sweat in an instant and to maintain the normal body temperature even if it is cold outside in winter. CONSTITUTION: The sports undershirt maximized in function of absorbing and evaporating sweat and keeping warm include a plain weave(1) and cotton projected hair(2a, 2b). In case the cotton projected hair(2a, 2b) is selectively weaved and fixed on a face of the plain weave(1), the cotton projected hair(2a) is fixed inside the plain weave(1) and it is profitable to absorb and evaporate sweat. The cotton projected hair(2a, 2b) is fixed on the plain weave(1) in order that they don't fall off from the plain weave(1) or aren't untied. The cotton projected hair(2a), which is contacted with the body, plays a role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absorbing. And the cotton projected hair(2b), which is fixed to the outer face, plays a role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evaporating.
权利要求
  • 내의의 형태로 재봉되는 기본천인 평직물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되게 무수히 많은 면사돌기털이 직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사돌기털이 평직물의 양면에 돌출되게 직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직물이 면, 화학섬유, 스판텍스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직물의 전면에 단추 또는 슬라이더 파스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 제 1 항에 있어서,
    목부위에 머리 및 목부분에서 흐르는 땀을 흡수 및 발산시키도록 칼라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사돌기털이 타원형의 고리형상이나, 고리형상의 한 끝이 절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사돌기털의 길이가 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 说明书全文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

    본 발명은 운동용 내의(內衣)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계절에 관계없이 격렬한 활동, 군사훈련, 운동시합, 등산 및 심한 노동으로 신체에서 발생하는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은 물론 발산(증발)시키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와 밀착되게 가장 먼저 착용되어 땀을 흡수함은 물론 발산역할을 하는 내의는 평상시에 입는 런닝셔츠라고 일컫는 내의와, 운동시 입는 운동용내의로 대별된다.

    상기한 런닝셔츠나 운동용 내의는 모두 평직으로 직조된 면직물에 의해 똑같은 형태로 제조되고 있는데, 면직물(綿織物)로 내의(內衣)를 만드는 이유는 대략 다음과 같은 3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내의의 다음에 착용되는 T-셔츠, 와이셔츠 등과의 마찰로 인한 불편함이나 정전기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고, 둘째는 땀을 흡수하여 발산시킴과 동시에 보온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셋째는 내의를 착용치 않음에 따라 T-셔츠나 와이셔츠 등을 통하여 신체가 비치거나, T-셔츠를 벗고 다른 옷으로 바꾸어 입고자 하였을 때에 타인에게 주는 혐오감이나 불쾌감 등을 예방하기 위함이었다.

    상기한 3가지 이유 중 내의를 착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땀을 흡수한 다음 신속하게 발산시키며 보온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내의는 운동용이던지 평상용이던지 모두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요철없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부드럽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하절기와 같이 외기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땀을 흡수한 다음 발산하는 기능 및 동절기와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보온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흐르는 땀의 양(量)이 순간적으로 많을 때에는 흡수 및 발산기능이나, 보온기능이 더욱 떨어진다.

    또한, 내의가 평직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와 증발의 절대조건인 표면적(表面的)이 한정되어 최초로 흐른 땀은 잘 흡수하지만, 일단 흡수한 땀을 면내의(綿內衣)의 바깥쪽으로 삼출(渗出)시킨 후에는 한정된 표면적 관계로 땀의 증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확산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흐르는 많은 양의 땀을 흡수 및 증발시키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내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내의에 어느 정도 땀이 흡수되면 증발이 계속적으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내의에 정체(停滯)된 상태로 남아 내의가 신체(身體)의 표면에 밀착되어 휘감기게 되므로 활동에 매우 불편함을 줄뿐 만 아니라 운동선수의 시합, 훈련, 군사작전, 작업 및 등산을 할 때 움직임에 제한을 주게 된다.

    둘째, 특히나 겨울철에 발산되지 않은 땀이 신체에 달라붙으면 땀은 수분이기 때문에 차거운 대기의 온도가 즉시 몸으로 전도(傳導)되어 체온을 급격히 떨어뜨리게 되므로 감기에 쉽게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절기 등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높아 일시에 많은 양의 땀을 흘리더라도 계속적으로 흐르는 땀을 순간적으로 흡수 및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절기 등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차겁더라도 보온기능이 뛰어나 체온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운동용 내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내의의 형태로 재봉되는 기본천인 평직물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되게 무수히 많은 면사돌기털이 직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의 흡수, 증발, 보온기능을 극대화시킨 운동용 내의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동용 내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평직물 2a, 2b : 면사돌기털

    3 : 단추 4 : 접은 칼라

    5 : 세운 칼라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동용 내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내의의 형태로 재봉되는 기본천인 평직물(1)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되게 무수히 많은 면사돌기털(2a)(2b)이 직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2a와 같이 평직물(1)의 양면으로 면사돌기털(2a)(2b)이 돌출되게 직조 고정된 상태를 예시하였으나, 착용감 등을 고려하여 평직물(1)의 내면 또는 외면에만 면사돌기털(2a)(2b)이 돌출되게 직조 고정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평직물(1)의 일면에만 면사돌기털(2a)(2b)을 선택적으로 직조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신체와 접촉되는 평직물(1)의 내면에 면사돌기털(2a)을 고정시키는 것이 땀의 흡수 및 발산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물론, 평직물(1)에 직조 고정되는 면사돌기털(2a)(2b)은 내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면사돌기털(2a)(2b)이 평직물(1)로부터 빠지 않거나, 풀리지 않을 정도로 고정하여야 된다.

    또한, 상기 평직물(1)에 직조 고정되는 면사돌기털(2a)(2b)은 도 2a와 같이 고리형상의 한 끝이 절단된 형태로 하거나, 도 2b와 같이 상기 타원형의 고리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직물(1)에 직조 고정되는 상기 면사돌기털(2a)(2b)중 신체와 접촉되게 내면에 위치하는 면사돌기털(2a)은 땀의 흡수표면적을 최대한 증대시키는역할을 하게 되며, 외면에 직조 고정된 면사돌기털(2b)은 증발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땀의 흡수 및 증발의 절대적인 조건인 표면적의 크기를 종래의 내의 표면적보다 직조방법에 따라서는 수십배 또는 수백배 이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면사돌기털(2a)(2b)은 흡수표면적과 증발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은 물론 면사의 구조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모세관(毛細管)도 동시에 수십배 내지는 수백배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아무리 많은 땀을 짧은 시간에 흘리더라도 땀이 내의에 정체(停滯 : 땀이 증발되지 않고 내의에 젖어 있는 상태)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신속하게 흡수 및 증발되므로 내의가 신체에 감기지 않게 되어 활동의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면사돌기털(2a)(2b)이 평직물(1)의 외면과 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내의를 착용시 신체의 표면과 평직물(1)사이에 에어 포켓(Air Pocket)이 형성되므로 외기의 온도가 차거운 동절기 등에 신체에서 발생된 열이 바깥측으로 전도되지 않고 에어 포켓내에 머무르면서 내의내의 온도를 신체의 온도와비슷하게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면사돌기털(2a)(2b)에 의해 많은 땀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바깥측으로 삼출, 증발시키게 되므로 외기의 온도가 낮은 동절기 등에 땀을 흘리더라도 전도율이 높은 땀의 밀도를 감소시켜(낮게 하여) 체온의 강하를 완화 내지는 예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은 동절기 등에 땀을 흘리더라도 신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도 땀을 신속하게 방출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직물(1)의 외면에 위치하는 면사돌기털(2b)은 내면에 위치하는 면사돌기털(2a)과 마찬가지로 증발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내면의 면사돌기털(2a)에 의해 흡수된 땀의 증발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안 외면에 위치하는 면사돌기털(2b)은 흡수된 땀을 짧은 시간내에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시키게 되므로 건조해지게 된다.

    즉, 평직물(1)의 내면에 위치하여 발생된 땀을 흡수하는 면사돌기털(2a)은 땀에 의해 젖어 땀의 밀도가 높은 반면, 외면의 면사돌기털(2b)은 땀의 밀도가 낮아 내면으로부터 증발하는 외면으로의 삼출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증가된 모세관을 따라 삼출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되므로 땀의 흡수 및 증발이 더욱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평직물(1)의 내면과 외면에 돌출되는 면사돌기털(2a)(2b)의 길이를 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면사돌기털(2a)(2b)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면 내의의 착용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직물(1)의 내면과 외면에 돌출되게 직조 고정되는 면사돌기털(2a)(2b)은 하절기나 동절기 등에 관계없이 땀의 흡수 및 증발을 완벽하게 실현하여 발생된 땀을 짧은 시간내에 증발시켜 수분을 소멸시키기 때문에 운동 또는 훈련 등과 같이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내의를 갈아 입을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평직물(1)의 내면에 직조 고정되는 면사돌기털(2a)의 재질이 면사로 되어 있어 착용시 평직물(1)이 피부와 접촉되지 않고 면사돌기털(2a)만이 접촉되므로 평직물(1)은 신체의 접촉에 따른 문제점이나, 땀의 흡수 및 증발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면사돌기털(2a)(2b)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평직물(1)의 재질을 종래의 내의와 같이 면으로 하여도 되지만, 경제성을 고려하여 인장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난 화학섬유나, 스판 텍스와 같은 재질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평직물(1)을 화학섬유나, 스판 텍스와 같은 재질로 적용할 경우에는 격렬한 활동을 요구하는 운동경기 또는 훈련 및 작업시 내의가 잘 찢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운동용 내의는 평직물(1)의 내, 외면에 면사돌기털(2a)(2b)이 직조 고정되어 있어 종래의 내의보다 두껍기 때문에 비교적 외기의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종래의 내의를 착용한 것보다 더위를 느낄 것으로 생각되나, 그렇치 않다.

    그 이유는 종래의 내의인 경우에는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가 평직물이기 때문에 땀의 흡수 및 증발이 느리게 진행되고, 내의의 내면에 본 발명과 같은 에어 포켓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인해 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땀이 발생되면 발생된 땀에 의해 내의가 흠뻑 젖어 신체에 직접 달라 붙게 되므로 열의 전도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기가 신체로 직접 전달되어 더위를 느끼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온동용 내의는 평직물(1)의 내, 외면에 면사돌기털(2a)(2b)에 의한 에어포켓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에어 포켓에 의해 외기의 열이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시킴은 물론 상기 내면의 면사돌기털(2a)에 흡수된 땀이 외면의 면사돌기털(2b)을 통해 증발하는 속도가 빨라 증발하는 기화열(氣化熱)에 의해 오히려 시원함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운동용 내의는 평직물(1)의 내, 외면에 면사돌기털(2a)(2b)이 직조 고정되므로 인해 종래의 내의보다는 신축성이 다소 떨어져 운동용 내의를 입거나, 벗을 때 다소 불편할 수 있어 운동용 내의의 착탈시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평직물(1)의 전면에 단추(3) 또는 슬라이더 파스너(도시는 생략함)를 구비한 것이다.

    첨부된 도 3b 및 도 3c는 목부위에 접는 칼라(4) 또는 세운 칼라(5)를 부착한 것으로서, 이 경우는 머리 및 목부분에서 흐르는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발산시키는 기능을 갖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내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하절기나 동절기에 격렬한 운동이나 활동, 훈련, 힘든 등산운동 및 힘든 작업 등으로 인해 땀을 많이 흘려 불편한 활동과 능률이 저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급성감기 등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격렬한 운동시에도 땀에 의해 내의가 신체의 일부분에 감기지 않게 되므로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학생들이 체육시간이나 기타 땀을 많이 흘리는 학습을 한 후, 땀 처리를 하지 못하고 다음 교실수업에 임하게 되는 어려움을 해소하게 되며, 특히 하절기의 체육시간동안 흘린 땀을 처리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감기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학생들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인원이 노동에 따른 땀을 많이 흘리더라도 발생된 땀을 신속하게 흡수 및 방출시키게 되므로 작업능률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섯째, 겨울철 등산시 가장 염려되는 감기의 예방에 매우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