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끈 교차형 브래지어

申请号 KR2020030020071 申请日 2003-06-25 公开(公告)号 KR200329401Y1 公开(公告)日 2003-10-17
申请人 한승희; 发明人 한승희;
摘要 본 고안은 브래지어(Brassiere)에 관한 것으로, 브래지어의 어깨끈이 등뒤에서 서로 교차되고, 컵이 재봉된 앞판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와 노출구를 통하여 앞판을 통과한 후 전환링을 통과하며 방향이 전환되어 앞판의 중심부에 체결되도록 하여 컵(Cup)이 유방 하부를 완전히 감싼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압박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어깨끈의 교차부를 망상(網狀)구조로 형성하여, 활동시 어깨끈의 교차점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고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컵이 유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고안을 착용함으로써 유방 하부와 가슴이 확실히 분리되어 유방 하부가 가슴에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접촉성 피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압박감이 적고 활동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자연스럽고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权利要求
  • 유방을 감싸는 한쌍의 컵(Cup)(10)과 컵(10)이 재봉된 앞판(30)으로 이루어진 브래지어에 있어서,
    좌측 컵(10)의 상부에 연결된 어깨끈(20)은 앞판(30) 우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구(31)를 통하여 앞판(30) 내부로 삽입되고, 앞판(30) 내부를 통과하여 앞판(30) 좌측 단부 형성된 노출구(32)를 통하여 노출되며, 앞판(30) 좌측 단부에 설치된 전환링(33)을 통과하며 방향이 전환되어 앞판(30) 중심부에 체결되고;
    우측 컵(10)의 상부에 연결된 어깨끈(20)은 앞판(30) 좌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구(31)를 통하여 앞판(30) 내부로 삽입되고, 앞판(30) 내부를 통과하여 앞판(30) 우측 단부 형성된 노출구(32)를 통하여 노출되며, 앞판(30) 우측 단부에 설치된 전환링(33)을 통과하며 방향이 전환되어 앞판(30) 중심부에 체결되어;
    착용시 양측의 어깨끈(20)들이 등에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 교차형 브래지어.
  •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구(31) 직전부의 어깨끈(20)에 전환링(33)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 교차형 브래지어.
  • 제 1 항에 있어서, 어깨끈(20)은 등쪽의 교차부에서 그 폭이 확장되고, 망상(網狀)구조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 교차형 브래지어.
  • 说明书全文

    어깨끈 교차형 브래지어{CROSS STRAP BRASSIERE}

    본 고안은 브래지어(Brassiere)에 관한 것으로, 브래지어의 어깨끈이 등뒤에서 서로 교차된 후 컵(Cup)이 재봉된 앞판 내부를 통과하고 고정되도록 하여, 컵(Cup)이 유방 하부를 완전히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방 하부가 가슴에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착용감 또한 편안한 브래지어 이다.

    브래지어는 유방을 중심으로 흉부를 감싸주는 여성용 속옷으로서, 브라(bra),업리프트(uplift), 밴도(bandeau)라고도 하며, 유방을 받쳐주고 보호하며 가슴의 모양을 교정해서 상의의 이상적인 실루엣을 조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브래지어의 기본적 형태는 유방을 감싸는 컵(Cup)과 컵이 재봉되어 고정된 앞판 및 이들을 상체에 고정하는 어깨끈 및 수평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래지어에 횡방향의 절개선이 구성되고 하반부가 단단하게 고정된 업리프트형, 컵라인이 확실하여 유방의 모양을 아름답게 조절할 수 있는 컵형, 브래지어에 어깨끈을 달지 않은 형으로 상부가 노출되는 드레스에 적당한 스트랩리스형 및 브래지어의 끈이 바깥쪽 어깨에 달려 있어 네크라인이 넓은 드레스를 입을 때 사용되는 오프숄더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브래지어는 단순히 유방을 가리고 받쳐주는 역할 뿐 아니라, 활동시 유방의유동을 방지하고 체형을 보정하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브래지어를 사용하는 것이 외형적 아름다움 뿐 아니라 건강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브래지어는 컵이 재봉되어 고정된 앞판의 양단이 수평밴드로 연결되어 등에서 체결되고, 컵 상단부에 연결된 어깨끈이 등 쪽의 수평밴드에 연결되어 컵을 위쪽으로 당김으로써 컵이 유방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브래지어는 컵이 재봉된 앞판을 수평밴드가 단단히 조임으로써 상체와 브래지어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착용시 압박감이 클 뿐 아니라, 활동시 앞판과 컵이 상하좌우로 쉽게 움직이게 되어, 컵이 유방에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컵이 유방을 앞에서 누르는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유방이 큰 여성의 경우 유방의 하부가 접히면서 가슴과 접촉하게 되어 착용감이 불쾌할 뿐 아니라 각종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브래지어의 어깨끈이 등뒤에서 서로 교차되고, 컵이 재봉된 앞판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와 노출구를 통하여 앞판을 통과한 후, 전환링을 통과하며 방향이 전환되어 앞판의 중심부에 체결되도록 하여 컵(Cup)이 유방 하부를 완전히 감싼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압박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깨끈의 교차부는 방추형(紡錘形)의 망상(網狀)구조로 형성하여, 활동시 어깨끈의 교차점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고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컵이 유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착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착용상태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착용상태 대표단면도.

    도 4는 종래 브래지어의 착용상태 대표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환링 설치위치를 변경한 실시예의 착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컵(Cup)

    20 : 어깨끈

    30 : 앞판

    31 : 삽입구

    32 : 노출구

    33 : 전환링

    34 : 후크(Hook)

    35 : 걸림고리

    본 고안의 상세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착용상태도로서 각각 착용자의 정면과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앞판의 양단에 연결되고 등에서 체결되어 앞판을 고정하는 수평밴드가 없으며, 컵(Cup)(10)의 상부에 연결된 어깨끈(20)이 압판(30)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좌측 컵(10)의 상부에 연결된 어깨끈(20)은 앞판(3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구(31)를 통하여 앞판(30)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어깨끈(20)은 앞판(30) 내부를 통과하여 앞판(30) 좌측 단부 형성된 노출구(32)를 통하여 노출된다.

    노출구(32)를 통하여 앞판(30) 밖으로 노출된 어깨끈(20)은 앞판(30)의 좌측 단부에 설치된 전환링(33)을 통과하며 방향이 전환되어 앞판(30) 중심부에 체결되며, 체결 방식으로는 후크(34)와 걸림고리(35)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체결수단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단순한 설계변경 사항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는 구체적인 한정을하지 않는다.

    우측 컵(10)에 연결된 어깨끈(20) 또한 전술한 좌측의 어깨끈(20)과 동일한 설치구조를 가지게 되며, 도 2에서와 같이 착용시 등에서 양측의 어깨끈(20)이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브래지어의 앞판과 같이 수평밴드의 압박력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등에서 교차된 어깨끈(20)이 앞판(30)을 끌어올리면서 상체에 밀착하게 되므로 착용자가 느끼는 압박감이 현저하게 감소될 뿐 아니라, 컵(10)이 유방의 하부를 완전히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유방의 하부와 가슴이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어깨끈(20)이 중심부로 모아지게 되므로 어깨끈이 흘러내릴 염려가 적다.

    이러한 본 고안의 유방 하부 완전 분리 구조에 있어서, 컵(10)을 부드러운 재질의 주머니 형태로 제작하여 적용하게 되면, 그 분리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 및 종래 브래지어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유방의 하부와 가슴을 완전히 분리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반면에, 종래 브래지어의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전방에서 앞판(30)을 누르는 방향의 힘으로 앞판(30)을 상체에 고정하게 되므로 유방이 눌리면서 하부가 가슴에 접촉되게 되어 불쾌감과 함께 각종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노출구(32)를 통하여 노출된 어깨끈(20)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링(33)은 앞판(30)의 단부 뿐 아니라 도 5에서와 같이, 삽입구(31) 직전부의 타측 어깨끈(2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삽입구(31)가 노출구(32)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어깨끈(20)의 교차부는 도 2에서와 같이 방추형(紡錘形)의 망상(網狀)구조로 형성하여 교차부의 양측 어깨끈(20) 간에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브래지어의 전체적인 구조를 유지함과 동시에, 활동시 어깨끈(20)의 교차점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자연스럽고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컵(10)이 유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결국 본 고안의 기술요지는 유방을 감싸는 한쌍의 컵(Cup)(10)과 컵(10)이 재봉된 앞판(30)으로 이루어진 브래지어에 있어서, 좌측 컵(10)의 상부에 연결된 어깨끈(20)은 앞판(30) 우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구(31)를 통하여 앞판(30) 내부로 삽입되고, 앞판(30) 내부를 통과하여 앞판(30) 좌측 단부 형성된 노출구(32)를 통하여 노출되며, 앞판(30) 좌측 단부에 설치된 전환링(33)을 통과하며 방향이 전환되어 앞판(30) 중심부에 체결되고, 우측 컵(10)의 상부에 연결된 어깨끈(20)은 앞판(30) 좌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구(31)를 통하여 앞판(30) 내부로 삽입되고, 앞판(30) 내부를 통과하여 앞판(30) 우측 단부 형성된 노출구(32)를 통하여 노출되며, 앞판(30) 우측 단부에 설치된 전환링(33)을 통과하며 방향이 전환되어 앞판(30) 중심부에 체결되어, 착용시 양측의 어깨끈(20)들이 등에서 � ��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 교차형 브래지어로서,

    삽입구(31) 직전부의 어깨끈(20)에 전환링(33)이 설치되고,

    어깨끈(20)은 등쪽의 교차부에서 그 폭이 확장되고, 망상(網狀)구조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끈 교차형 브래지어 이다.

    본 고안을 착용함으로써 유방 하부와 가슴이 확실히 분리되어 유방 하부가 가슴에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접촉성 피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압박감이 적고 활동이 자유로우며, 자연스럽고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어깨끈이 흘러내리는 문제점 또한 해결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