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끼형 윗 속옷

申请号 KR2020030034849 申请日 2003-11-03 公开(公告)号 KR200341609Y1 公开(公告)日 2004-02-14
申请人 정희정; 发明人 정희정;
摘要 본 고안은 겉옷을 벗지 않고 쉽게 벗을 수 있는 조끼형 윗 속옷에 관한 것으로, 어깨걸이 암체결부가 형성된 등판부; 및 외측 상단 일정부위에 형성된 어깨걸이 수체결부, 외측의 일편 일정부위에 형성된 허리 수체결부와 외측의 타편 일정부위에 형성된 허리 암체결부가 형성된 허리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운동 등에 의해 흘린 땀의 발산으로 인한 급격한 체온저하가 우려되거나 또는 불쾌감 등을 제거하기 위해 겉옷을 벗지 않고도 손쉽게 속옷을 벗음으로써 항상 적절한 체온유지와 상쾌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权利要求
  • 겉옷을 벗지 않고 윗 속옷을 손쉽게 벗을 수 있는 조끼형 윗 속옷에 관한 것으로,
    어깨걸이(11)에 어깨걸이 암체결부(12)가 형성된 등판부(10); 및
    외측 상단 일정부위에 어깨걸이 수체결부(13)가 각각 형성되며, 외측의 일편 일정부위에 허리 수체결부(22)가 형성되고 외측의 타편 일정부위에 허리 암체결부(21)가 형성된 허리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윗 속옷.
  • 说明书全文

    조끼형 윗 속옷{Vest-type upper underwear}

    본 고안은 쉽게 벗을 수 있는 조끼형 윗 속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의를 벗지 않고 땀에 젖은 상의 속옷을 손쉽게 제거함으로써 땀 발산에 의한 열손실을 줄여 체온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끼형 위 속옷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윗 속옷은 체온을 유지하지 위해 야외에서 땀에 젖은 상의 속옷을 갈아입어야만 할 때에는 상의를 벗고 젖은 윗 속옷을 벗어야만 했으므로 특히 여성들에게는 제약과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겉옷에는 방수 및 발산기능 등의 고기능 섬유를 사용하여 체온유지에 도움을 주고 있으나 두꺼운 겉옷 그리고 몇 겹의 옷을 입은 후 그 안에 윗 속옷을 착용할 경우에는 특히 고기능 섬유의 땀 발산기능이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점 등 외적 및 내적인 제약으로 인해 젖은 옷을 그대로 착용하고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야외에서 땀에 절은 윗 속옷을 손쉽게 벗을 수 없는 상황에서 현재 사용 중인 고기능의 섬유만으로는 적절한 체온유지와 상쾌함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는 한계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야외에서 땀에 절은 윗 속옷을 손쉽게 벗을 수 있어 체온손실 및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끼형 윗 속옷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끼형 윗 속옷의 착용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끼형 윗 속옷의 펼쳐진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등판부 20 : 허리부

    11 : 어깨걸이 21 : 허리 암체결부

    12 : 어깨걸이 암체결부 22 : 허리 수체결부

    13 : 어깨걸이 수체결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야외에서 땀에 절은 윗 속옷을 겉옷을 벗지 않는 상태에서 손쉽게 벗을 수 있는 조끼형 윗 속옷에 관한 것으로서, 등판부(10)와 허리부(20)가 일체로 구성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형 윗 속옷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끼형 윗 속옷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끼형 및 속옷의 착용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끼형 윗 속옷의 펼쳐진 배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땀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등판부(10)와 허리부(2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등판부(10)에 형성된 어깨걸이 암체결부(12)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인 단추구멍 또는 벨크로(velcro)의 훅(hook) 또는 스냅(snap)의 요면(凹面)을 어깨걸이(11)의 상부 중앙 또는 내측 상부 중앙에 각각 설치한다.

    상기 허리부(20)의 외측 상단 일정부위에 각각 형성된 어깨걸이 수체결부(13)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인 단추 또는 벨크로(velcro)의 고리부분 또는 스냅(snap) 철면(凸面)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허리부(20)의 외측의 일편 일정부위에 형성된 허리 수체결부(22)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인 단추 또는 벨크로(velcro)의 고리부분 또는 스냅(snap) 철면(凸面)을 종방향으로 각각 설치한다.

    상기 허리부(20)의 외측의 타편 일정부위에 형성된 허리 암체결부(21)는 통상적인 체결수단인 단추구멍 또는 벨크로(velcro)의 훅(hook) 또는 스냅(snap)의 요면(凹面)을 종방향으로 각각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조끼형 윗 속옷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인 조끼형 윗 속옷을 입는 과정을 살펴보면, 등판부(10)를 착용자의 배면 즉, 등에 접촉한 상태에서 어깨걸이 암체결부(12)를 착용자의 전면으로 늘어뜨린다. 그리고 허리부(20)의 허리 암체결부(21)와 허리 수체결부(22)를 각각 체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의 어깨걸이 암체결부(12)를 상기의허리부(20)에 설치되어 있는 어깨걸이 수체결부(13)와 체결함으로써 착용을 한 후 겉옷을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인 조끼형 윗 속옷을 벗는 과정은 살펴보면 착용자의 겉옷 상의의 복부 부근의 단추를 하나 또는 두개를 풀러 그 사이에 손을 넣어 허리부(20)의 허리 암체결부(21)와 허리 수체결부(21)의 체결을 해제한 뒤 등판부(10)에 형성된 어깨걸이 암체결부(12)와 허리부(20)에 형성된 어깨걸이 수체결부(13)의 구속을 해제하여 겉옷의 풀러 놓은 단추사이를 본 고안인 조끼형 윗 속옷을 잡아 빼면 된다.

    이와같이 추운날씨에 야외에서 등산을 포함한 운동 또는 작업 후 속옷이 흠뻑 젖어 급격한 체온저하 방지나 기타 불쾌감 등을 제거하기 위해 속옷을 벗으려할 때 겉옷을 벗지 않고도 손쉽게 윗 속옷을 벗음으로써 항상 적절한 체온유지와 상쾌함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인 조끼형 윗 속옷의 재질은 땀을 잘 흡수하는 재질이면 족하고 또한 발수, 방수, 항균 및 향취 등 기존의 고기능 섬유의 특징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허리부(20)를 휨이나 처짐이 없도록 일정 두께를 갖게 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위, 즉 허리부(20) 내측에 두께 0.1∼0.3mm의 환상(環狀)의 자석띠 또는 쑥띠 등을 허리부 내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하면 특히 병약자 또는 여성의 하복부 단전부위의 혈액순환 및 건강보조기구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약간의 강성과 휨을 겸비한 재질로 허리부(20)의 내측을 환상(環狀)으로 강화하면 근력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자들의 척추를 보조 및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체온조절능력이 떨어지는 아기들이 잠자고 있을 때 땀에 젖은 옷을 갈아입히기 위해 아기가 잠들어 누워있는 상태에서도 본 고안인 조끼형 윗 속옷을 아기 옆에 펼쳐 놓은 후 아기를 가만히 속옷의 중앙부로 굴려 등판부와 허리부의 체결부를 각각 체결함으로써 배냇저고리로도 사용할 수 있어 아기의 땀 발산에 의한 급격한 체온저하를 방지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끼형 윗 속옷의 효과를 살펴보면, 운동 등에 의해 흘린 땀의 발산으로 인한 급격한 체온저하가 우려되거나 또는 불쾌감 등을 제거하기 위해 속옷을 벗으려할 때 겉옷을 벗지 않고도 손쉽게 속옷을 벗음으로써 항상 적절한 체온유지와 상쾌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