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

申请号 KR2020030012295 申请日 2003-04-21 公开(公告)号 KR200321257Y1 公开(公告)日 2003-07-28
申请人 박경숙; 发明人 박경숙;
摘要 본 고안은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에 관한 것이다.
통상 양팔과 함께 양겨드랑이부를 갖는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에 있어 체온계를 내복의 겨드랑이부 외측에서 내복의 겨드랑이부 내측으로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내복의 겨드랑이부 일측부에 별도의 보강편을 덧댄후 그 둘레를 재봉선으로 박음질 하여 내복에 부착 형성하며, 그 보강편 부위에 내복의 겨드랑이부 내측으로 통하게 되는 체온계 관통구를 내복과 함께 일체가 되게 형성한 것으로서 아기가 갑자기 아플시 이에 수시로 체크하게 되는 체온점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权利要求
  • 몸통부를 이루게 되는 몸체와 양팔과 양겨드랑이부를 갖는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에 있어서, 내복의 겨드랑이부 일측부에 별도의 보강편을 덧댄후 그 둘레를 재봉선으로 박음질 하여 내복에 부착 형성하며, 그 보강편 부위에 겨드랑이부 내측으로 통하게 되는 체온계 관통구를 내복과 함께 일체가 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
  • 제 1항에 있어서, 보강편과 체온계 관통구는 내복의 한쪽 겨드랑이부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
  • 제 1항에 있어서, 보강편과 체온계 관통구는 내복의 양쪽 겨드랑이부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
  • 说明书全文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omitted}

    본 고안은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에 관한 것이다. 통상 양팔과 함께 양겨드랑이부를 갖는 유아 및 아동용 상의 내복에 있어 체온계를 내복의 겨드랑이부 외측에서 내복의 겨드랑이부 내측으로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내복의 겨드랑이부에 체온계 관통구를 형성한 것인바, 아기가 갑자기 아프거나 열이 오를 경우, 수시로 체크하게 되는 체온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몸통부를 이루게 되는 본체(1)와 양팔(2)(2')과 함께 양겨드랑이부(4)(4')를 갖게 되는 통상의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3)은 임의에 따라 몸통부를 이루게 되는 본체의 전면 중앙부를 종방향의 다수개로 된 단추와 이에 대응되게 되는 단추구에 의해 개,폐토록 되어있고, 또는 단추와 단추구가 없이 전면쪽이 런닝 형태로 막혀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갑자기 아기가 아프거나 열이 오를 경우에는 겨드랑이 밑쪽에 체온계를 삽입시켜서 수시로 체온상태를 점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있어 내복의 전면쪽 단추를 일일이 풀어 젖히게 되고, 또는 내복의 밑부분을 위로 들쳐올려서 체온계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몸이 아파서 불편해 하는 아기는 더욱 떼를 쓰며 보채게 되어 적지않은 불편함을 겪게 되고, 작은 체온 변화에도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신체적 면역성이 약한 아기들의 경우 체온을 수시로 점검하는 동안 가슴부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밖에 없는 폐단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이에 따른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체온계를 내복의 겨드랑이부 외측에서 내복의 겨드랑이부 내측으로 삽입관통시킬 수 있도록 내복의 겨드랑이부 일측부에 별도의 보강편을 덧댄후 그 둘레를 재봉선으로 박음질하여 내복에 부착형성하며, 그 보강편 부위에 겨드랑이부 내측으로 통하게 되는 체온계 관통구를 내복과 함께 일체가 되게 형성한 것으로서 아기가 갑자기 아프거나 열이 오를 경우, 이에 신속히 대처함과 아울러 아기의 체온 점검을 수시로 하게 되는 과정에 있어 아기와 엄마가 함께 얻을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 상의내복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도 1에 있어 사용상태의 요부도

    도 3 은 본 고안 도 1에 있어 변형상태의 요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본체 2,2' : 양팔 3 : 상의내복

    4,4' : 양겨드랑이부 5 : 보강편 6,8,8' : 재봉선

    7 : 체온계 관통구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상의내복(3)에 있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 도 1에 있어 사용상태의 요부도이고,

    도3은 본 고안 도1에 있어 변형상태의 요부도인바,

    몸통부를 이루게 되는 몸체(1)와 양팔(2)(2')과 함께 양겨드랑이부(4)(4')를 갖는 통상의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3)에 있어 체온계 "A" 를 내복(3)의 겨드랑이부(4)외측에서 내복(3)의 겨드랑이부(4)내측으로 삽입관통시킬 수 있도록 내복(3)의 겨드랑이부(4) 일측부에 별도의 보강편(5)를 덧댄후 그 둘레를 재봉선(6)으로 박음질하여 내복(3)에 부착 형성하며 그 보강편(5)부위에 겨드랑이부(4)내측으로 통하게 되는 체온계 관통구(7)를 내복(3)과 함께 일체가 되게 형성한다.

    여기에서 보강편(5)의 타측부는 본체(1)와 팔(2)를 봉합하게 되는 재봉선(8)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박음질 되어지게 된다. 보강편(5)는 체온계 관통구(7)와 그 부위를 견고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보강편(5)의 안쪽면에는 보강편(5)의 천 재질에 따라 접착 심지를 접착 형성시키게 되며, 보강편(5) 둘레는 보강편(5)의 천 재질에 따라 오바로꾸 또는 바이어스로 감아줄 수 있으며 또는 보강편(5)의 천 재질에 따라 단면둘레를 그대로 유지한 채 지그재그 박음질로 박음질 할수 있다.체온계 관통구(7)은 단추구 형태(일명 나나인찌라고 불려짐)로 형성하게 된다.

    보강편(5)는 임의에 따라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복(3)의 안쪽면 쪽으로 덧대어 박음질하여 부착형성 시킬 수도 있다. 보강편(5)와 체온계 관통구(7)은내복(3)의 양쪽 겨드랑이부(4)(4')중 한쪽의 겨드랑이부(4)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고 또는 도1의 도시와 같이 내복(3)의 양쪽 겨드랑이부(4)(4')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 시킬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유아 및 아동용 상의내복은 아기가 갑자기 아프거나 열이 오를 경우, 겨드랑이부에 형성된 내측으로 통하게 되는 체온계 관통구를 통해 체온계를 아기의 겨드랑이 밑쪽으로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아기의 체온을 수시로 점검하게 되는 과정에서 내복의 앞쪽 단추를 일일이 풀어젖히게 되거나 또는 내복의 밑쪽 부분을 윗쪽으로 치켜올리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부착되어진 보강편에 의해 체온계 관통구와 그 주변은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됨이 없이 그 형태를 보편적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며, 특히 아기의 체온을 수시로 점검하게되는 과정에 있어 작은 체온 변화에도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신체적 면역성이 약한 아기의 가슴부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