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팬티

申请号 KR2020020038044 申请日 2002-12-21 公开(公告)号 KR200309015Y1 公开(公告)日 2003-03-29
申请人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发明人 김해준;
摘要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팬티를 구성하는 밴드부 주연과 양 다리를 삽입하는 2개의 개구부 주연에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봉제선이 없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므로서 이들 부분에 심플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와 개구부에 봉제선을 없애므로서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 다리를 삽입하는 사타구니 부분의 피부에 봉제선 자국과 테이프 자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서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权利要求
  •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걸리도록 하여 팬티를 그 위치에 지지하는 밴드부(101)와;
    상기 밴드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엉덩이 전, 후면을 커버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양쪽 다리가 삽입되도록 하는 2개의 개구부(103)로 구성하여서 된 기능성 팬티(100)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팬티(100)를 구성하는 밴드부(101)의 주연과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봉제선이 없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기능성 팬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팬티(100)의 앞면 부분에 해당되는 밴드부(101)와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접착하되, 팬티의 뒷면 부분에 해당되는 밴드부(101)와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 상기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접착하지 아니하여서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에 테이프 자국과 봉제선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인 기능성 팬티.
  •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팬티(100)의 앞면 부분과 뒷면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팬티의 양쪽면에 해당되는 밴드부(101)와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접착 고정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기능성 팬티.
  • 说明书全文

    기능성 팬티{Function characteristic underwear}

    본 고안은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티를 구성하는 밴드부의 주연과 양 다리를 삽입하는 2개의 개구부 주연에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봉제선이 없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므로서 이들 부분에 심플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와 개구부에 봉제선을 없애므로서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양 다리를 삽입하는 사타구니 부분의 피부에 봉제선 자국과 테이프 자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서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형태의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이다.

    팬티는 인간의 문명생활과 더불어 속내의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팬티의 조건으로는 착용 시 착용자의 사타구니 부위의 상승된 온도와, 습하고 탁한 공기를 신속히 배출하여서 착용감이 뛰어나고 세탁하더라도 변형이 없어야 하며,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팬티의 밴드부와 맞닿는 허리 부분과, 팬티의 개구부와 맞닿는 착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의 피부에 거부감이나 봉제선과 테이프에 의한 눌린 자국이 발생되지 않고, 이들 부분의 피부에 가려움 등의 불편한 증상을 주지 않아야 한다.

    팬티는 통상적으로 삼각팬티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삼각 팬티 특유의 밴드부에 의한 조임력이나 사타구니의 양다리가 삽입되는 2개의 개구부에 의한 압박감과, 착용자의 둔부 혈액순환장애 등 여러 가지 단점이 발견되어서 최근에는 트렁크 팬티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도 트렁크 팬티의 헐렁함보다 삼각 팬티 특유의 약간의 조임력을 선호하는 경향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는 삼각 팬티를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많으며, 착용자가 몸에 달라붙는 겉옷을 즐겨입을 경우 트렁크 팬티 보다 삼각 팬티를 선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삼각 팬티는 남성용의 경우 착용자의 몸에 꼭 끼는 스타일로 비록 착용자의 성기를 받쳐주는 기능을 지니고 있지만 착용자의 고환 등 성기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어서 삼각 팬티와 바지 등으로 착용자의 몸에 고환이 밀착되므로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이들 부위에서 땀과 냄새로 인한 끈끈함과 낭습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하므로 착용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여성용 팬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 통상적인 형태로 제조되며, 일부 부위에 여러 가지 다양한 문양을 새기는 등 시각적인 측면에서도 아름답게 보이도록 제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삼각 팬티의 전체 테두리 부분에는 적당한 탄력을 갖는 밴드부를 채용하여 봉제선을 따라 재봉하므로서 착용 시 팬티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있고, 착용자의 양 다리가 삽입되는 2개의 개구부 주연을 따라서도 적당한 탄력을 갖는 밴드부를 채용하거나 개구부 주연의 직물의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구부의 끝단을 말아서 미싱으로 봉제선을 따라 재봉하므로서 사타구니 부분에 적당한 조임력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되는 종래의 팬티는 디자인 측면에서는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건강증진이라는 측면에서는 외면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통상의 삼각 팬티(1)는 탄성밴드(5)가 삽입되어 허리 부분에 걸리도록 하여 팬티를 그 위치에 지지하는 밴드부(2)와, 상기 밴드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엉덩이 전, 후면을 커버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본체부(3)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양 다리가 삽입되도록 2개의 개구부(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밴드부(2) 상에는 적당한 조임력을 갖도록 탄성밴드(5)를 감아서 봉제선(6)을 따라 재봉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4)의 주연을 따라서도 탄성밴드(5)를 감아서 봉제선(6)을 따라 재봉하거나 상기 개구부(4) 주연의 직물의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구부 주연을 말아서 봉제선(6)을 따라 재봉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지닌 삼각 팬티(1)를 일정기간 착용할 경우, 상기 밴드부(2)와 개구부(4)에 형성된 탄성밴드(5)와 봉제선(6)에 의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눌린 자국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탄성밴드(5)와 봉제선(6)의 눌린 자국에 의하여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의 피부에 가려움증과 염증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피부가 건조한 겨울철이나 땀으로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삼각 팬티의 착용감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삼각 팬티(1)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하는 밴드부(2)와 사타구니 부분에 맞닿는 개구부(4) 주연에 탄성밴드(5)가 봉제선(6)을 따라 재봉되어 있으므로 삼각 팬티 착용 시 탄성밴드와 봉제선에 의해 요철부가 형성되어서 팬티의 착용감이 경직되어 매우 불편하고, 봉제선이 있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팬티 착용 시 산뜻한 느낌을 줄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기능성 팬티를 구성하는 밴드부와 양 다리를 삽입하는 2개의 개구부 주연에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봉제선이 없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므로서 이들 부분에 심플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와 개구부에 봉제선을 없애므로서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에 발생하는 테이프와 봉제선의 압박감을 해소하고, 테이프 및 봉제선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여서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팬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팬티의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A - A 선을 절단하여 착용상태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팬티의 정면도

    도 4 는 도 3 의 B - B 선을 절단하여 착용상태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기능성 팬티 101 : 밴드부

    102 : 본체부 103 : 개구부

    104 : 테이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걸리도록 하여 팬티를 그 위치에 지지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엉덩이 전, 후면을 커버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양쪽 다리가 삽입되도록 하는 2개의 개구부로 구성하여서 된 기능성 팬티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팬티를 구성하는 밴드부의 주연과 개구부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봉제선이 없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므로서 팬티 착용 시 밴드부 주연과 개구부 주연에 봉제선을 없애므로서 심플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에 발생하는 테이프와 봉제선의 압박감을 해소하고, 테이프 및 봉제선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여서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기능성 팬티의 앞면 부분에 해당되는 밴드부와개구부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접착하되, 팬티의 뒷면 부분에 해당되는 밴드부와 개구부의 주연을 따라 상기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접착하지 아니하여서 팬티 착용 시 밴드부에 해당되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개구부에 해당되는 착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테이프 자국과 봉제선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기능성 팬티의 앞면 부분과 뒷면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팬티의 양쪽면에 해당되는 밴드부와 개구부의 주연을 따라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접착 고정하므로서 기능성 팬티의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4 에서,

    부호 100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팬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성 팬티(100)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걸리도록 하여 팬티를 그 위치에 지지하는 밴드부(101)와;

    상기 밴드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엉덩이 전, 후면을 커버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양쪽 다리가 삽입되도록 하는 2개의 개구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기능성 팬티(100)에 있어서팬티를 구성하는 밴드부(101)의 주연과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접착 고정하여서 팬티 착용 시 밴드부(101)와 개구부(103)에 봉제선을 없애므로서 심플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와 개구부에 봉제선을 없애므로서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에 발생하는 테이프와 봉제선의 압박감을 해소하고, 테이프 및 봉제선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여서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테이프(104)는, 신축성을 지닌 원단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밴드부(101)와 본체부(102)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테이프(104)의 재질은 신축성을 지닌 스판덱스나 나이론을 함유한 스판덱스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100)는 남성용이나 여성용 모두의 삼각 팬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기능성 팬티를 구성하는 개구부를 제외한 밴드부(101)의 주연에만 상기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접착 고정하더라도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성 팬티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티의 앞면 부분에 해당되는 밴드부(101)와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접착하고, 팬티의 뒷면 부분에 해당되는 밴드부와 개구부의 주연을 따라 상기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접착하지 아니하므로서 팬티 착용 시 밴드부(101)에 해당되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개구부(103)에 해당되는 착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테이프(104) 자국과 봉제선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특정한 용도에 따라서 상기 팬티(100)의 앞면 부분과 뒷면 부분 모두 즉, 기능성 팬티의 양쪽면에 해당되는 밴드부(101)의 주연과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모두 접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상기 팬티의 밴드부(101)의 주연과 개구부(103)의 주연을 따라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104)를 봉제선이 전혀 없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므로서 종래 봉제선이 있는 형태의 팬티와는 달리 팬티 착용 시 밴드부(101)에 해당되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개구부(103)에 해당되는 착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테이프(104) 자국과 봉제선으로 인한 눌린 자국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서 시각적으로도 우수하고 착용감 역시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착용 후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의 피부에 봉제선에 의한 피부가 눌린 자국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테이프에 의한 압박감이 없어서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보더라도 착용자의 신체 측면이 일직선으로 나타나는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하여서 남성이나 여성들의 아웃웨어가 깨끗하게 정돈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팬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팬티를 구성하는 밴드부의 주연과 개구부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봉제선이 없이 접착 고정하므로서 심플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와 개구부에 봉제선을 없애므로서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에 봉제선과 테이프에 의한 눌린 자국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이들 부분에 봉제선과 테이프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하면서 심플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팬티는 팬티를 구성하는 밴드부의 주연과 개구부의 주연을 따라서 신축성을 지닌 테이프를 봉제선이 없이 접착 고정하므로서 팬티 착용 시 이들 부분에 봉제선과 테이프에 의한 눌린 자국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팬티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 부분과 사타구니 부분에 발생하는 테이프와 봉제선의 압박감을 해소하고, 테이프 및 봉제선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여서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등의 제반 특, 장점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