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obacco

申请号 KR20120000766 申请日 2012-02-01 公开(公告)号 KR200461620Y1 公开(公告)日 2012-07-25
申请人 发明人
摘要 Disclosed are a cigarette and a cigarette pack, wherein the cigarette is put into a specific space arbitrarily formed in the cigarette pack and is taken out such that the cigarette is lit. The cigarette and the cigarett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an inflammable material is applied to the end part of the cigarette and the cigarette pack forms a space capable of enclosing the cigarette by allowing a cover thereof to be folded in two stages, wherein a friction part for igniting the inflammable material using friction when the enclosed cigarette is pulled out is formed at the part folded in two stages. The friction part is formed on the design of the cigarette pack whereby the friction part can be simply applied.
权利要求
  • 끝부분에 인화물질(11)이 도포된 담배(10)를 담으며, 이 담배(10)를 꺼내기 위해 뚜껑(21)이 뒤로 젖혀지도록 상기 뚜껑(21)이 제1측면절개선(22), 앞면절개선(23) 및 제1접이선(24)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이선(24) 부위에 상기 인화물질(11)을 발화시키기 위한 마찰부(30)가 형성된 담배곽(20)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절개선(22)의 인접한 아래쪽에 제2측면절개선(26)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접이선(24)의 아래쪽에 상기 제2측면절개선(26)을 연결하는 제2접이선(27)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접이선(24)과 제2접이선(27)이 2단으로 접혀져 상기 담배(10)를 끼워 감쌀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에 감싸진 담배(10)를 잡아당겨 불을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없이도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곽.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30)는 상기 제1접이선(24) 및 제2접이선(27)의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없이도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곽.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30)는 상측이나 하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없이도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곽.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30)는 담배곽(20) 디자인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없이도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곽.
  • 说明书全文

    라이터 없이도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 및 담배곽{A tobacco}

    본 고안은 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터 없이도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 및 담배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담배곽안에 보관되어 판매되며, 흡연을 위해 담배 이외에도 점화를 가능하게 하는 성냥이나 라이터와 같은 도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성냥이나 라이터 등은 항시 휴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불필요하게 재구매를 하게 되거나, 원하는 상황에서 흡연이 불가능한 경우 등의 문제점도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5732호(2011.11.22. 공개)가 공개된 바 있다. 위 공개특허는 담배의 끝 부분에 인화물질을 형성하고, 담배곽에 발화점 이상의 온도를 내도록 마찰부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따라서 담배와 담배곽만으로도 흡연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점화도구를 휴대할 필요가 없게 되며,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흡연자들이 두 제품을 함께 챙길 번거로움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러나 담배를 성냥처럼 긁어서 불을 붙일 경우 높은 마찰을 위해 힘을주어 긁게 되는데, 이 경우 담배가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손 끝으로 담배 앞부분을 눌러 마찰을 일으킬 경우 손가락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위 선행기술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위해 인화물질이 있는 담배의 끝부분에 지지대를 설치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담배를 특정 공간에 넣은 후, 잡아 빼면서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여 선행기술과 같이 별도의 지지대가 없이도 아무런 문제 없이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 및 담배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담배를 담으면서 담배를 꺼낼 수 있도록 뚜껑이 뒤로 젖혀지는 곽을 포함하는 담배 및 담배곽에 있어서,

    담배의 끝 부분에는 인화물질이 도포되고, 뚜껑이 2단으로 접혀져 담배를 감쌀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2단으로 접혀지는 부위에는 감싸진 담배를 잡아당길때에 마찰에 의해 인화물질을 발화시키기 위한 마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없이도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 및 담배곽을 제공한다.

    뚜껑은 제1측면절개선, 앞면절개선 및 제1접이선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제1측면절개선의 인접한 아래쪽에 제2측면절개선이 형성되고, 제1접이선의 아래쪽에 제2측면절개선을 연결하는 제2접이선이 형성되어 2단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찰부는 제1접이선 및 제2접이선의 사이 중앙에 형성됨이 좋을 것이다. 또는, 마찰부는 상측이나 하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마찰부는 담배곽 디자인상에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담배 및 담배곽은 별도의 성냥이나 라이터가 없이도 흡연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담배 및 담배곽은 담배의 제조회사에서 인화도구까지도 제공해 주는 결과가 도출되어 소비자들의 적극적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담배곽의 형태는 그대로면서 뚜껑이 접히는 방식을 새롭게 한 것이며, 마찰부도 담배곽의 그림에 적용하여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자연스러운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담배곽의 뚜껑이 열린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담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담배곽의 뒷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담배 및 담배곽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터 없이도 불을 붙일 수 있는 담배 및 담배곽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담배(10)는 그 끝에 인화물질(11)이 도포된다. 인화물질(11)은 성냥의 황과 같은 것으로, 꼭 황이 아니더라도 마찰에 의해 인화될 수 있는 물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담배곽(20)에는 뚜껑(21)이 열리도록 측면에는 사선방향으로 제1측면절개선(22)이 형성되어 있고, 앞면에는 이 제1측면절개선(22)과 연장되어 오픈되는 앞면절개선(23)이 형성되며, 뒤쪽에는 제1측면절개선(22)의 뒤쪽을 연결하여 뚜껑(21)을 뒤로 젖히는 제1접이선(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1측면절개선(22)의 인접한 아래쪽에 제2측면절개선(26)을 형성하고, 뒤쪽에 제2측면절개선(26)을 연결하여 뒤로 젖혀지도록 제2접이선(27)을 형성하였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뚜껑(21)은 두 번 접혀져 오픈되는 구조를 갖게 되고, 이로 인해 담배곽(20)의 뒤쪽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담배곽(20)의 뒷면에는 마찰부(30)가 형성된다. 마찰부(30)는 성냥을 켤 때 사용하는 인과 같은 것으로, 인화물질(11)이 마찰되어 발화될 수 있는 온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찰부(30)는 담배곽(20) 뒷면의 제1접이선(24) 및 제2접이선(27)의 사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그 위나 아래쪽에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즉, 마찰부(30)는 담배(10)의 인화물질(11)과 일부가 접촉하거나 인화물질(11)을 감쌀 수 있으면 족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담배(10) 및 담배곽(20)은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뚜껑(21)을 뒤로 젖히면 두 번 접혀져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그 공간으로 담배(10)를 삽입한다.

    담배(10)를 삽입한 후에 마찰부(30)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21) 부분을 손으로 살짝 눌러 준 후, 담배(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인화물질(11)이 마찰부(30)에 긁히면서 착화되고, 이 착화로 인해 담배 끝에 불이 붙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담배 11 : 인화물질
    20 : 담배곽 21 : 뚜껑
    22 : 제1측면절개선 23 : 앞면절개선
    24 : 제1접이선 26 : 제2측면절개선
    27 : 제2접이선 30 : 마찰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