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申请号 KR1020120021530 申请日 2012-03-01 公开(公告)号 KR101306557B1 公开(公告)日 2013-09-09
申请人 박영효; 发明人 박영효;
摘要 PURPOSE: An automatic transplanter is provided to transplant potato and vegetable seedlings by moving a supply pipe up and down and moving a transplantation plate underground. CONSTITUTION: An automatic transplanter comprises a supply pipe (121), an accommodation pipe (131), a transplantation plate (141), a soil covering member (161), wheels (110), and a wheel driving unit. The wheel driving unit automatically moves a body (101) by driving the wheels. The supply pipe supplies potato and vegetable seedlings (171) underground. The accommodation pipe connects to the connection pipe (111) of the body and accommodates the potato and vegetable seedlings.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f the accommodation pipe supplies the potato and vegetable seedling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ipe to the inside of the supply pipe. The transplantation plate temporarily stores the potato and vegetable seedlings. The soil covering member covers soil on the transplanted potato and vegetable seedlings.
权利要求
  • 바테리(103)와 컨트롤박스(194) 및 스위칭박스(105)를 본체(101)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102)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101)의 하측부에는 본체(101)가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들을 구동시켜 본체(101)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의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101)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7)에 입설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하는 공급관(121)과,
    상기 공급관(121)을 승강시키기 위한 공급관의 승강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101)의 연결관(111)으로 연결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관(131)과,
    상기 수납관(131)의 하측부를 공급관(121)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공급관(12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납관의 개폐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어 공급관(121)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임시로 안착시키고 있는 양측의 이식판(141)과,
    상기 이식판(141)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주기 위한 이식판의 개폐수단과,
    상기 이식판(141)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주기 위해 본체(101)의 후측지지관(108)의 중심핀(109)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복토편(161)과,
    상기 복토편(161)이 상승되는 이식판(141)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하기 위한 복토편의 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구동수단은 본체(101)의 받침판(102) 저면부로 장착되는 구동모터(112)와,
    상기 구동모터(112)에 관통 결합되어 양측부를 본체(101)의 측판(106)에 지지시키고 있는 구동축(113)과,
    상기 구동축(113)의 양단부로 결합되어 바퀴(110)와 접촉하면서 바퀴(110)를 구동시키는 양측의 구동기어(114)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승강수단은 본체(101)의 프레임(107)에 부착된 지지판(128)에 장착되는 승강용모터(124)와,
    상기 승강용모터(124)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축(123)과,
    상기 크랭크축(123)에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하단부에는 공급관(121)의 측면을 유동용이토록 연결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연결봉(122)과,
    상기 공급관(121)이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급관(121)의 상측부와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부착된 고정안내관(127)의 내부에서 승강운동을 하는 승강안내관(126)을 연결하는 연결판(125)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관의 개폐수단은 수납관(131)의 양측으로 나란히 힌지핀(134)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상승되는 공급관(121)과 접촉하기 위한 경사면(133)을 형성하고 있는 양측의 개폐도어(132)와,
    상기 개폐도어(132)가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수납하고 있도록 양측의 개폐도어(1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5)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판의 개폐수단은 이식판(141)의 외면에 부착된 브라켓(142)의 상측부와 공급관(121)에 부착된 연결편(130) 사이에 탄설되어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려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143)와,
    상기 이식판(141)의 브라켓(142)에 하측부를 유동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작동축(144)과,
    상기 작동축(144)의 상측부와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공급관(121)의 지지편(129)에 중심볼트(146)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작동편(145)과,
    상기 작동편(145)을 압지하거나 탈압지하여 작동편(14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급관(121)하측부에 결합축(148)으로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공급관(121)과의 사이에 제2탄성부재(149)를 탄설하고 있는 작동봉(147)과,
    상기 작동봉(147)이 공급관(121)과 함께 승강시 벌어지고 오무려지는 동작이 유발되면서 작동편(145)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작동봉 (147)의 상측부가 안내될 수 있는 캠판(150)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편의 작동수단은 일측의 이식판(141)에 형성된 브라켓(142)상에 하향으로 부착되는 상측고리(151)와,
    상기 상측고리(151)가 부착된 이식판(141)이 벌어진 상태로 상승시 상측고리(151)에 걸리 수 있도록 복토편(161)에 상향으로 부착되는 하측고리(162)와,
    상기 하측고리(162)가 상측고리(151)와 걸려 있는 상태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다음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는 작용에 의해 분리되어지면서 복토편(161)이 탄성력으로 지면을 내려 칠 수 있도록 복토편(161)과 본체(101) 사이에 탄설되는 제3탄성부재(16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 说明书全文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TRANSPLAN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테리와 컨트롤박스 및 스위칭박스를 본체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의 하측부에는 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퀴들을 결합시키며 바퀴의 구동수단에 의해 바퀴들을 구동시켜 본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공급관을 입설시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의 승강수단에 의해 공급관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의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수납관에 의해 감자 및 채소묘종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납관의 개폐수단에 의해 수납관의 하측부를 공급관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는 이식판에 의해 공급관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식판의 개폐수단에 의해 이식판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후측지지관에 복토편을 중심핀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켜서 이식판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복토편의 작동수단에 의해 복토편이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바테리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면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서 본체가 두둑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어지므로 본체를 끌고 다니거나 들고 다니면서 이식을 했던 종래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손쉽게 해결하였으며 공급관을 승강용모터에 연결된 크랭크축과 연결봉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이식판이 지면을 파고들어가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내부로 이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일정한 깊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식이 가능해 이식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납관에는 다음번 이식될 차례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미리 수납시켜 놓을 수 있어 공급관 및 이식판의 승강 행정에 맞추어 일정하게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받아 이식할 수 있으며 이식판의 이식 완료후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복토편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 주위의 흙들을 복토를 할 수 있어 말끔한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된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밭의 두둑에 이식을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2인 1조로 구성되어진다.

    즉, 상기 작업자 중 선행 작업자는 휴대용 이식기를 들고 두둑의 지면을 찍어 이식판이 지층 내부로 박히도록 한 다음 상기 이식판을 벌려주면 다음 후행 작업자가 감자 및 채소묘종 한개를 이식기 내부로 투입을 시킨다.

    상기 감자 및 채소묘종의 투입이 완료되면 선행 작업자는 이식기를 지면으로 부터 뽑아 분리를 시키고 후행 작업자는 감자 및 묘종이 이식된 부위의 흙을 모아 복토를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감자 및 채소묘종들을 이식하였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감자 및 채소묘종을 이식시 작업자들이 수공에 의해 경험칙으로 작업을 수행했기 때문에 지층으로 이식되는 감자 및 채소묘종들의 깊이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었고 특히 이식 간격 역시 일정할 수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정해진 면적의 재배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고 품질의 균일성을 맞출 수 없었으며 수확량도 향상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테리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면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서 본체가 두둑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어지므로 본체를 끌고 다니거나 들고 다니면서 이식을 했던 종래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손쉽게 해결하였으며 공급관을 승강용모터에 연결된 크랭크축과 연결봉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이식판이 지면을 파고들어가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내부로 이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일정한 깊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식이 가능해 이식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납관에는 다음번 이식될 차례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미리 수납시켜 놓을 수 있어 공급관 및 이식판의 승강 행정에 맞추어 일정하게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받아 이식할 수 있으며 이식판의 이식 완료후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복토편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 주위의 흙들을 복토를 할 수 있어 말끔한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테리와 컨트롤박스 및 스위칭박스를 본체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의 하측부에는 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퀴들을 결합시키며 바퀴의 구동수단에 의해 바퀴들을 구동시켜 본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공급관을 입설시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의 승강수단에 의해 공급관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의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수납관에 의해 감자 및 채소묘종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납관의 개폐수단에 의해 수납관의 하측부를 공급관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는 이식판에 의해 공급관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식판의 개폐수단에 의해 이식판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후측지지관에 복토편을 중심핀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켜서 이식판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복토편의 작동수단에 의해 복토편이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바테리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면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서 본체가 두둑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어지므로 본체를 끌고 다니거나 들고 다니면서 이식을 했던 종래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손쉽게 해결한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공급관을 승강용모터에 연결된 크랭크축과 연결봉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이식판이 지면을 파고들어가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내부로 이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일정한 깊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식이 가능해 이식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수납관에는 다음번 이식될 차례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미리 수납시켜 놓을 수 있어 공급관 및 이식판의 승강 행정에 맞추어 일정하게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받아 이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이식판의 이식 완료후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복토편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 주위의 흙들을 복토를 할 수 있어 말끔한 마무리를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결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이식장치중 이식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중 복토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테리(103)와 컨트롤박스(194) 및 스위칭박스(105)를 본체(101)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102)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101)의 하측부에는 본체(101)가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들을 구동시켜 본체(101)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의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101)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7)에 입설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하는 공급관(121)과,

    상기 공급관(121)을 승강시키기 위한 공급관의 승강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101)의 연결관(111)으로 연결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관(131)과,

    상기 수납관(131)의 하측부를 공급관(121)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공급관(12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납관의 개폐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어 공급관(121)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임시로 안착시키고 있는 양측의 이식판(141)과,

    상기 이식판(141)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주기 위한 이식판의 개폐수단과,

    상기 이식판(141)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주기 위해 본체(101)의 후측지지관(108)의 중심핀(109)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복토편(161)과,

    상기 복토편(161)이 상승되는 이식판(141)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하기 위한 복토편의 작동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바퀴의 구동수단은 본체(101)의 받침판(102) 저면부로 장착되는 구동모터(112)와,

    상기 구동모터(112)에 관통 결합되어 양측부를 본체(101)의 측판(106)에 지지시키고 있는 구동축(113)과,

    상기 구동축(113)의 양단부로 결합되어 바퀴(110)와 접촉하면서 바퀴(110)를 구동시키는 양측의 구동기어(114)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공급관의 승강수단은 본체(101)의 프레임(107)에 부착된 지지판(128)에 장착되는 승강용모터(124)와,

    상기 승강용모터(124)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축(123)과,

    상기 크랭크축(123)에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하단부에는 공급관(121)의 측면을 유동용이토록 연결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연결봉(122)과,

    상기 공급관(121)이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급관(121)의 상측부와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부착된 고정안내관(127)의 내부에서 승강운동을 하는 승강안내관(126)을 연결하는 연결판(125)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납관의 개폐수단은 수납관(131)의 양측으로 나란히 힌지핀(134)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상승되는 공급관(121)과 접촉하기 위한 경사면(133)을 형성하고 있는 양측의 개폐도어(132)와,

    상기 개폐도어(132)가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수납하고 있도록 양측의 개폐도어(1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5)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이식판의 개폐수단은 이식판(141)의 외면에 부착된 브라켓(142)의 상측부와 공급관(121)에 부착된 연결편(130) 사이에 탄설되어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려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143)와,

    상기 이식판(141)의 브라켓(142)에 하측부를 유동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작동축(144)과,

    상기 작동축(144)의 상측부와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공급관(121)의 지지편(129)에 중심볼트(146)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작동편(145)과,

    상기 작동편(145)을 압지하거나 탈압지하여 작동편(14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급관(121)하측부에 결합축(148)으로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공급관(121)과의 사이에 제2탄성부재(149)를 탄설하고 있는 작동봉(147)과,

    상기 작동봉(147)이 공급관(121)과 함께 승강시 벌어지고 오무려지는 동작이 유발되면서 작동편(145)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작동봉 (147)의 상측부가 안내될 수 있는 캠판(150)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토편의 작동수단은 일측의 이식판(141)에 형성된 브라켓 (142)상에 하향으로 부착되는 상측고리(151)와,

    상기 상측고리(151)가 부착된 이식판(141)이 벌어진 상태로 상승시 상측고리(151)에 걸리 수 있도록 복토편(161)에 상향으로 부착되는 하측고리(162)와,

    상기 하측고리(162)가 상측고리(151)와 걸려 있는 상태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다음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는 작용에 의해 분리되어지면서 복토편(161)이 탄성력으로 지면을 내려 칠 수 있도록 복토편(161)과 본체(101) 사이에 탄설되는 제3탄성부재(163)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결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이식장치 본체 (101)를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이식할 밭 두둑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받침판(102)에 안착되어 있는 스위칭박스(105)의 보턴을 누르면 컨트롤박스(104)의 지시에 의해 바테리(103)의 전원이 받침판(102)의 저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12)로 공급되면서 구동모터(112)가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112)의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112)에 관통결합되어 있고 양측부를 본체(101)의 측판(106)에 지지시키고 있는 구동축(113)이 구동되면서 구동축 (113)양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114)들을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14)들과 압지되어 있는 본체(101) 저부 양측의 바퀴 (110)들이 회전을 하면서 본체(101)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바퀴(110)들이 설정된 거리 만큼 이동을 하면 컨트롤박스(104)의 지시에 의해 본체(101) 프레임(107)의 지지판(128)에 장착된 승강용모터(124)가 구동되면서 크랭크축(123)을 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123)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축(123)에 상단부를 결합시키고 있고 하단부는 공급관(121)의 외면과 결합되어 있는 연결봉(122)이 직선운동을 하면서 공급관(121)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121)의 하강시에는 공급관(121)이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급관(121)과 승강안내관(126)이 연결판(125)으로 연결되어 있어 공급관(121)의 승강시 승강안내관(126)도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부착된 고정안내관 (127)의 내부에서 하강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봉(122)에 의해 공급관(121)이 하강을 하게 되고 공급관 (121)하측부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된 양측의 이식판(141)도 오무려진 상태로 도 2의 위치에서 도 3의 위치로 하강을 하여 지층을 파고들게 된다.

    이때, 상기 오무려진 상태로 하강하여 지층을 파고드는 이식판(141)의 내부에는 이미 한개의 감자 및 채소묘종(171)이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식판(141)이 지층을 파느 것과 동시에 양측의 이식판(141)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어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층 내부에 내려 놓게 되는바, 상기와 같은 이식판(141)의 개방작용은 작동봉(147)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작동봉(147)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관(121)에 결합축(148)으로 결합되어 있고 중간부는 공급관(121)과 제2탄성부재(149)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봉(147)이 본체(101) 프레임(107)의 캠판(150)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작동봉(147)이 공급관(121)의 지지편(129)에 중심볼트(146)으로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작동편(145)을 밀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편(145)은 공급관(121)의 연결편(130)과 이식판(141)의 브라켓(142)사이에 탄설되어 있는 제1탄성부재(143)의 탄력 영향권에 들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1탄성부재(143)의 미는 힘에 의해 양측의 이식판(141)이 서로 오무려져서 닫쳐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급관(121)의 하강과 함께 작동봉(147)이 하강하면서 캠판 (150)을 벗어나면 제2탄성부재(149)의 탄력에 의해 공급관(121)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작동편(145)을 도 5의 위치에서 도 6의 위치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편(145)은 작동봉(147)의 미는 힘에 의해 중심볼트(14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작동축(144)을 밀게 되고 상기 작동축(144)은 브라켓(142)을 밀게 되므로서 결국, 브라켓(142)과 일체로 형성된 양측의 이식판(141) 벌어지면서 개방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측의 이식판(141)은 지층 내부에서 흙을 밀어내면서 구덩이를 형성시키게 되므로 이 구덩이로 이식판(141)내부에 안착되어 있던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식판(141)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이식을 하고 있는 도중 본체(101)의 연결관(111)으로 연결된 수납관(131)에는 다음번의 감자 및 채소묘종 (171)을 수납시켜 놓는다

    상기의 수납관(131)으로 수납되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은 개폐도어(132)가 수납관(131)의 하측부를 막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관(131)내부에서 개폐도어(132)에 얹혀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수납관(131)의 저부를 개폐도어(132)가 막고 있는 상태에서 공급관(121)이 이식을 완료하고 복귀를 하면서 공급관(121)의 상단부가 양측 개폐도어(132)의 경사면(133)과 접촉을 하면서 밀게 된다.

    상기 공급관(121)의 미는 힘에 의해 양측의 개폐도어(132)는 탄성부재(135)를 이완시키면서 힌지핀(134)을 중심으로 벌어지게 되어 결국, 수납관(131)의 저부가 개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도어(132)에 얹혀있던 감자 및 채소묘종(171)은 공급관 (121)의 내부로 낙하되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식판(141)의 내부로 임시 안착이 되어진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중 복토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공급관(121)의 이식판(141)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의 이식을 완료하고 개방된 상태로 설정된 거리 만큼 상승한 다음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식판(141)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승을 하게 되면 일측 이식판 (141)의 브라켓(142)에 하향으로 형성된 상측고리(151)가 복토편(161)에 상향으로 형성된 하측고리(162)에 걸려지면서 하측고리(162)를 상측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끌고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고리(162)를 형성하고 있는 복토편(161)도 후측지지관 (108)의 중심핀(109)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본체(101) 사이에 연결된 제3탄성부재(163)를 압축하면서 상측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고리(151)는 설정된 거리만큼 상측이동을 한 다음 양측의이식판(141)이 오무려지는 것과 동시에 상측고리(151)도 이동되기 때문에 하측고리 (162)가 상측고리(151)로 부터 분리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고리(162) 및 복토편(161)은 제3탄성부재(163)의 이완력에 의해 중심핀(109)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낙하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이 이식된 근처의 지면을 내려 치면서 복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식장치 1대당 한사람이 배당되어 수납관(131)으로 감자 및 채소묘종(171)만을 공급해주면 이식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101-본체 102-받침판
    103-바테리 104-컨트롤박스
    105-스위칭박스 106-측판
    107-프레임 108-후측지지관
    109-중심핀 110-바퀴
    111-연결관 112-구동모터
    113-구동축 114-구동기어
    121-공급관 122-연결봉
    123-크랭크축 124-승강용모터
    125-연결판 126-승강안내관
    127-고정안내관 128-지지판
    129-지지편 130-연결편
    131-수납관 132-개폐도어
    133-경사면 134-힌지핀
    135-탄성부재 141-이식판
    142-브라켓 143-제1탄성부재
    144-작동축 145-작동편
    146-중심볼트 147-작동봉
    148-결합축 149-제2탄성부재
    150-캠판 151-상측고리
    161-복토편 162-하측고리
    163-제3탄성부재 171-감자 및 채소묘종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