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터

申请号 KR1020127007418 申请日 2010-08-23 公开(公告)号 KR101419446B1 公开(公告)日 2014-07-15
申请人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요카 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요네다,사토루; 나카오,히로아키; 나라하라,요자부로; 쿠와바라,미노루; 시미즈,슈이치;
摘要 종구를 정확하게 심을 수 있는 플랜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플랜터(1)에 있어서, 개폐 구동부(83)는, 회전체 프레임(27)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을 회전체 프레임(27)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시켜, 좌우 한 쌍의 캠체(181·181)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120·120)과,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120·120)과 개공 유닛(82)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权利要求
  •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여 종구를 심는 플랜팅부와, 상기 주행부 및 상기 플랜팅부에 동력 전달 기구를 개재하여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가지고, 주행하면서 주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종구의 플랜팅을 하는 플랜터로서,
    상기 플랜팅부는,
    좌우의 플랜팅 프레임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의 정부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에 회전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무단체와,
    상기 좌우 무단체 사이에 복수 배치되고, 종구를 홀딩하는 홀딩 수단과,
    상기 홀딩 수단이 최하부의 플랜팅 위치를 통과할 때, 상기 홀딩 수단에 홀딩된 종구를 가압하여 논밭에 심는 압출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주행부의 주행 속도와, 상기 플랜팅부의 무단체의 회전 속도가 동조되도록, 상기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플랜팅 프레임은 기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홀딩 수단은,
    상기 좌우 한 쌍의 무단체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무단체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상자 모양의 회전체 프레임과,
    종구를 홀딩하기 위한 종구 홀더가 상기 회전체 프레임 내의 위쪽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종구 홀더 유닛과,
    상기 종구 홀더의 하방에서 논밭면에 피복된 멀티 시트에 구멍을 뚫기 위한 개공체가 상기 회전체 프레임 내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개공 유닛과,
    상기 회전체 프레임 내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개공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 구동부와,
    상기 플랜팅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캠체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회전체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을 상기 회전체 프레임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좌우 한 쌍의 캠체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과,
    상기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과 상기 개공 유닛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체는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공 포크를 가지고,
    상기 개공 포크 각각은 상기 회전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기부와, 상기 회동 기부에 연속하여 상기 회전체 프레임으로부터 바깥쪽 하방으로 돌출되는 선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공 포크 중 이웃하는 개공 포크는 서로의 상기 선첨부의 돌출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프레임의 전부와 후부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흙 낙하용 구멍이 뚫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캠체는 상기 회전체 프레임이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구동 아암이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각각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캠체는 상기 회전체 프레임이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구동 아암이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각각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팅부는 상기 주행부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압출 장치는,
    상기 플랜팅 프레임의 상하 중간부에 마련한 회동 지점축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부와,
    상기 요동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종구를 논밭에 가압하는 플랜팅 압출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플랜팅 압출부는,
    플랜팅 로드와, 상기 플랜팅 로드를 삽입하는 가이드 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플랜팅 압출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플랜팅 프레임에는 맞물림부가 배치되고,
    플랜팅 종료 후에 플랜팅 압출부가 상승할 때, 상기 맞물림부에 의해 플랜팅 로드의 상승이 일시적으로 규제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먼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팅 압출체의 하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횡가이드판에 연결되고,
    상기 횡가이드판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동기 가이드봉이 수직설치되고,
    상기 홀딩 수단이 플랜팅 시에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동기 가이드봉의 하단이 상기 홀딩 수단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플랜팅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팅 프레임의 측부에는 크랭크 구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크랭크 구동부는,
    상기 플랜팅 프레임에 지지되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압출 구동축과,
    상기 압출 구동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플랜팅 압출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로드 지지체와 링크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회동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아암에 크랭크 구동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절 기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부 위치와 전후의 상하 중간부 위치와 전후의 하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위치의 후측 회전 지지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 说明书全文

    플랜터{PLANTER}

    본 발명은 플랜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논밭에 종구(種球, seed bulb)를 심는 플랜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늘 등의 종구는 종구의 싹이 위로, 종구의 뿌리가 아래가 되도록 심지 않으면 안 되며, 만일 반대 방향(종구의 싹이 아래로, 종구의 뿌리가 위로)이 되도록 종구가 심어지면, 발아 불량 등을 기인으로 하는 마늘 등의 수확량의 감소 및 등급의 저하 등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고품질의 마늘 등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종구를 손수 심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심는 종구가 상품 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종구인 경우, 작부(作付) 면적의 확대 등에 의해, 손수 심는 작업은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었다. 이를 위해, 종구를 논밭에 심는 다양한 플랜터가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종래의 플랜터에서는, 플랜팅 홀더와 압입(押入)(가압)체로 이루어지는 종구 홀더 유닛이 주회(周回) 이동 기구에 부착되어, 주회 이동 기구가 회동함과 함께, 종구 홀더 유닛이 회동한다. 플랜팅 홀더는 마늘 등의 구근(球根)(종구)을 홀딩하고, 주회 이동 기구에 의해 플랜팅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압체에 의해 종구를 논밭에 가압하여 심도록 구성된다.

    그렇지만, 플랜팅 홀더에 종구가 삽입되는 삽입 위치에서는 플랜팅 홀더가 종구 홀더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고, 플랜팅 위치에서는 플랜팅 홀더가 종구 홀더 유닛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삽입 위치와 플랜팅 위치에서 종구의 방향이 상하 반대로 되어 버렸다.

    또한, 다른 종래의 플랜터에 있어서, 홀더가 복수 병렬 배치되는 종구 홀더의 하방에 배치되어, 멀티 시트의 소정 위치에 구멍을 뚫는 개공(開孔) 장치는, 포크를 작동시키는 포크 작동 아암과, 논밭의 각 조(條)에 대응하는 포크 작동 아암을 연결하는 연동 로드와, 연동 로드에 연결되는 링과, 링을 회동시키는 연결 링크를 가지며, 연결 링크를 한쪽으로 당김으로써 포크를 작동시켜, 멀티 시트에 구멍을 뚫는 구성으로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다른 종래의 플랜터에서는, 개공 장치는 복수의 각 조에 대응하는 포크 작동 아암 중 오른쪽에서 2번째 조에 대응하는 포크 작동 아암에 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그 조로부터 양측의 조에 대응하는 포크 작동 아암에 연동 로드를 개재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동력이 먼저 전달되는 조에 대응하는 포크 작동 아암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백래시(backlash)가 크게 생겨, 멀티 시트에 뚫리는 구멍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좌우 일측(좌측)에 배치된 구동 아암을 회동시켜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동력을 연동 로드를 개재해 포크에 전달하여 포크를 회동시키므로, 좌측에 힘이 집중되어 편마모가 생긴다. 즉, 다른 종래의 플랜터는, 각 포크를 균등하게 회동시켜 멀티 시트에 구멍을 뚫는 것이 어려운 구성으로 된다. 이 때문에, 종구를 정확하게 심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플랜터에서는, 플랜팅 홀더와 압입체로 이루어지는 종구 홀더 유닛이 주회 이동 기구에 부착되어, 주회 이동 기구가 회동함과 함께, 종구 홀더 유닛이 회동한다. 플랜팅 홀더가 마늘 등의 구근(종구)을 홀딩하고, 주회 이동 기구에 의해 플랜팅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미리 멀티 필름(멀티 시트)의 구멍(개공부)을 센서가 감지함으로써, 기체(機體)가 플랜팅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플랜터는 압입체에 의해 구근을 논밭에 가압하여 심는다.

    특허문헌 2의 플랜터에서는, 멀티 시트에 개공부를 형성시키는 장치는 플랜터에 탑재되지 않으며, 그 대신 개공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플랜터를 이용할 경우, 작업자는 미리 개공부가 형성된 멀티 시트를 논밭에 피복하거나, 별도의 기계로 멀티 시트에 개공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센서가 개공부를 감지한 후 일단 플랜터가 정지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에 문제가 있으며, 개공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종구를 심을 수 없어서, 효율적으로 종구를 심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플랜터는, 마늘 등의 종구를 심기 위한 플랜터로서, 개공 수단, 탑승 수단, 및 복토(覆土) 수단으로 구성된다. 개공 수단은, 가스 버너로 작업 개시 전에 가열되어, 밭두둑에 피복된 멀티 필름에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플랜팅 구멍을 뚫고, 이어서 밭두둑의 흙 속으로 돌입하여 플랜팅 구멍을 형성시킨다. 이 플랜터가 이용될 경우, 탑승 수단에 착석한 작업자에 의해 플랜팅 구멍에 종구가 심어지고, 그 후 멀티 필름의 상면으로부터 복토 수단에 의해 복토된다.

    특허문헌 3의 플랜터에서는, 개공 수단의 열에 의해 멀티 시트의 일부가 녹아서 개공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종구에 적합한 개공부가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종구를 심기 위해 형성된 플랜팅 구멍에 사람이 직접 종구를 심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낮았다. 또한, 주간(株間) 변경 수단을 갖지 않고 논밭 등의 조건에 적합한 종구의 주간 변경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았다.

    멀티 시트에 종구에 적합한 개공부를 형성함과 함께, 개공부에 종구를 정확하게 심는 것은 곤란하였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4259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8-13187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09-289805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종구를 정확하게 심을 수 있는 플랜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행부와, 주행부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여 종구를 심는 플랜팅부와, 주행부 및 플랜팅부에 동력 전달 기구를 개재하여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가지고, 주행하면서 주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종구의 플랜팅을 하는 플랜터로서, 플랜팅부는, 좌우의 플랜팅 프레임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의 정부(頂部)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에 회전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무단체(無端體)와, 좌우의 무단체 사이에 복수 배치되고, 종구를 홀딩하는 홀딩 수단과, 홀딩 수단이 최하부의 플랜팅 위치를 통과할 때, 홀딩 수단에 홀딩된 종구를 가압하여 논밭에 심는 압출 장치를 구비함과 함께, 주행부의 주행 속도와, 플랜팅부의 무단체의 회전 속도가 동조(同調)되도록,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2에 있어서, 플랜팅 프레임은 기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홀딩 수단은, 좌우 한 쌍의 무단체 사이에 지지되고, 무단체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상자 모양의 회전체 프레임과, 종구를 홀딩하기 위한 종구 홀더가 회전체 프레임 내의 위쪽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종구 홀더 유닛과, 각 종구 홀더의 하방에서 논밭면에 피복된 멀티 시트에 구멍을 뚫기 위한 개공체가 회전체 프레임 내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개공 유닛과, 회전체 프레임 내의 하측에 배치되는 개공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 구동부와, 플랜팅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캠체를 구비하고, 개폐 구동부는, 회전체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을 회전체 프레임의 좌우 단부(端部)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시켜, 좌우 한 쌍의 캠체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과,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과 개공 유닛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있어서, 개공체는 환상(環狀)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공 포크를 가지고, 각 개공 포크는 회전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기부(基部)와, 회동 기부에 연속하여 회전체 프레임으로부터 바깥쪽 하방으로 돌출되는 선첨부(先尖部)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의 개공 포크 중 이웃하는 개공 포크는 서로의 선첨부의 돌출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있어서, 회전체 프레임의 전부(前部)와 후부(後部)의 하측에는 회전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흙 낙하용 구멍이 뚫리는 것이다.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캠체는 회전체 프레임이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때, 한 쌍의 구동 아암이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각각 마련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있어서, 플랜팅부는 주행부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고, 압출 장치는, 플랜팅 프레임의 상하 중간부에 마련한 회동 지점축(支點軸)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부와, 요동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종구를 논밭에 가압하는 플랜팅 압출부를 구비함과 함께, 플랜팅 압출부는, 플랜팅 로드와, 플랜팅 로드를 삽입하는 가이드 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플랜팅 압출체에 의해 구성되고, 가이드 파이프와 플랜팅 프레임에는 맞물림부가 배치되고, 플랜팅 종료 후에 플랜팅 압출부가 상승할 때, 맞물림부에 의해 플랜팅 로드의 상승이 일시적으로 규제되어, 가이드 파이프가 먼저 상승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있어서, 플랜팅 압출체의 하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횡가이드판에 연결되고, 횡가이드판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동기(同期) 가이드봉이 수직설치되고, 홀딩 수단이 플랜팅 시에 후방으로 이동할 때, 동기 가이드봉의 하단이 홀딩 수단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10에 있어서, 플랜팅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고, 플랜팅 프레임의 측부에는 크랭크 구동부가 배치되고, 크랭크 구동부는, 플랜팅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압출 구동축과, 압출 구동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복수의 플랜팅 압출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로드 지지체와 링크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회동 아암을 구비하고, 회동 아암에 크랭크 구동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절 기구를 마련한 것이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회전 지지부는 상부 위치와 전후의 상하 중간부 위치와 전후의 하부 위치에 마련되고, 하부 위치의 후측 회전 지지부에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에서는, 주행부의 주행 속도와, 플랜팅부의 무단체의 회전 속도가 동조되므로, 논밭에 정확한 자세로 플랜팅할 수 있고, 홀딩 수단에 개공 수단이 부대(附帶)되어 있는 경우, 홀딩 수단이 멀티 시트에 개공부를 형성할 때, 멀티 시트에 과잉한 장력(張)이 발생하지 않아서, 멀티 시트에 개공된 개공부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공부를 종구에 적합한 상태로 홀딩할 수 있고, 정확하게 종구를 심을 수 있어, 피복재에 의한 종구의 발육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구동 아암이 캠체와 접촉하여 회동함으로써 복수의 개공체를 구동시키므로, 멀티 시트에 뚫리는 구멍의 크기를 대략 균일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랜터는 종구의 플랜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서는, 개공체의 각 개공 포크는 각각 판상(板狀)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므로, 선첨부 및 회동 기부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용접 등의 작업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개공 포크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4에서는, 이웃하는 개공 포크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개공체의 하단 측이 전체적으로 가늘어진다. 따라서, 각 개공 포크의 선첨부를 찌르기 쉬워져, 멀티 시트에 뚫리는 구멍을 대략 균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서는, 회전체 프레임은 흙 낙하용 구멍을 마련하므로, 멀티 시트에 구멍을 뚫었을 때, 흙이나 자갈 등이 회전체 프레임 내에 들어가더라도, 회전체 프레임이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흙 낙하용 구멍을 통하여 흙이나 자갈 등을 회전체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할(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링크 기구에 흙이나 자갈 등이 끼이거나 부딪혀서 링크 기구의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서는, 개공 포크의 선첨부가 배출구의 중심부로부터 열림(바깥쪽으로 회동함)으로써, 멀티 시트에 구멍을 뚫고, 선첨부를 닫았을(안쪽으로 회동했을) 때, 흙이나 자갈 등이 끼었더라도, 그 후 다시 열리고 닫히게 되므로, 선첨부에 끼인 모래나 자갈 등을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공 포크의 선첨부에 흙이나 자갈 등이 끼인 채로 멀티 시트에 다음 구멍을 뚫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멀티 시트의 개공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8에서는, 홀딩 수단에 의해 논밭에 개공부를 형성함과 함께, 개공부로의 종구의 결손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종구를 심을 수 있다. 또한, 플랜팅 로드가 나중에 상승함으로써, 가이드 파이프 선단으로의 흙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이드 파이프 선단에 부착된 흙 등에 의한 종구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구의 발육 저해를 방지하는 것이 작물의 품질 향상으로 이어진다.

    청구항 9에서는, 홀딩 개공 수단이 플랜팅 시에 후방으로 이동할 때, 동기 가이드봉을 개재하여 플랜팅 압출부도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플랜팅 압출부와 홀딩 개공 수단의 이동을 간단한 구성으로 동기시킬 수 있으며, 종구를 정확하게 논밭에 심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서는, 회동 아암에 크랭크 구동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절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압출 장치의 플랜팅 압출부의 승강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구의 플랜팅 깊이를 원하는 깊이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홀딩 개공 수단이 논밭에 형성한 개공부에 종구를 정확하게 심을 수 있다.

    청구항 11에서는, 전후의 하부 위치의 회전 지지부 사이가 플랜팅 위치가 되고, 후측의 회전 지지부에서 무단체가 구동되게 되어, 무단체의 늘어짐에 의한 압출 장치와 무단체의 불필요한 락 상태를 회피하고, 종구의 압입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플랜팅을 정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하가 걸리기 쉬운 플랜팅 위치 주위의 지지 부재로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어서, 플랜팅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랜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랜터의 플랜팅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상부 부착 프레임 및 종구 홀더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 부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a) 평면도. (b) 정면도. (c) 측면도.
    도 5는 하부 부착 프레임, 개공 유닛, 및 개폐 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개공체가 닫힌 상태의 개공 유닛 및 개폐 구동부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개공체가 열린 상태의 개공 유닛 및 개폐 구동부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개공 포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캠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a) 평면도. (b)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랜터의 구성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랜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동력 전달 기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플랜팅부의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플랜팅부의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15는 플랜팅부의 동력 전달 기구의 회전 지지부 및 플랜팅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조절 구멍과 회동 아암의 회동 직경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a) 회동 직경이 최장인 상태, (b) 회동 직경이 중간인 상태, (c) 회동 직경이 최단인 상태.
    도 17은 홀딩 개공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플랜팅부의 플랜팅 압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플랜팅부의 플랜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구동부의 양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a) 대기 위치에서의 상태 도면, (b) 대기 위치에서 플랜팅 위치로의 이행 도중의 상태 도면, (c) 플랜팅 위치에서의 상태 도면, (d) 플랜팅 위치에서 대기 위치로 돌아가는 도중의 상태 도면.
    도 21은 플랜팅 압출체의 구성을 도시한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홀딩 개공 수단과 가이드부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a) 지지축이 가이드판 개구부의 전단(前端)에 위치하는 경우의 도면. (b) 지지축이 가이드판 개구부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도면. (c) 지지축이 가이드판 개구부의 후단(後端)에 위치하는 경우의 도면.
    도 23은 좌측 맞물림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4는 좌측 맞물림부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a) 상방으로부터 상부 맞물림 부재와 걸림 부재가 접촉한 상태의 도면, (b) 플랜팅 압출체의 플랜팅 로드만 정지한 상태의 도면.
    도 25는 좌측 맞물림부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a) 상부 맞물림 부재가 걸림 부재를 내리누른 상태의 도면, (b) 걸림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 상태의 도면.
    도 26은 좌측 맞물림부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a) 하방으로부터 상부 맞물림 부재와 걸림 부재가 접촉한 상태의 도면, (b) 플랜팅 압출체의 플랜팅 로드만 정지한 상태의 도면.
    도 27은 좌측 맞물림부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a) 상부 맞물림 부재가 걸림 부재를 밀어 올린 상태의 도면, (b) 플랜팅 압출체가 걸림 부재로부터 상승한 상태의 도면.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랜터(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설명 시, 도면에 나타낸 화살표 A의 방향을 플랜터(1)의 앞쪽 방향으로 하여 전후좌우 방향을 규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늘 등의 종구의 플랜팅은 밭두둑 위에 멀티 시트를 피복한 상태의 논밭에서 행해지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종구의 플랜팅은 대략 평탄한 논밭에서 행해지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플랜터(1)는 멀티 시트(10)에 의해 피복된 논밭(밭두둑)에 마늘 등의 종구를 심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터(1)는 기체 프레임(12), 구동부(13), 주행부(14), 운전 조종부(15), 동력 전달 기구(16), 플랜팅부(17)를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1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이다.

    기체 프레임(12)은 각각 복수의 지주(支柱) 프레임, 전후 프레임, 좌우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다. 지주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전후 프레임은 지주 프레임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좌우 프레임은 전후 프레임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기체 프레임(12)은 이들 복수의 지주·전후·좌우 프레임이 각각 적절하게 연결고정되어 형성된다.

    구동부(13)는, 주행부(14) 및 플랜팅부(17)를 구동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구동부(13)는 동력원인 엔진(131) 등으로 구성된다. 구동부(13)는 기체 프레임(12)의 후부상에 탑재됨으로써 플랜터(1)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도록 되어 있다.

    주행부(14)는 구동부(13)에서 발생한 동력이 트랜스미션(142a) 등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기체를 변속 가능하게 주행시킨다.

    주행부(14)는 기체 프레임(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140) 등으로 구성된다.

    운전 조종부(15)는 기체 프레임(12)의 전후 중앙부에서 전부상에 배치되며, 작업자가 주행부(14)의 조종이나 플랜팅부(17)로의 종구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운전 조종부(15)는 좌석(151·151), 레버부(156), 보급 박스(170) 등을 구비한다. 좌석(151·151)은 작업자가 착석하는 것이며, 구동부(13)의 전방에서 기체 프레임(12) 상에 좌우로 병설된다. 레버부(156)는 좌석(151·151)의 오른쪽 전방에서 기체 우측에 배치된다. 보급 박스(170)는 홈통 모양으로 구성되고, 플랜팅부(17)에 공급할 종구를 수용하는 것이며, 좌석(151·151)의 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랜팅 프레임(18)의 후부상에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의 동력 전달 기구(16)는 엔진(131)(구동부(13))에서 발생한 동력을 기체 프레임(12)의 전부에 배치된 플랜팅부(17)에 전달하는 것이다. 동력 전달 기구(16)는 기체 좌측에 배치된다.

    동력 전달 기구(16)에 있어서, 엔진(131)에서 발생한 동력은 엔진(131)의 출력축으로부터 풀리, 벨트(168) 등을 개재하여 트랜스미션(142a)의 입력축(166)에 전달된다. 그리고, 입력축(166)에 전달된 동력은 트랜스미션(142a)을 개재하여, 구체적으로는 입력축(166)에 끼워진 구동 스프로킷(sprocket)(360A), 체인(65), 스프로킷(64) 등을 개재하여 플랜팅 입력축(365)에 전달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엔진(131)에서 발생한 동력은 벨트와 풀리, 및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플랜팅부(17)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엔진(131)에서 발생한 동력은 전동축이나 기어 등에 의해 플랜팅부(17)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플랜팅부(17)는 기체의 주행에 동기하여 구동되고, 논밭에 피복된 멀티 시트(10)에 앞쪽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멍을 뚫음과 함께, 구멍으로부터 멀티 시트(10)의 하방의 논밭에 종구를 심는 것이다. 플랜팅부(17)는 기체 프레임(12)의 전부에 배치된다.

    플랜팅부(1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팅 프레임(18), 무단체(3·3), 회전체 프레임(27), 홀딩 개공 수단(20), 압출 장치(4) 등을 구비한다.

    플랜팅 프레임(18)은 플랜팅부(17)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이다.

    플랜팅 프레임(18)은 막대 형상이나 굴곡 형상의 복수의 프레임을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적절하게 연결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플랜팅 프레임(18)은 탑 링크(2A)와 하부 링크(lower link)(2B)의 앞쪽 단부에 부착된다. 이들 탑 링크(2A)와 하부 링크(2B)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후부에서 기체 프레임(12)의 후부상에 설치된다. 탑 링크(2A)의 전부는 승강 실린더(2C)와 연결된다. 그리고, 승강 실린더(2C)가 신축됨으로써, 플랜팅부(17)가 기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무단체(3·3)는, 좌우 한 쌍의 무단(無端)의 체인 등이며, 후술하는 스프로킷에 감긴다.

    무단체(3·3)는 플랜팅 프레임(18)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기체의 주행에 동기하여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된다.

    홀딩 개공 수단(20)은 종구를 홀딩하면서, 소정 위치에 이르렀을 때, 논밭에 피복된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는 개공 수단을 가진 종구의 홀딩 수단이다.

    홀딩 개공 수단(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 프레임(27)과, 회전체 프레임(27)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종구를 홀딩하는 종구 홀더 유닛(21)과,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는 개공체(26)를 회전체 프레임(27)의 하방에서 복수 배치한 개공 유닛(22)과, 개공체(26)를 구동시키는 개폐 구동부(23)를 구비한다.

    회전체 프레임(27)은,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이다.

    회전체 프레임(27)은 좌우 한 쌍의 무단체(3·3) 사이에 마련되고, 각 무단체(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체 프레임(27)은 무단체(3·3)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복수 배치된다.

    압출 장치(4)는 홀딩 개공 수단(20)에 의해 멀티 시트(10)에 구멍이 뚫린 후, 홀딩 개공 수단(20)에 의해 홀딩되고 있는 종구를, 가압체(70)에 의해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가압하여 멀티 시트(10)의 하방의 논밭에 심는 것이다.

    압출 장치(4)는 좌우 한 쌍의 무단체(3·3) 사이에 마련되고, 종구 홀더 유닛(21)의 종구 홀더(24)와 동수의 가압체(70)를 구비한다.

    이어서, 플랜팅부(17)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랜팅부(17)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팅 입력축(365)이 플랜팅 프레임(18)의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131)에서 발생한 동력이 동력 전달 기구(16)를 개재하여 전달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에 전달된 동력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랜팅 전달 기구(8a) 및 제2 플랜팅 전달 기구(8b)에 전달된다.

    제1 플랜팅 전달 기구(8a)는 플랜팅 입력축(365)에 전달된 동력을 좌우 한 쌍의 무단체(3·3)에 전달하여, 좌우 한 쌍의 무단체(3·3)를 회전구동시키는 것이다.

    제1 플랜팅 전달 기구(8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체인(32a), 전동 스프로킷(78a) 등에 의해 구성되고, 플랜팅 입력축(365)에 전달된 동력을 플랜팅 프레임(18)의 하부에 배치된 플랜팅 구동축(33A)에 전달한다.

    한편, 플랜팅 구동축(33A)에는 무단체(3·3)를 감는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이 고정부착된다. 따라서, 플랜팅 구동축(33A)이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동하면,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을 개재하여 무단체(3·3)가 회전구동된다.

    제2 플랜팅 전달 기구(8b)는 플랜팅 입력축(365)에 전달된 동력을 압출 장치(4)에 전달하여, 압출 장치(4)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제2 플랜팅 전달 기구(8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체인(78c), 전동 스프로킷(78d), 종동 스프로킷(78e) 등에 의해 구성되고, 플랜팅 입력축(365)에 전달된 동력을 플랜팅 프레임(18)의 상부에 배치된 압출 구동축(45)에 전달한다.

    한편, 압출 구동축(45)은 압출 장치(4)를 구성하는 부재의 하나이다. 압출 구동축(45)에 전달된 동력에 의해 압출 장치(4)가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무단체(3·3)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무단체(3·3)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플랜팅 프레임(18)의 좌측의 무단체(3)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단의 체인 등으로 구성되는 무단체(3)는 플랜팅 프레임(18)에 배치된 복수의 스프로킷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최하변(最下邊)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 대략 오각형상으로 감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체(3)는 플랜팅 프레임(18)의 최상부 위치에 배치된 위쪽 종동 스프로킷(37)과, 위쪽 종동 스프로킷(37)의 하방으로서, 플랜팅 프레임(18)의 최하부 위치에 배치된 아래쪽 종동 스프로킷(39)과, 아래쪽 종동 스프로킷(39)의 후방에 배치된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과,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과 위쪽 종동 스프로킷(37) 사이에서 이것들보다 후방에 배치된 뒤쪽 종동 스프로킷(36)과, 위쪽 종동 스프로킷(37)과 아래쪽 종동 스프로킷(39) 사이에서 이것들보다 전방에 배치된 앞쪽 종동 스프로킷(38)에 감긴다.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은 플랜팅 구동축(33A)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131)에서 발생하여 동력 전달 기구(16), 제2 플랜팅 전달 기구(8b) 등을 개재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해 플랜팅 구동축(33A)이 회동하면,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이 플랜팅 구동축(33A)과 함께 회동하고, 각 스프로킷(35·36·37·38·39)에 감긴 무단체(3)가 회전구동된다.

    한편, 엔진(131)에서 발생한 동력은 플랜팅 구동축(33A)에 전달됨과 함께, 타방에서는 입력축(166) 등을 개재하여 주행부(14)에 전달되어 기체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즉, 무단체(3)는 기체의 주행에 동기하여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무단체(3)에 있어서의 위쪽 종동 스프로킷(37)과 뒤쪽 종동 스프로킷(36) 사이의 부분이 보급 위치(17a)가 되고, 아래쪽 종동 스프로킷(39)과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 사이의 부분이 플랜팅 위치(17b)가 된다.

    보급 위치(17a)란, 무단체(3)에 지지되는 회전체 프레임(27)에, 작업자가 종구를 공급하는 위치이다.

    보급 위치(17a)는 좌석(151)의 전방으로서, 좌석(151)에 착석한 작업자의 손이 닿는 범위에 위치한다. 보급 위치(17a)에서 무단체(3)는 전고후저(前高後低)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보급 위치(17a)에 있어서 작업자는 종구를 회전체 프레임(27)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랜팅 위치(17b)란, 홀딩 개공 수단(20)에 의해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음과 함께, 홀딩 개공 수단(20)에 홀딩되어 있는 종구를 압출 장치(4)(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체(7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하여, 종구를 멀티 시트(10)의 하방의 논밭에 심는 위치이다.

    플랜팅 위치(17b)에 있어서, 무단체(3)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무단체(3)에 지지되는 회전체 프레임(27)(홀딩 개공 수단(20))은 대략 수평 상태로 이동한다.

    또한, 보급 위치(17a)(즉, 위쪽 종동 스프로킷(37)과 뒤쪽 종동 스프로킷(36) 사이)의 무단체(3)의 경사부 하방에는 판상의 가이드 부재(173)가 전고후저로 경사지게(무단체(3)와 대략 평행해지게)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173)는 무단체(3)가 늘어지지 않게 구성됨과 함께, 후술하는 롤러(28e·28e)를 가이드하여 회전체 프레임(27)의 상면이 작업자 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의 압출 장치(4)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출 장치(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아암(53), 연결 로드(54A), 가압체(70·70…), 가압체 홀더(75), 연결체(80A) 등을 구비한다.

    회동 아암(53)은 플랜팅 프레임(18)의 상부에 배치된다. 회동 아암(53)의 일단이 압출 구동축(45)에 고정부착됨으로써, 엔진(131)에서 발생한 동력이 회동 아암(53)에 전달된다. 회동 아암(53)의 타단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 로드(54A)의 상단(上端)에 지지된다.

    한편, 압출 구동축(45)과 종동 스프로킷(78e)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電磁) 클러치가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홀딩 개공 수단(20)이 플랜팅 위치(17b)에 도달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온(ON)되어 전자 클러치가 온되고 압출 장치(4)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동 아암(53)이 회동한다. 그리고, 회동 아암(53)이 일주(一周)하면(상방을 향하는 위치로 돌아가면), 전자 클러치가 오프(OFF)되어 압출 장치(4)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회동 아암(53)이 정지한다.

    연결 로드(54A)의 하단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플랜팅 프레임(18)에 지지된 가압체 홀더(75)의 상면에 연결된다. 가압체 홀더(75)의 하면에는 가압체(70·70…)의 상부가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가압체(70·70…)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며, 홀딩 개공 수단(20)에 홀딩된 종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부재이다.

    가압체(70·70…)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더욱 상세하게는, 홀딩 개공 수단(20)의 종구 홀더(24)와 동수) 배치된다. 가압체(70·70…)의 하부는 판상의 연결체(80A)에 지지되고, 연결체(80A)를 개재하여 전후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연결체(80A)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바이어스된다. 연결체(80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는 규제 핀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플랜팅 프레임(18)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구멍에 삽입된다. 규제 핀은 회전체 프레임(27)과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구멍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무단체(3)가 회전하면, 플랜팅 위치(17b)에서, 규제 핀이 회전체 프레임(27)(더욱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부착부(28d))에 접촉하여, 회전체 프레임(27)(홀딩 개공 수단(20))이 후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연결체(80A)가 후방으로 밀린다.

    그리고 동시에, 압출 구동축(45)이 회동함으로써, 회동 아암(53)이 회동하여 연결 로드(54A)가 하방으로 내리눌러진다. 연결 로드(54A)는 연결체(80A)를 개재하여 가압체(70·70…)를 하방으로 내리누른다. 이에 의해, 가압체(70·70…)는 홀딩 개공 수단(20)에 의해 멀티 시트(10)에 뚫린 구멍으로부터, 홀딩 개공 수단(20)에 의해 홀딩되어 있는 종구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종구를 멀티 시트(10)의 하방의 논밭에 심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홀딩 개공 수단(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가압체(70·70…)가 상승을 개시하고, 종구 홀더 유닛(21)으로부터 빠지고 나서 규제 핀이 가이드 구멍에 가이드되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부착부(28d)로부터 빠져서, 연결체(80A)가 탄성체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전방으로 되돌려지는 것이다. 이 동작이 반복되어, 플랜팅 작업이 행해진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홀딩 개공 수단(2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홀딩 개공 수단(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구 홀더 유닛(21), 개공 유닛(22), 개폐 구동부(23), 회전체 프레임(27) 등에 의해 구성된다.

    먼저, 회전체 프레임(27)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체 프레임(2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좌우의 무단체(3·3) 사이에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각 무단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체 프레임(27)은 상부 부착 프레임(28)과, 하부 부착 프레임(29)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부착 프레임(2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판 모양의 부재의 길이측 양측부를 각각 하방을 향해 굴곡시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오목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부착 프레임(28)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종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구(28a·28a…)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상부 부착 프레임(28)의 좌우 양 단부에는 회전체 프레임(27)의 좌우 측면이 되는 측판(28b·28b)이 판면(板面)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하여 고정된다.

    한편, 측판(28b·28b)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부 부착 프레임(28)의 좌측의 측판(28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측판(28b)의 전후 중앙의 상부에는 지지축(28c)이 바깥쪽 방향(왼쪽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지지축(28c)의 외주에는 베어링 등의 회동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모양의 부착부(28d)가 바깥쪽 방향(왼쪽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지지축(28c)의 축심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착부(28d)의 외측 단부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무단체(3)에 고정된다.

    또한, 측판(28b)의 전후 하부(지지축(28c)의 전후 비스듬히 하방)에는 지지축(28f·28f)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에 배치되고, 각각 바깥쪽 방향(왼쪽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지지축(28f·28f)의 외주에는 롤러(28e·28e)가 각각 지지축(28f·28f)의 축심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28e·28e)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 위치(17a)에서는 가이드 부재(173)에, 또한 플랜팅 위치(17b)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부재에 접촉해 전동(轉動)되어 각각 가이드된다. 롤러(28e·28e)가 가이드됨으로써, 상부 부착 프레임(28), 나아가서는 회전체 프레임(27)이, 설정된 경사 각도가 되도록 구성된다.

    하부 부착 프레임(29)은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판 모양의 부재의 길이측 양측부를 각각 상방을 향해 굴곡시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하면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종구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29a·29a…)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십자 모양으로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배출구(29a·29a…)는 회전체 프레임(27)에 있어서 상면에 개구되는 삽입구(28a·28a…)와 각각 대향하도록 위치를 맞추어 개구된다.

    또한,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하면에서는 배출구(29a·29a…) 주위에 개공 포크(126·126…)의 부착용 구멍(29b·29b…)이 상하 방향을 향해 뚫린다. 구멍(29b·29b…)은 개공 포크(126)가 배치되는 수만큼 뚫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구멍(29b·29b…)이 뚫린다.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상하좌우 대략 중앙에는 후술하는 제2 링크(110)의 부착용 구멍(29c·29c…)이 좌우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향해 뚫린다. 구멍(29c·29c…)의 후방에는 제2 링크(110)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구멍(29d·29d)이 좌우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향해 뚫린다.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좌우 양 단부에는 구동 아암(120·120)의 부착용 구멍(29e·29e)이 상하 방향을 향해 뚫린다.

    또한, 하부 부착 프레임(29)에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부착 프레임(29)(회전체 프레임(27)) 내부에 들어간 흙이나 자갈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떨어뜨리기) 위한 복수의 흙 낙하용 구멍(29f·29f…)이 뚫린다.

    흙 낙하용 구멍(29f·29f…)은 하부 부착 프레임(29)(회전체 프레임(27))의 전부와 후부의 하측에 뚫리고, 각 하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다.

    하부 부착 프레임(29)(회전체 프레임(27))의 전부의 하측에 있어서,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전면 하부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이 뚫리고, 또한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하면 전부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이 뚫린다. 그리고, 이들 구멍이 합쳐져, 전체로서 흙 낙하용 구멍(29f)이 형성된다. 흙 낙하용 구멍(29f)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전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뚫리는 것이다.

    하부 부착 프레임(29)(회전체 프레임(27))의 후부의 하측에 있어서,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후면 하부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이 뚫리고, 또한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하면 후부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이 뚫린다. 그리고, 이들 구멍이 합쳐져, 전체로서 흙 낙하용 구멍(29f)이 형성된다. 흙 낙하용 구멍(29f)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후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뚫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체 프레임(27)이 가이드 부재(173)에 의해 가이드되어 보급 위치(17a)를 통과할 때, 회전체 프레임(27)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이동하게 되고, 이때 경사진 상태의 이동과 진동에 의해, 각 흙 낙하용 구멍(29f)으로부터 회전체 프레임(27) 내부에 들어간 흙이나 자갈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흙 낙하용 구멍(29f·29f…)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전후면 및 하면에 뚫려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흙 낙하용 구멍(29f·29f…)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전후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뚫려도 무방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부 부착 프레임(28)과 하부 부착 프레임(29)은 각각 개구하는 측을 대향시켜, 상부 부착 프레임(28)과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개구하는 측의 단부(즉, 상부 부착 프레임(28)의 하단부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상단부)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접촉하는 부분이 복수의 볼트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회전체 프레임(27)이 형성된다.

    이어서, 종구 홀더 유닛(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구 홀더 유닛(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종구 홀더(24·24…)와, 복수의 홀딩 부재(25·25…) 등을 구비한다.

    종구 홀더(24·24…)는 홀딩 부재(25·25…)와 함께 종구를 홀딩하는 것이며, 상하면에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를 가지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종구 홀더(24·24…)는 회전체 프레임(27) 내부의 상측, 즉 상부 부착 프레임(28)의 상면 내측에, 개구부를 상부 부착 프레임(28)의 삽입구(28a·28a…)의 위치에 맞추어 복수의 볼트(24a·24a…)에 의해 고정된다.

    각 종구 홀더(24) 내에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홀딩 부재(25·25…)가 배치된다. 홀딩 부재(25·25…)는 상하 평행하게 각각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대략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다. 홀딩 부재(25·25…)의 중앙에는 원형의 구멍인 둥근 구멍(25a·25a…)이 뚫린다. 둥근 구멍(25a·25a…)으로부터는 반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방사상으로) 절개가 넣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자에 의해 각 종구 홀더(24)에 공급된 종구는, 홀딩 부재(25·25…)에 절개가 넣어짐으로써, 홀딩 부재(25·25…)의 중앙 부근이 종구의 무게에 의해 각 종구 홀더(24)의 하측으로 굴곡된 후, 원래의 판상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는 힘(환언하면, 홀딩 부재(25·25…)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끼워져서 홀딩되는 것이다.

    이어서, 개공 유닛(22)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공 유닛(2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공체(26·26…) 등을 구비한다. 개공체(26·26…)는 종구 홀더 유닛(21)의 종구 홀더(24·24…)의 하방에 각각 배치된다.

    각 개공체(26)는 복수의 개공 포크(126A·126B…) 등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쌍(총 4개)의 개공 포크(126A·126B)에 의해 구성된다. 개공 포크(126A)와 개공 포크(126B)는 (전후 또는 좌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개공 포크(126A)와 개공 포크(126A)는 대향하여 배치된다.

    개공 포크(126A·126B…)는 멀티 시트(10)의 소정 위치에 종구의 플랜팅용 구멍을 뚫는 것이다. 개공 포크(126A·126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부재의 선단 측을 하방을 향해 절곡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각 개공 포크(126A·126B)의 절곡된 선단 측은 선첨부(126a)로서 멀티 시트(10)를 용이하게 찌를 수 있도록 첨상(尖狀)으로 형성된다.

    한편, 각 개공 포크(126A·126B)의 기부 측은 회동 기부(126b)가 된다. 각 개공 포크(126A·126B)에는 회동 기부(126b)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을 향해 제1 연결 구멍(126c)이 뚫린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구멍(126c)과,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배출구(29a) 주위에 뚫린 구멍(29b)의 위치가 맞춰지고, 볼트 등의 연결 부재(126e)에 의해 개공 포크(126A·126B)와 하부 부착 프레임(29)을 연결함으로써, 개공 포크(126A·126B)는 회전체 프레임(27)의 하측, 즉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하면 내측에, 하부 부착 프레임(29)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회동 기부(126b)의 기단부에는 상하 방향을 향해 제2 연결 구멍(126d)이 뚫린다. 제2 연결 구멍(126d)은 연결축 등의 연결 부재(101)를 개재하여 제1 링크(100)의 긴 구멍과 연동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개공체(26)에서는, 각각 인접하는 개공 포크(126A)의 선첨부(126a)와, 개공 포크(126B)의 선첨부(126a)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개공 포크(126A·126B…)는 배출구(29a)의 주위에서, 환상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각 개공 포크(126)를 정점(頂点)으로 하는 정사각형이 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된다. 도 8에는 인접하는 개공 포크(126A·126B)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중의 좌측에 도시하는 개공 포크(126A)의 선첨부(126a)의 길이 h1에 대하여, 우측에 도시하는 개공 포크(126B)의 선첨부(126a)의 길이 h2의 길이는 짧게, 즉 서로 다른 길이로 개공 포크(126A·126B)의 선첨부(126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공 포크(126A·126B…)의 선첨부(126a)는 2종류(h1 및 h2)의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공 포크(126A·126B…)의 선첨부(126a)는 3종류나 4 종류의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어서, 개폐 구동부(23)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폐 구동부(2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 개폐 구동부(23a)와,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에 의해 구성된다.

    왼쪽 개폐 구동부(23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부착 프레임(29)에 부착되는 개공체(26·26…) 중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좌측에 부착되는 2개의 개공체(26·26)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부착 프레임(29)에 부착되는 개공체(26·26…) 중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우측에 부착되는 2개의 개공체(26·26)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왼쪽 개폐 구동부(23a)와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는 후술하는 탄성체(130)를 개재하여 연동연결된다.

    한편, 왼쪽 개폐 구동부(23a)와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주로 왼쪽 개폐 구동부(23a)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에서 왼쪽 개폐 구동부(23a)와 동일한 구성인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왼쪽 개폐 구동부(23a)는 제1 링크(100·100), 구동 아암(120), 제2 링크(110) 등을 구비하고, 탄성체(130)에 의해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와 연동연결된다.

    제1 링크(100·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이다.

    제1 링크(100·100)는 회전체 프레임(27) 내부에 있어서, 하부 부착 프레임(29)상의 전측과 후측(즉, 배출구(29a·29a)의 전후 양측)에 각각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전면 및 후면을 따르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링크(100·100)에는 각각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긴 구멍이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상하 방향을 향해 뚫린다. 그리고, 각 긴 구멍과 개공 포크(126·126…)의 각 제2 연결 구멍(126d·126d…)(도 8 참조)의 위치가 맞춰지고, 연결축 등의 연결 부재(101)에 의해 제1 링크(100·100)와 개공 포크(126·126…)를 연결함으로써, 제1 링크(100·100)와 개공 포크(126·126…)가 연동연결된다.

    제2 링크(1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길이의 판상의 부재이다.

    제2 링크(110)는 길이 방향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하여 왼쪽 개폐 구동부(23a)의 우단에 배치된다. 단, 제2 링크(110)는 왼쪽 개폐 구동부(23a)의 좌우 중앙부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링크(110)의 전후 대략 중앙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개구부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구멍(29d)의 위치가 맞춰지고, 볼트 등의 연결 부재(111)에 의해 제2 링크(110)와 하부 부착 프레임(29)을 연결함으로써, 제2 링크(110)는 하부 부착 프레임(29)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제2 링크(110)의 전후 양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개구부와 제1 링크(100·10O)의 긴 구멍의 위치가 맞춰지고, 연결축 등의 연결 부재(112)에 의해 제2 링크(110)와 전후의 제1 링크(100·10O)가 연결됨으로써, 제2 링크(110)와 전후의 제1 링크(100·10O)가 연동연결된다.

    또한, 제2 링크(110)의 후측(연결 부재(111)와 연결 부재(112)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개구부를 통하여 볼트 등의 연결 부재(113)에 의해 스프링 등의 탄성체(130)의 좌측의 일단이 제2 링크(110)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 부재(113)의 하단부는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구멍(29d)(도 4의 (a) 참조)을 통하여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에 의해, 제2 링크(110)가 연결 부재(111)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때, 연결 부재(113)의 하단부가 구멍(29d)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제2 링크(110)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진다. 환언하면, 연결 부재(113)와 구멍(29d)에 의해 제2 링크(110)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탄성체(130)는 왼쪽 개폐 구동부(23a) 및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의 제2 링크(110·110)의 후측을 각각 내측(왼쪽 개폐 구동부(23a)의 제2 링크(110)는 도 5에 있어서의 왼쪽(반시계) 회전,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의 제2 링크(110)는 도 5에 있어서의 오른쪽(시계) 회전)을 향하여 바이어스하는 것이다.

    탄성체(130)는 하부 부착 프레임(29)상의 좌우 중앙에서 좌우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탄성체(130)의 좌우 단부는 각각 왼쪽 개폐 구동부(23a) 및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의 제2 링크(110·110)에 연결 부재(113·113)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성체(130)는 제2 링크(110·110)의 후측에 연결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링크(110·110)의 후측을 각각 내측(왼쪽 개폐 구동부(23a)의 제2 링크(110)는 도 5에 있어서의 왼쪽(반시계) 회전, 오른쪽 개폐 구동부(23b)의 제2 링크(110)는 도 5에 있어서의 오른쪽(시계) 회전)을 향해 바이어스할 수 있는 위치이면 된다.

    구동 아암(120)은 (회동)구동함으로써 제1·제2 링크(100·100·110)를 연동시키는 것이다.

    구동 아암(12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아치상으로 만곡된 부재이며, 하부 부착 프레임(29)상의 좌단부의 후부에 배치된다. 구동 아암(120)의 전후 대략 중앙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개구부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구멍(29e)의 위치가 맞춰지고, 볼트 등의 연결 부재(121)에 의해 구동 아암(120)과 하부 부착 프레임(29)을 연결함으로써, 구동 아암(120)은 하부 부착 프레임(29)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구동 아암(120)의 후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개구부와 후측의 제1 링크(100)의 좌단에 뚫린 긴 구멍의 위치가 맞춰지고, 연결축 등의 연결 부재(122)에 의해 구동 아암(120)과 후측의 제1 링크(100)를 연결함으로써, 구동 아암(120)과 후측의 제1 링크(100)가 연동연결된다. 또한, 구동 아암(120)의 전단(도 6에 도시하는 구동 아암(120)에서는 좌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개구부를 통하여 볼트 등의 연결 부재(123)에 의해 롤러(124)가 구동 아암(120)의 전단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24)는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왼쪽 개폐 구동부(23a)는 플랜팅 프레임(18)의 좌우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캠체(181·181) 중 좌측의 캠체(181)에 구동 아암(120)이 접촉함으로써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어서, 좌우 한 쌍의 캠체(181·181)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좌우 한 쌍의 캠체(181·181)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좌측의 캠체(181)에 대하여 설명한다.

    캠체(18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팅 프레임(18)의 하부(플랜팅 위치(17b)에 도달한 회전체 프레임(27)의 측방)에 배치되고, 구동 아암(120)의 롤러(124)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부재이다.

    캠체(18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181a)와, 제1·제2 접촉부(181b·181c) 등을 구비한다.

    부착부(181a)는 판상의 부재이다. 부착부(181a)에는 보스(181d·181d)가 전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캠체(181)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해 보스(181d·181d)를 개재하여 부착부(181a)의 판면을 상하 방향을 향하여 플랜팅 프레임(18)에 부착된다. 또한, 캠체(181)는 제1·제2 접촉부(181b·181c)를 내측(구동 아암(120) 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제1·제2 접촉부(181b·181c)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181e)를 굴곡시켜 형성된다.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181e)는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하여, 부착부(181a)의 우측 단부(구동 아암(120) 측)에 고정부착된다.

    제1 접촉부(181b)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181e)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단부에서 오른쪽 비스듬히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후 굴곡되어 똑바로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그 후 굴곡되어 왼쪽 비스듬히 후방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제2 접촉부(181c)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181e)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왼쪽 비스듬히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에 굴곡되어 똑바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후 굴곡되어 오른쪽 비스듬히 후방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즉, 캠체(181)는 제1·제2 접촉부(181b·181c)에서, 구동 아암(120) 측을 향하여 전후에 간격을 두고 2회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체 프레임(27)은 캠체(181)의 옆을 이동할 때, 회전체 프레임(27)의 구동 아암(120)(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아암(12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롤러(124))이 캠체(181)에 접촉하면서(더욱 상세하게는, 롤러(124)가 회동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접촉부(181b)에 접촉하는 경우, 구동 아암(120)은 제1 접촉부(181b)의 좌우 폭(도 9의 (a)의 부호 W1)만큼, 구동 아암(120)의 연결 부재(121)를 지점으로 오른쪽(시계) 회전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구동 아암(120)이 제1 접촉부(181b)에 접촉한 상태로 도 9에 있어서의 거리 L1만큼 후방에 이동하는 동안, 제1 링크(100)가 구동 아암(120)의 회동에 연동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개공체(26·26…)가 열린(회동한) 상태가 된다. 즉, 구동 아암(120)이 거리 L1만큼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멀티 시트(10)에 구멍이 뚫리고, 구멍으로부터 가압체(70·70…)에 의해 종구를 멀티 시트(10)의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종구가 논밭에 플랜팅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접촉부(181c)에 의해 구동 아암(120)은 제2 접촉부(181c)의 좌우 폭(도 9의 (a)의 부호 W2) 만큼, 구동 아암(120)의 연결 부재(121)를 지점으로 오른쪽(시계) 회전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 아암(120)은 제2 접촉부(181c)의 통과 후 순간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개공체(26·26…)가 닫힌다(회동한다).

    구동 아암(120)은 좌우 폭 W1이 좌우 폭 W2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접촉부(181b)에 접촉하는 경우가, 제2 접촉부(181c)에 접촉하는 경우보다, 회동 각도가 커지도록 회동한다. 따라서, 구동 아암(120)이 제1 접촉부(181b)에 접촉하는 경우가, 제2 접촉부(181c)에 접촉하는 경우보다, 제1 링크(100·100), 제2 링크(110) 등을 개재하여 회동하는 개공체(26)의 개공 포크(126·126…)의 회동 각도가 커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 아암(120)이 제1 접촉부(181b)와 접촉할 때, 개공체(26)의 개공 포크(126·126…)가 크게 회동하여 멀티 시트(10)에 구멍이 뚫린다. 그 후, 구동 아암(120)이 제2 접촉부(181c)와 접촉할 때, 개공체(126·126…)가 작게 회동하여, 이 회동에 의해 생긴 개구로부터 개공체(126·126…)가 끼인 흙이나 자갈 등을 낙하시킨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캠체(181)는 구동 아암(120) 측에 2회 근접하는 것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구동 아암(120) 측에 2회 이상 근접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캠체(181)의 제1·제2 접촉부(181b·181c)는 단일 부재인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181e)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제2 접촉부(181b·181c)는 각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왼쪽 개폐 구동부(23a)에 있어서, 캠체(181)와 구동 아암(120)이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공체(26·26)의 개공 포크(126·126…)는 탄성체(130)에 의해 제2 링크(110)의 후측이 내측으로 바이어스됨으로써, 제1 링크(100·100) 등을 개재하여 도 5에서의 왼쪽(반시계) 회전으로 회동하여, 선첨부(126a·126a…)가 배출구(29a·29a)의 대략 중심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무단체(3·3)가 회전되고, 회전체 프레임(27)(홀딩 개공 수단(20))이 무단체(3·3)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랜팅 위치(17b)(아래쪽 종동 스프로킷(39)에서 뒤쪽의 플랜팅 구동 스프로킷(35) 사이)로 이동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체(181)에 구동 아암(120)의 롤러(124)가 접촉하여, 구동 아암(120)이, 연결 부재(121)를 지점으로 하여 오른쪽(시계) 회전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후측의 제1 링크(100)가, 구동 아암(120) 측(좌측)으로 끌어당겨져 이동하고, 제1 링크(100)에 후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2 링크(110)가 연결 부재(111)를 지점으로 오른쪽(시계) 회전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2 링크(110)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측의 제1 링크(100)가 제2 링크(110) 측(우측)으로 끌어당겨져 이동한다. 환언하면, 전측의 제1 링크(100)와, 후측의 제1 링크(100)는 제2 링크(110)를 개재하여 좌우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왼쪽 개폐 구동부(23a)의 일련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왼쪽 개폐 구동부(23a)와 연동연결되어 있는 개공체(26)의 개공 포크(126·126…)는 탄성체(130)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연결 부재(126e·126e…)를 지점으로 오른쪽(시계) 회전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개공 포크(126·126…)의 선첨부(126a·126a)도 오른쪽(시계) 회전으로 회동되어, 배출구(29a)의 중심부로부터 열림(바깥쪽으로 회동함)으로써,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도록 구성된다(도 7 화살표 참조).

    한편, 개공 포크(126·126…)의 회동은 연결 부재(113)의 하단부가 하부 부착 프레임(29)의 구멍(29d)에 접촉한 상태로 정지하도록 구성되지만, 개공 포크(126·126…)가 회동하여 배출구(29a)에 접촉함으로써 정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터(1)는 멀티 시트(10)를 피복한 논밭에 주행하면서 앞쪽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종구의 플랜팅을 하는 플랜터로서, 기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플랜팅 프레임(18)과, 플랜팅 프레임(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주행에 동기하여 회전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무단체(3·3)와, 좌우 한 쌍의 무단체(3·3) 사이에 지지되고, 무단체(3·3)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상자 모양의 회전체 프레임(27)과, 종구를 홀딩하기 위한 종구 홀더(24)가 회전체 프레임(27) 내부의 위쪽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종구 홀더 유닛(21)과, 각 종구 홀더(24)의 하방에서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기 위한 개공체(26)가 회전체 프레임(27) 내부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는 개공 유닛(22)과, 회전체 프레임(27) 내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개공체(26)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 구동부(23)와, 플랜팅 프레임(18)의 하부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캠체(181·181)를 구비하고, 개폐 구동부(23)는 회전체 프레임(27)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을 회전체 프레임(27)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시켜, 좌우 한 쌍의 캠체(181·181)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120·120)과, 좌우 한 쌍의 구동 아암(120·120)과 개공 유닛(22)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의 기술과 같이, 좌우 일측의 구동 아암의 회동에 의해 복수의 개공체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좌우 타측의 개공체가 구동될 때, 링크 기구의 백래시가 누적되어 먼 쪽의 구멍의 크기가 작아져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구동 아암(120·120)이 캠체(181·181)와 접촉하여 회동함으로써 복수의 개공체(26·26…)를 구동시키므로, 멀티 시트(10)에 뚫리는 구멍의 크기를 대략 균일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랜터(1)는 종구의 플랜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좌우 일측에 구동 아암의 회동에 의해 개공체를 구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 아암(120·120)의 회동에 수반하는 부하를 회전체 프레임(27)에 균일하게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 프레임(27)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공체(26)는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공 포크(126·126…)를 가지고, 각 개공 포크(126)는 회전체 프레임(2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기부(126b)와, 회동 기부(126b)에 연속하여 회전체 프레임(27)으로부터 바깥쪽 하방으로 돌출되는 선첨부(126a)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공체(26)의 각 개공 포크(126)는 각각 판상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므로, 선첨부(126a) 및 회동 기부(126b)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용접 등의 작업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개공 포크(126)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공 포크(126·126…) 중 이웃하는 개공 포크(126·126)는 서로의 선첨부(126a)의 돌출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웃하는 개공 포크(126·126)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개공체(26)의 하단 측이 전체적으로 가늘어진다. 따라서, 각 개공 포크(126)의 선첨부(126a)를 찌르기 쉬워져, 멀티 시트(10)에 뚫리는 구멍을 대략 균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랜터(1)는 종구의 플랜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 프레임(27)의 전부와 후부의 하측에는 회전체 프레임(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흙 낙하용 구멍(29f·29f…)이 뚫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체 프레임(27)은 흙 낙하용 구멍(29f·29f…)을 마련하므로,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었을 때, 흙이나 자갈 등이 회전체 프레임(27) 내부에 들어가더라도, 회전체 프레임(27)이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보급 위치(17a)에서 회전체 프레임(27)이 (전고후저로) 경사지므로, 흙 낙하용 구멍(29f·29f…)을 통하여 흙이나 자갈 등을 회전체 프레임(27)의 외부로 배출할(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링크 기구에 흙이나 자갈 등이 끼이거나 부딪혀서 링크 기구의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캠체(181·181)는 회전체 프레임(27)이 후방을 향하여 이동할 때, 한 쌍의 구동 아암(120·120)이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제1·제2 접촉부(181b·181c)를 각각 마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공 포크(126·126…)의 선첨부(126a·126a…)가 배출구(29a)의 중심부로부터 열림(바깥쪽으로 회동함)으로써,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고, 선첨부(126a·126a…)를 닫았을(안쪽으로 회동했을) 때, (선첨부(126a·126a…)에) 흙이나 자갈 등이 끼었더라도 그 후 다시 열리고 닫히게 되므로, 선첨부(126a·126a…)에 끼인 모래나 자갈 등을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공 포크(126·126…)의 선첨부(126a·126a…)에 흙이나 자갈 등이 끼인 채로 멀티 시트(10)에 다음 구멍을 뚫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멀티 시트(10)의 개공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플랜터(1A)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설명 시, 도면에 나타낸 화살표 A의 방향을 플랜터(1A)의 앞쪽 방향으로 하여 전후좌우 방향을 규정한다.

    플랜터(1A)는 멀티 시트(10)를 피복한 밭두둑에 종구(G)를 플랜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랜터이다.

    플랜터(1A)는 주로 기체 프레임(12), 구동부(13A), 주행부(14), 운전 조종부(15A), 동력 전달 기구(16A), 플랜팅부(17A) 등을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12)은 플랜터(1A)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복수의 지주 프레임과, 지주 프레임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복수의 전후 프레임과, 전후 프레임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우 프레임을 연결고정하여 구성된다. 기체 프레임(12)의 전후 대략 중앙에는 작업자가 플랜터(1A)에 승하차하기 위한 계단(12a)이 형성된다. 계단(12a)의 좌우 중앙에는 동력 전달 기구(16A)나, 플랜팅부(17A)를 승강시켜 플랜팅면(논밭)과 플랜팅부(17A)의 거리를 적정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승강 링크 기구(2) 등이 배치된다. 승강 링크 기구(2)는 상방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호 케이스(155)에 의해 덮인다.

    구동부(13A)는 동력원인 엔진(131)이나 발전기(132) 등으로 구성되며, 주행부(14)와 플랜팅부(17A)에 동력을 전달하여 각 부분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동부(13A)는 기체 프레임(12)의 후부상에 탑재되며, 기체 프레임(12) 전부에 연결되는 플랜팅부(17A)와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가 잡히도록 배치된다. 구동부(13A)의 상방에는 종구(G)가 수납된 바스켓(153) 등을 싣는 탑재부(154)가 배치된다.

    주행부(14)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140·140) 등으로 구성되고, 구동부(13A)로부터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141)를 개재하여 전달됨으로써, 플랜터(1A)를 주행 가능하게 한다.

    운전 조종부(15A)는 기체 프레임(12)의 전후 중앙부에 배치되고, 주행부(14)나 플랜팅부(17A)의 조종이 행해진다. 운전 조종부(15A)는 작업자가 착석하는 좌석(151·151), 주행부(14) 및 플랜팅부(17A)의 조종을 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레버 등을 배치한 조작 칼럼(152) 등으로 구성된다.

    좌석(151)은 엔진(131) 전방에서 기체 프레임(12)상에 좌우로 병설된다. 조작 칼럼(152)은 좌석(151)의 주위 근방에 배치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오른쪽 바깥쪽의 좌석(151)의 오른쪽 비스듬히 전방에 배치된다. 조작 칼럼(152)의 조작 레버 등의 조작에 의해 주행부(14)로의 동력의 단접(斷接)이나 변속 조작, 및 플랜팅부(17A)로의 동력의 단접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작 칼럼(152)은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조작 칼럼(152)의 상면에 작업 클러치 레버, 주행 클러치 레버, 사이드 클러치 레버, 플랜팅 높이 자동 조정 스위치, 주행 방향 자동 조정 스위치가 배치된다. 조작 칼럼(152)의 후면에는 엔진 정지 스위치, 플랜팅 승강 스위치, 플랜팅부 구동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플랜터(1A)의 주행 속도를 변속시키는 주행 변속 레버는, 본 실시 형태에서 오른쪽 좌석(151)의 하부 우측면에 배치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팅부(17A)는 논밭에 종구(G)를 플랜팅하기 위해 플랜터(1A)의 전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플랜팅부(17A)는 각종 플랜팅 장치 등을 플랜팅 프레임(18) 및 그 내부에 배치하여 구성된다.

    플랜팅 프레임(18)은 플랜팅부(17A)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로서, 기체 프레임(12)의 후부로부터 승강 링크 기구(2)를 개재하여 기체 프레임(12)의 전방에 배치된다.

    주플랜팅 프레임(19)은 파이프 등의 봉재(棒材)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아래쪽 하부가 개방되는 다각형으로 굴곡함으로써 형성되며, 좌우의 기체 폭보다 약간 짧은 간격을 두고 좌우 한 쌍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주플랜팅 프레임(19)은 일단이 플랜팅부(17A)의 후부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주플랜팅 프레임(19)의 후단으로부터 앞쪽 상방을 향하여 전고후저가 되도록 뒤쪽 경사부(19a)가 형성된다. 또한, 플랜팅부(17A)의 상부에는 수평부(19b)가 형성된다. 수평부(19b)의 전부로부터는 앞쪽 상부가 전저후고(前低後高)가 되도록 앞쪽 상부 경사부(19c)가 형성된다. 앞쪽 상부 경사부(19c)의 하부로부터 플랜팅부 중앙을 향하여 전고후저가 되도록 앞쪽 하부 경사부(19d)가 형성된다. 그리고, 주플랜팅 프레임(19)의 타단은 플랜팅부(17A)의 앞쪽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좌우의 주플랜팅 프레임(19·19)에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측부 플랜팅 프레임(19f)이 배치된다. 좌우의 주플랜팅 프레임(19·19) 사이에는 횡플랜팅 프레임(19e·19e)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플랜팅 프레임(18)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 내에 각종 플랜팅 장치가 배치 가능해진다. 또한, 주플랜팅 프레임(19·19)은 그 좌우 외측이 커버(171)에 의해 덮인다. 주플랜팅 프레임(19·19)의 양 내측에는 무단체 커버(172)가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플랜팅 프레임(19·19)의 후부 사이에는 보급 박스(170)가 배치되어 있다. 보급 박스(170)는 플랜팅부(17A)의 홀딩 개공 수단(20A)에 삽입되는 종구(G)가 삽입 전에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용기이다. 작업자는 보급 박스(170) 내의 종구(G)를 손으로 꺼내어 홀딩 개공 수단(20A)에 삽입한다. 보급 박스(170)는 플랜팅부(17A)의 좌우 폭보다 약간 짧고, 상방이 개방된 홈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보급 박스(170)의 좌우 양측부가 주플랜팅 프레임(19)의 뒤쪽 경사부(19a)의 뒤안쪽, 및 무단체 커버(172)의 후단에 고정된다. 한편, 보급 박스(170)는 좌우 연통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일측의 작업자의 전방에서 종구(G)가 없어졌을 경우에는, 좌우 타측의 보급 박스(170) 내의 종구(G)를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종구(G)의 보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보급 박스(170) 내의 종구(G)가 없어지면, 종구(G)는 좌석(151) 후방의 바스켓(153)으로부터 보급 박스(170)에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기구(16A)는 엔진(131)의 구동력을 주행부(14) 및 플랜팅부(17A)에 전달하는 것이다. 동력 전달 기구(16A)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킷, 전동축, 기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기체의 후부에 배치된 엔진(구동원)(131)으로부터는 기체 안쪽으로 출력축(160)이 돌출된다. 출력축(160)상에는 제1 엔진 풀리(161) 및 제2 엔진 풀리(162)가 고정된다.

    엔진(131) 전방의 발전기(132)로부터는 출력축(160)과 평행한 입력축(163)이 기체 안쪽으로 돌출된다. 입력축(163)의 단부에는 제너레이터 풀리(generator pulley)(164)가 고정된다. 제너레이터 풀리(164)와 제2 엔진 풀리(162)에는 무단 벨트(165)가 감긴다. 따라서, 엔진(131)으로부터의 회전력(구동력)은 제2 엔진 풀리(162), 제너레이터 풀리(164) 및 무단 벨트(165)를 개재해 발전기(132)로 전달되어 발전에 이용된다.

    한편, 좌석(151) 하방의 기체 프레임(12)에 전동축(166)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풀리(167)는 제1 엔진 풀리(161)의 전방이 되도록 전동축(166)상에 고정된다. 제1 엔진 풀리(161)와 제1 풀리(167)에는 무단의 벨트(168)가 감긴다.

    전동축(166)의 우단에는 동력을 주행부(14)에 전달하는 제1 주행 풀리(260)가 고정된다. 전동축(166)의 좌단에는 동력을 플랜팅부(17A)에 전달하는 제1 플랜팅 풀리(360)가 고정된다. 엔진(131)의 구동력은 전동축(166)을 개재하여 제1 주행 풀리(260) 및 제1 플랜팅 풀리(360)에 전달된다.

    이하, 주행부(14)로의 구동력의 전달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션 케이스(141)는 크롤러(140·140)의 좌우 중간부 그리고 상부에 배치된다. 미션 케이스(141)로부터 돌출된 입력축(261)에는, 제1 주행 풀리(260)의 직하(直下)가 되도록 제2 주행 풀리(262)가 고정된다. 제1 주행 풀리(260)와 제2 주행 풀리(262)에는 무단의 벨트(263)에 감긴다.

    따라서, 전동축(166)의 동력은 제1 주행 풀리(260)로부터 벨트(263)를 개재하여 제2 주행 풀리(262)로 전달되고, 입력축(261)을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141)로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41)의 후부(도 12에서는 작도(作圖)의 편의상, 전후를 반대로 기재)에는 출력축(264·264)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출력축(264·264)의 외단에는 주행 구동 스프로킷(265·265)이 고정된다. 주행 구동 스프로킷(265·265)의 하방(도 12에서는 작도의 편의상, 전방으로 기재)에는 주행 구동축에 고정한 주행 전동 스프로킷(266·266)이 배치된다. 주행 구동 스프로킷(265·265)과 주행 전동 스프로킷(266·266)에는 무단의 전동 체인(267·267)이 감긴다. 주행 구동축의 타단에는 주행부(14)의 크롤러(140·140)를 회전구동하는 주행륜(走行輪)(268·268)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축(261)을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141)에 전달된 동력은 미션 케이스(141) 내에서 변속된 후, 좌우의 출력축(264·264) 및 주행 구동 스프로킷(265·265)에 전달된다. 또한, 동력이 전동 체인(267·267)을 개재하여 주행륜(268·268)에 전달됨으로써, 주행부(14)의 크롤러(140·140)는 주행 구동된다.

    이어서, 플랜팅부(17A)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동축(166)의 전방에는 뒤쪽 기어 케이스(361)가 배치된다. 뒤쪽 기어 케이스(361)는 기체 대략 중앙의 기체 프레임(12)에 지지된다.

    뒤쪽 기어 케이스(361)에는 전동축(166)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좌우 전달축(362)이 기체 바깥쪽(좌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좌우 전달축(362)의 좌단에는 제2 플랜팅 풀리(362a)가 고정된다. 제1 플랜팅 풀리(360)와 제2 플랜팅 풀리(362a)에는 무단의 벨트(360a)가 감긴다.

    뒤쪽 기어 케이스(361) 내의 좌우 전달축(362)의 우단부에는 베벨 기어(362b)가 고정된다. 베벨 기어(362b)는 마찬가지로 뒤쪽 기어 케이스(361) 내의 베벨 기어(363a)와 서로 맞물려진다. 베벨 기어(363a)는 전후 전달축(363)의 일단(후단)에 고정된다. 전후 전달축(363)은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보호 케이스(155)에 내장된다. 즉, 전후 전달축(363)은 좌우 전달축(362)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전후 전달축(363)의 타단은 플랜팅부(17A) 후부의 대략 중앙에 지지된 기어 케이스(364) 내에 삽입된다. 기어 케이스(364) 내의 전후 전달축(363) 전단에 베벨 기어(363b)가 고정된다. 베벨 기어(363b)는 기어 케이스(364) 내의 베벨 기어(365a)와 서로 맞물려진다. 베벨 기어(365a)는 플랜팅 입력축(365)의 우단부에 고정된다.

    단, 좌우 전달축(362), 전후 전달축(363)은 이것들 중간부에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등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플랜팅부(17A)만 승강해도 무리 없이 동력 전달 방향을 변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동력은 전동축(166)의 좌단상의 제1 플랜팅 풀리(360)로부터 무단의 벨트(360a)를 개재하여 제2 플랜팅 풀리(362a)에 전달된다. 제2 플랜팅 풀리(362a)의 동력은 좌우 전달축(362) 및 전후 전달축(363)을 개재하여 동력 전달 방향을 변환시키면서 플랜팅 입력축(365)으로 전달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은 기어 케이스(364)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고, 운전 조종부(15A)의 전부에서 플랜팅부(17A) 왼쪽의 플랜팅 프레임(18)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의 좌우 중간부에는 압출 장치(4)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플랜팅 전달 기구(16a)의 구동 스프로킷(40)이 고정된다.

    한편, 플랜팅 입력축(365)의 좌단에는 무단체(3)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플랜팅 전달 기구(16b)의 구동 스프로킷(30)이 고정된다.

    즉, 플랜팅 입력축(365)의 동력은 전방에 배치된 제1 플랜팅 전달 기구(16a) 및 제2 플랜팅 전달 기구(16b)에 동시에 전달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랜팅 전달 기구(16a)는 주로 구동 스프로킷(40), 종동 스프로킷(41), 텐션 스프로킷(42), 압출 구동 스프로킷(43), 전동 체인(44), 압출 구동축(45)에 의해 구성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의 좌우 중간부에는 구동 스프로킷(40)이 고정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의 앞쪽 상방(플랜팅부(17A)의 상부)에는 플랜팅부(17A)의 좌우 폭보다 약간 짧은 압출 구동축(45)이 배치된다. 압출 구동축(45)은 플랜팅 프레임(18)의 좌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압출 구동축(45)의 좌단에는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이 고정된다. 구동 스프로킷(40)의 앞쪽 상방에는 종동 스프로킷(41)이 배치되고,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의 뒤쪽 하방에는 텐션 스프로킷(42)이 배치된다.

    구동 스프로킷(40), 종동 스프로킷(41), 텐션 스프로킷(42) 및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에는 무단의 전동 체인(44)이 감긴다. 단, 종동 스프로킷(41)은 전동 체인(44)의 외주에 맞물리고, 텐션 스프로킷(42)은 전동 체인(44)의 내주에 맞물린다. 따라서, 전동 체인(44)은 적당한 장력이 유지되어, 압출 구동 스프로킷(43)과 구동 스프로킷(40) 사이에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팅 입력축(365)으로부터 구동 스프로킷(40), 전동 체인(44) 및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을 개재하여 압출 구동축(45)에 동력이 전달된다. 압출 구동 스프로킷(43)과 압출 구동축(45) 사이에는 후술하는 클러치가 배치되고,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규제된다. 그리고, 무단체 구동축(33)에 전달된 동력은 압출 장치(4)를 작동시킨다.

    제2 플랜팅 전달 기구(16b)는 주로 구동 스프로킷(30), 회전축(31), 종동 스프로킷(31a), 종동 스프로킷(31b), 텐션 스프로킷(34),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 무단체 구동축(33), 전동 체인(30a·32a)에 의해 구성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의 좌단에는 구동 스프로킷(30)이 고정된다. 플랜팅 입력축(365)의 앞쪽 하방(플랜팅부(17A)의 아래쪽 하부)에는 회전축(31)이 배치된다. 회전축(31)은 양단을 왼쪽의 플랜팅 프레임(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31)의 우단상에는 종동 스프로킷(31a)이 고정되고, 회전축(31)의 좌단상에는 종동 스프로킷(31b)이 고정된다.

    구동 스프로킷(30) 및 종동 스프로킷(31a)에는 무단의 전동 체인(30a)이 감긴다. 종동 스프로킷(31a)의 하방(플랜팅 위치(17b) 상방)에는 무단체 구동축(33)이 배치된다. 무단체 구동축(33)은 좌우의 플랜팅 프레임(1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무단체 구동축(33)의 좌단에는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이 고정된다.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의 우측의 무단체 구동축(33)상에는 텐션 아암(34a)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텐션 아암(34a)의 상단에는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축(34b)이 고정된다. 회동축(34b)의 우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텐션 스프로킷(34)이 지지된다. 종동 스프로킷(31b),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 및 텐션 스프로킷(34)에는 무단의 전동 체인(32a)이 감긴다. 텐션 아암(34a)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전동 체인(32a)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팅 입력축(365)의 동력은 구동 스프로킷(30), 전동 체인(30a) 및 종동 스프로킷(31a)을 개재하여 회전축(31)에 전달된다. 그리고, 회전축(31)의 동력은 종동 스프로킷(31b), 전동 체인(32a), 텐션 스프로킷(34),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을 개재하여 무단체 구동축(33)에 전달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체 구동축(33)상에는 주플랜팅 프레임(19)의 양 내측에 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5·35)이 고정된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좌우의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6·37·38·39)이 배치된다. 좌우의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6·37·38·39)에는 무단의 체인 등으로 구성된 무단체(3)가 감긴다. 무단체(3)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이하, 좌측을 주로 설명한다.

    또한, 플랜팅 위치(17b)는 종구(G)를 논밭에 심는 위치로서, 플랜팅부(17A)의 최하부에 배치된다.

    아래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9) 및 그 후방의 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5)의 하단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된다. 또한, 각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6·37·38·39)에 감긴 무단체(3)의 회전에 수반하여, 플랜팅부(17A)의 하부에서 홀딩 개공 수단(20A)이 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부재(174)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74)는 홀딩 개공 수단(20A)의 롤러(28e)가 가이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리하여, 보급 위치(17a)와 플랜팅 위치(17b) 사이에 무단체(3)가 감기고, 홀딩 개공 수단(20A)은 보급 위치(17a) 이외에서는 삽입 방향이 수직 방향을 향한 상태로 회전구동되는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5)이 플랜팅 위치(17b)의 후부 측에서 끌어당겨 구동되도록 배치되어, 무단체(3)를 회전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플랜팅 위치(17b)의 무단체(3)는 플랜팅 작업시에 항상 끌어 당겨지는 상태가 되어 늘어지지 않아서, 주행 및 크랭크 구동부(5)에 동기하여 정확하게 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종구(G)(홀딩 개공 수단(20A))는 크게 요동되지 않아서, 흔들려 떨어지지도 않고, 확실하게 보급 위치(17a)로부터 플랜팅 위치(17b)로 반송된다.

    무단체(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단의 체인 등으로 구성되고, 플랜팅 프레임(18)의 내부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오각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무단체(3)는 좌우 한 쌍으로 플랜팅 프레임(18)의 좌우 양 내측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의 정부 위치가 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인 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5), 각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6·37·38·39)에 감긴다. 좌우의 무단체(3) 사이에는 홀딩 개공 수단(20A)이 무단체(3)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운전 조종부(15A)의 전방에서 종구(G)를 홀딩 개공 수단(20A)에 용이하게 보급(삽입)할 수 있도록, 보급 위치(17a)는 전고후저의 소정 각도로 경사져 배치된다. 즉, 플랜팅부(17A)의 전후 중앙부의 최상부에 위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7)이 배치되며, 위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7)의 높이가, 플랜팅 작업 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눈높이보다 낮고, 무릎보다 높으며, 어깨 높이 정도가 된다.

    위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7)의 뒤쪽 하방에 배치되는 뒤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6)의 높이는 스텝보다 높고 작업자의 가슴보다 낮은, 좌석(151)의 좌면(座面)의 높이 정도로 된다. 이리하여, 위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7)과 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5) 사이에 마련된 무단체(3)가 전고후저로 경사져 배치되어, 보급 위치(17a)가 배치된다.

    보급 위치(17a)는 좌석(151) 전방에서, 좌석(151)에 착석한 작업자의 손이 닿는 범위에 배치된다. 보급 위치(17a)는 상세하게는, 위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7)과 뒤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6) 사이에서, 무단체(3)가 전고후저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 각도를 유지하면서 홀딩 개공 수단(20A)이 비스듬히 앞쪽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5)이 플랜팅 프레임(18)에 배치된다. 즉, 위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7)과 뒤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36) 사이의 무단체(3)의 하방에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상의 가이드 부재(173)가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는 무단체(3)와 평행이 되도록 플랜팅 프레임(18)에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173)는 홀딩 개공 수단(20A)의 양측에 마련한 후술하는 롤러(28e)가 그 상면을 전동하여 가이드되고, 종구 홀더(24)의 종구 삽입면이 작업자 측을 향하면서 앞쪽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보급 위치(17a)에서는 홀딩 개공 수단(20A)이 복수열(본 실시 형태에서는 3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종구(G)의 보급 시간에 다소의 여유가 있어, 보급 타이밍을 놓쳐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리하여, 작업자는 좌석(151)에 착석한 채로, 종구(G)를 후술하는 홀딩 개공 수단(20A)에 공급하기 쉬운 자세로 작업할 수 있게 되어, 피로가 경감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엔진(131)으로부터의 동력은 전동축(166)으로부터 제1 주행 풀리(260)를 개재하여 주행부(14)로 전달된다. 또한, 엔진(131)으로부터의 동력은 전동축(166)으로부터 제1 플랜팅 풀리(360)를 개재하여 플랜팅 입력축(365)으로 전달되고, 또한 플랜팅부(17A)의 압출 장치(4) 및 무단체(3)로 전달된다.

    따라서, 플랜팅부(17A)는 주행부(14)에 동기해 구동되어 멀티 시트(10)가 피복된 밭두둑에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간격 P를 두고 개공부를 형성하고, 개공부로부터 밭두둑으로 종구(G)를 심을 수 있다.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은 지름(치수(齒數))을 변경함으로써, 종구(G)의 플랜팅 간격(주간) P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의 지름이 커(치수가 많아)지면 주간 P는 길어지고, 지름이 작아(치수가 적어)지면 주간 P는 짧아진다.

    작업자는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주간 P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32)에, 유단(有段) 또는 무단(無段)의 변속 기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유단 또는 무단의 변속 기구는 레버 등의 조작구로 용이하게 변속 조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플랜팅부(17A)의 플랜팅 프레임(18) 내에 배치되는 각 플랜팅 장치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랜팅부(17A)의 각 플랜팅 장치는 주로 무단체(3)상에 배치되는 홀딩 개공 수단(20A), 압출 장치(4) 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 10, 도 17, 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개공 수단(20A)은 종구(G)를 홀딩하면서, 플랜팅 위치(17b)에 이르렀을 때, 멀티 시트(10)에 구멍을 뚫는 수단이다. 홀딩 개공 수단(20A)은 주로 회전체 프레임(27), 복수의 종구 홀더(24), 및 개공체(26)에 의해 구성된다.

    회전체 프레임(27)은 좌우 방향을 길이로 하는 상하 분할 가능한 상자 모양의 구조체이다. 회전체 프레임(27)의 상면 및 하면에는 종구(G)의 삽입 및 배출을 할 수 있도록,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조이므로 상하 4개소의 총 8개소)의 상하 개구부(삽입구(28a)·배출구(29a))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 한 쌍이 되도록 형성된다.

    회전체 프레임(27)의 위쪽 개구부(삽입구(28a))의 주위 하측에는 종구(G)의 삽입 구멍을 가지고 종구(G)를 홀딩하기 위한 종구 홀더(24)가 각각 고정된다. 또한, 개공체(26)가 종구 홀더(24)의 하방의 회전체 프레임(27)상에 배치된다.

    개공체(26)는 4개의 판재를 각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역 'L'자 모양으로 굴곡시켜, 일측을 개폐 구동부(23)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타측은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타측의 선단을 멀티 시트(10)에 용이하게 찔러 개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첨상으로 형성된다.

    개공체(26)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개폐 구동부(23)는 링크 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종구 홀더(24)와 개공체(26) 사이에 배치된다. 개폐 구동부(23)의 양측에는 구동 아암(12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아암(120)의 외단은 안쪽으로 가압됨으로써 개공체(26)를 열도록 구성된다.

    또한, 플랜팅 프레임(18)(도 10 참조)의 하부 내측의 구동 아암(120) 측에는 캠체(도시 생략)가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다. 캠체는 구동 아암(120)의 외단이 접촉하여 개공체(26)가 멀티 시트(10)에 개공부를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구동 아암(120)의 외단이 캠체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개공체(26)의 하단이 개구부(배출구(29a))의 주변에 위치하고, 개공체(26)는 열린다. 구동 아암(120)과 캠체가 접촉하지 않고, 구동 아암(120)이 회전체 프레임(27)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개공체(26)의 하단이 개구부(배출구(29a)) 중심에 위치하고, 개공체(26)는 닫혀 있다.

    따라서, 멀티 시트(10)에 박힌 4개의 개공체(26)의 하단이 개구부(배출구(29a))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회동함으로써, 멀티 시트(10)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크기의 개공부가 형성된다.

    회전체 프레임(27)의 좌우 양측의 상부에는 지지축(28c·28c)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지지축(28c·28c)의 외주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모양의 부착부(28d)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착부(28d·28d)의 일면은 무단체(3·3)의 외주상에 부착된다.

    이리하여, 홀딩 개공 수단(20A)은 보급 위치(17a)와 플랜팅 위치(17b) 이외의 위치에서는 지지축(28c)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자중에 의해 종구 홀더(24)의 삽입 축심은 수직 방향을 향한 채로 반송(이동)된다.

    회전체 프레임(27)의 좌우 양측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롤러(28e·28e)가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보급 위치(17a)와 플랜팅 위치(17b)에서, 무단체(3)와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부재(173·174)에 의해 반송 자세가 규제된다. 즉, 종구 홀더(24)와 개공체(26)가 보급 위치(17a)에서는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반송되고, 플랜팅 위치(17b)에서는 논밭면과 평행하게 반송된다.

    이어서, 압출 장치(4)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출 장치(4)는 홀딩 개공 수단(20A)이 최하단의 플랜팅 위치(17b)를 이동할 때, 홀딩 개공 수단(20A)의 개공체(26)에 의해 멀티 시트(10)가 피복된 논밭에 개공부가 형성된 직후에, 홀딩 개공 수단(20A)에 홀딩된 종구(G)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개공부에 종구(G)를 심는 장치이다.

    압출 장치(4)는 주로 크랭크 구동부(5), 요동부(6), 플랜팅 압출부(7), 가이드부(8), 맞물림부(9)에 의해 구성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구동부(5)는 플랜팅부(17A)의 좌측에 배치된 제1 플랜팅 전달 기구(16a)의 구동력을 플랜팅 압출부(7)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크랭크 구동부(5)는 주로 클러치, 회동 아암(53), 종동 아암(54), 연결 아암(55), 상부 로드 지지체(56)에 의해 구성된다. 크랭크 구동부(5)는 플랜팅부(17A)의 측부 플랜팅 프레임(19f)의 좌우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이 되도록 배치된다. 클러치는 전자 솔레노이드(50), 맞물림 레버(51), 맞물림체(52)로 구성된다.

    제1 플랜팅 전달 기구(16a)의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은 클러치(상세하게는 맞물림체(52))를 개재하여 압출 구동축(45)에 연결된다. 즉, 맞물림체(52)는 압출 구동축(45)에 끼워진 스프링 클러치와 스프링 클러치의 일단에 맞물림된 맞물림 디스크로 구성되고, 맞물림 디스크의 외주에 돌기를 마련하여, 돌기가 그 후방에 배치된 맞물림 레버(51)와 맞물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맞물림체(52)가 맞물림 레버(51)와 맞물림됨으로써,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으로부터 압출 구동축(45)으로의 동력 전달이 끊어지고,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으로부터 압출 구동축(45)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레버(51)는 그 근방에 배치된 액츄에이터인 전자 솔레노이드(50)의 작동체가 되는 피스톤과 연결된다. 전자 솔레노이드(50)가 작동되면, 피스톤이 축소되어 맞물림 레버(51)가 회동되고, 맞물림 레버(51)와 맞물림체(5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전자 솔레노이드(50)는 도시하지 않은 플랜팅 위치(17b) 부근의 리미트 스위치의 온오프(리미트 스위치는 홀딩 개공 수단(20A)이 소정의 위치에 이르렀는지를 검지한다)에 의해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압출 구동축(45)의 좌우 양단에는 각각 회동 아암(53)의 일단이 고정된다. 회동 아암(53)의 타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조절 구멍(53a·53a)이 개구된다. 조절 구멍(53a·53a·53a) 중 하나에 회동축(54a)의 일단(내측)이 관통된다. 회동축(54a)의 타단(외측)에는 종동 아암(5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복수의 조절 구멍(53a·53a·53a)은 크랭크 구동부(5)의 길이 조절 기구의 역할을 다한다. 종동 아암(54)의 타단에는 관통 구멍이 개구된다. 관통 구멍에는 연결축(54b)의 일단(외측)이 고정된다. 연결축(54b)의 타단(내측)은 연결 아암(55)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좌우의 연결 아암(55)의 하부는 상부 로드 지지체(56)가 배치된다.

    상부 로드 지지체(56)는 플랜팅부(17A)의 좌우 폭보다 약간 짧은 판체이다. 상부 로드 지지체(56)에는 후술하는 플랜팅 압출부(7)의 플랜팅 압출체(70A)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종구 홀더(24)와 동수로 동 위치)을 두고 부착된다. 또한, 상부 로드 지지체(56)의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요동부(6)의 요동 연결체(62·6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진 원통 모양의 슬라이딩체(57·57)가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홀딩 개공 수단(20A)이 플랜팅 위치(17b)의 소정 위치에 이르렀을 때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에 접촉하여 ON이 되고, 리미트 스위치와 접속된 전자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맞물림 레버(51)가 회동되어 맞물림체(52)로부터 빠진다. 그러면, 맞물림체(52)는 압출 구동축(45)과 맞물림되어 일체로 회동하게 되어, 동력이 압출 구동축(45)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왼쪽의 압출 구동 스프로킷(43)의 회전력이 압출 구동축(45)에 전달되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구동축(45)에 고정된 좌우의 회동 아암(53)을 회전시킨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는 접촉부가 통과함으로써 그 후 OFF가 되고, 전자 솔레노이드(50)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그리고, 맞물림체(52)가 1 회전하면, 다시 맞물림 레버(51)와 맞물리고, 맞물림체(52)로부터 압출 구동축(45)으로의 동력 전달은 끊어진다. 압출 구동축(45)이 1 회전하면, 이것에 연결된 회동 아암(53)도 1 회전하고, 종동 아암(54)을 전후 요동하면서 상하로 이동시키고, 종동 아암(54)으로부터 연결 아암(55)을 개재하여 상부 로드 지지체(56)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즉, 크랭크 구동부(5)의 작동(도 20의 (c) 참조)에 의해, 플랜팅 압출부(7)가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논밭에 종구(G)가 심어진다.

    또한, 전술한 크랭크 구동부(5)의 길이 조절 기구는 회동 아암(53)의 조절 구멍(53a·53a·53a)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54a)이 관통됨으로써, 회동축(54a)의 회동 직경을 장단(長短) 변경함으로써 구성된다. 회동축(54a)의 회동 직경을 장단 변경함으로써, 회동 아암과 링크(회동축(54a), 종동 아암(54), 연결축(54b), 연결 아암(55)으로 구성되는 링크)의 연결 길이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어, 크랭크 구동부(5)의 승강 거리가 조정된다. 따라서, 크랭크 구동부(5)의 상부 로드 지지체(56)에 연결된 플랜팅 압출체(70A)의 승강 높이가 변경되고, 종구(G)의 플랜팅 깊이를 원하는 깊이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요동부(6)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요동부(6)는 주로 회동 지점축(60), 배치체(61), 요동 연결체(62), 하부 로드 지지체(63)에 의해 구성된다. 요동부(6)는 압출 구동축(45)의 직하에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동 지점축(60·60)은 압출 구동축(45)의 직하에서 좌우의 측부 플랜팅 프레임(19f)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측부 플랜팅 프레임(19f)(도 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동 지점축(60·60)에는 각각의 내단 하부에 배치체(61)가 고정된다. 배치체(61)는 좌우 방향을 길이로 하는 판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 '凹'자 모양으로 굴곡시킨 부재이다. 배치체(61)의 좌우 양 단부에는 상하 방향을 길이로 하는 막대 모양의 요동 연결체(62·62)의 상단이 고정된다. 요동 연결체(62·62)의 하단에는 배치체(61)와 대략 평행으로 배치체(61)보다 약간 좌우 길이가 짧은 하부 로드 지지체(63)의 양단이 고정된다. 하부 로드 지지체(63)에는 상부 로드 지지체(56)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플랜팅 압출부(7)의 플랜팅 압출체(70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구 지지부(63a)가 형성된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팅 압출부(7)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플랜팅 압출체(70A)에 의해 구성되고, 플랜팅 압출체(70A)는 주플랜팅 프레임(19) 내의 공간에 좌우 방향의 소정 간격(홀딩 개공 수단(20A)의 개구부(삽입구(28a)·배출구(29a))의 간격)를 두고 배치된다. 플랜팅 압출체(70A)는 주로 가이드 파이프(71), 플랜팅 로드(72)에 의해 구성된다.

    가이드 파이프(71)는 상하 방향을 길이로 하는 원통 모양의 부재로서, 상단이 상부 로드 지지체(56)에 부착 부재(71a)를 개재하여 고정된다. 가이드 파이프(71)의 상하 중간부는 요동부(6)의 하부 로드 지지체(63)의 개구 지지부(6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홀딩된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71)의 하부는 후술하는 가이드부(8)의 횡가이드판(81)에 상하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홀딩된다.

    가이드 파이프(71) 내에는 상하 방향을 길이로 하는 봉재인 플랜팅 로드(72)가 상하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된다. 가이드 파이프(71)의 하단에는 홀딩체(73)가 고정된다. 홀딩체(73)에는 상하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는 홀딩 개공 수단(20A)에 의해 홀딩된 종구(G)의 상부를 홀딩하기 쉽게 형성된다.

    가이드 파이프(71)에는 플랜팅 로드(72)가 내장된다. 플랜팅 로드(72)는 가이드 파이프(71)보다 약간 긴 봉재에 의해 구성된다. 플랜팅 로드(72)의 상부는 후술하는 맞물림부(9)의 부착 부재(92)를 개재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93)에 각각 지지된다. 플랜팅 로드(72)의 부착 부재(92)와 상부 로드 지지체(56) 사이에는 플랜팅 로드(72)를 상방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바이어스하는 스프링(74)이 배치되어 있다.

    도 15, 도 18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8)는 플랜팅 위치(17b)에 있어서의 플랜팅 압출부(7)와 홀딩 개공 수단(20A)의 후방 이동을 동기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플랜팅부(17A)의 하부에 배치된다.

    가이드부(8)는 주로 측부 가이드판(80), 횡가이드판(81), 가이드축(84), 동기 가이드봉(85), 및 인장 부재(86)에 의해 구성된다.

    측부 가이드판(80)은 전후 방향을 길이로 하는 판재로 구성되고, 측부 플랜팅 프레임(19f)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이 되도록 배치된다. 측부 가이드판(80)의 전후부에는 동일 형상의 개구부(80a·80a)가 형성된다. 개구부(80a)는 전단으로부터 중간부에 걸쳐 대략 수평으로 개구되고, 중간부에서 후단에 걸쳐 전저후고가 되도록 개구된다.

    횡가이드판(81)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횡가이드판(81)의 좌우 양측 단부의 전후 양측으로부터 각각 가이드축(84·84·84·84)이 측방으로 돌출되고, 가이드축(84·84·84·84)의 선단부가 좌우의 개구부(80a·80a·80a·80a)에 삽입되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동기 가이드봉(85)은 상하 방향을 길이로 하는 봉재로서, 홀딩 개공 수단(20A)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무단체(3)가 주회할 때, 무단체(3)의 외주에 고정된 부착부(28d)와 접촉하고, 가이드부(8)가 홀딩 개공 수단(20A)의 후방 이동과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동기 가이드봉(85)의 상단은 횡가이드판(81)의 좌우 양 단부의 전후 중간부에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횡가이드판(81)의 양 단부에 관통 구멍을 개공하고, 관통 구멍에 동기 가이드봉(85)의 상단을 관통시켜 너트 등으로 동기 가이드봉(85)과 횡가이드판(81)을 체결시킨다.

    인장 부재(86)는 양 단부에 훅(hook)을 가지는 텐션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다. 인장 부재(86·86)의 일단은 좌우의 측부 플랜팅 프레임(19f)에 고정된 부착 부재(87·87)에 걸리고, 타단은 전측의 가이드축(84·84)에 걸린다. 이리하여, 횡가이드판(81)이 인장 부재(86)에 의해 앞쪽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도록 바이어스된다.

    플랜팅 작업 시에 있어서,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체(3)가 회동됨으로써, 홀딩 개공 수단(20A)이 플랜팅 위치(17b)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동기 가이드봉(85·85)의 하단이 홀딩 개공 수단(20A)에 접촉함으로써, 가이드봉(85·85)을 고정한 횡가이드판(81)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가이드판(81)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가이드축(84·84·84·84)은 측부 가이드판(80)의 개구부(80a·80a·80a·80a)의 수평부를 따라, 즉 가이드되어 슬라이딩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홀딩 개공 수단(20A)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도 2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축(84)은 개구부(80a)의 경사부를 따라 뒤쪽 상방으로 이동된다. 홀딩 개공 수단(20A)(횡가이드판(81))의 뒤쪽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동기 가이드봉(85·85)이 들어 올려지며, 동기 가이드봉(85·85)의 하단은 홀딩 개공 수단(20A)의 부착부(28d)보다 상방으로 이동하고, 동기 가이드봉(85·85)과 홀딩 개공 수단(20A)의 접촉이 해소되면, 인장 부재(86)의 앞쪽 방향으로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횡가이드판(81)이 전방으로 되돌려진다. 즉, 각 개구부(80a)의 전단에 각 가이드축(84)가 이동되게 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다음의 홀딩 개공 수단(20A)의 부착부(28d)에 동기 가이드봉(85·85)의 하단이 접촉 가능해진다.

    따라서, 횡가이드판(81)에 의해 홀딩된 플랜팅 압출부(7)는 플랜팅 위치(17b)에서 홀딩 개공 수단(20A)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대해 동기하여 이동(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플랜팅 시에, 플랜팅 압출체(70A)의 하부를 홀딩 개공 수단(20A)의 개구부(삽입구(28a)·배출구(29a))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맞물림부(9)는 도 19 및 도 23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구(G)의 플랜팅 종료 후에 플랜팅 압출부(7)가 상승할 때, 플랜팅 로드(72)의 상승을 일시적으로 규제하여 가이드 파이프(71)를 먼저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맞물림부(9)는 주로 지지축(93)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부 맞물림체(90)와, 하부 로드 지지체(63)의 양측에 배치되는 하부 맞물림체(91)에 의해 구성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맞물림부(9) 부재는 좌우 대칭이므로 좌측의 구성만 설명한다.

    상부 맞물림체(90)는 좌우의 플랜팅 압출부(7)의 상부로부터 그 근방의 슬라이딩체(57)의 후부에 걸쳐 좌우 한 쌍이 되도록 각각 배치된다. 상부 맞물림체(90)는 부착 부재(92), 지지축(93), 핀(93a), 상부 맞물림 부재(94), 지지 부재(95)에 의해 구성된다.

    부착 부재(9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 'L'자 모양으로 굴곡된 판재로서, 수평부(92a) 및 수직부(92b)에 의해 구성된다. 수평부(92a)의 전부에 관통 구멍이 개구되고, 관통 구멍에 플랜팅 압출부(7)의 플랜팅 로드(72)의 상부가 관통되어, 플랜팅 로드(72)와 부착 부재(92)가 체결된다.

    부착 부재(92·92·92·92)는 요동부(6)의 요동 연결체(62·62) 사이의 지지축(93)에 대략 같은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수평부(92a)의 하면과 수직부(92b)의 전면에 접촉하여 고정된다. 또한, 좌우 양측의 부착 부재(92·92)의 외측의 지지축(93)상에는 상부 맞물림 부재(94)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부 맞물림 부재(94)와 부착 부재(92)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이 끼워지고, 상부 맞물림 부재(94)가 도 23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한편, 상부 맞물림 부재(94)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핀(93a)이 돌출되고, 핀(93a)이 수평부(92a)의 하면과 접촉함으로써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지지 부재(95)는 그 앞쪽 하부 전면이 슬라이딩체(57)의 뒤쪽 상부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95)는 상하 방향을 길이로 하는 판재에 의해 구성되고, 그 상부에 상하 방향을 길이로 하는 긴 구멍(95a)이 개구된다. 긴 구멍(95a)에는 지지축(93)의 좌단부(외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된다.

    하부 맞물림체(91)는 플랜팅 압출체(70A)가 최상방에 위치하는 플랜팅 대기 상태에 있어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부 맞물림 부재(94)의 뒤쪽 하방에 배치된다. 하부 맞물림체(91)는 걸림 부재(96), 회동 부재(96d), 회동 지지축(96c), 회동 지점축(97), 상부 지지 부재(98b), 하부 지지 부재(98a), 및 바이어스 부재(99)에 의해 구성된다.

    하부 지지 부재(98a)는 상하 방향을 길이로 하는 2장의 판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좌우 소정 간격을 두고 하부 로드 지지체(63)의 양측 후부에 그 하단이 고정된다. 하부 지지 부재(98a)는 그 상부에 상하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개구부가 개구된다.

    상부 지지 부재(98b)는 판 부재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을 개방시킨 '凹'자 모양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상부 지지 부재(98b)의 하측 양측부에는 하부 지지 부재(98a)와 동등한 간격을 둔 복수의 개구부가 개구된다. 따라서, 상부 지지 부재(98b)와 하부 지지 부재(98a)는 이들 개구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치시킨 상태로 볼트 등으로 관통시켜 체결시킴으로써 일체화된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일치시킬 개구부를 변경함으로써 하부 맞물림체(9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지지 부재(98b)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 부재(96)는 판재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역 '凹'자 모양으로 굴곡시켜 형성된다. 걸림 부재(96)에는 수평부(96a) 및 수직부(96b·96b)가 형성된다. 수평부(96a)의 전단은 전체 폭이 절결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직부(96b·96b)의 앞쪽 하부가 전고후저가 되도록 절결된다. 수직부(96b·96b)의 앞쪽 상부에는 회동 지지축(96c)이 수직부(96b·96b)에 배치되고, 원통 모양의 회동 부재(96d)가 회동 지지축(96c)에 관통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걸림 부재(96)의 수직부(96b·96b)의 뒤쪽 하부의 내측에 상부 지지 부재(98b)의 상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겹치도록 배치된다. 양자가 겹친 부분에는 각각에 관통 구멍이 개구되어 있고, 또한 관통 구멍에 회동 지점축(97)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며, 그 양단에는 빠짐 방지가 가해진다.

    바이어스 부재(99)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고, 회동 지점축(97)에 끼워진다. 바이어스 부재(99)의 일단은 걸림 부재(96)의 위쪽 후단에 걸리고, 타단은 상부 지지 부재(98b)의 후면에 걸린다. 따라서, 걸림 부재(96)는 바이어스 부재(99)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회동 지점축(97)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부를 아래 방향(B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바이어스되고, 걸림 부재(96)의 수평면부의 하면이 상부 지지 부재(98b)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크랭크 구동부(5)의 상부 로드 지지체(56)의 하방 이동에 의해 플랜팅 압출부(7)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팅 압출부(7)에 연결된 상부 맞물림체(90)가 걸림 부재(96)에 접근한다. 또한,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맞물림 부재(94)의 후단이 걸림 부재(96)의 전단인 회동 부재(96d)와 접촉한다. 또한,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부재(96)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상부 맞물림 부재(94)의 하강 이동이 정지된다. 즉, 지지축(93) 및 부착 부재(92)를 개재하여 연결된 플랜팅 로드(72)의 하강 이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지지축(93)이 지지 부재(95)의 긴 구멍(95a)의 하단에서 상단에 도달할 때까지, 플랜팅 압출체(70A)의 하강 이동이 정지되고, 가이드 파이프(71)만 하강 이동한다.

    지지축(93)이 지지 부재(95)의 긴 구멍(95a)의 상단과 접촉한 상태로 플랜팅 압출체(70A)가 더욱 하강되면,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맞물림 부재(94)가 바이어스 부재(94a)(도 19 참조)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지지축(93)을 중심으로 C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부 맞물림 부재(94)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부 맞물림 부재(94)와 걸림 부재(96)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부 맞물림 부재(94)는 도 25의 (b)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어스 부재(94a)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핀(93a)이 부착 부재(92)와 접촉하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종구(G)가 논밭의 개공부에 심어진 후, 크랭크 구동부(5)의 상부 로드 지지체(56)의 상방 이동에 의해 플랜팅 압출부(7)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맞물림 부재(94)의 후단이 걸림 부재(96)의 전단의 회동 부재(96d)와 다시 접촉한다. 또한,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부재(96)의 항력(抗力)에 의해 상부 맞물림 부재(94)의 상방 이동이 정지된다. 즉, 지지축(93) 및 부착 부재(92)를 개재하여, 연결된 플랜팅 로드(72)의 상승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핀(93a)이 지지 부재(95)의 긴 구멍(95a)의 상단에서 하단에 도달할 때까지, 플랜팅 로드(72)의 상승이 정지되고 가이드 파이프(71)만 상승한다.

    여기서, 플랜팅부의 하단에 주목하면, 홀딩체(73)의 내측에 종구(G)의 상부가 부착된 경우(도 21 참조), 플랜팅 압출체(70A)와 홀딩체(73)가 동시에 상승하면, 종구(G)는 홀딩체(73) 내에 부착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가이드 파이프(71)에 연결된 홀딩체(73)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에 플랜팅 압출체(70A)가 상승하면, 홀딩체(73)에 종구(G)가 부착되어 있던 경우라도 플랜팅 압출체(70A)만 남음으로써 종구(G)가 홀딩체(73)에 부착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플랜팅 직후에 홀딩체(73) 내에 흙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던 경우라도 플랜팅 압출부(7)가 나중에 상승함으로서 흙을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나아가서는, 플랜팅 압출체(70A) 선단의 홀딩체(73)의 흙 등에 의한 종구(G)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구동부(5)의 상부 로드 지지체(56)의 상방 이동에 의해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부재(99)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상부 맞물림 부재(94)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걸림 부재(96)의 전단은 회동 지점축(97)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한다. 상부 맞물림 부재(94)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부 맞물림 부재(94)와의 맞물림이 해소되어, 걸림 부재(96)는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부재(99)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상술한 일련의 움직임을 홀딩 개공 수단(20A)마다 행함으로써 종구(G)의 가압이 행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크랭크 구동부(5)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요동부(6)의 전후 방향으로 규제되면서, 플랜팅 압출부(7)가 승강시킨다. 따라서, 홀딩 개공 수단(20A)에 홀딩된 종구(G)를 논밭에 심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랜터(1A)는 주행부(14)와, 주행부(14)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여 종구를 플랜팅하는 플랜팅부(17A)를 가지고, 주행하면서 주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종구를 플랜팅하는 플랜터(1A)로서, 플랜팅부(17A)는 플랜팅 프레임(18)과, 플랜팅 프레임(18)의 좌우에서 세로 회전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무단체(3·3)와, 좌우의 무단체(3·3)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종구(G)를 홀딩함과 함께 논밭에 개공부를 형성하는 홀딩 개공 수단(20A)과, 홀딩 개공 수단(20A)이 최하부의 플랜팅 위치(17b)를 통과할 때, 홀딩 개공 수단(20A)에 홀딩된 종구(G)를 홀딩 개공 수단(20A)에 의해 형성된 개공부에 가압하여 논밭에 심는 압출 장치(4)를 구비하고, 압출 장치(4)는 플랜팅 프레임(18)의 상하 중간부에 마련한 회동 지점축(60)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부(6)와, 요동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종구를 논밭에 가압하는 플랜팅 압출부를 구비함과 함께, 플랜팅 압출부(7)는 플랜팅 로드(72)와, 플랜팅 로드(72)를 삽입하는 가이드 파이프(71)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플랜팅 압출체(70A)에 의해 구성되고, 가이드 파이프(71)와 플랜팅 프레임(18)에는 맞물림부(9)가 배치되고, 플랜팅 종료 후에 플랜팅 압출부(7)가 상승할 때, 맞물림부(9)에 의해 플랜팅 로드(72)의 상승이 일시적으로 규제되어, 가이드 파이프(71)가 먼저 상승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홀딩 개공 수단(20A)에 의해 논밭에 개공부를 형성함과 함께, 개공부로의 종구(G)의 결손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종구(G)를 심을 수 있다. 또한, 플랜팅 로드(72)가 나중에 상승함으로써, 가이드 파이프(71) 선단(홀딩체(73))으로의 흙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이드 파이프(71) 선단에 부착된 흙 등에 의한 종구(G)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구(G)의 발육 저해를 방지하는 것이 작물의 품질 향상으로 이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플랜터(1A)는 플랜팅 압출체(70A)의 하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횡가이드판(81)에 연결되고, 횡가이드판(8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동기 가이드봉(85·85)이 수직설치되고, 홀딩 개공 수단(20A)이 플랜팅 시에 후방으로 이동할 때, 동기 가이드봉(85·85)의 하단이 홀딩 개공 수단(20A)의 일부와 접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홀딩 개공 수단(20A)이 플랜팅 시에 후방으로 이동할 때, 동기 가이드봉(85·85)을 개재하여 플랜팅 압출부(7)도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플랜팅 압출부(7)와 홀딩 개공 수단(20A)의 이동을 간단한 구성으로 동기시킬 수 있으며, 종구(G)를 정확하게 논밭에 심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랜터(1A)는 플랜팅부(17A)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3A)를 가지고, 플랜팅 프레임(18)의 측부에는 크랭크 구동부(5)가 배치되고, 크랭크 구동부(5)는 플랜팅 프레임(18)에 지지되는 구동부(13A)의 동력이 전달되는 압출 구동축(45)과, 압출 구동축(45)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복수의 플랜팅 압출체(70A)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로드 지지체(56)와 링크(회동축(54a), 종동 아암(54), 연결축(54b), 연결 아암(55)으로 구성되는 링크)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회동 아암(53)을 구비하고, 회동 아암(53)에 크랭크 구동부(5)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절 기구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동 아암(53)에 크랭크 구동부(5)의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절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압출 장치(4)의 플랜팅 압출부(7)의 승강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구(G)의 플랜팅 깊이를 원하는 깊이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홀딩 개공 수단(20A)이 논밭에 형성한 개공부에 종구(G)를 정확하게 심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랜터(1A)는 주행부(14)와, 주행부(14)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여 종구를 심는 플랜팅부(17A)와, 주행부(14)와 플랜팅부(17A)에 동력 전달 기구(16A)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구동부(13A)를 가지고, 주행하면서 주행 방향으로 소정 간격 P를 두고 종구(G)의 플랜팅을 하는 플랜터(1A)로서, 플랜팅부(17A)는 좌우의 플랜팅 프레임(18)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의 정부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에 회전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무단체(3·3)와, 좌우 무단체(3·3) 사이에 복수 배치되고, 종구(G)를 홀딩함과 함께 논밭면에 피복된 피복재(멀티 시트(10))에 개공부를 형성하는 홀딩 개공 수단(20A)과, 홀딩 개공 수단(20A)이 최하부의 플랜팅 위치(17b)를 통과할 때, 홀딩 개공 수단(20A)에 의한 개공부에, 홀딩 개공 수단(20A)에 홀딩된 종구(G)를 가압하여 논밭에 심는 압출 장치(4)를 구비함과 함께, 주행부(14)의 주행 속도와, 플랜팅부(17A)의 무단체(3)의 회전 속도가 동조되도록, 동력 전달 기구(16A)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복재(10)에 개공부를 형성할 때, 피복재(10)에 과잉한 장력이 발생하지 않아서, 피복재(10)에 개공된 개공부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공부를 종구(G)에 적합한 상태로 홀딩할 수 있고, 정확하게 종구(G)를 심을 수 있어, 피복재(10)에 의한 종구(G)의 발육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랜터(1A)는 회전 지지부(35·36·37·38·39)는 상부 위치와 전후의 상하 중간부 위치와 전후의 하부 위치에 마련되고, 하부 위치의 후측 회전 지지부(35)에 구동부(13A)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후의 하부 위치의 회전 지지부(35·39) 사이가 플랜팅 위치(17b)가 되고, 후측의 회전 지지부(35)에서 무단체(3)가 구동되게 되어, 무단체(3)의 늘어짐에 의한 압출 장치(4)와 무단체(3)의 불필요한 락 상태를 회피하고, 종구(G)의 압입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플랜팅을 정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하가 걸리기 쉬운 플랜팅 위치(17b) 주위의 지지 부재로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어서, 플랜팅 프레임(18)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 시트 등의 피복재에 의해 피복된 논밭에 종구를 심는 플랜터에 이용 가능하다.

    1…플랜터
    1A…플랜터
    3…무단체
    4…압출 장치
    5…크랭크 구동부
    6…요동부
    7…플랜팅 압출부
    9…맞물림부
    10…멀티 시트(피복재)
    13…구동부
    14…주행부
    16…동력 전달 기구
    17…플랜팅부
    17A…플랜팅부
    17b…플랜팅 위치
    18…플랜팅 프레임
    20…홀딩 개공 수단
    27…회전체 프레임
    29f…흙 낙하용 구멍
    20…홀딩 개공 수단(홀딩 수단)
    20A…홀딩 개공 수단(홀딩 수단)
    21…종구 홀더 유닛
    22…개공 유닛
    23…개폐 구동부
    24…종구 홀더
    26…개공체
    35…회전 지지부(안쪽 무단체 구동 스프로킷)
    36…회전 지지부(뒤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
    37…회전 지지부(위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
    38…회전 지지부(앞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
    39…회전 지지부(아래쪽 무단체 종동 스프로킷)
    45…압출 구동축
    53…회동 아암
    54…종동 아암
    54a…회동축
    54b…연결축
    55…연결 아암
    56…상부 로드 지지체
    60…회동 지점축
    70…플랜팅 압출체
    71…가이드 파이프
    72…플랜팅 로드
    73…홀딩체
    81…횡가이드판
    85…동기 가이드봉
    100…제1 링크
    110…제2 링크
    120…구동 아암
    126…개공 포크
    126a…선첨부
    126b…회동 기부
    130…탄성체
    131…엔진
    181…캠체
    181b…제1 접촉부
    181c…제2 접촉부
    G…종구
    P…주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