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파종기

申请号 KR1020050021085 申请日 2005-03-14 公开(公告)号 KR1020060099702A 公开(公告)日 2006-09-20
申请人 안정권; 发明人 안정권;
摘要 본 발명은 곡물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4)의 좌우측과 후방의 바퀴(6)(8)(10)를 통한 이동중 그 하부후방에 가압봉(30)와 복귀스프링(32)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케 설치되는 골파기날(34)이 적정깊이로 골을 파게 되면 공급통(14)으로부터 분배부(20) 내에 공급된 씨앗(22)이 그 밑판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분배공(16)내에 유입되어 일정구간 상기 분배공을 차단하는 벨트(18) 내지는 편심된 안내판(60)등의 안내로 회전하여 배출부에 이르러 배출되면 안내부(28)를 통하여 골파기날(34)이 갖는 경사안내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 파여진 골에 공급되고 뒤이어 그 후방에 갖는 복토판(36)이 흙을 덮고 보조바퀴(10)가 덮은 흙을 적절히 다져주도록 하므로서 씨앗의 종류를 불문하고 손상없이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골파기나 씨앗의 공급과정에서 부� ��의 손상없이 씨앗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깊이로 파종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权利要求
  • 곡물파종기에 있어서, 양측과 후방에 바퀴가 설치되고 후방 상부에는 손잡이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갖는 공급통과, 상기 공급통의 공급관 아래에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바퀴를 따라 수평회전하며 그 밑판에는 배출부에 이르러 출구가 개방되는 분배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 아래에 분배부의 배출부를 수용하면서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후방에 배출구를 갖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저부 후방에 안내경사면을 갖도록 설치되는 골파기날과, 상기 골파기날과 보조바퀴 사이에 갖는 복토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파종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배부는 그 축봉을 통하여 바퀴와 체인벨트로 연결되고 또 커플링을 갖는 구동축과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파종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통이 갖는 공급관은 분배부의 내측 후방에 밑판과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공급관 타측에는 프레임측에 고정설치되어 분배부의 배출부를 구획하는 유도판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파종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분배부의 분배공은 분배부 저부의 풀리와 그 타측 후방에 갖는 보조풀리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에 의해 그 출구가 일부구간 차단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파종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부가 갖는 분배공은 상기 분배부 아래에 편심축을 통하여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안내판에 의해 그 출구가 일부구간 차단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파종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골파기날는 프레임이 갖는 좌우안내판 사이에 핀으로 연결설치되고 프레임측에 나사결합되어 골파기날의 후방상부로부터 가압지지하는 가압봉과 골파기날과 프레임 사이에 갖는 복귀용 스프링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파종기.
  • 说明书全文

    곡물파종기{SEEDING MACHINE}

    도 1 : 본 발명을 일측에서 본 일부측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을 타측에서 본 일부측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 : 본 발명의 일부평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요부평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동력전달부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분배부의 저면사시도

    도 8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평단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측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손잡이 (4)--프레임

    (6)(8)--주바퀴 (10)--보조바퀴

    (12)--공급관 (14)--공급통

    (16)--분배공 (18)--벨트

    (20)--분배부 (22)--씨앗

    (24)--유도판 (26)--배출구

    (28)--안내부 (30)--가압봉

    (32)--복귀스프링 (34)--골파기날

    (36)--복토판 (38)--개폐판

    (40)--풀리 (42)--축봉

    (44)--구동축 (45)--프리휠

    (46)--베벨기어 (48)--보조풀리

    (50)--커플링 (52)--스프링

    (54)--작동봉 (56)--편심캠

    (60)--안내판

    본 발명은 콩이나 옥수수 그리고 보리등을 파종하는 곡물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씨앗의 손상없이 파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농촌의 심각한 인력난을 다소나마 해소하여 주고자 손수레와 같이 밭의 두둑을 따라 밀거나 끌고 다니게 되면 골이 형성되고 또 그 골에 일정간격으로 씨앗이 공급되어 파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곡물파종기에 대하여는 이미 여러건이 제공된바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346863호를 예로 들 수가 있으며 이는 적재함으로부터 공급된 씨앗이 분배부의 분배홈에 유입되어 분배부를 감싸고 있 는 가이드부의 안내로 분배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그 하방에 갖는 중공암에 낙하하여 상기 중공암 하부에 슬라이딩 작동되게 설치되는 골작업프레임의 1,2부재에 의해 골이 형성됨과 동시에 씨앗의 공급으로 파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곡물파종기는 회전하는 분배부와 고정된 가이드부 사이에 갖는 유격으로 크기가 작은 씨앗의 파종은 불가능하므로 활용범위가 제한되고 또 씨앗의 크기가 크다 하더라도 분배부를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와의 심한 마찰로 손상되어 싹을 틔울수 없는 불량씨앗을 양산하게 되므로 수확량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중공암으로부터 단계적인 슬라이딩 작동으로 골을 파고 또 씨앗을 파종하는 골작업프레임의 1,2부재는 씨앗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나 흙등이 끼이게 되면 원활한 작동을 기대할 수가 없어 잦은 오작동을 유발시키게 되고 또 골을 파는 과정에서 단단한 흙이나 땅속에 잔류한 뿌리 및 돌등에 걸려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쉽게 휘어져 기능상실로 이어지게 되므로 잦은 수리를 요하게 될 뿐 아니라 사용수명이 단축된다.

    또한 이는 골을 파고 또 파여진 골에 씨앗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작업완료되므로 이후 수작업으로 골에 공급된 씨앗을 주위의 흙으로 일일이 묻어주는데 별도의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또 씨앗의 종류별 요구되는 적정깊이로 묻어주기 어려울뿐 아니라 제대로 묻어주지 못해 조류의 먹이가 되거나 필요이상으로 깊게 파종되어 싹을 틔울수 없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씨앗의 크기에 관계없이 종류별 적정깊이로 파종해 줄 수가 있고 또 파종과정에서 씨앗의 손상을 방지해 줄 수가 있고 사용중 오작동이나 부품의 손상없이 원활한 작동을 기대할 수가 있으며 파종후에는 파종된 씨앗을 흙으로 덮어서 적절히 다져줄 수 있도록 한 곡물파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통으로부터 공급된 씨앗이 주바퀴와 연결된 분배부의 통공 내에 유입되어 분배부 저부로부터 상기 통공을 일부구간 차단하는 벨트나 편심된 회전판의 안내로 회전하여 그 후방배출부에 이르러 배출되면 배출구를 갖는 안내부와 높낮이 조절되는 골파기날의 경사안내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 파여진 골내에 공급되고 공급후 골파기날와 보조바퀴 사이에 갖는 복토판이 흙을 덮고 뒤따르는 보조바퀴가 덮은 흙을 다져주도록 한 곡물파종기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상부 후방에 손잡이(2)를 갖는 프레임의 양측과 후방에 주바퀴(6)(8)와 보조바퀴(10)가 연결설치되고, 프레임(4) 상부에는 공급관(12)을 갖는 공급통(14)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공급통(14) 아래에는 등간격으로 갖는 다수의 분배공(16)이 순차적으로 벨트(18)에 의해 일부구간 차단되는 분배부(20)가 주바퀴(6)(8)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분배부(20)내에는 프레임측에 고정되어 공급된 씨앗(22)을 분배공(16)으로 유도하는 유도판(24)이 설치되고, 분배부 아래에는 배출구(26)를 갖는 안내부(28)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안내부(28) 아래에는 좌우안내판과의 사이에 가압봉(30)와 복귀스프링(32)에 의해 각도조 절되는 골파기날(34)이 설치되며, 상기 골파기날(34)과 보조바퀴(10) 사이에는 복토판(36)이 나란히 설치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프레임(4)이 갖는 손잡이(2)를 이용하여 밀거나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는 경량화를 위한 것일 뿐 소형원동기나 모터등을 통하여 바퀴에 동력을 전달해 주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구성도로서, 프레임(4) 상부에 갖는 공급통(14)은 일정량의 씨앗(2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서, 그 저부에 연결형성되는 공급관(12)은 상부에 개폐판(38)이 끼워 설치되고 그 하단부는 분배부(20)가 갖는 밑판의 상부 후방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공급통 아래에 갖는 분배부의 저면사시도로서, 분배부(20)는 밑판의 저부에 외경보다 작은 풀리(40)가 형성되고 상기 풀리 외측에 분배공(16)이 등간격으로 빙둘러서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분배공(16)은 각 개소별 두개이상을 갖도록 하여 각 개소별 갖는 분배공의 일부를 캡으로 개폐하게 되면 씨앗의 크기에 따른 공급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분배부(20)는 그 중앙에 갖는 축봉(42)을 통하여 프레임(4)에 후방으로 갈수록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축봉(42)은 주바퀴(8)의 스프로켓과 체인벨트로 연결되는 구동축(44)과 베벨기어(46)로 연결되어 주바퀴를 따라 회전하고 그 풀리(40)는 후방 일측의 프레임측에 설치된 보조풀리(48)와의 사이에 비교적 폭이 넓은 벨트(18)가 연결되어 상기 벨트(18)가 분배공(16)을 일부구간 차단하게 되며 벨트가 보조풀리의 통과중 분배공(16)이 개방되는 타측 후방의 배출부에서 배출이 이루 어지게 된다.

    또한 주바퀴(18)가 갖는 스프로켓은 다단의 프리휠(free wheel)(45)로 구성되어 드레일러 케이지(derailleur cage)가 갖는 텐션풀리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하여 변속으로 씨앗의 종류에 따른 파종간격을 임의로 조정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도 6은 주바퀴와 분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구동축(44)은 좌우분리구성되어 커플링(50)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50)은 핀을 축으로 회전하는 연결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대 타단에 갖는 스프링(52)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고 손잡이(2) 인근에 갖는 작동봉(54)의 편심캠(56)에 의해 동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평단면구성도로서, 분배부(20) 내에 갖는 유도판(24)은 하단에 브러쉬가 형성되고 공급통(14)의 공급관(12) 타측에 분배부(20)가 갖는 후방측벽과 최소한의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길게 고정설치되어 분배부(20)의 타측 하부에 갖는 배출부를 구획하게 된다.

    한편 분배부(20) 아래에 갖는 안내부(28)는 분배부(20)로부터 낙하한 씨앗(22)을 골파기날(34)이 갖는 경사안내면 상에 전달해 주기 위한 것으로서 분배부(20)의 타측 하부에 갖는 배출부를 수용하는 크기와 형태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또 그 후방중앙부에 배출구(26)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28) 아래에 갖는 골파기날(34)은 단부가 단면ㅅ형으로서 그 연결부를 통하여 고정된 양측판 사이에 핀으로 연결설치되어 프레임(4)의 손잡이(2) 인근에 고정된 너트와 체결되어 그 단부가 연결부의 상부후방에 접촉하고 있는 가압봉(30) 및 연결부와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32)에 의해 회전각이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토판(36)과 보조바퀴(10)는 골파기날(34) 후방에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어 골파기날(34)에 의해 파헤쳐진 흙을 복토판(36)이 덮고 뒤를 이어 보조바퀴(10)가 덮은 흙을 다져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공급통(14') 아래에 갖는 분배부(20')는 수개의 분배공(16')이 등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되는 밑판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프레임(4')측으로부터 분배부(20')의 축봉과 편심된 축봉을 통하여 공회전하는 안내판(60)이 최소한의 간격을 갖고 편심되게 설치되어 분배부(20')의 분배공(16')이 그 타측에 이르게 되면 안내판(60)으로부터 벗어나 출구가 개방되는 배출부를 갖게 되며 상기 배출부를 수용하는 안내부(28')를 통하여 골파기날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공급통(14)에 파종하고자 하는 씨앗(22)을 공급하고 가압봉(30)의 회전으로 골파기날(34)의 높낮이를 조정한 다음 작동봉(54)를 이용한 커플링(50)의 작동으로 분배부(20)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한 상태에서 두둑을 따라 전진시켜 주게 되면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 곡물파종기는 작업자가 밀거나 또는 소형원동기 내지는 모터등에 의한 동력전달로 전진하게 되는데 전진시 골파기날(34)은 주어진 깊이로 땅속을 파고 들어 파종시 요구되는 깊이만큼 골을 파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손잡이를 이용하여 가압봉(30)을 회전시켜 주는 간단한 조작으로 골파기날(34)의 각도를 조정해 줄 수가 있어 씨앗의 종류에 따라 파종깊이를 달리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공급통(14)에 공급된 씨앗(22)은 개폐판(38)에 의해 개폐되는 공급관(12)을 따라 분배부(20) 내에 공급되는데 이때 공급관(12)은 분배부(20)의 밑판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있어 분배부의 회전시 적절한 량이 공급된다.

    상기 분배부(20) 내에 공급된 씨앗은 분배부의 회전시 분배부(20)가 갖는 경사각과 브러쉬를 갖는 유도판(24)에 의해 분배부(20)의 후방 일측에 머물러 있게 되고 이중 일부는 벨트(18)에 의해 출구가 차단된 분배공(16) 내에 유입되어 회전이송되며 이송중 그 하부타측에 갖는 배출부에 이르게 되면 벨트(18)가 보조풀리(48)의 통과로 분배공의 출구가 개방되어 안내부(28) 상에 낙하배출된다.

    안내부(28)에 낙하한 씨앗(22)을 상기 안내부가 갖는 경사각으로 후방중앙부로 미끄러져 내려가 배출구(26)로 배출되고 배출된 씨앗은 골파기날(34) 상에 낙하하여 안내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 파여진 골에 주어진 간격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종류별 씨앗의 크기에 관계없이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또 공급과정에서 심한 마찰우려가 없어 손상없이 공급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배부(14') 하부에 벨트를 대신하는 안내판(60)이 편심되게 설치되어 분배부(20')의 회전시 그 후방에서 분배공(16')에 유입된 씨앗이 분배부(20')를 따라 회전하여 그 타측에 이르게 되면 분배공(16')의 출구가 개방되어 씨앗이 배출부를 수용하는 안내부(28') 상에 낙하하여 골파기날(34')을 통하여 파여진 골에 공급된다.

    이때 안내판(60)은 분배부(20')와 최소한의 간격을 두고 공회전가능케 설치되어 있어 이역시 씨앗의 크기에 관계없이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또 공급과정에서 심한 마찰우려가 없어 손상없이 공급해 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골파기날(34)에 의해 파여진 골에 공급된 씨앗을 뒤따르는 복토판(36)에 의해 흙으로 덮여지게 되고 씨앗을 덮고 있는 흙은 복토판을 뒤따르는 보조바퀴(10)에 의해 적절히 다져져 파종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씨앗의 크기에 관계없이 파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어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또 씨앗의 공급과정에서 부품과의 마찰등에 의한 씨앗의 손상우려가 없어 이로 인한 수확량감소를 방지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골파기날(34)은 일체형으로서 견고하고 또 여타 다른 부품들도 사용중 휨이나 파손우려가 없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가 있고 또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가 있으며 골파기날은 가압봉(30)과 복귀스프링(32)을 통한 각도조절로 씨앗의 종류별 요구되는 깊이로 파종해 줄 수가 있고 파여진 골에 공급된 씨앗은 뒤따르는 복토판(36)에 의해 주위흙으로 덮여지게 되며 씨앗을 덮고 있는 흙은 뒤따르는 보조바퀴(10)에 의해 적절히 다져지게 되므로 별도의 후작업을 요하지 않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을 뿐 아니라 조류에 의한 씨앗의 손실 내지는 파종깊이차이로 인한 작물의 발육불균형을 방지하여 보다 많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