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도정기

申请号 KR1020150028110 申请日 2015-02-27 公开(公告)号 KR1020160105008A 公开(公告)日 2016-09-06
申请人 유명현; 发明人 유명현;
摘要 본발명은현미의도정분도조절을단순구성으로간편하게조절할수 있으며, 뚜껑을개방할경우구동모터의동작을정지시켜어린이의안전사고를예방함과아울러, 도정작업중에임의의이물질이도정실내부로투입되는것을예방할수 있도록그 구조가개선된가정용도정기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따른가정용도정기는상부에개폐가능한뚜껑이결합되고내부에도정실이마련되는케이스와; 상기케이스의상부에배치되고하부의투입공을향해경사진각도로폭이좁아지도록형성되어벼의투입을가이드하는벼 공급통과; 상기벼 공급통의하측에마련되고, 도정된미강이하측으로배출되는제1배출공과쌀알이하측으로배출되는제2배출공이형성되는지지플레이트와; 상기지지플레이트상에마련되고상기투입공과수직선상으로일치되는방향에투입구가형성된이송하우징과, 상기이송하우징의내부에마련되고구동모터의회전력에의해회전구동되어벼를일방향으로이송시키는이송스크류를갖는이송유니트와; 상기이송스크류와동일축 상에결합되어연동되는도정커터와, 상기도정커터의외측에결합되고다수의통과공이형성된도정망과, 상기도정망의외측에마련되고하부가개구된도정하우징을갖는도정유니트와; 상기도정망의단부를통해배출되는쌀알과미강의배출시기를조절하여벼의도정분도를조절하기위한도정분도조절수단과; 상기지지플레이트의하측에마련되어상기제1배출공을통해낙하되는미강을수집하는찌꺼기통과; 상기지지플레이트의하측에마련되어상기도정분도조절수단을통해도정되어상기제2배출공으로배출되는현미나쌀알을수집하는수집함과; 상기도정분도조절수단측에단부가근접되게배치되어모터의회전력으로진공흡입력을도정분도조절수단측에제공하여도정과정중에발생되는먼지와미강등의이물질을흡입하는흡입블로워; 및외부로부터전달되는신호에따라구동모터와경고등및 표시등의동작을제어하는제어부;로구성된다.
权利要求
  •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150)이 결합되고 내부에 도정실이 마련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의 투입공(205)을 향해 경사진 각도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벼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벼 공급통(200)과;
    상기 벼 공급통(200)의 하측에 마련되고, 도정된 쌀알과 미강이 낙하되도록 제1,2배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5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0) 상에 마련되고 상기 투입공(205)과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는 방향에 투입구(315)가 형성된 이송하우징(310)과, 상기 이송하우징(310)의 내부에 마련되고 구동모터(3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벼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20)를 갖는 이송유니트(300)와;
    상기 이송스크류(320)와 동일 축 상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도정커터(410)와, 상기 도정커터(410)의 외측에 결합되고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도정망(420)과, 상기 도정망(420)의 외측에 마련되고 하부가 개구된 도정하우징(430)을 갖는 도정유니트(400)와;
    상기 도정망(420)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쌀알과 미강의 배출시기를 조절하여 벼의 도정 분도를 조절하기 위한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배출공(52)을 통해 낙하되는 미강을 수집하는 찌꺼기통(71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을 통해 도정되어 상기 제2배출공(54)으로 배출되는 현미나 쌀알을 수집하는 수집함(720)과;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 측에 단부가 근접되게 배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으로 진공 흡입력을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측에 제공하여 먼지와 미강을 흡입하는 흡입블로워(600); 및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30)와 경고등(830) 및 표시등(8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도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150)의 개방시 상기 이송유니트(300)의 이송스크류(320) 동작을 정지시키는 안전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뚜껑(150)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고 뚜껑(150)의 개방동작시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850)로 출력하는 개폐감지센서(80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도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벼 공급통(200)은 내주면 둘레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둘레홈부(220)와,
    상기 둘레홈부(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력을 갖는 자석부재(2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도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벼 공급통(200)의 내부에 투입되는 벼의 투입시기를 외부로 표시하는 벼 공급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벼 공급 표시수단은 상기 투입공(205)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어 벼 공급통(200) 내의 벼의 유무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850)로 출력하는 벼 감지센서(810)와,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8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고등(8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도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통(710)의 청소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청소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소 표시수단은 상기 찌꺼기통(710)의 내주면 상부에 배치되어 찌꺼기통(710) 내에 채워지는 찌꺼기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상기 제어부(850)측으로 출력하는 찌꺼기 감지센서(820)와,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850)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등(8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도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은 상기 도정하우징(430)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정망(420)의 단부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분도케이싱(510)과,
    일측이 상기 분도케이싱(510)의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측이 돌출되어 분도케이싱(510)의 보스부(515)에 삽입되는 도어부재(520)와,
    상기 분도케이싱(510)의 보스부(515)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재(520)의 타측에 일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도어부재(520)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530)와,
    일측이 상기 분도케이싱(510)의 보스부(515) 내에 수용되고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530)에 접촉되어 스프링부재(530)를 지지하는 지지구(540)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절노브(550)와,
    상기 조절노브(550)의 노브축(555)에 연동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절노브(550)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구(540)의 전,후진 이동력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지지구(540)의 단부가 접촉되는 나선면(565)을 갖는 회전부재(5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도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벼 공급통(200) 내부와 케이스(100)의 하부가 연통되도록 배관 연결되는 연결관(910)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벼 공급통(200) 내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920)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팬(920)에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9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도정기.
  • 说明书全文

    가정용 도정기{Polish rice by pounding machine}

    본 발명은 가정용 도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미의 도정 분도 조절을 스프링부재의 탄성력 조절방식으로 단순 구성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을 개방할 경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도정 작업중에 임의의 이물질이 도정실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도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현미 도정기는 정미소의 도정원리와는 달리 시중의 믹서기를 응용하여 벼의 표피를 적절히 벗겨내어 현미 쌀을 먹기 좋게 만드는 기기를 말한다.

    역사적으로 우리 민족은 수 천년 동안 현미를 먹어왔고, 백미를 먹게된 시기는 조선 중기 이후 연자방아의 등장으로 시작되었다.

    그 이후 정미소의 등장으로 쌀의 껍질을 완전히 벗긴 10분 도미(백미 - 死米)를 오늘날의 주식으로 하고 있다. 백미(死米)는 실질적으로 6∼70년대에는 일부 부유층만 섭취할 수 있었으나, 국가 경제가 나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섭취하면서 성인병을 일으키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백미가 현미에 비해 많은 영양분이 없어진 상태라는 사실은 접어 두고라도, 모든 식물의 열매는 껍질을 벗긴 후 하루(24시간)가 지나면 많은 영양분이 손실되는 성질이 있으며, 그 후에는 시간이 경과하는 데에 따라 점차 부패하여 썩게된다.

    예를 들어 엷은 접시에 약간의 물을 붓고 현미를 뿌린 접시를 창가에 두면 싹이 돋고 모가 자란다. 그러나 동일한 조건에서 백미를 뿌려두면 며칠이 지나면서 결국 썩고 부패하고 만다.

    그래서 수 천년동안 우리 조상들이 주식으로 삼아왔던 生米(玄米)를 현대생활에 맞게 실용적으로 먹는 방법을 많이 제안하게 되었다.

    현미는 껍질이 비닐코팅과 같이 완전히 밀착되어 있어 밥을 하여도 수분이 잘 스며들지 않아 조리 후에도 거칠고 딱딱하여 먹기에 불편하지만, 분도수에 관계없이 약간의 껍질만 벗기면 조리시 수분이 스며들어 먹기 좋은 밥을 지을 수 있다.

    이점에 착안하여 살아있는 현미를 집에서 보관하였다가 밥을 짓기 바로 전에 도정하여 밥을 짓게되면 살아있는 현미의 성질도 살리고, 영양분도 풍부한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먹기 좋은 현미밥을 지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정에서 현미 쌀을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정용 현미 도정 세척기가 제안되어 사용하도록 하였는 바, 이는 회전봉이 모터의 힘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이 회전봉에는 높이가 서로 다르며 날카로운 돌기가 표면에 형성된 평판커터가 부착되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벼나 현미의 표피를 벗겨내도록 하고, 상기의 평판커터는 현미를 수직 위방향으로 보내주도록 그 모양이 굴곡 되어 있으며 동시에 회전운동을 일으키게 되어 그 회전력으로 용기 안의 내용물이 상하 및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고, 이 회전 및 상하로 와류하는 벼 또는 현미와 평판커터의 날카로운 돌기가 충돌하게 되어 벼나 현미의 딱딱한 표피를 분쇄됨이 없이 벗겨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위 평판커터는 아래 평판커터와 함께 강력한 원심력을 발생시키며 현미를 와류시키고 서로 부딪쳐 표피를 벗기도록 하였다.

    또한 회전봉의 고속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발생시켜 현미를 용기 내부의 벽면으로 밀어내는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여 평판커터에 의해 도정되지 아니한 현미를 2중으로 도정하기 위하여 원통형 커터를 용기의 내부에 부착하여 원심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현미가 이 원통형 커터의 돌출칼날과 충돌하는 중에 현미의 표피를 2중으로 도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정용 현미 도정 세척기에 의하여서는 현미와 쌀눈 및 쌀겨를 임의로 분리시킬 수 없음은 물론, 도정이 진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내부가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쌀의 영양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가정용 도정기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6491호 "가정용 도정기"(등록일자 : 2011.05.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냉각실과 상부에 도정실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실과 상기 도정실의 사이에 전면으로 개방된 쌀알 수거실이 구비된 도정기 함체와; 상기 냉각실에 나란하게 수납되어 슬라이딩 개폐되고, 각기 개폐뚜껑을 갖는 나락공급통 및 겨수거통과; 열전냉각소자와 방열팬을 구비하고, 열전냉각소자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공급하는 냉각유닛과; 상기 나락공급통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나락을 상기 도정실로 공급하는 나락 이송유닛과; 상기 도정실에 설치되어 나락 이송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나락을 도정하는 도정유닛과; 상기 도정유닛측에 설치되어 송풍력으로 도정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겨수거통에 쌓이는 겨를 수평적으로 적층시키는 송풍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 가정용 도정기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08585호 "가정용 도정기"(등록일자 : 2012.01.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벼나 현미를 공급하도록 호퍼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호퍼 하부에 위치되어 연동풀리가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도정할 벼나 현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하우징과, 구동축 및 이송스크류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와 동일 축 상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벼나 현미의 표피가 소정두께로 벗겨질 수 있도록 고정체와, 도정망, 및 불투명 커버를 구비하는 도정유니트와, 상기 도정유니트에서 도정된 백미와 미강 및 쌀겨를 분리 수거하는 수거함으로 구성하여서 된 가정용 도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도정기의 도정유니트에 형성된 고정체를 덮는 불투명 커버를 투명커버로 형성하고; 상기 도정유니트가 설치된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체의 관통구멍을 덮는 투명커버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자외선 살균등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가정용 도정기는 현미의 도정 과정 중에 케이스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 뚜껑을 개방시키고 도정기 내부로 어린이들이 손을 집어 넣을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 내부로 임의의 이물질을 집어 넣어서 도정샤프트 등의 부품이 고장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가정용 도정기는 도정샤프트와 도정망을 통과하면서 겨와 쌀알이 구분되는 중에 쌀겨와 쌀알이 제대로 분리되지 못하고 도정된 쌀을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 가정용 도정기는 현미의 도정 분도 조절을 위해 타이머를 이용하거나, 압력조절모터를 이용하여 도정 분도를 조절하고 있으나, 현미의 도정 분도 조절이 어렵고 복잡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종래 가정용 도정기는 벼의 투입시기 및 찌꺼기통의 청소 시기를 외부에서 손쉽게 식별할 수 없으므로, 벼의 도정 작업에 지장을 주거나, 찌꺼기통의 외부로 찌꺼기가 넘쳐나게 되어 케이스 내부가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6491호 "가정용 도정기"(등록일자 : 2011.05.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08585호 "가정용 도정기"(등록일자 : 2012.01.1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현미의 도정 분도 조절을 단순 구성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을 개방할 경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도정 작업중에 임의의 이물질이 도정실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도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 구성으로 도정된 후의 쌀겨와 쌀알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도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벼의 투입시기 및 찌꺼기통의 청소 시기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정용 도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이 결합되고 내부에 도정실이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의 투입공을 향해 경사진 각도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벼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벼 공급통과; 상기 벼 공급통의 하측에 마련되고, 도정된 쌀알과 미강이 낙하되도록 제1,2배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마련되고 상기 투입공과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는 방향에 투입구가 형성된 이송하우징과, 상기 이송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벼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갖는 이송유니트와; 상기 이송스크류와 동일 축 상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도정커터와, 상기 도정커터의 외측에 결합되고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도정망과, 상기 도정망의 외측에 마련되고 하부가 개구된 도정하우징을 갖는 도정유니트와; 상기 도정망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쌀알과 미강의 배출시기를 조절하여 벼의 도정 분도를 조절하기 위한 도정 분도 조절수단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배출공을 통해 낙하되는 미강을 수집하는 찌꺼기통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을 통해 도정되어 상기 제2배출공으로 배출되는 현미나 쌀알을 수집하는 수집함과;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 측에 단부가 근접되게 배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으로 진공 흡입력을 도정 분도 조절수단측에 제공하여 먼지와 미강을 흡입하는 흡입블로워; 및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와 경고등 및 표시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의 개방시 상기 이송유니트의 이송스크류 동작을 정지시키는 안전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뚜껑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고 뚜껑의 개방동작시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개폐감지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벼 공급통은 내주면 둘레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둘레홈부와, 상기 둘레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력을 갖는 자석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벼 공급통의 내부에 투입되는 벼의 투입시기를 외부로 표시하는 벼 공급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벼 공급 표시수단은 상기 투입공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어 벼 공급통 내의 벼의 유무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벼 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고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찌꺼기통의 청소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청소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소 표시수단은 상기 찌꺼기통의 내주면 상부에 배치되어 찌꺼기통 내에 채워지는 찌꺼기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찌꺼기 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은 상기 도정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정망의 단부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분도케이싱과, 일측이 상기 분도케이싱의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측이 돌출되어 분도케이싱의 보스부에 삽입되는 도어부재와, 상기 분도케이싱의 보스부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재의 타측에 일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도어부재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와, 일측이 상기 분도케이싱의 보스부 내에 수용되고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에 접촉되어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절노브와, 상기 조절노브의 노브축에 연동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절노브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구의 전,후진 이동력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지지구의 단부가 접촉되는 나선면을 갖는 회전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벼 공급통 내부와 케이스의 하부가 연통되도록 배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벼 공급통 내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팬에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를 더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부재의 탄성력 가변방식으로 현미의 도정 분도 조절을 단순 구성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을 개방할 경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도정 작업중에 임의의 이물질이 도정실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벼 공급통 내에 벼 감지센서를 배치하고 케이스의 전면에 벼의 투입시기를 경고하는 경고등을 배치하며, 벼 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부에서 경고등의 점등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벼의 공급시기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벼의 공급이 늦어질 경우 이송하우징 및 도정망 내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도정 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찌꺼기통의 상부에 찌꺼기 감지센서가 배치됨에 따라, 찌꺼기통의 청소 시기를 표시등을 통해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청소시기를 놓쳐서 찌꺼기통의 외측으로 찌거기가 넘쳐 나오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단순 구성으로 분도케이싱의 측면에 흡입블로워가 연결됨에 따라, 도정된 후의 미강과 먼지 및 쌀알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번거로운 선별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도정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이송유니트와 도정유니트 및 도정 분도 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벼 공급통 및 흡입블로워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도정유니트와 도정 분도 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케이스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도정기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150)이 결합되고 내부에 도정실이 마련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의 투입공(205)을 향해 경사진 각도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벼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벼 공급통(200)과; 상기 벼 공급통(200)의 하측에 마련되고, 도정된 미강이 하측으로 배출되는 제1배출공(52)과 쌀알이 하측으로 배출되는 제2배출공(54)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5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0) 상에 마련되고 상기 투입공(205)과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는 방향에 투입구(315)가 형성된 이송하우징(310)과, 상기 이송하우징(310)의 내부에 마련되고 구동모터(3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벼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20)를 갖는 이송유니트(300)와; 상기 이송스크류(320)와 동일 축 상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도정커터(410)와, 상기 도정커터(410)의 외측에 결합되고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도정망(420)과, 상기 도정망(420)의 외측에 마련되고 하부가 개구된 도정하우징(430)을 갖는 도정유니트(400)와; 상기 도정망(420)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쌀알과 미강의 배출시기를 조절하여 벼의 도정 분도를 조절하기 위한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배출공(52)을 통해 낙하되는 미강을 수집하는 찌꺼기통(71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을 통해 도정되어 상기 제2배출공(54)으로 배출되는 현미나 쌀알을 수집하는 수집함(720)과;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 측에 단부가 근접되게 배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으로 진공 흡입력을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측에 제공하여 도정 과정중에 발생되는 먼지와 미강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블로워(600); 및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30)와 경고등(830) 및 표시등(8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5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100)는 직육면체 구조로 구성되고, 전면 패널에 복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벼 공급통(200)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210)을 갖는다.

    또, 상기 벼 공급통(200)은 내주면 사면 둘레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는 둘레홈부(220)와, 상기 둘레홈부(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력을 갖는 자석부재(25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부재(250)는 자성(磁性)을 가지며, 자석부재(250)에 달라붙는 벼 속에 들어 있는 철가루 등의 이물질을 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철가루가 달라붙어 있는 자석부재(250)를 둘레홈부(22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달라붙어 있는 철가루를 제거한 후에 다시 둘레홈부(220)에 자력으로 결합시켜 반복적인 철가루 분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지지플레이트(50)는 케이스(100)의 도정실 중간 부위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측에 이송유니트(300)가 안착된다.

    이송유니트(300)는 지지플레이트(50) 상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330)와, 구동모터(330)의 모터축 단부에 마련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340)로 연동되게 연결되고 이송스크류(320)의 축 단부에 마련되는 종동풀리(325)를 더 구비한다.

    도정커터(410)는 이송스크류(320)와 연동되게 연결되는 커터축(412)과, 커터축(412)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커터칼날(415)로 구성된다.

    커터칼날(415)은 도정커터(410)의 회전시 벼가 도정망(420)과 커터칼날(415) 사이에서 비벼짐에 따라 벼의 표피가 탈락되도록 도정망(420)의 내주면과 근접되도록 배치된다.

    도정하우징(430)은 도정망(420)의 통과공을 통과한 미강이 제1배출공(52) 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벼가 통과되는 전면과 도정된 현미나 쌀알이 통과되는 후면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정망(420)은 일측이 이송하우징(310)의 외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도정하우징(43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은 상기 도정하우징(430)의 외측에 결합되고 도정망(420)의 단부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측면 부위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분도케이싱(510)과, 일측이 상기 분도케이싱(510)의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측이 돌출되어 분도케이싱(510)의 보스부(515)에 삽입되는 도어부재(520)와, 상기 분도케이싱(510)의 보스부(515)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재(520)의 타측에 일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도어부재(520)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530)와, 일측이 상기 분도케이싱(510)의 보스부(515) 내에 수용되고 외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530)에 접촉되어 스프링부재(530)를 지지하는 지지구(540)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절노브(550)와, 상기 조절노브(550)의 노브축(555)에 연동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절노브(550)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구(540)의 전,후진 이동력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지지구(540)의 단부가 접촉되는 나선면(565)을 갖는 회전부재(560)를 구비한다.

    보스부(515)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중공체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나선면(565)은 조절노브(550)의 회전시 지지구(540)의 단부가 접촉되는 면의 회전 경로에 따라 지지구(540)의 단부에 가변 이동변위를 부여하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나선면(565)은 지지구(540)의 접촉시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재(530)는 나선면(565)에 접촉된 지지구(540)에 지지된 상태로 도어부재(520)의 타측에 접촉됨에 따라 도어부재(520)의 개방을 방해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부재(530)는 지지구(54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도어부재(520)에 전달되는 탄성력이 가변된다.

    즉,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은 조절노브(550)의 회전 동작시 회전부재(560)가 회전되면서, 회전되는 나선면(565)에 접촉되는 지지구(540)의 출몰 간격이 가변되어 지지구(540)를 전,후진 이동시키게 되고, 지지구(54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스프링부재(530)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가변시켜 스프링부재(53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도어부재(520)의 개방 저항력을 가변 조절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뚜껑(150)의 개방시 상기 이송유니트(300)의 이송스크류(320) 동작을 정지시키는 안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뚜껑(150)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고 뚜껑(150)의 개방동작시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850)로 출력하는 개폐감지센서(805)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안전수단은 벼의 도정 과정중에 뚜껑(150)을 개방시킬 경우, 개폐감지센서(805)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850)측으로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제어부(850)에서 구동모터(330)의 동작을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뚜껑(15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벼의 이송중에 어린이들이 실수 또는 장난으로 외부 이물질을 투입하더라도 이송스크류(320)가 정지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이송스크류(320)를 파손시키는 사고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150)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벼 공급통(200)의 상측에서 원적외선을 조사(照射)하기 위한 원적외선램프(950)가 더 구비된 것이다.

    원적외선램프(950)는 벼 공급통(200) 내에 투입되어 있는 벼에 원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벼에 원적외선을 공급하여 벼의 유해균을 살균할 수 있으며, 제습 및 공기정화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730"은 흡입블로워(600)의 하측에 마련되고, 분도케이싱(510)의 측면에 연결된 흡입블로워(600)의 진공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미강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수집하는 먼지주머니(73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별도로 본 발명은 별도의 제습설비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구성은 상기 벼 공급통(200) 내부와 케이스(100)의 하부가 연통되도록 배관 연결되는 연결관(910)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벼 공급통(200) 내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920)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팬(920)에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9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벼 공급통(200)의 내부에 투입되는 벼의 투입시기를 외부로 표시하는 벼 공급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벼 공급 표시수단은 상기 투입공(205)과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어 벼 공급통(200) 내의 벼의 유무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850)로 출력하는 벼 감지센서(810)와,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8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고등(830)으로 구성된다.

    즉, 벼 공급 표시수단은 벼 공급통(200)의 투입공(205)과 근접된 하부에 배치된 벼 감지센서(810)가 벼 공급통(200)에 담겨져 있는 벼의 유무를 확인하고 벼 공급통(200) 내의 정해진 높이에 벼가 없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5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850)에서는 벼 감지센서(8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근거로 케이스(100) 전면에 마련된 경고등(830)을 점등시켜 벼의 투입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찌꺼기통(710)의 청소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청소 표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청소 표시수단은 상기 찌꺼기통(710)의 내주면 상부에 배치되어 찌꺼기통(710) 내에 채워지는 찌꺼기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상기 제어부(850)측으로 출력하는 찌꺼기 감지센서(820)와,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찌꺼기 감지센서(820)에서 인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85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등(8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개폐감지센서(805)는 케이스(100)의 내주면 상측에 마련되고 뚜껑(150)의 닫힘동작시 접촉되는 접촉센서를 채용할 수 있으며, 벼 감지센서(810)와 찌꺼기 감지센서(820)는 통상의 레이저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벼 공급통(200) 내에 충진된 벼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 발생기(940)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뚜껑(150)을 개방시켜 벼 공급통(200) 내에 벼를 투입한 후에, 다시 뚜껑(150)을 닫고 케이스(100)의 전면에 있는 복수의 스위치(전원, 도정량 조절, 시작, 정지 스위치)를 조작하여 벼의 도정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벼는 벼 공급통(200)의 하부에 형성된 투입공(205)을 통해 투입구(315)를 거쳐 이송하우징(310) 내부로 투입되고, 구동모터(330)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벨트(340)를 통해 종동풀리(325)측에 전달되어 이송스크류(320)가 회전동작됨에 따라, 벼가 도정유니트(400)의 고정망 내부로 이송된다.

    이후에, 이송스크류(320)와 연동 회전되는 도정커터(410)와 도정망(420) 사이에 위치한 벼의 표피가 벗겨지면서 미강이 도정망(420)의 통과공 사이로 빠져나와 제1배출공(52)을 통과하면서 찌꺼기통(710) 내로 낙하되어 수집된다.

    이어서 도정망(420)의 통과공을 통과하지 못한 쌀알 및 미강은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측의 분도케이싱(510) 내부로 진입되고, 미강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쌀알은 제2배출공(54)을 통과하면서 수집함(720) 내로 수집되며, 쌀알에 비해 무게가 가벼운 미강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은 분도케이싱(510)의 측면에 연결된 흡입블로워(600)의 진공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흡입블로워(600)의 하측에 마련된 먼지주머니(730)에 수집된다.

    이때, 도정 분도 조절수단(500)은 도어부재(52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노브(5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도어부재(520)에 전달되는 스프링부재(530)의 탄성력이 가변되므로, 조절노브(550)의 도정량 조절에 따라 도정망(420) 내의 쌀알과 미강이 머무르는 시간이 가변되면서 도정량(2분도미, 5분도미, 8분도미 등)이 가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스프링부재(530)의 탄성력 가변방식으로 현미의 도정 분도 조절을 단순 구성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150)을 개방할 경우 도정유니트(400)의 동작을 정지시켜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도정 작업중에 임의의 이물질이 도정실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벼 공급통(200) 내에 벼 감지센서(810)를 배치하고 케이스(100)의 전면에 벼의 투입시기를 경고하는 경고등(830)을 배치하며, 벼 감지센서(8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부(850)에서 경고등(830)의 점등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벼의 공급시기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벼의 공급이 늦어질 경우 이송하우징(310) 및 도정망(420) 내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도정 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찌꺼기통(710)의 상부에 찌꺼기 감지센서(820)가 배치됨에 따라, 찌꺼기통(710)의 청소 시기를 표시등(840)을 통해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청소시기를 놓쳐서 찌꺼기통(710)의 외측으로 찌거기가 넘쳐 나오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단순 구성으로 분도케이싱(510)의 측면에 흡입블로워(600)가 연결됨에 따라, 도정된 후의 미강과 먼지 및 쌀알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번거로운 선별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50 : 지지프레이트 52 : 제1배출공
    54 : 제2배출공 100 : 케이스
    150 : 뚜껑 200 : 벼 공급통
    205 : 투입공 210 : 경사면
    220 : 둘레홈부 250 : 자석부재
    300 : 이송유니트 310 : 이송하우징
    315 : 투입구 320 : 이송스크류
    325 : 종동풀리 330 : 구동모터
    335 : 구동풀리 340 : 벨트
    400 : 도정유니트 410 : 도정커터
    412 : 커터축 415 : 커터칼날
    420 : 도정망 430 : 도정하우징
    500 : 도정 분도 조절수단 510 : 분도케이싱
    515 : 보스부 520 : 도어부재
    530 : 스프링부재 540 : 지지구
    550 : 조절노브 555 : 노브축
    560 : 회전부재 565 : 나선면
    600 : 흡입블로워 710 : 찌꺼기통
    720 : 수집함 730 : 먼지주머니
    805 : 개폐감지센서 810 : 벼 감지센서
    820 : 찌꺼기 감지센서 830 : 경고등
    840 : 표시등 850 : 제어부
    910 : 연결관 920 : 순환팬
    930 : 제습기 940 : 음이온 발생기
    950 : 원적외선램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