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 설비

申请号 KR1020110067215 申请日 2011-07-07 公开(公告)号 KR1020120013891A 公开(公告)日 2012-02-15
申请人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타카하시쯔토무; 카와바타히데토미; 카모요시히로; 모리야스카즈; 오치테루히사; 이와이미치카즈; 세이케타케하루; 키야스카즈하루;
摘要 PURPOSE: A rice polishing facility of a vending machine is provided to easily maintain and repair a front electric field by opening an upper opening door. CONSTITUTION: A rice polishing facility comprises: a brown rice addition room(G) for inputting brown rice; a rice polishing room(S) having a brown rice polishing device; a rice bran container(N) for containing the rice polishing room, mount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vertical first partition wall(10) for dividing the brown rice addition room and the rice polishing room; a vertical second partition wall(29) for dividing the rice polishing room and the rice bran container.
权利要求
  •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H)의 내부에 현미를 투입하는 현미 투입실(G)과, 현미를 정미하는 정미기를 구비하는 정미실(S)과, 정미기에서 발생된 겨를 수용하는 겨 수용실(N)을 좌우 방향으로 병렬해서 구비하고, 상기 현미 투입실(G)과 상기 정미실(S)을 세로 방향의 제 1 칸막이 벽(10)으로 분할하고, 상기 정미실(S)과 상기 겨 수용실(N)을 세로 방향의 제 2 칸막이 벽(29)으로 분할하고,
    상기 정미실(S)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본체 개폐 도어(30)와, 상기 겨 수용실(N)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를 좌우 방향으로 인접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 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개폐 도어(30) 및 상기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의 상방에 있으며 상기 상자체(H)의 전방측 상부를 덮는 상부 개폐 도어(32)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개폐 도어(32)와 대향하는 상기 상자체(H) 내에 전장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 설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개폐 도어(30)에는 상기 현미 투입실(G)의 전방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 설비.
  • 说明书全文

    정미 설비{RICE POLISHING FACILITY}

    본 발명은 이용자가 지참한 벼나 현미 등의 곡물을 정미 처리하는 정미 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이용자가 지참한 현미를 정미하는 자동판매기 형상의 정미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65972 호

    특허문헌 1은 쌀겨실과 정미 장치 본체를 별도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그 만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콤팩트한 자동판매기 형상의 정미 설비로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구성했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H)의 내부에, 현미를 투입하는 현미 투입실(G)과, 현미를 정미하는 정미기를 구비하는 정미실(S)과, 정미기에서 발생된 겨를 수용하는 겨 수용실(N)을 좌우 방향으로 병렬해서 구비하고,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을 세로 방향의 제 1 칸막이 벽(10)으로 분할하고, 정미실(S)과 겨 수용실(N)을 세로 방향의 제 2 칸막이 벽(29)으로 분할하고, 정미실(S)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본체 개폐 도어(30)와, 겨 수용실(N)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를 좌우 방향으로 인접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 설비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본체 개폐 도어(30) 및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의 상방에 있으며 상자체(H)의 전방측 상부를 덮는 상부 개폐 도어(32)를 설치하고, 상부 개폐 도어(32)와 대향하는 상자체(H) 내에 전장부(電裝部)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미 설비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본체 개폐 도어(30)에는 현미 투입실(G)의 전방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정미 설비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자체(H) 내에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과 겨 수용실(N)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콤팩트한 정미 설비로 할 수 있다. 또한 정미실(S)과 겨 수용실(N)을 각각 다른 개폐 도어로 함으로써 개폐 도어의 개폐 궤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좁은 설치 공간에 정미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전장부를 상자체(H) 내에 수납할 수 있어 정미 설비를 옥외에 두어도 전장부가 우천에 의해 젖을 일이 없다. 또한, 상부 개폐 도어(32)를 개방함으로써 전장부의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개방하면 현미 투입실(G)이 노출되어 이용자가 현미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체 개폐 도어(30)를 개방하면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도 본체 개폐 도어(30)와 함께 이동하므로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이 노출되어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정미 설비의 외관 정면도
    도 2는 정미 설비의 외관 정면도
    도 3은 정미 설비의 평면도
    도 4는 정미 설비의 개폐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미 설비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정미 설비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정미 설비의 작업 공정도
    도 8은 블록도

    본 발명의 정미 설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우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H) 내부의 좌우 일측에 현미를 투입하는 투입 호퍼(1)를 설치하고, 투입 호퍼(1)의 하방에는 석발기(石拔機)(2)를 설치하고, 석발기(2)의 측방에는 승강기(3)를 설치하고, 승강기(3)의 투구(投口)의 하방에는 현미 호퍼(4)를 설치하고, 현미 호퍼(4)의 하방에는 정미기(5)를 설치하고, 정미기(5)의 배출구측에는 백미 호퍼(6)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투입 호퍼(1)의 상방 공간에는 정미기(5)를 구비하는 정미실(S)과의 사이를 분할하는 제 1 칸막이 벽(10)과, 상자체(H)의 천정부와 투입 호퍼(1)의 상방 공간을 분할하는 상부 칸막이 벽(11)에 의해 현미 투입실(G)을 형성한다.

    투입 호퍼(1)의 하부에는 현미의 유무를 검출하는 현미 센서(12)를 설치하고, 투입 호퍼(1)의 하단부에는 현미를 배출하는 개구부(13)를 형성한다. 석발기(2)는 후방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로 배치되어 다수의 통풍공을 형성한 요동 선별판(14)과, 송풍 팬(15)을 설치하고, 투입 호퍼(1)의 개구부(13)는 요동 선별판(14)의 상방에 대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투입 호퍼(1)의 경사부에는 투입 호퍼(1)를 진동시키는 진동 장치(16)를 설치하고 있다.

    요동 선별판(14)의 상류측에는 돌 및 잔미(殘米)를 배출하는 석발 셔터(41)와, 돌을 돌 저류 상자(40)에 배출하는 돌 배출통(17)과, 잔미를 배출하는 잔미 배출통(18)과, 돌 배출통(17)과 잔미 배출통(18)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밸브(42)를 설치하고, 요동 선별판(14)의 하류측에는 현미를 승강기(3)에 배출하는 현미 배출통(19)을 설치하고 있다.

    승강기(3)의 전방측 하부에는 잔미 배출통(18)과 연통하는 잔미 수구(受口)(21)를 설치하고, 후방측 하부에는 현미 배출통(19)과 연통하는 현미 수구(22)를 설치한다. 승강기(3)의 상부는 현미 호퍼(4)와 연통하고, 현미 호퍼(4)의 하부에는 정미기(5)에 현미를 공급하는 로터리 밸브(4a)를 설치한다.

    정미기(5)는 전방측에 배출통(23), 후방측에 공급통(24)을 설치하는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의 구성으로 하고, 배출통(23)의 하방에 백미 호퍼(6)를 설치하고, 백미 호퍼(6)의 하부에 개폐 셔터(25)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정미기(5)의 하방에는 겨 팬(26)을 설치하고, 겨 팬(26)과 사이클론(27)을 겨 반송통(28)으로 접속하는 구성이다.

    정미기(5)과 사이클론(27) 사이에는 제 2 칸막이 벽(29)을 배치하고, 사이클론(27)을 구비하는 겨 수용실(N)과 정미기(5)를 구비하는 정미실(S)을 분할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칸막이 벽(10)으로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을 분할하고, 제 2 칸막이 벽(29)으로 정미실(S)과 겨 수용실(N)을 분할하고,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과 겨 수용실(N)을 좌우 방향으로 병렬해서 배치하는 구성이다.

    제 2 칸막이 벽(29)에는 통풍공을 겸한 필터(F)를 설치하여 겨 팬(29)의 송풍 작용에 의한 겨 수용실(N)의 공기를 정미실(S)로 리턴시킴으로써 정미실(S)이 부압으로 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필터(F)에 의해 겨 수용실(N)의 겨가 정미실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자체(H)의 전방측을 덮는 개폐 도어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개폐 도어는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의 전방측을 덮는 본체 개폐 도어(30)와, 겨 수용실(N)의 전방측을 덮는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와, 본체 개폐 도어(30)와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의 상방에서 현미 투입실(G)의 상방과 정미실(S)의 상부와 겨 수용실(N)의 상부에 걸치도록 덮는 상부 개폐 도어(32)를 설치하고 있다.

    본체 개폐 도어(30)는 상자체(H)의 좌우 일측의 벽부측에 설치하는 힌지(33)에 의해 세로 축심 둘레로 회동한다. 그리고, 개방하면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이 노출되는 구성이다. 본체 개폐 도어(30)에는 조작반(45)과 요금 투입구(46)를 설치하고 있다. 조작반(45)은 정백도를 선택하는 정백도 선택 스위치(47)와, 정미 작업의 진행 상태를 알리는 정미 작업 진행 표시 램프(48)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 개폐 도어(30)의 개폐와는 별개로 개폐하는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설치하고 있다.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는 본체 개폐 도어(30)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힌지(35)에 의해 세로 축심 둘레로 회동한다.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는 현미 투입실(G)의 전방측에 설치하고,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개방하면 현미 투입실(G)이 노출되어 이용자가 현미를 투입 호퍼(1)에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에는 록킹ㆍ해제를 조작하는 록킹 기구(R)와, 현미 투입실(G) 및 투입 호퍼(1) 내를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창(36)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 개폐 도어(30)에는 본체 개폐 도어(30)의 개폐와는 별개로 개폐하는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를 설치하고 있다.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는 본체 개폐 도어(30)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힌지(38)에 의해 세로 축심 둘레로 회동한다.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는 백미 호퍼(6)의 개폐 셔터(25)의 전방측에 설치하고, 이용자가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를 개방하면 개폐 셔터(25)가 노출되어 개폐 셔터(25)의 개폐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에는 외측으로부터 개폐 셔터(25)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창(39)을 설치하고 있다.

    정미 설비의 관리자가 본체 개폐 도어(30)를 회동해서 개방하면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와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도 본체 개폐 도어(30)와 함께 이동하고,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이 노출되어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는 상자체(H)의 좌우 타측의 벽부측에 설치하는 힌지(44)에 의해 세로 축심 둘레로 회동한다. 그리고, 개방하면 겨 수용실(N)이 노출되는 구성이다. 본체 개폐 도어(30)와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는 양문형으로 개폐하는 구성이다.

    이용자가 현미 투입시에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개방할 때에는 상자체(H)의 전방측을 향해서 개방한다. 즉 상자체(H)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상자체(H)에 인접해서 다른 장치ㆍ건물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가 상기 다른 장치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좁은 공간에서 상자체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는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측을 향해 개방하므로 백미 취득시에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의 전방측을 덮어 겨 수용실 개폐 도어(31)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고 백미 인출과 겨 인출을 병행해서 행할 수 있다.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가 개방 상태로 되면 조작반(45)의 전방측을 덮는 구성이 된다(도 2 참조). 즉, 이용자는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폐쇄하지 않으면 조작반(45)의 조작을 할 수 없으므로, 현미를 투입 후, 자연히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폐쇄하도록 작용시킬 수 있는 도어의 구성이다. 또한, 개방 상태가 되어 조작반(45)의 전방측을 덮으면 투명 창(36)이 정백도 선택 스위치(47)의 전방측을 덮고, 이용자가 투명 창(36)으로부터 정백도 선택 스위치(47)의 램프가 점등되어 있지 않은 것을 보아서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폐쇄할 필요가 있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의 하부의 개폐 궤적과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의 상부의 개폐 궤적은 랩(wrap)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개방할 때에는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가 폐쇄되지 않으면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에 접촉하므로 현미의 투입시, 현미 투입 후의 정미 운전 개시시에는 백미 인출 개폐 도어는 폐쇄 자세로 된다. 그 때문에, 백미를 인출할 때에는 우선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를 개방하고나서 개폐 셔터(25)를 조작하게 되어 갑자기 개폐 셔터(2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한 오조작에 의한 백미의 오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부 개폐 도어에 관한 내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전장부는 브레이커(breaker)나 제어반 등의 전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장부는 상자체 내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제 1 전장부(50)와, 상부 개폐 도어(32)의 이면에 설치하는 제 2 전장부(51)와, 본체 개폐 도어(30)의 조작반(45)의 이면에 설치하는 제 3 전장부(52) 각각에 각종 전장품을 집중해서 설치하고 있다.

    제 1 전장부(50)는 상자체(H) 내의 측벽이나 천정에 지지되는 제 1 전장부 부착판(50a)에 각종 전장품을 부착하고, 제 2 전장부(51)는 상부 개폐 도어(32)의 이면에 지지되는 제 2 전장부 부착판(51a)에 각종 전장품을 부착한다. 제 2 전장부(51)의 겨 회수실측에 겨 방지용 칸막이 판(51b)을 설치하여 겨 수용실(N)의 겨가 전장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체 개폐 도어(30)의 이면에는 투입한 요금을 모으는 금고(60)를 설치하고 있다. 상부 개폐 도어(32)는 본체 개폐 도어(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세로 축심 둘레로 개폐하는 구성이다.

    제 1 전장부(50)와 제 2 전장부(51)는 상부 개폐 도어(32)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상부 개폐 도어(32)를 개방하면 제 1 전장부(50)와 제 2 전장부(51)는 모두 상자체(H) 외측을 향해 노출된다.

    그 때문에, 관리자가 상부 개폐 도어(32)를 개방하면 제 1 전장부(50)와 제 2 전장부(51) 양쪽이 동시에 노출되므로 관리자는 전장 부품의 점검을 하기 쉽다. 또한, 좁은 공간에 집중해서 전장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 개폐 도어(30)에 부착하는 전장 부품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금고 내의 투입 요금을 인출하는 작업만을 행할 경우에 상부 개폐 도어(32)를 개방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본체 개폐 도어(30)를 쉽게 개폐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 전체의 점검을 행할 때에는 본체 개폐 도어(30)와 상부 개폐 도어(32)를 개방하면 제 1 전장부(50)와 제 2 전장부(51)와 제 3 전장부(52) 모두가 노출되므로 관리자는 전장부의 점검ㆍ조정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미기(5)나 석발기(2)의 유지 보수시에 상부 개폐 도어(32)의 위치가 높으므로, 상부 개폐 도어(32)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도 관리자가 잘못해서 제 1 전장부(50)나 제 2 전장부(51)에 접촉해서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우천시에 상부 개폐 도어(32)를 개방하지 않고 정미실의 점검을 행할 수 있어 전장품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장부(50)는 주로 브레이커를 설치한다. 제 2 전장부(51)는 주로 수동으로 정미기(5)나 석발기(2) 등의 각 장치를 점검용으로 단독으로 동작ㆍ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군을 설치한다. 제 2 전장부(51)는 상부 개폐 도어(32)의 이면에 설치하므로 관리자는 장치의 상태를 보면서 동작ㆍ정지의 조작을 하기 쉽다. 제 3 전장부(52)는 주로 조작반(45) 면의 정백도 선택 스위치(47)나 정미 작업 진행 표시 램프(48)를 점등시키기 위한 배선류이다.

    상부 개폐 도어(32)의 정면에는 간판(K)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간판은 전식 간판(電飾看板)이고 제 2 전장부(51)로부터 배선되어 있다. 상부 개폐 도어(32)를 현미 투입실(G)과 정미실(S)과 겨 수용실(N)에 걸쳐서 구성함으로써 정미 설비의 좌우 폭 전체에 걸쳐 간판(K)을 구성할 수 있고, 외관이 눈에 뜨이는 간판으로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판의 전장품의 유지 보수도 하기 쉽다.

    이어서, 정미 운전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용자는 요금을 요금 투입구(46)에 투입하면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의 록킹 기구(R)가 해제되어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개방할 수 있다. 이용자는 지참한 현미를 현미 투입실(G)로부터 투입 호퍼(1) 내로 투입하고,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를 폐쇄한다.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가 폐쇄된 것을 검출하면 자동적으로 록킹 기구(R)가 작동해서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가 록킹된다.

    현미 투입 개폐 도어(34)가 록킹되면 정백도 선택 스위치(47)가 점등되고, 이용자는 원하는 정백도를 선택할 수 있다. 정백도 선택 스위치(47)를 선택 조작하면 정미 운전은 개시되고, 투입한 요금에 대응하는 운전 시간 정미 운전을 행한다.

    투입 호퍼(1) 내의 현미는 순차적으로 개구부로부터 석발기(2)의 요동 선별판(14) 상으로 낙하 공급된다. 그리고, 현미는 요동 선별판(14) 위를 흘러내려서 현미 배출통(19)을 거쳐 승강기(3)에 공급된다. 한편, 돌은 요동 선별판(14) 위를 흔들어 올려져 상류측에 퇴적된다.

    석발 처리를 거친 현미는 승강기(3)에 의해 양곡(揚穀)되어 현미 호퍼(4)에 공급되며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현미 호퍼(4) 내에서 저류된 현미는 현미 호퍼(4)의 하부에 설치하는 로터리 밸브(4a)에 의해 일정량씩 정미기(5)에 공급되고, 정미기(5)에서 정미 처리되어 정백미으로서 백미 호퍼(6)에 배출된다. 정미기(5)에서 정미 처리되어 발생된 겨는 겨 팬(26)에 의해 겨 반송통(28)을 반송되어 사이클론(27)에서 공기와 겨로 분리해서 겨 수용실(N)에 수용된다.

    백미 호퍼(6)에 저류된 정백미를 이용자가 백미 인출 개폐 도어(37)를 개방해서 개폐 셔터(25)를 개방 조작함으로써 예컨대 지참한 자루에 인출한다.

    G : 현미 투입실 H : 상자체
    N : 겨 수용실 S : 정미실
    10 : 제 1 칸막이 벽 29 : 제 2 칸막이 벽
    30 : 본체 개폐 도어 31 : 겨 수용실 개폐 도어
    32 : 상부 개폐 도어 34 : 현미 투입 개폐 도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