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

申请号 KR1020100037517 申请日 2010-04-22 公开(公告)号 KR1020110117983A 公开(公告)日 2011-10-28
申请人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황칠코리아; 发明人 정현오;
摘要 본 발명은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을 퍼담을 수 있는 버킷의 일측벽 하단부에 흙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흙토출공을 통해 버킷에 담긴 흙을 배출할 수 있는 흙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나무의 식재에 필요한 흙의 확보는 물론 확보된 흙을 나무 식재를 위한 포트에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한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흙을 퍼담을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벽 하단부를 관통하여 흙토출공이 형성된 버킷과; 상부가 개구된 나무 식재를 위한 포트에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버킷 또는 상기 포트가 이동되어 상기 포트의 상부에 상기 흙토출공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버킷의 내부에서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상기 흙토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흙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흙을 퍼담을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벽 하단부를 관통하여 흙토출공이 형성된 버킷과;
    상부가 개구된 나무 식재를 위한 포트에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버킷 또는 상기 포트가 이동되어 상기 포트의 상부에 상기 흙토출공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버킷의 내부에서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상기 흙토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흙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상기 흙토출공으로 배출되는 흙이 모여지도록 상기 흙토출공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일측벽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배출유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흙배출수단은, 상기 흙토출공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버킷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흙토출공에 대향되는 상기 버킷의 타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대와,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상기 흙토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일주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이송스크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지지대는, 상기 버킷의 일측벽 상단부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과, 일단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에서 상기 흙토출공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부가 상기 버킷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버킷의 후방에 고정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유압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과, 상기 유압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와, 상기 부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부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압모터를 정지시키는 유압모터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
  • 说明书全文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BUCKET DEVICE FOR PLANTING TREE}

    본 발명은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을 퍼담을 수 있는 버킷의 일측벽 하단부에 흙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흙토출공을 통해 버킷에 담긴 흙을 배출할 수 있는 흙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나무의 식재에 필요한 흙의 확보는 물론 확보된 흙을 나무 식재를 위한 포트에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한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나무의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나무는 묘목으로부터 길러져 식재되는데, 묘목[苗木, seedling]이란 묘포(苗圃:모밭)에서 기른 어린 나무를 일컫는데 통상 조림·조경 등 관상용·녹화용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양성한다.

    산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어린 나무는 치수(稚樹) 또는 치묘(稚苗)라 하여 묘목과 구별하기도 한다. 묘목은 그 기원에 따라서 실생묘(實生苗)·접목묘(

    木苗)·삽목묘(揷木苗)·분근묘(分根苗)·분주묘(分柱苗)·취목묘(取木苗) 등으로 구별하고, 시업방법에 따라 파종묘(播種苗)·이식묘(移植苗)·거치묘(据置苗)·포트(pot)묘 등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실생묘란 종자를 파종하여 양성한 묘목을 말하고, 접목묘란 대목(臺木)에 접눈어로 접붙이기하여 양성한 묘목을 말하며, 삽목묘란 가지를 잘라 꺾꽂이하여 양성한 묘목을 말하고, 분근묘란 뿌리나누기로 이식하여 양성한 묘목을 말하며, 분주묘란 줄기에 뿌리가 붙은 채로 갈라다가 양성한 묘목을 말하고, 취목묘란 나뭇가지에 특수처리를 하여 뿌리를 발생시킨 후 잘라다 양성한 묘목을 말한다.

    또한, 파종묘란 종자를 뿌려서 양성한 1년생 묘목을 말하고, 이식묘란 파종묘를 이식한 묘목을 말하며, 거치묘란 파종묘를 이식하지 않고 그대로 기른 묘목을 말하고, 포트묘란 분(盆)에 기른 묘목을 말한다.

    최근에는 식재의 용이성 때문에 포트(pot)묘 방법이 많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포트(pot)묘 방법으로 나무를 식재하는 경우 땅을 굴삭하여 흙을 확보하는 작업과, 확보된 흙을 나무의 식재를 위한 포트에 채우는 작업이 별도의 작업으로 분리되어 있고, 특히 포트에 흙을 채우는 작업이 통상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나무 식재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흙을 퍼담을 수 있는 버킷의 일측벽 하단부에 흙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흙토출공을 통해 버킷에 담긴 흙을 배출할 수 있는 흙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나무의 식재에 필요한 흙의 확보는 물론 확보된 흙을 나무 식재를 위한 포트에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여 나무 식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흙을 퍼담을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벽 하단부를 관통하여 흙토출공이 형성된 버킷과; 상부가 개구된 나무 식재를 위한 포트에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버킷 또는 상기 포트가 이동되어 상기 포트의 상부에 상기 흙토출공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버킷의 내부에서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상기 흙토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흙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 상기 버킷은, 상기 흙토출공으로 배출되는 흙이 모여지도록 상기 흙토출공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일측벽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배출유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 상기 흙배출수단은, 상기 흙토출공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버킷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흙토출공에 대향되는 상기 버킷의 타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대와,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버킷의 수용공간에 담긴 흙을 상기 흙토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일주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이송스크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 상기 회전축지지대는, 상기 버킷의 일측벽 상단부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과, 일단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에서 상기 흙토출공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 상기 회전축은, 일단부가 상기 버킷의 타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버킷의 후방에 고정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유압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과, 상기 유압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와, 상기 부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부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압모터를 정지시키는 유압모터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 흙을 퍼담을 수 있는 버킷의 일측벽 하단부에 흙토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흙토출공을 통해 버킷에 담긴 흙을 배출할 수 있는 흙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나무의 식재에 필요한 흙의 확보는 물론 확보된 흙을 나무 식재를 위한 포트에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여 나무 식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 버킷(10)과, 흙배출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킷(10)은 나무(S)의 식재를 위한 흙(E)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흙(E)을 퍼담을 수 있는 구성으로 상광하협의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버킷(10)은 통상 굴삭기(포크레인)에 장착되어 땅을 파내며 상기 수용공간(11)에 흙(E)을 퍼담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버킷(10)을 말하는데, 굴삭기 뿐만 아니라 트랙터 또는 중장비 등의 작동부에 연결되어 흙(E)을 퍼담을 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버킷(1)에는 흙토출공(12)이 형성되고, 배출유도구(13)가 구비된다.

    상기 흙토출공(12)은 상기 버킷(10)이 나무(S) 식재를 위한 흙(E)을 확보하는 역할을 뛰어 넘어 상기 수용공간(11)에 확보된 흙(E)을 나무(S) 식재를 위한 포트(P)에 공급하는 역할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버킷(10)의 일측벽(10a) 하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흙토출공(12)을 통하여 상기 버킷(10)의 수용공간(11)에 담긴 흙(E)이 상기 흙배출수단(20)에 의해 배출되며 그 하부에 위치되는 나무(S) 식재를 위한 포트(P)에 흙(E)을 자동으로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유도구(13)는 상기 흙토출공(12)으로 배출되는 흙(E)이 모여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흙토출공(12)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일측벽(10a)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유도구(13)는 상기 흙토출공(12)을 통해 흙(E)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흙(E)이 모여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포트(P)의 내부로 정확히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킷(10)은 상기 흙토출공(12)에 이웃하는 일측벽(10a)에는 고정브래킷(221)이 장착되고, 타측벽(10b)을 관통하여 회전축(2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후방에는 유압모터(231)가 고정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흙배출수단(20)은 상부가 개구된 나무(S) 식재를 위한 포트(P)에 상기 버킷(10)의 수용공간(11)에 담긴 흙(E)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버킷(10) 또는 상기 포트(P)가 이동되어 즉, 상기 버킷(10)이 굴삭기 등에 장착되어 상기 포트(P) 근처로 이동되거나 상기 포트(P)가 인력에 의해 상기 버킷(10) 근처로 옮겨져 상기 포트(P)의 상부에 상기 흙토출공(12)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버킷(10)의 내부에서 상기 버킷(10)의 수용공간(11)에 담긴 흙(E)을 상기 흙토출공(1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회전축(21)과, 회전축지지대(22)와, 구동수단(23)과, 이송스크루(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흙토출공(12)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버킷(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일단부(21a)는 상기 흙토출공(12)에 대향되는 상기 버킷(10)의 타측벽(10b)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21b)는 상기 회전축지지대(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이송스크루(24)가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일주하며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버킷(10)의 타측벽(10b)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21a)에는 회전축기어(232a)가 구비되어 구동축기어(232b)와 체인벨트(232c)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이 회전되게 된다.

    상기 회전축지지대(22)는 상기 회전축(21)의 타단부(21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고정브래킷(221)과, 회전축지지봉(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221)은 상기 회전축지지봉(222)을 상기 버킷(10)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버킷(10)의 일측벽(10a) 상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지지봉(222)은 일단부(222a)는 상기 고정브래킷(221)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222a)에서 상기 흙토출공(12)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222b)가 상기 회전축(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타단부(222b)가 상기 회전축(21)의 타단부(21b)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21)의 타단부(21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지지대(22)의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지지봉(222)을 채택한 것은 상기 흙토출공(12)으로 배출되는 흙(E)에 최대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지지대(22)를 구성하기 위함이고, 상기 회전축지지봉(222)은 상기 회전축(21)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상기 흙토출공(12)으로 배출되는 흙(E)에 최대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철재의 가는 봉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21a)는 상기 구동수단(23)이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버킷(10)의 일측벽(10a)에 비교적 확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21a)에 비해 자유단이라고 볼 수 있는 상기 회전축(21)의 타단부(21b)는 보조적으로 상기 회전축지지봉(222)의 타단부(222b)에 회전가능하게만 지지되게 구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23)은 상기 회전축(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유압모터(231)와, 회전력전달수단(232)과, 부하감지센서(233)와, 유압모터제어수단(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모터(231)는 구동축(231a)이 상기 버킷(10)의 타측벽(10b)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21a)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버킷(10)의 후방에 고정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구동축(231a)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압모터(231)의 구동축(231a)에는 구동축기어(232b)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23)의 일구성으로 상기 유압모터(231)를 채택한 것은 상기 버킷(10)이 굴삭기, 트랙터 또는 중장비 등의 작동부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인데 굴삭기 등의 작동부는 보통 유압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작동부에 사용되는 유압을 그대로 활용하여 상기 구동수단(23)을 작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력전달수단(232)은 상기 구동축(231a)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21a)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21a)에 구비되는 회전축기어(232a)와, 상기 구동축(231a)에 구비되는 구동축기어(232b)와, 상기 회전축기어(232a)와 상기 구동축기어(232b)를 연결하는 체인벨트(232c)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력전달수단(232)은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21a) 밍 상기 구동축(231a)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축기어(232a)와 상기 구동축기어(232b)가 직접 상호 맞물려 회전되도록 하거나, 상기 회전축기어(232a)와 상기 구동축기어(232b)에 감속기어열(미도시)을 연결하여 회전속도 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부하감지센서(233)는 상기 유압모터(231)에 걸리는 부하는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송스크루(24)에 이물질 등이 껴서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를 감지하는 구성인 것이다.

    상기 유압모터제어수단(234)는 상기 유압모터(231)가 부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부하감지센서(233)에서 감지된 부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유압모터(231)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스크루(24)는 상기 회전축(21)이 상기 구동수단(23)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21)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버킷(10)의 수용공간(11)에 담긴 흙(E)을 상기 흙토출공(1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일주하며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스크루(24)는 스크루컨베이어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스크루(24)는 상기 버킷(10)의 수용공간(11)에 담긴 흙(E)을 상기 흙토출공(12)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흙토출공(12)을 통해 흙(E)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나무 식재용 버킷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 나무
    E 흙
    P 포트
    10 버킷
    10a 일측벽
    10b 타측벽
    11 수용공간
    12 흙토출공
    13 배출유도구
    20 흙배출수단
    21 회전축
    22 회전축지지대
    221 고정브래킷
    222 회전축지지봉
    23 구동수단
    231 유압모터
    232 회전력전달수단
    233 부하감지센서
    234 유압모터제어수단
    24 이송스크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