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

申请号 KR2020140000699 申请日 2014-01-29 公开(公告)号 KR2020150003035U 公开(公告)日 2015-08-06
申请人 박종병; 发明人 박종병;
摘要 본고안은트랙터의 PTO조인트와연결되어 PTO조인트의회전력을회전로터로전달하기위한연결링크에서회전로터와접하는타 측단부에는어져스트조인트를설치하고, PTO조인트와접하는일 측단부에역회전조인트를설치함으로써, 연결링크의타 측단부에설치되는어져스트조인트를통해회전로터좌·우각도를조절할수 있도록함은물론, 연결링크의일 측단부에설치되는역회전조인트를통해 PTO조인트의작동이멈췄을때 연결링크가역회전되도록함으로써역회전이되지않음에따라발생되는연결링크가휘고뒤틀리거나, 회전로터내부의기어박스내의기어가파손되는현상을방지할수 있도록하는집초기회전로터의동력전달링크에관한것이다. 상기목적을달성하기위한본 고안은일 측이트랙터의 PTO조인트(2)와커플링을통해연결되어 PTO조인트(2)의회전력이출력되는입력축(20)과; 일측이상기입력축(20)의타 측과연결되어입력축(20)에서전달되는회전력을회전로터(50)로전달하기위한연결링크(30)와; 일측이상기연결링크(30)의타 측과연결되어연결링크(30)로부터전달되는회전력을회전로터(50)로전달하는출력축(40)으로이루어지는집초기에있어서, 상기입력축(20)은프레임(10)의하단에설치되는 'ㄷ'자형상의조인트브라켓(11)의통공(12)에관통되게설치되고, 상기연결링크(30)는일 측단부가상기입력축(20)의타 측과역회전조인트(31)로연결되고, 타측 단부가출력축(40)과어져스트조인트(32)로연결되어 PTO조인트(2)로부터의회전력을출력축(40)을통해회전로터(50)로전달되도록구성된다.
权利要求
  • 일 측이 트랙터의 PTO조인트(2)와 커플링을 통해 연결되어 PTO조인트(2)의 회전력이 출력되는 입력축(20)과; 일 측이 상기 입력축(20)의 타 측과 연결되어 입력축(2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로터(50)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30)와; 일 측이 상기 연결링크(30)의 타 측과 연결되어 연결링크(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로터(50)로 전달하는 출력축(40)으로 이루어지는 집초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20)은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조인트브라켓(11)의 통공(12)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30)는 타 측 단부가 출력축(40)과 어져스트 조인트(32)로 연결되어 PTO조인트(2)로부터의 회전력을 출력축(40)을 통해 회전로터(5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일 측 단부가 상기 입력축(20)의 타 측과 역회전조인트(31)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PTO조인트(2)의 작동이 멈췄을 때 연결링크(30)가 역회전되도록 하여 연결링크(30)가 휘고 뒤틀리거나, 회전로터(50) 내부의 기어박스 내의 기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
  • 说明书全文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Power transfer link for haymaker rotating rotor}

    본 고안은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PTO조인트와 연결되어 PTO조인트의 회전력을 회전로터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에서 회전로터와 접하는 타 측단부에는 어져스트 조인트를 설치하고, PTO조인트와 접하는 일 측단부에 역회전 조인트를 설치함으로써, 연결링크의 타 측단부에 설치되는 어져스트 조인트를 통해 회전로터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링크의 일 측단부에 설치되는 역회전조인트를 통해 PTO조인트의 작동이 멈췄을 때 연결링크가 역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역회전이 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되는 연결링크가 휘고 뒤틀리거나, 회전로터 내부의 기어박스 내의 기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초기(集草機, haymaker)라 함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풀을 베어서 수분이 없어지도록 건조시킨 후 다시 이를 모아서 일정한 크기로 랩핑 또는 밴딩할 때 제초된 것을 랩핑 또는 밴딩할 수 있도록 모아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집초기를 이용하여 집초작업을 위해서는 트랙터의 PTO조인트와 연결되는 연결링크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집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집초기에 의하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O조인트(2)로부터 회전로터(50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300a)가 단순한 봉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PTO조인트(2)와 회전로터(500)의 회전축의 연결 각도가 일정 범위를 넘어설 경우, 회전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부품이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봉 형상으로 되는 하나의 연결링크(300a)를 이용하여 PTO조인트(2)와 회전로터(500)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경우, 어느 일 측의 회전로터(500)에 치우치도록 PTO조인트(2)가 위치되고 연결각을 조절할 수 없음에 따라 트랙터와 집초기가 연결된 상태로 이동 시 일 측의 회전로터(500)가 측방으로 지나치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TO조인트(2)로부터 회전로터(50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300b)의 양측에 어져스트 조인트(301)를 설치하여 PTO조인트(2)와 회전로터(500)의 연결 시 무게 중심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집초기가 특허 제1295661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집초기의 조인트 설치방식에 의하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링크(300b)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어져스트 조인트(301)를 통해 연결각을 조절할 수 있어 회전로터(500)의 좌·우 범위는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회전력을 제공하는 PTO조인트(2)의 작동이 멈췄을 때, 회전로터(500) 내부의 기어구조가 틀어지거나, 기어박스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즉, 회전력을 제공하는 PTO조인트(2)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일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링크(300b)에는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역회전하려는 힘이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기존의 조인트 방식의 연결링크에 의하면, 역회전이 되지 않는 구조임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역회전하려는 힘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링크(300b)가 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고, 심한 경우 연결링크(300b)와 연결 설치되는 회전로터(500) 내부의 기어 구조가 망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집초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집초기에 의하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 후부의 링크에 체결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10) 및 그 수평프레임(110)에 끼워지게 설치되며 수평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0)에 의해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슬라이드프레임(120)으로 이루어져,

    작업 및 이동에 따라 유압실린더(130)를 작동하여 슬라이드프레임(120)이 수평프레임(110)에서 좌·우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함으로써 좌·우방향의 폭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유압실린더(130)와 슬라이드프레임(120)을 설치하여야 하는 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트랙터의 PTO조인트와 연결되어 PTO조인트의 회전력을 회전로터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에서 회전로터와 접하는 타 측단부에는 어져스트 조인트를 설치하고, PTO조인트와 접하는 일 측단부에 역회전조인트를 설치함으로써, 연결링크의 타 측단부에 설치되는 어져스트 조인트를 통해 회전로터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링크의 일 측단부에 설치되는 역회전조인트를 통해 PTO조인트의 작동이 멈췄을 때 연결링크가 역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역회전이 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되는 연결링크가 휘고 뒤틀리거나, 회전로터 내부의 기어박스 내의 기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는,

    일 측이 트랙터의 PTO조인트와 커플링을 통해 연결되어 PTO조인트의 회전력이 출력되는 입력축과;

    일 측이 상기 입력축의 타 측과 연결되어 입력축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로터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와;

    일 측이 상기 연결링크의 타 측과 연결되어 연결링크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로터로 전달하는 출력축으로 이루어지는 집초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은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ㄷ'자형상의 브라켓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는 일 측단부가 상기 입력축의 타 측과 역회전조인트로 연결되고, 타 측단부가 출력축과 어져스트 조인트로 연결되어 PTO조인트로부터의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에 의하면,

    첫째, 트랙터의 PTO조인트와 연결되어 PTO조인트의 회전력을 회전로터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에서 회전로터와 접하는 타 측단부에는 어져스트 조인트를 설치함으로써, 연결링크의 타 측단부에 설치되는 어져스트 조인트를 통해 연결각을 조절할 수 있어 회전로터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트랙터의 PTO조인트와 연결되어 PTO조인트의 회전력을 회전로터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에서 PTO조인트와 접하는 일 측단부에 역회전조인트를 설치함으로써, 연결링크의 일 측단부에 설치되는 역회전조인트를 통해 PTO조인트의 작동이 멈췄을 때 연결링크가 역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역회전이 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되는 연결링크가 휘고 뒤틀리거나, 회전로터 내부의 기어박스 내의 기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집초기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종래 집초기를 보인 사시도.
    도 1c는 종래 집초기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초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초기의 동력전달링크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초기 회전로터의 동력전달링크를 보인 것으로, 먼저 집초기에서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게 프레임(10)을 구비한다.

    이때 프레임(10)에서 회전로터(50)가 설치되는 측의 하단에는 'ㄷ'자 형상의 조인트브라켓(11)을 설치하되, 중앙부에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 일 측이 트랙터의 PTO조인트(2)와 커플링을 통해 연결되어 PTO조인트(2)의 회전력이 출력되는 입력축(20)을 상기 프레임(10) 하단의 조인트브라켓(11)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12)에 끼움 결합한다.

    이어 상기 입력축(20)의 타 측에는 입력축(2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로터(50)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30)를 연결 설치하고, 연결링크(30)의 타 측에는 연결링크(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로터(50)로 전달하는 출력축(40)을 연결 설치한다.

    이때 입력축(20)과 출력축(40) 사이에 설치되어 PTO조인트(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30)의 연결은 연결링크(30)의 일 측 단부가 상기 입력축(20)의 타 측과 역회전조인트(31)로 연결되도록 하고, 타 측 단부가 출력축(40)과 어져스트 조인트(32)로 연결되어 PTO조인트(2)로부터의 회전력을 출력축(40)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링크(30)의 일 측 단부에 연결설치되는 역회전조인트(31)는 전달받은 동력을 통해 정회전이 되도록 하다가, 동력전달이 끊어지더라도 역회전이 되도록 하여 연결되는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집초기의 동력전달링크에 의하면,

    트랙터의 PTO조인트(2)와 연결되어 PTO조인트(2)의 회전력을 회전로터(50)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30)에서 회전로터(50)와 접하는 타 측 단부에는 어져스트 조인트(32)가 설치되고, PTO조인트(2)와 접하는 일 측 단부에는 역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역회전조인트(31)가 설치됨에 따라 연결링크(30)에서 회전로터(50)와 접하는 타 측 단부에 설치되는 어져스트 조인트(32)를 통해 회전로터(30)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링크(30)에서 PTO조인트(2)와 접하는 일 측 단부에 설치되는 역회전조인트(31)를 통해 PTO조인트(2)의 작동이 멈췄을 때 연결링크(30)가 역회전 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링크(30)의 타 측 단부와 출력축(40)을 통해 연결설치되는 회전로터(30)의 기어박스 내의 기어가 역회전 되게 되어 연결링크(30)가 역회전이 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되는 연결링크(30)가 휘고 뒤틀리거나, 회전로터(50) 내부의 기어박스 내의 기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인트브라켓(11)을 통해 연결링크(30)와 연결 설치되는 입력축(2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PTO조인트(2)의 작동이 멈췄을 때 발생되는 충격을 분산되도록 하여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1 ; 집초기 2 ; PTO조인트
    10 ; 프레임 11 ; 조인트브라켓
    12 ; 통공 20 ; 입력축
    30 ; 연결링크 31 ; 역회전 조인트
    32 ; 어져스트 조인트 40 ; 출력축
    50 ; 회전로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