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경작 시스템

申请号 KR1019990015408 申请日 1999-04-29 公开(公告)号 KR1020000067523A 公开(公告)日 2000-11-25
申请人 김학철; 发明人 김학철;
摘要 PURPOSE: An automatic cultivating system is provided to conveniently cultivate, and to improve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CONSTITUTION: An automatic cultivating system installed in a circular cultivated land for managing cultivation includes a pylon(10)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ultivated land as a center of rotation and having a grain collecting path; a plurality of arms(20) rotating centering on the pylon by being connected with the pylon through a rotator, connected to have the equal length with the radius of the circular cultivated land, and having a grain collecting line for collecting grain; a plurality of driving part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rms by a driving part supporting die for rotatably moving; frames(50) mounted on the plurality of arms for mounting cultivating equipments(52) necessary for cultivation, connected with a grain gathering part having changeable length to gather the grain, and up and down moving parts(51) upwardly and downwardly moving the frame; a tank(30) installed in the pylon for supplying water etc. necessary for cultivation; and a hydraulic pump generating oil pressure to drive the driving parts and the cultivating equipments.
权利要求
  • 원형 경작지에 설치되어 경작 관리를 하기 위한 경작 시스템에 있어서,
    원형 경작지의 중심에 설치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곡물 회수 통로(12)가 형성된 주탑(10)과;
    상기한 주탑(10)을 회전축으로 로테이터(15)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원형 경작지의 반지름과 같은 길이를 갖도록 다수 연결되며, 그 내부에 곡물을 회수하기 위한 곡물 회수 라인(70)이 형성된 암(20)과;
    상기 다수의 암(20)에 구동부 지지대(40)에 의하여 설치되어 회전 이동시켜 주는 다수의 구동부(41)와;
    상기 다수의 암(20)에 장착되어 경작 활동에 필요한 경작 장비(52, 53, 54)를 장착시켜 주는 것으로, 곡물 회수를 위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한 곡물 수집통(83)으로 연결된 프레임(50) 및 이 프레임(50)을 상하 이동시켜 주는 상하 이동부(51)와;
    상기 주탑(10)에 설치되어 경작에 필요한 물 등을 공급해 주는 탱크(30)와;
    상기 구동부(41) 및 경작 장비 등을 구동시켜 주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켜 주는 유압 펌프(도면에 미도시 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20)은 원형 경작지의 반경 크기에 따라서 다수개가 서로 후랙시블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20)에는 상기 탱크(30)에서 수중 펌프(34)에 의하여 공급되는 액체(물, 농약 등)를 살수시켜 주기 위한 살수기(60)가 다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0)에는 원수를 공급해 주는 원수 공급 파이프(32)가 연결되며, 탱크(30) 내의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수중 펌프(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1)는 유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타이어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1)는 유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무한 궤도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20)에는 원형 경작지의 땅을 갈아서 분쇄하기 위한 로터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20)에는 곡물을 추수하기 위하여 식물을 잘라서 탈곡시켜 주는 커터 탈곡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추수된 곡물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20)과 주탑(10), 프레임(50) 등에는 곡물 이송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곡물 이송 통로를 이용하여 곡물을 이송시켜 주기 위한 진공을 발생시켜 주는 진공 이젝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
  • 说明书全文

    자동 경작 시스템{Auto Agriculture System}

    본 발명은 자동 경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의 경작지에 설치되어 경작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경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작을 위해서는 땅을 파서 평평하게 고른 다음에, 비료를 살포하고, 파종을 하여, 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를 하면서 육성하여, 베어낸 후에 탈곡하는 과정을 통하여 곡물을 추수한다.

    이를 위해서는 땅을 파서 뒤집어 주는 쟁기, 흙을 고르게 해 주는 로터리, 비료를 살포해 주는 비료 살포기, 농약을 살포해 주는 농약 살포기, 식물을 잘라 베어내는 커터, 열매를 탈곡시켜 주는 탈곡기 등과 같은 장비가 필요하며, 종래에는 이러한 장비들을 경운기(한국 고유의 농업용 기계)나 트랙터 등에 작업에 필요한 장비를 장착하여 운용을 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경작 과정에서 작업에 따른 별도의 기계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과, 기계를 경작지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으로 된 경작지에서 경작에 필요한 장비를 탑재하여 회전하면서 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자동 경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형 경작지에 설치되어 경작 관리를 하기 위한 경작 시스템에 있어서, 원형 경작지의 중심에 설치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곡물 회수 통로가 형성된 주탑과; 상기 주탑을 회전축으로 로테이터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원형 경작지의 반지름과 같은 길이를 갖도록 다수 연결되며, 그 내부에 곡물을 회수하기 위한 곡물 회수 라인이 형성된 암과; 상기 다수의 암에 설치되어 회전 이동시켜 주는 다수의 구동부와; 상기 다수의 암에 장착되어 경작 활동에 필요한 경작 장비를 장착시켜 주는 것으로, 곡물 회수를 위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연결된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켜 주는 상하 이동부와; 상기 주탑에 설치되어 경작에 필요한 물 등을 공급해 주는 탱크와; 상기 구동부 및 경작 장비 등을 구동시켜 주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켜 주는 유압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경작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작 장비 중에서 파종기 및 커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작 장비 중에서 로터리, 커터, 파종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경작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경작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작 장비 중에서 파종기 및 커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작 장비 중에서 로터리, 커터, 파종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경작 시스템의 구성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경작지의 중심에 설치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곡물 회수 통로(12)가 형성된 주탑(10)과; 상기 주탑(10)을 회전축으로 로테이터(15)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원형 경작지의 반지름과 같은 길이를 갖도록 다수 연결되며, 그 내부에 곡물을 회수하기 위한 곡물 회수 라인(70)이 형성된 암(20)과; 상기 다수의 암(20)에 구동부 지지대(40)에 의하여 설치되어 회전 이동시켜 주는 다수의 구동부(41)와; 상기 다수의 암(20)에 장착되어 경작 활동에 필요한 경작 장비(52, 53, 54)를 장착시켜 주는 것으로, 곡물 회수를 위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한 곡물 수집통(83)으로 연결된 프레임(50) 및 이 프레임(50)을 상하 이동시켜 주는 상하 이동부(51)와; 상기 주탑(10)에 설치되어 경작에 필요한 물 등을 공급해 주는 탱크(30)와; 상기 구동부(41) 및 경작 장비 등을 구동시켜 주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켜 주는 유압 펌프(도면에 미도시 함)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주탑(10)은 원형 경작지의 중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주탑(10)에는 탱크(30)가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이 주탑(10)에는 교반기(31)가 같이 설치되어 탱크(30) 내의 액체를 혼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탱크(30)에는 원수를 공급해 주는 원수 공급 파이프(32)가 연결되며, 수확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파이프라인(33)이 주탑(10)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탱크(30)의 상부에는 약품을 투입하기 위한 약품 공급조(35)가 설치되며, 탱크(30) 내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수중 펌프(34)가 탱크(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암(20)은 상기 주탑(10)에 로테이터(15)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수확된 곡물을 회수하기 위한 곡물 회수 라인(70)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부(41) 등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 라인과, 탱크(30)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이송시켜 주는 액체 이송관(도면에 미 도시함), 곡물 회수를 위하여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압축 공기 공급 라인(80)이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암(20)에는 상기 탱크(30)에서 수중 펌프(34)에 의하여 공급되는 액체(물, 농약 등)를 살수시켜 주기 위한 살수기(60)가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암(2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난간(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암(20)은 다수의 암(20)이 연결부(2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경작지 반경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의 암이 후렉시블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 때 그 내부에 설치된 각종 라인도 확실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프레임(50)은 경작 장비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부(51)에 의하여 암(20)에 지지 연결되어 상하 이동한다.

    그리고, 이 프레임(50)에 장착되는 경작 장비에는 땅을 갈아 분쇄시켜 주는 로터리(53), 곡물을 잘라내어 탈곡시켜 주는 커터 탈곡기(52), 종자를 파종시켜 주는 파종기(54) 등이 장착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장비들도 장착할 수 있다.

    구동부(41)는 상기 암(20)을 주탑(10)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켜 주는 것으로, 암(20)의 하부에 구동부 지지대(4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일반 타이어 방식의 구동 방식이 있으며, 도 6과 같이 무한 궤도 방식이 있다.

    그리고, 이 구동부(41)는 암(20)의 반경에 따른 이동 속도가 다르므로, 구동부(41)의 회전 속도도 구동부(41)가 설치된 위치의 반경에 따라 그 이동 속도가 제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경작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로터리(53)를 이용하여 경작지의 땅을 갈아서 분쇄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는 프레임(50)에 장착된 로터리(53)를 지면을 향하게 한 후에 상하 이동부(51)를 이용하여 로터리(53)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한 후에 로터리(53)를 작동시키면서 구동부(41)를 구동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땅을 갈아서 분쇄시킨다.

    그리고, 파종 작업을 할 때에는 프레임(50)에 장착된 파종기(54)가 지면을 향하도록 한 후에, 종자 배출구(9)를 통해 곡물 회수 라인(70)으로 공급되는 종자를 곡물 수집통(83)을 통하여 파종기(54)에 종자가 공급되도록 하여 파종 작업을 수행한다.

    곡물을 추수하기 위한 절단 및 탈곡 작업은 커터 탈곡기(52)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에 탈곡시켜서 곡물 수집통(83)으로 상승시켜서 곡물 회수 라인(70)을 거쳐 주탑(10)의 회수통(12)과 배출 파이프라인(33)을 이용하여 곡물을 수집한다.

    이 때, 곡물 이동을 위한 힘은 압축 공기 공급 라인(80)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암(20)의 내부에 설치된 곡물 회수 라인(70)의 일단에 형성된 진공 이젝터(81)를 이용하여 곡물 회수 라인(80)의 내부 압력을 진공으로 하여 커터 탈곡기(52)에 의하여 탈곡된 곡물이 곡물 수집통(83)을 통하여 상승하도록 하고 다시 곡물 회수 라인(70)을 통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물 또는 농약을 살수하기 위해서는 탱크(30)에 물을 원수 공급 파이프(32)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에 농약 공급조(35)에 있는 농약을 적당량 혼합하여 교반기(31)를 이용하여 교반시킨 후에, 수중 펌프(34)를 이용하여 살수기(60)를 통하여 살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분체 농약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체가 이동할 수 있는 라인을 통하여 압축 공기에 의하여 분체를 이동시켜 살포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경작 시스템은, 원형으로 된 경작지에서 경작에 필요한 장비를 탑재하여 회전하면서 경작 활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