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말이송장치용 집진기{A powder transfer unit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밀가루와 같은 분말을 이송할 시에 사용되는 분말이송장치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만 배출하고 분말의 방출을 막는 필터부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이송장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밀가루와 같은 분말을 이송하는 것으로 이송되는 목적지에는 집진기가 장착되어 있어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분말은 집진기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집진기의 내부에는 필터부가 있어 공기는 외부로 방출하고 분말은 필터부에 안착되고 상기 필터부에 분말이 일정분량이 쌓이면 상측에 있는 공기분사기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를 장시간 사용할 시에는 손상이 되거나 세탁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종래에는 상측에 있는 덮개부를 개방한 후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필터부를 해제한 후 상측으로 탈거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필터부를 상측으로 탈거할 시에는 상측에 공간확보를 해야 하며 볼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어 사용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필터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시에 매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집진기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구를 통하여 필터부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를 볼트조립을 하지 않고 공구없이도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집진기의 내부에 있는 필터부와 상측에 있는 지지대간을 볼트조립이 아닌 조립식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를 탈거하거나 부착할 시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필터부의 움직임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집진기의 내부에 있는 필터부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시에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이용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공구를 사용할 시의 불편함을 제거하고 작업중에 이물질이 집진기의 내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집진기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구를 통하여 필터부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공간확보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필터부의 조립도. 도3은 본 발명의 필터부의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필터부의 고정공을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집진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부의 위치도. 도6은 본 발명의 필터부의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집진기(1)의 내부에 공기이송부(2)와 필터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 출입구(4)가 형성되어 있는 공지의 분말이송장치용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기(1)의 상측에 개구부(6)를 갖는 지지대(7)를 형성하고 이에 필터부(3)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7)의 개구부에 거치대(8)를 고정하되: 상기 거치대(8)는 가장자리부에 단턱(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9)에 오링(10)을 장착을 장착하고 그 하부에 나사공(11)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고정부(12)를 연차적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고정부(12)의 나사공(11)에 볼트(13)를 장착하되: 볼트(13)의 머리부(14)와 나사고정부(12)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유지되도록 한다. 필터부(3)의 상측에 패킹(15)을 장착하고 필터부(3)의 상면에 두 개의 고정공(16)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공(16)은 일측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넓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넓은 곳으로 상기 볼트(13)의 머리부(14)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3)를 회전을 하며 좁은 부분이 볼트(13)의 머리부(14)에 걸리면서 상기 필터부(3)가 하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을 3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진기(1)의 전체적인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나사고정부(12)와 거치대(8)의 사이에 지지대(7)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고정부(12)와 거치대(8)를 볼트(13)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필터부(3)의 상면에 패킹(15)을 장착하여 필터부(3)와 나사고정부(12)간의 틈새를 제거하여 분말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필터부(3)의 상면에 두개의 고정공(16)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공(16)은 일측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넓은 곳으로 상기 볼트(13)의 머리부(14)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3)를 회전을 하며 좁은 부분이 볼트(13)의 머리부(14)에 걸리면서 상기 필터부(3)가 하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필터부(3)를 공구없이도 간단히 탈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6:개구부 7:지지대 8:거치대 9:단턱 10:오링 11:나사공 12:나사고정부 13:볼트 14:머리부 15:패킹 16:고정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