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申请号 KR1020167034142 申请日 2016-09-01 公开(公告)号 KR101756052B1 公开(公告)日 2017-07-11
申请人 김진태; 发明人 김진태; 김승연; 김송이;
摘要 손잡이를꽉 쥐더라도손쉽게안전핀을뽑을수 있고, 손잡이를쥐는행동만으로분사호스가자동으로화점을향하도록하여단순화된작동방법을제공하고, 나아가평상시에안전핀이뽑히면멀리서도쉽게식별할수 있는자동소화기가제공된다. 이자동소화기는, 소화재가충전된본체용기(55); 본체용기(55)의상부에위치한플러그(4)에결합된하부손잡이(2); 플러그(4)에연결된분사호스(5); 및제1 힌지축(19)을통하여하부손잡이(2)와결합된상부손잡이(1)를포함한다. 여기서, 하부손잡이와상부손잡이사이에위치하는손잡이지지장치는, 상부손잡이를지지하는상부지지대; 하부손잡이를지지하고상부지지대와접촉면을통하여면접촉하는하부지지대; 접촉면의일단에위치하여상부지지대와하부지지대를결합하는결합부; 및상부지지대를움직여상부지지대및 하부지지대의면접촉을해제하는안전핀을포함한다.
权利要求
  • 소화재가 충전된 본체용기(55); 상기 본체용기(55)의 상부에 위치한 플러그(4)에 결합된 하부손잡이(2); 및 제1 힌지축(19)을 통하여 상기 하부손잡이(2)와 결합된 상부손잡이(1)를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손잡이와 상기 상부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손잡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하부손잡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지지대와 접촉면을 통하여 면접촉하는 하부지지대; 상기 접촉면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상부지지대를 움직여 상기 상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면접촉을 해제하는 안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지지장치 사이, 또는 상기 하부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지지장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상부지지대의 측면(이를 '상부수직면'이라 한다)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측면(이를 '하부수직면'이라 한다)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안전핀은 상기 상부수직면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다른 측면(이를 '상부경사면'이라 한다)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안전핀을 잡아당기면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면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직면과 상기 하부수직면은 각각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제2 힌지축을 통하여 상기 하부손잡이 또는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동소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손잡이는 상기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그립영역과 반대되는 위치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가 면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장치 사이의 접촉단부는 정면도상에서 직선형태를 이루는 자동소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부의 양단은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축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장치를 수평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회동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소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인접한 상기 상부수직면 또는 상기 하부수직면 상에 형성된 분리용 돌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소화기.
  • 삭제
  • 소화재가 충전된 본체용기(55); 상기 본체용기(55)의 상부에 위치한 플러그(4)에 결합된 하부손잡이(2); 및 제1 힌지축(19)을 통하여 상기 하부손잡이(2)와 결합된 상부손잡이(1)를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손잡이와 상기 상부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손잡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하부손잡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지지대와 접촉면을 통하여 면접촉하는 하부지지대; 상기 접촉면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상부지지대를 움직여 상기 상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면접촉을 해제하는 안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지지장치 사이, 또는 상기 하부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지지장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상부지지대의 측면(이를 '상부수직면'이라 한다)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측면(이를 '하부수직면'이라 한다)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상부수직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상부지지대 스커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손잡이에 안착된 슬라이더는 상기 상부지지대 스커트를 움직이는 스커트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핀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안전핀을 잡아당기면 상기 스커트 걸림부가 상기 상부지지대 스커트를 움직이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면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손잡이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손잡이의 일단은 상기 하부손잡이의 그립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손잡이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손잡이에 형성된 스토퍼홀로 삽입되는 돌출형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하부의 측벽에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안전손잡이의 타단은 상기 하부손잡이와 접촉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함몰부를 통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기.
  • 说明书全文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Automatic fire extinguisher provid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은 자동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시에 당황한 사용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널리 알려지고 배급된 소화기의 경우 안전핀으로 인한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첫째, 실재 화재 발생시에 안전핀을 뽑기가 쉽지 않다.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 소화기를 이용한 초기 진화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화재를 발견한 사람은 대부분 당황한 상태인데다가 소화기를 직접 사용한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들의 행동패턴을 살펴보면 소화기를 손으로 든 채 안전핀을 뽑으려 한다. 종래 소화기의 특성 상, 소화기의 손잡이를 쥐고 있으면, 특히 당황한 사람이 무의식 중에 강한 악력으로 잡게 되면 안전핀이 잘 빠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화재의 초기 진화를 위한 골든 타임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종래 소화기의 경우 대부분 분사호스가 본체용기에 붙어있는 수납 후크에 고정되어 있는데 화재 시에 당황한 사용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종래 소화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1) 안전핀을 제거하고, 2) 수납 후크에 고정된 분사호스를 분리하여 화점에 조준하고, 3)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를 힘껏 쥐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화재가 발생하면 이러한 순서를 제대로 기억하기도 힘들며, 수납 후크에 고정된 분사호스를 빼내는 것도 더듬거리게 된다.

    셋째, 평상 시에는 오히려 소화기 안전핀이 너무 잘 빠져서 오발사고의 위험이 있다. 나아가, 종래 소화기의 경우 안전핀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안전핀이 빠져있더라도 잘 표시가 나지 않아서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잡이를 꽉 쥐더라도 손쉽게 안전핀을 뽑을 수 있고, 분사호스가 자동으로 화점을 향하도록 하여 단순화된 작동방법을 제공하며, 나아가 평상 시에 안전핀이 뽑히면 멀리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자동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는, 소화재가 충전된 본체용기(55); 상기 본체용기(55)의 상부에 위치한 플러그(4)에 결합된 하부손잡이(2); 및 제1 힌지축(19)을 통하여 상기 하부손잡이(2)와 결합된 상부손잡이(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손잡이와 상기 상부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손잡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하부손잡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지지대와 접촉면을 통하여 면접촉하는 하부지지대; 상기 접촉면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상부지지대를 움직여 상기 상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면접촉을 해제하는 안전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지지장치 사이, 또는 상기 하부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지지장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상부지지대의 측면(이를 '상부수직면'이라 한다)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측면(이를 '하부수직면'이라 한다)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수직면과 상기 하부수직면은 각각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축을 통하여 상기 하부손잡이 또는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고, 상기 분사호스를 적어도 일부 감싸는 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손잡이는 상기 제1 힌지축을 기준으로 그립영역과 반대되는 위치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가 면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장치 사이의 접촉단부는 정면도상에서 직선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접촉단부의 양단은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장치를 수평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회동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 인접한 상기 상부수직면 또는 상기 하부수직면 상에 형성된 분리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핀은 상기 상부수직면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다른 측면(이를 '상부경사면'이라 한다)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안전핀을 잡아당기면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면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상부수직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상부지지대 스커트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손잡이에 안착된 슬라이더는 상기 상부지지대 스커트를 움직이는 스커트 걸림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안전핀을 잡아당기면 상기 스커트 걸림부가 상기 상부지지대 스커트를 움직이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면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하부손잡이의 하부에 배치된 안전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손잡이의 일단은 상기 하부손잡이의 그립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손잡이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손잡이에 형성된 스토퍼홀로 삽입되는 돌출형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하부의 측벽에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안전손잡이의 타단은 상기 하부손잡이와 접촉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함몰부를 통하여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를 수평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수평운동을 방해하는 유통용 안전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첫째,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당황한 상태에서 안전핀을 뽑지 않고 소화기 손잡이를 꽉 쥐고 있더라도 매우 작은 힘으로 손쉽게 안전핀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양 손잡이를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장치는 사용자가 양 손잡이를 누르는 강한 악력에 대해서는 전혀 반응하지 않으나 양 손잡이를 꽉 쥐고 있더라도 작은 힘으로 안전핀을 당기면 쉽게 안전장치가 해제된다.

    둘째, 안전장치가 해제되는 즉시 자동으로 분사호스가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움직이기 때문에, 종래 수납 후크에 고정된 분사호스를 빼기 위해 더듬거리는 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평상 시에 실수로 인하여 안전장치가 해제되어 있더라도, 분사호스가 자동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멀리서도 소화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넷째, 소화기 손잡이에 안전손잡이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를 꽉 쥐지 않는 이상 안전핀이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평상 시 소화기에서 안전핀이 원치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소화기를 분사하기 위해 양 손잡이를 꽉 쥐게 되면 양 손잡이를 지지하던 손잡이 지지장치의 결합부가 떨어지게 되므로 소화기를 1회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무허가 업자들이 불법으로 소화기를 충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소화기의 부분 절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손잡이지지장치의 정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자동소화기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자동소화기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의 자동소화기를 최초 상태로 복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자동소화기의 변형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자동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안전핀과 슬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하부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3의 자동소화기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도 15의 변형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 및 안전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 지지장치는 상하부 손잡이(또는 레버)를 구비한 다양한 소화기, 예를 들어, 분말 소화기, 할론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분말 소화기는 단지 예시적으로 사용된 것이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손잡이 지지장치가 분사호스가 없는 소화기에 적용될 경우, 본 발명에는 가이드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형태를 간단히 하여 상부손잡이와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핀은 손잡이 지지장치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도구로서 단단한 물질뿐만 아니라 유연한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안전핀의 끝단에 손잡이를 두어 사용자가 직접 안전핀을 당기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 지지장치에 힘을 가하여 그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는 임의의 안전핀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핀에 손잡이가 없더라도 사용자가 손잡이 지지장치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손잡이 지지장치에 직접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다른 형태의 안전핀을 이용하여 손잡이 지지장치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와 줄로 구성된 안전핀을 손잡이 지지장치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소화기를 위로 들 때 무게추가 소화기 아래로 내려가는 힘을 이용하여 손잡이 지지장치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소화기의 부분 절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손잡이지지장치의 정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자동소화기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소화기(A)는 소화재가 충전된 본체용기(55)와, 본체용기(55)의 상부에 위치한 플러그(4)에 결합된 하부손잡이(2)와, 플러그(4)에 연결된 분사호스(5)와, 제1 힌지축(19)을 통하여 하부손잡이(2)와 결합된 상부손잡이(1)와, 하부손잡이(2)와 상부손잡이(1)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 지지장치(3)와, 분사호스(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가이드장치(6)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용기(55)의 상부에는 플러그(4)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플러그(4) 내부에는 밸브스템(valve stem)(49)이 배치되고, 밸브스템(49)의 하단에는 밸브고무(50)가 설치된다. 밸브고무(50) 아래에 위치한 밸브스프링(54)이 밸브고무(50) 및 밸브스템(49)에 대하여 위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밸브고무(50)와 플러그(4) 간에 기밀을 유지한다. 만일 화재 발생시에 상부손잡이(1)가 밸브스템(49)을 아래로 누르게 되면, 밸브고무(50)와 플러그(4) 사이에 생긴 틈을 통하여 충전된 소화재가 분사호스(5)를 통하여 분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손잡이(2)는 전체적으로 긴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들로 구성된다. 하부손잡이(2)는 손잡이 지지장치(3)의 하부지지대(11)의 하단을 고정하는 지지대 걸림부(14)를 구비한다. 하부손잡이(2)의 플레이트는 그립영역에서 사용자의 그립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지대 걸림부(14)가 형성된 위치(도 2의 도면부호 30)에서 아래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손잡이(2)의 측벽에는 제1 힌지축(19)이 삽입되는 제1 홀(19b)과 제2 힌지축(21)이 삽입되는 제2 홀(21a)이 형성된다. 특히, 제1 힌지축(19)은 하부손잡이(2)의 제1 홀(19b), 상부손잡이(1)의 홀(19c), 및 플러그(4)의 홀(19a)을 함께 관통하여 결합함으로써, 하부손잡이(2) 및 상부손잡이(1)를 플러그(4)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손잡이(2)의 측벽들을 연결하는 서브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홈부(32)는 상부손잡이(1)의 삽입부(31)에 대응하여 결합하는데, 상부손잡이(1)의 위방향 움직임을 제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손잡이(2)의 제2 홀(21a)을 중심으로 배치된 회동스프링(39)은 가이드장치(6)를 수평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손잡이(1)는 전체적으로 전체적으로 긴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에 형성된 측벽들로 구성된다. 상부손잡이(1)는 손잡이 지지장치(3)의 상부지지대(10)의 상단을 고정하는 끼움부(13)를 구비한다. 상부손잡이(1)의 플레이트는 상부지지대(10)를 잘 고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끼움부(13)가 형성된 위치(도 2의 도면부호 29)에서 아래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손잡이(1)의 플레이트 일측에는 탄성부재(16)가 고정되는 장착부(1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6)로서 코일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부손잡이(1)의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개구부(40)를 통하여 안전핀(15)이 삽입되는데, 개구부(40)는 끼움부(13)를 기준으로 장착부(18)와 반대방향에 위치한다. 상부손잡이(1)의 플레이트 타측에는 삽입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손잡이(1)의 측벽에는 제1 힌지축(19)이 삽입되는 홀(19c)이 형성된다. 상부손잡이(1)의 측벽은 제1 힌지축(19) 또는 홀(19c)을 기준으로 그립영역과 반대되는 위치에 돌출부(27)를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 지지장치(3)는 상부손잡이(1)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10), 하부손잡이(2)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11), 및 상부손잡이(1)에 연결된 안전핀(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부지지대(10)는 전체적으로 직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단에 형성된 회전돌기(12)는 상부손잡이(1)의 끼움부(13)에 결합된다.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는 접촉면(35)을 통하여 서로 면접촉하는데, 접촉면(35)의 일단에 위치하는 결합부(3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지지대(10)를 구성하는 측면들 중 결합부(33)에 연결된 것, 즉 상부수직면(10a)은 접촉면(35)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안전핀(15)은 상부수직면(10a)에 대향하는 상부지지대(10)의 다른 측면, 즉 상부경사면(10b)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안전핀(15)을 잡아당기면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의 면접촉이 쉽게 해제된다.

    하부지지대(11)는 전체적으로 역 직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지지대(11)의 하단은 하부손잡이(2)의 지지대 걸림부(14)에 결합된다. 하부지지대(11)를 구성하는 측면들 중 결합부(33)에 연결된 것, 즉 하부수직면(11a)은 접촉면(35)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수직면(10a)과 하부수직면(11a)이 각각 접촉면(35)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경우, 사용자가 강한 악력으로 상부손잡이(1)와 하부손잡이(2)를 쥐더라도 손잡이 지지장치(3)는 꺾이지 않고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나아가 본 발명과 같이 상부손잡이(1)와 상부지지대(10) 사이, 특히 상부손잡이(1)와 상부수직면(10a) 사이에 탄성부재(16)가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의 악력만으로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의 면접촉 상태를 해제시키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약한 힘으로 안전핀(15)을 당기면 매우 쉽게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는 결합부(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꺾이게 되어 면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면(35)이 평평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촉면(35)에는 다양한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수직면(10a)과 하부수직면(11a)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접촉면(35)은 상부수직면(10a) 또는 하부수직면(11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경우, 두 수직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 접촉면(35)이 상부수직면(10a) 또는 하부수직면(11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지 않더라도 상부수직면(10a)과 하부수직면(11a)이 동일한 평명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접촉면(35)과 상부수직면(10a) 사이의 각(X)과, 접촉면(35)과 하부수직면(11a) 사이의 각(Y)의 합이 실질적으로 180도이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의 접촉면(35)에 서로 맞물리는 요철을 형성하면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의 체결 상태를 더욱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 간의 결합부(33)에 인접한 하부수직면(11a) 상에 분리용 돌기(17)가 형성될 수 있다. 자동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부손잡이(1) 및 하부손잡이(2)를 더 큰 힘으로 쥐는 경우, 상부수직면(10a) 및 하부수직면(11a)이 실질적으로 맞닿게 되는데, 이 때 분리용 돌기(17)가 지레의 축으로 작용하여 결합부(33)에서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가 서로 분리된다. 이로써 한번 사용된 자동소화기를 무허가 업자들이 불법으로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용 돌기(17)가 결합부(33)에 인접한 하부수직면(11a)에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리용 돌기가 결합부(33)에 인접한 상부수직면(10a) 상에 형성되더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장치(6)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V자 형상을 가지며 분사호스(5)를 적어도 일부 감싸고 있다. 가이드장치(6)의 일측은 제2 힌지축(21)을 통하여 하부손잡이(2), 구체적으로 하부손잡이(2)의 제2 홈(21a)과 결합되고, 타측은 아래방향으로 꺾여 분사호스(5)를 감싼다. 타측의 단부에는 분사호스(5)의 위치를 고정하는 호스걸림부(7)가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러그(4)에 제1 힌지축(19)이 끼워지는 홀(19a) 외에 제2 힌지축(21)이 끼워지는 홀이 더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장치(6)와 플러그(4)가 제2 힌지축(2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장치(6)는 호스걸림부(7)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장치(6)는 제2 힌지축(21) 둘레에 배치된 회동스프링(도 2의 도면부호 39 참조)에 의해 기본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힘을 받고 있으나 상부손잡이(1)에 의해 이러한 움직임이 제어된다. 가이드장치(6) 중 제2 힌지축(21) 주변을 자세히 살펴보면, 자동소화기(A)의 미사용 상태, 즉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가 면접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부손잡이(1)의 돌출부(27)와 가이드장치(6) 사이의 접촉단부(25, 26)는 정면도상에서 직선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돌출부(27)와 가이드장치(6)가 직선형 접촉단부(25, 26)를 통하여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장치(6)는 분사호스(5)를 아래로 향하도록 유지된다. 여기서, 접촉단부(25, 26)에서의 밀착력을 이용하여 상부손잡이(1)만으로 가이드장치(6)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접촉단부(25, 26)의 양단은 제2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원주(23)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가이드장치(6)의 접촉단부(26)의 직선부 상단부터 윗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은 동심원(23) 상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자동소화기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의 자동소화기를 최초 상태로 복귀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가 면접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회동스프링(39)에 의한 회동력이 접촉단부(25, 26)를 통해 상부손잡이(1)가 하부손잡이(2) 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핀(15)을 당기면,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는 결합부(33)를 축으로 회전하며 꺾이게 된다. 이 때, 상부손잡이(1)의 돌출부(27)는 제1 힌지축(19)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고, 돌출부(27)의 접촉단부(25)와 가이드장치(6)의 접촉단부(26)가 서로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장치(6)의 움직임을 제어하던 힘이 없어지면서 회동스프링(39)의 회전력에 의하여 가이드장치(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국 안전핀(15)을 잡아 당기는 조작만으로도 분사호스(5)는 수평방향으로 뻗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동스프링(39)이 없더라도 탄성을 가진 분사호스(5)의 복원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부손잡이(1)를 더욱 세게 눌러서 상부손잡이(1)와 하부손잡이(2)가 실질적으로 서로 맞닿게 되면 분리용 돌기(17)가 지레의 축으로 작용하여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가 서로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손잡이(1)는 밸브스템(49)을 아래로 누르게 되어 본체용기(55) 내에 충전된 소화재가 분사호스(5)를 통하여 분사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자동소화기의 사용을 마친 후 다시 처음 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2 힌지축(21)을 중심으로 가이드장치(6)를 아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장치(6)의 접촉단부(26)와 상부손잡이(1)의 접촉단부(25)가 서로 접촉되도록 정열되면서 상부손잡이(1)가 위방향으로 자동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 지지장치(3)는 처음 상태로, 즉 한 번의 동작으로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가 서로 면접촉을 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자동소화기의 변형예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9)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소화기(B)는 상부손잡이(1)와 손잡이 지지장치(3)를 연결하는 탄성부재(41)로서 U자형 판스프링을 사용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자동소화기(C)에 사용된 U자형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1)는 하부손잡이(2)와 손잡이 지지장치(3)를 연결한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9)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소화기(D)에는 안전핀(15)과 탄성부재(16)의 결합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다. 즉, 상부지지대(10) 및 하부지지대(11)를 기준으로 제1 힌지축(19) 방향으로 탄성부재(16)가 설치되고, 반대방향으로 안전핀(15)이 설치된다.

    이하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자동소화기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안전핀과 슬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하부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9)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소화기(E)는 상부손잡이(1) 및 하부손잡이(2)의 측부를 적어도 일부 덮는 보호커버(16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보호커버(161)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며 제1 힌지축(1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보호커버(161)는 상부손잡이(1)와 하부손잡이(2)가 결합되는 부분, 즉 제1 힌지축(19) 주변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손잡이 지지장치(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커버(161)에서 제1 힌지축(19)과 반대방향의 단부는 상부손잡이(1)의 끝단과 하부손잡이(2)의 끝단을 수용하며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 지지장치는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의 접촉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이 접촉면에 있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접촉면은 상부지지대(10)의 상부수직면 및 하부지지대(11)의 하부수직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부지지대(10)는 상부수직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 즉 상부경사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상부지지대 스커트(160)를 구비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핀(15)이 상부지지대(10)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안전핀(15)은 그 단부에 슬라이더(159)를 구비하여 상부지지대(1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159)는 안전핀(15)의 손잡이와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슬라이더(159)는 하부손잡이(2)에 안착되어 있으며 하부손잡이(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슬라이더(159)와 안전핀(15)의 손잡이는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59)는 위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지지대 스커트(160)를 움직이는 스커트 걸림부(159c)와, 슬라이더 탄성부재(159e)의 일측을 고정하는 장착부(159d)와, 안전핀(15)의 손잡이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돌기(159a)를 포함한다.

    평상 시에 스커트 걸림부(159c)는 상부지지대 스커트(160)와 하부지지대(11) 사이에 위치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더 탄성부재(159e)가 슬라이더(159)의 장착부(159d)와 하부손잡이(2)의 장착부(118)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슬라이더 탄성부재(159e)의 일단은 안전손잡이(156)의 고정부(157)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59e)로서 코일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다.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안전핀(15)을 잡아당길 경우 스커트 걸림부(159c)가 상부지지대 스커트(160)를 수평방향으로 밀면서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의 결합, 즉 면접촉이 해제된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손잡이(2)는 안전핀(15)의 움직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핀 가이드(164)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64a)을 구비한다. 안전핀 가이드(164)는 안전핀(15)이 통과할 수 있도록 U자형 또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안전핀 가이드(164)에 의해 사용자가 안전핀(15)을 위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슬라이더(159)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소화기(E)는 하부손잡이(2)의 하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안전핀(15)이 뽑히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손잡이(156)를 더 포함한다. 안전손잡이(156)는 고정부(157)와 스토퍼(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손잡이(156)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하부손잡이(2)의 그립영역에 단단히 고정되는 고정부(157)를 구비한다. 안전손잡이(156)의 타단에는 하부손잡이(2)에 형성된 스토퍼홀(158a)로 삽입되는 돌출형 스토퍼(158)가 형성되어 있다. 안전손잡이(156)의 타단은 하부손잡이(2)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평상 시 안전손잡이(156)에 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안전손잡이(156)의 타단은 하부손잡이(2)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이를 위하여 안전손잡이(156)를 성형할 때 안전손잡이(156)에 굴곡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스토퍼(158)는 하부 내측벽에 함몰부(158b)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보다 하부의 크기가 작은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안전핀 가이드(164)에서 바라보았을 때 스토퍼(158)는 대문자 감마(Greek capital letter gamma; Γ)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스토퍼(158)는 각 함몰부(158b)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3의 자동소화기의 작동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8을 참조하면, 우선 안전손잡이(156)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 즉 평상 시에 안전손잡이(156)의 타단은 하부손잡이(2)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스토퍼(158)의 상부 일부만이 스토퍼홀(158a)에 삽입되는데, 스토퍼(158)의 상부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전핀(15)을 잡아당기더라도 슬라이딩돌기(159a)가 스토퍼(158)에 걸려서 슬라이더(159)는 움직이지 못한다. 따라서 평상 시에 사용자가 안전손잡이(156)를 잡아당기지 않고 안전핀(15)만을 뽑으려 해도 안전핀(15)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 14 및 도 19를 참조하면,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자동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손잡이(1), 하부손잡이(2)뿐만 아니라 안전손잡이(156)도 함께 쥐어야 한다. 이 경우 안전손잡이(156)의 스토퍼(158)는 스토퍼홀(158a)에 완전히 삽입되고 슬라이딩돌기(159a)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토퍼(158)의 하단, 즉 함몰부(158b)가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안전핀(15)을 잡아당기게 되면 슬라이더(159)는 함몰부(158b)를 경유하여 수평으로 움직이게 되고, 스커트 걸림부(159c)가 상부지지대 스커트(160)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11)의 결합이 깨지게 되고, 자동으로 가이드장치(6)가 회전하면서 분사호스(5)가 수평방향으로 쳐들어진다.

    도 14 및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부손잡이(1), 하부손잡이(2) 및 안전손잡이(156)를 더욱 세게 잡으면, 상부손잡이(1)가 밸브스템(49)을 눌러 소화재가 분사되게 된다.

    한편, 도 21은 도 15의 변형예로서, 안전핀(15)을 제조할 때 안전핀(15)의 손잡이와 슬라이더(159)를 별도로 만든 뒤에 체결부(159b)를 통하여 결합시킨 것을 보여준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의 정면도 및 안전손잡이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이상, 상기 제4 실시예(도 13 내지 도 21)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손잡이(156)의 안전손잡이(156) 또는 스토퍼(158)의 측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유통용 안전핀(165)을 더 포함한다. 유통용 안전핀(165)이 안전손잡이(156)의 측부를 관통하는 경우, 유통용 안전핀(165)이 안전손잡이(156)와 하부손잡이(2) 사이에 끼어있게 되어 사용자가 안전손잡이(156)를 손으로 쥐어도 스토퍼(158)가 충분히 들어 올려지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유통용 안전핀(165)이 스토퍼(158)에 삽입되면 슬라이더(159),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돌기(159a)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방해하여 자동소화기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원하지 않게 안전핀(15)이 잡아당겨질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통과정을 거쳐 자동소화기가 현장에 배치될 경우, 유통용 안전핀(165)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