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바인

申请号 KR1020090048498 申请日 2009-06-02 公开(公告)号 KR1020100061294A 公开(公告)日 2010-06-07
申请人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후지타야스시; 우에지요시타카;
摘要 PURPOSE: A combine is provided, which can move an operation part transversely and easily, opens the upper part and surroundings of an engine, and can enhance efficiency of maintenance. CONSTITUTION: A combine comprises: a body frame(1) equipped with a running device; a threshing apparatus and grain storage apparatus(5) which are arranged side-to-side and ar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frame; a cutting apparatu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ody frame; an engine(11) installed on the body frame between the cutting apparatus and grain storage apparatus; an operation part(6) equipped with a seat; a link device(15) which supports to make lateral movement possible.
权利要求
  • 주행 장치(2)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1)의 상측에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장치(5)를 좌우로 나열해서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에는 예취 장치(4)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장치(4)와 곡립 저류 장치(5) 사이의 기체 프레임(1) 상에 엔진(11)을 설치하고; 좌석(7)을 구비한 조종부(6)를 상기 조종부(6)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예취 장치(4) 및 상기 조종부(6)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 장치(5)에 간섭시키지 않고, 엔진(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엔진(11)보다도 설정 거리만큼 외측으로 떨어진 제 2 위치로 종자세를 유지한 채 횡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15)를 기체 내측에 배치한 내측 암(16)과 상기 내측 암(16)보다도 기체 외측에 배치한 외측 암(17)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측 암(16)의 기부와 외측 암(17)의 기부를 엔진(11) 후방측의 기체 프레임(1) 상의 부위에 내측 기부 부착 축(18)과 외측 기부 부착 축(19)에 의해 각각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조종부(6)의 전방부를 상기 내측 암(16)의 선단부와 외측 암(17)의 선단부에 내측 선단 부착 축(21)과 외측 선단 부착 축(22)에 의해 각각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암(16)을 엔진(11)의 상측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 암(17)을 조종부(6)의 하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암(17)에 조종부(6)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롤러(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说明书全文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바인에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장치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의 상측에 탈곡 장치와 곡립 저류 장치를 좌우로 나열해서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의 전방측에는 예취 장치를 설치하고, 이 예취 장치와 곡립 저류 장치 사이의 기체 프레임 상의 부위에 엔진을 설치하고, 좌석을 구비한 조종부를 엔진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떨어진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종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구성의 것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조종부를 일점 중심으로 종축 회전시켜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엔진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7-2894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도 8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종부가 기체의 내측에 설치된 종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구성때문에 이 조종부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조종부의 후방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후방측에 접근해서 배치된 곡립 저류 장치에 간섭되어 버린다. 즉, 곡립 저류 장치가 방해되고, 곡립 저류 장치를 기체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가 아니면, 조종부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그리고, 곡립 저류 장치는 기체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종축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이 종축 부분의 지지 강도로 인해서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배출한 후가 아니면,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조종부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우선 곡립 저류 장치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작업을 행하고, 이 배출 작업이 완료되고 나서 곡립 저류 장치를 기체 외측으로 이동시켜 둘 필요가 있고, 엔진부의 메인터넌스의 능률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조종부의 전방부를 기체 프레임에 종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는 이 조종부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조종부의 전방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방측에 접근해서 배치된 예취 장치에 간섭되어 버린다. 즉, 예취 장치가 방해되고, 예취 장치를 기체 외측으로 이동시킬지, 또는 예취 장치를 기체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한 후가 아니면, 조종부를 기체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고, 엔진부의 메인터넌스의 능률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어느 구성의 경우에서도, 조종부를 종축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 조종부의 일부가 엔진의 상측을 커버한 채로 남고, 엔진 및 그 주변이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이 좁게 한정되고, 메인터넌스의 능률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주행 장치(2)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1)의 상측에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장치(5)를 좌우로 나열해서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에는 예취 장치(4)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장치(4)와 곡립 저류 장치(5) 사이의 기체 프레임(1) 상에 엔진(11)을 설치하고, 좌석(7)을 구비한 조종부(6)를 상기 조종부(6)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예취 장치(4) 및 상기 조종부(6)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 장치(5)에 간섭시키지 않고, 엔진(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엔진(11)보다도 설정 거리만큼 외측으로 떨어진 제 2 위치로 종자세를 유지한 채 횡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조종부(6)는 링크 기구(15)에 지지되어 상기 조종부(6)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예취 장치(4)와, 상기 조종부(6)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곡립 저류 장치(5)에 간섭되지 않고, 엔진(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엔진(11)보다도 설정 거리만큼 외측으로 떨어진 제 2 위치로 종자세를 유지한 채 횡이동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링크 기구(15)를 기체 내측에 배치한 내측 암(16)과 상기 내측 암(16)보다도 기체 외측에 배치한 외측 암(17)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측 암(16)의 기부와 외측 암(17)의 기부를 엔진(11) 후방측의 기체 프레임(1) 상의 부위에 내측 기부 부착 축(18)과 외측 기부 부착 축(19)에 의해 각각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조종부(6)의 전방부를 상기 내측 암(16)의 선단부와 외측 암(17)의 선단부에 내측 선단 부착 축(21)과 외측 선단 부착 축(22)에 의해 각각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조종부(6)가 내측 기부 부착 축(18)과, 내측 선단 부착 축(21)과, 외측 기부 부착 축(19)과, 외측 선단 부착 축(22)의 4점을 회전 지점으로 한 링크 기구(15)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조종부(6)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이 가벼운 조작력으로 행해지도록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내측 암(16)을 엔진(11)의 상측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 암(17)을 조종부(6)의 하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조종부(6)가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 내측 암(16)과 외측 암(17)은 기체 외측으로 회전하지만, 내측 암(16)은 엔진(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11)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외측 암(17)은 조종부(6)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종부(6)의 중량을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외측 암(17)에 조종부(6)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롤러(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조종부(6)가 기체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 외측 암(17)에 설치된 롤러(R)가 구름 이동되면서 조종부(6)를 지지하기 때문에 조종부(6)의 하부와 외측 암(17)의 마찰 저항이 적어지고, 더욱이 가벼운 조작력으로 조종부(6)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종부(6)를 엔진(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엔진(11)보다도 설정 거리만큼 외측으로 떨어진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이 조종부(6)의 후방측의 곡립 저류 장치(5)나 전방측의 예취 장치(4)를 미리 이동시켜 둘 필요가 없고, 조종부(6)를 제 2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엔진(11)의 상측 및 그 주변을 크게 개방해서 메인터넌스를 능률좋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조종부(6)를 가벼운 조작력으로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엔진(11) 및 그 주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내측 암(16)이 엔진(11)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되고, 외측 암(17)이 조종부(6)의 중량을 정확하게 지지함으로써 조종부(6)를 기체 외측으로 보다 크게 이동시킬 수 있고, 엔진(11) 및 그 주변을 크게 개방해서 메인터넌스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서, 조종부(6)를 더 가벼운 조작력으로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엔 진(11) 및 그 주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콤바인의 기체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틀을 짠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 좌우의 크롤라식의 주행 장치(2)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1)의 상측에는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장치(5)를 좌우에 나열해서 탑재하고,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에 예취 장치(4)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예취 장치(4)와 곡립 저류 장치(5) 사이의 기체 프레임(1) 상의 부위에 엔진(11)을 탑재하고, 엔진(11)의 상측에 조종부(6)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종부(6)는 작업자가 착석하는 좌석(7)과, 상기 좌석(7)의 전방 하부에 배치한 스텝(S)과, 좌석(7)의 전방에 배치하고, 미터 패널(M)과 조향 조작 레버(P)를 구비한 전방부 조작 패널(F1)과, 좌석(7)의 좌측에 배치하고, 변속 레버(H)를 구비한 측부 조작 패널(F2)과, 엔진(11)의 상측과 외측과 전방측의 3면을 커버하는 엔진 커버(C)를 일체로 조립해서 구성한다. 그리고, 이들을 창을 갖는 외벽에 둘러싸서 하나의 유닛으로서의 캐빈(12)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6, 도 7,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조종부(6)는 링크 기구(15)로 기체 프레임(1) 측에 지지하고, 곡립 저류 장치(5)와 예취 장치(4) 사이에 위치되어 엔진(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위치와, 조종부(6)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체 프레임(1)의 외측 단부보다도 외측으로 설정 거리만큼 비어져 나온 제 2 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종자세를 유지한 채 횡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이 링크 기구(15)에 의한 조종부(6)의 지지 구조를 이하에 상술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링크 기구(15)는 기체 내측에 배치된 내측 암(16)과, 상기 내측 암(16)보다도 기체 외측에 배치된 외측 암(17)의 2개의 암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암(16)의 기부와 외측 암(17)의 기부는 엔진(11)의 후방측의 기체 프레임(1) 상의 부위에 설치된 고정부에 내측 기부 부착 축(내측 암의 기부를 부착하는 축)(18)과 외측 기부 부착 축(외측 암의 기부를 부착하는 축)(19)에 의해 각각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한편, 상기 내측 암(16)의 선단부와 외측 암(17)의 선단부에는 조종부(6)의 전방부를 내측 선단 부착 축(내측 암의 선단부를 부착하는 축)(21)과 외측 선단 부착 축(외측 암의 선단부를 부착하는 축)(22)에 의해 각각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조종부(6)가 내측 기부 부착 축(18)과, 내측 선단 부착 축(21)과, 외측 기부 부착 축(19)과, 외측 선단 부착 축(22)의 4점을 회전 지점으로 한 한 링크 기구(15)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조종부(6)를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에 비해서 조종부(6)의 지지가 안정되고, 상기 조종부(6)의 종자세가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조종부(6)의 제 2 위치로의 횡이동이 가벼운 조작력으로 행해지도록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기부 부착 축(18)은 조종부(6)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외측 기부 부착 축(19)은 조종부(6)의 우단부(기체 외측 단부) 부근의 위치가 되는 기체 프레임(1)의 외측 단부에 배치된 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암(16)의 기부측의 부분과 외측 암(17)의 선단측의 부분은 각각 L자 형상으로 굴절된다. 즉, 내측 암(16)은 조종부(6)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좌우 방향 자세가 되는 기부측 부분(23)과, 전후 방향자세가 되는 선단측 부분(24)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측 암(17)은 조종부(6)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 자세가 되는 기부측 부분(25)과, 좌우 방향 자세가 되는 선단측 부분(26)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측 기부 부착 축(18)을 통과하는 가상선(L1)을 그렸을 경우 내측 선단 부착 축(21)은 이 가상선(L1)보다도 좌측(기체 내측)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외측 기부 부착 축(19)을 통과하는 가상선(L2)을 그렸을 경우 외측 선단 부착 축(22)은 이 가상선(L2)보다도 좌측(기체 내측)에 배치된다.

    즉, 내측 기부 부착 축(18)과 내측 선단 부착 축(21)을 잇는 직선과, 외측 기부 부착 축(19)과 외측 선단 부착 축(22)을 잇는 직선은 기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각각 좌측(기체 내측)에 소정의 각도(θ1 및 θ2)만큼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내측 암(16)과 외측 암(17)이 회전될 때에 내측 선단 부착 축(21)과 외측 선단 부착 축(22)은 각각 가상선(L1,L2)의 내측으로부터 이 가상선(L1,L2)의 외측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내측 암(16)과 외측 암(17)을 직선 형상으로서 기체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 외측에 의해 크게 회전된다.

    따라서, 조종부(6)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 개시 초기에는 조종부(6)를 1점 중심에서 회전시키는 구성에 비해서 조종부(6)의 횡이동량이 커지는 한편, 이 조종부(6)의 전후 이동량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조종부(6)는 후방측에 배치되는 곡립 저류 장치(5) 및 전방측에 배치되는 예취 장치(4)와 간섭되지 않고, 이 곡립 저류 장치(5)와 예취 장치(4) 사이에서 외측으로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조종부(6)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이 조종부(6)의 후방측의 곡립 저류 장치(5)나 전방측의 예취 장치(4)를 이동시켜 둘 필요가 없고, 조종부(6)를 곡립 저류 장치(5)나 예취 장치(4)에 간섭시키지 않고, 엔진(11)보다도 외측쪽의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엔진(11)의 상측 및 그 주변을 크게 개방해서 메인터넌스를 능률좋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취 작업중에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에서도, 곡립 저류 장치(5) 내의 곡립을 배출하고 나서 곡립 저류 장치(5)를 이동시키는 작업이나, 예취 장치(4)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요하지 않고, 조종부(6)를 용이하게 개방시켜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7,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11)을 둘러싸는 프레임(40)의 기체 내측의 부위에 내측 세로 로드(41A)를 설치하고, 이 내측 세로 로드(41A)의 고부(高部)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18A)에 상기 내측 암(16)의 기부를 내측 기부 부착 축(18)에 의해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한다. 이에 따라, 내측 암(16)을 엔진(11)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암(16)의 선단측 부분(24)은 기체 측면으로 볼 때 에어 클리너(30)의 상방에 위치되는 후방부 로 드(36)와, 에어 클리너(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중간 세로 로드(37)와, 엔진(11)보다도 상방에 위치되는 전방부 로드(38)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조종부(6)를 외측으로 횡이동시킬 때에, 내측 암(16)이 에어 클리너(30) 및 엔진(11)의 상방을 통과하고, 내측 암(16)의 회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조종부(6)의 횡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종부(6)의 좌측 단부(기체 내측 단부)에 측부 조작 패널(F2)과 거의 같은 높이로 설치된 전후 방향의 지지 프레임(43)의 베어링 부재(21A)에 내측 암(16)의 선단을 내측 선단 부착 축(21)에 의해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한다.

    또한, 상기 외측 기부 부착 축(19)은 프레임(40)의 기체 외측의 부위에 구비된 외측 세로 로드(41)의 저부와 기체 프레임(1)의 외측면에 걸치는 베어링 부재(G)에 종축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외측 암(17)을 조종부(6)의 하측에 배치한다. 또한, 이 외측 암(17)의 선단부의 외측 선단 부착 축(22)은 조종부(6)의 하부 전방측 부위에 설치된 좌우 방향의 전방부 보강 로드(35A)의 좌우 방향 중간부의 베어링 부재(22A)에 종축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외측 암(17)이 조종부(6)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내측 암(16)이 조종부(6)의 엔진(11)보다 상방의 부위를 지지하므로 링크 기구(15)에 의한 지지 강도가 향상되고, 특히 조종부(6)의 횡방향으로의 넘어짐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조종부(6)의 종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5,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종부(6)의 하부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좌우 방향을 향한 중간부 보강 로드(35)를 부착하고, 외측 암(17)의 선단측 부분(24)에는 이 선단측 부분(24)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R)를 부착한다. 그리고, 중간부 보강 로드(35)를 롤러(R)에 적재함으로써 조종부(6)를 외측 암(17)에 지지시켜 조종부(6)가 외측으로 횡이동할 때에 롤러(R)가 보강 로드(35)의 하면을 구름 이동하면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조종부(6)는 내측 선단 부착 축(21)과, 외측 선단 부착 축(22)과, 중간부 보강 로드(35)와 롤러(R)의 접촉 부분의 3점에서 지지되고, 조종부(6)의 지지 상태가 안정되고, 상기 조종부(6)의 종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에는 에어 클리너(30)와 전장품 수납 박스(32)과 라디에이터(31)와 엔진(11)의 터보용의 인터쿨러(34)를 부착한다. 따라서, 조종부(6)를 외측으로 횡이동시킬 때에 엔진(11)과 에어 클리너(30)와 전장품 수납 박스(32)와 라디에이터(31)와 인터쿨러(34)는 기체 프레임(1)측에 남는다. 또한, 라디에이터(31) 및 인터쿨러(34)의 외측쪽의 엔진 커버(C)의 부위는 외기를 흡기가능한 중요 철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종부(6)의 하측의 기체 프레임(1) 상의 공간부(K)에는 엔진(11)용의 연료 필터(N1)와, 주행 미션(MI)을 구동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용의 오일 필터(N2)를 설치한다. 조종부(6)측에는 보조 스텝(ST)을 전후 방향의 축(ST1)에서 상하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보조 스텝(ST)을 상기 공간부(K)내에 수납한 비사용 상태로부터 기체 프레임(1)의 외측으로 나온 사용 상태로 절환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콤바인에 의한 예취 탈곡 작업에서는 조종부(6)를 엔 진(11)의 상측의 제 1 위치에 고정하고, 엔진(11)을 시동하고, 주행 장치(2)를 전진 구동하면서, 예취 장치(4)로 곡간을 수확하고, 수확한 곡간을 탈곡 장치(3)에 공급해서 탈곡하고, 탈곡된 곡립을 곡립 저류 장치(5)로 저류한다.

    이러한 예취 탈곡 작업중에 엔진(11) 또는 그 주변의 기기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는 주행을 정지하고, 작업자가 조종부(6)를 기체 외측으로 인출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이 때, 링크 기구(15)로 지지되는 조종부(6)는 도 6에 나타낸 엔진(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위치로부터 도 7에 나타낸 외측쪽의 제 2 위치로의 횡이동 개시에 따라, 일단 약간 전방으로 이동하지만, 이 조종부(6)의 전방으로의 이동량은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예취 장치(4)의 배면부에 도달하지 않는 정도의 것이고, 조종부(6)는 예취 장치(4)의 배면부에 간섭되지 않고, 외측으로 횡이동한다. 또한, 조종부(6)의 후방부는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곡립 저류 장치(5)의 전면부에도 간섭되지 않고, 외측으로 횡이동한다. 즉, 이 횡이동 개시의 초기에서는 조종부(6)는 평행 이동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면서 횡이동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예취 장치(4)와 곡립 저류 장치(5) 사이에서 외측으로 나온 조종부(6)는 이 후, 전방측의 부위 정도 크게 외측으로 횡이동하고, 방향을 변경하면서 도 7에 나타낸 제 2 위치에 이른다. 이 제 2 위치에서는 조종부(6)의 전방측의 부위 정도 기체 프레임(1)의 외측단으로부터 크게 벗어나고, 작업자가 이 조종부(6)와 기체 프레임(1) 사이에 들어가서 엔진(11) 및 그 주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이 제 2 위치에서는 조종부(6)의 후방부는 기체 프레임(1)의 외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나온 것 뿐이지만, 곡립 저류 장치(5)를 이동시키면 이 조종부(6)를 엔진(11)의 후방까지 이동시켜 엔진(11)의 외측부를 더욱 크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종부(6)를 제 2 위치로 한 상태에서 엔진(11)을 시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엔진(11) 및 그 주변의 기기의 작동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의 능률이 높아진다. 또한, 스텝(S)의 상측에 배치하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은 기체 프레임(1) 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조종부(6)를 외측으로 횡이동시켜도 기체측에 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조종부 및 그 주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조종부 및 그 주변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5는 조종부의 하부 구조의 설명용 정면도이다.

    도 6은 조종부를 폐쇄 위치로 한 상태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7은 조종부를 개방 위치로 한 상태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8은 내측 암과 외측 암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9는 조종부를 개방 위치로 한 상태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체 프레임 2: 주행 장치

    3: 탈곡 장치 4: 예취 장치

    5: 곡립 저류 장치 6: 조종부

    7: 좌석 11: 엔진

    15: 링크 기구 16: 내측 암

    17: 외측 암 18: 내측 기부 부착 축

    19: 외측 기부 부착 축 21: 내측 선단 부착 축

    22: 외측 선단 부착 축 R: 롤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