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용 분뇨처리 삽

申请号 KR2020140000038 申请日 2014-01-03 公开(公告)号 KR2020150002746U 公开(公告)日 2015-07-13
申请人 박일수; 发明人 박일수;
摘要 본고안의축사용분뇨처리삽은삽날의배면에솔이착탈되게구비되고, 솔이삽날의전방으로부터후방으로점진적으로높게형성되어가축분뇨를처리할때 삽을바닥면과경사지게기울이지않아도자연적으로바닥면과삽날이적절한각도로유지되게하여삽으로가축분뇨를처리할때 삽을밀어서가축분뇨를제거함과동시에가축분뇨가제거된후방바닥면을솔에의해다시한 번청소가이루어지게함으로써축사의가축분뇨청소가깨끗이신속하게이루어지는효과가있다.
权利要求
  • 손잡이(2)와, 삽자루(3) 및 삽날(1)로 구성되는 축사용 분뇨처리 삽에 있어서,
    삽날(1)의 배면에 솔(10)이 구비되고, 솔(10)은 삽날(1)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처리 삽.
  • 청구항 1에 있어서,
    솔(10)은 삽날(1)의 배면에 고정된 착탈 지지부재(20)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처리 삽.
  • 청구항 1에 있어서,
    착탈 지지부재(20)는 삽날(1)에 착탈되게 또는 일체로 구비되되, 솔(10)을 지지하는 솔 본체(11)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양측에 걸림턱(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처리 삽.
  • 청구항 1에 있어서,
    삽날(1)은 솔(10)에 의해 바닥면과 경사각(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처리 삽.
  • 청구항 1에 있어서,
    솔(10)은 솔 지지판(11)의 공간부(12)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전방 솔(10-1), 중간 솔(10-2), 후방 솔(10-3)로 구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분뇨처리 삽.
  • 说明书全文

    축사용 분뇨처리 삽{SHOVEL FOR REMOVAL LIVESTOCK EXCRETIONS FROM COWSHED OR PIG PEN}

    본 고안은 축사용 분뇨 처리 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삽날의 배면에 솔이 착탈되게 구비되고, 솔이 삽날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가축 분뇨를 처리할 때 삽을 바닥면과 경사지게 기울이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바닥면과 삽이 적절한 각도로 유지되게 하여 삽으로 가축 분뇨를 처리할 때 삽을 밀어서 가축 분뇨를 제거함과 동시에 가축 분뇨가 제거된 후방 바닥면을 솔에 의해 다시 한 번 청소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축사의 가축 분뇨 청소가 깨끗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축사용 분뇨처리 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키우는 우사, 돈사, 계사 등의 축사 바닥에 쌓인 가축 분뇨를 적시에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서 가축 분뇨에서 각종 가스가 발생하고, 병원균이 발생하여 질병을 유발함은 물론 가축의 비육율 또는 산란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들 우사, 돈사, 계사 등에 쌓이는 가축 분뇨는 적시에 제거되어야 하는 데 삽을 이용하여 가축 분뇨를 제거하는 경우, 축사 바닥에서 가축 분뇨를 제거한 후에도 축사 바닥에서 가축 분뇨가 깨끗이 제거되지 않아서 빗자루 등으로 다시 청소를 하여야 하므로 청소작업도 힘들뿐만 아니라 청소 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가축 분뇨를 제거하는 종래의 축산용 삽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2698호의 "보강판이 구비된 축산용 삽"이 2000년 05월 15일자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에 공개되어 있다.

    이 축산용 삽은 효과적으로 가축 분뇨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아니고 지면에 닿는 삽의 선단지점에 보강판을 구성하여 삽의 변형과 마모를 감속시켜 삽의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축 분뇨를 제거할 때 힘도 덜 들고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축사용 분뇨 처리 삽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20-0182698

    Y1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축사의 가축 분뇨 제거 및 축사 바닥면의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축사용 분뇨 처리 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삽을 미는 동작에 의해 가축 분료의 제거 및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축사용 분뇨 처리 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은 삽의 배면에 솔을 부착하되 솔의 높이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높게 형성하여 삽날과 바닥면이 분뇨 처리에 적절한 각도를 이루게 하여 작업자가 가축 분뇨를 밀어서 제거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가축 분뇨의 제거와 동시에 분뇨가 제거된 바닥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하는 솔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삽의 배면에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이 결합수단에 솔이 착탈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은 삽날의 배면에 부착된 솔에 의해 삽날이 바닥면과 적절한 각도로 유지되게 하여 가축 분뇨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가축 분뇨가 삽날에 의해 제거된 다음 삽날 후방에 구비된 솔에 의해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어서 가축 분뇨의 제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청소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솔과 삽날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솔, 착탈 지지부재, 삽날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솔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삽에 구비된 솔에 의해 삽과 바닥면이 적절한 사용 각도로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솔이 삽날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솔이 착탈 지지부재에 의해 삽날에 조립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솔이 간격지게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삽에 구비된 솔에 의해 삽이 바닥면과 적절한 각도로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은 통상의 삽자루(3) 선단에 구비된 삽날(1)과, 이 삽날(1)의 배면에 구비되는 솔(10)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2는 삽의 손잡이이다.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은 삽날(1)의 배면에 구비된 솔(10)에 의해 삽날이 바닥면과 적절한 각도(α)를 이루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 각도(α)는 작업자가 축사에서 삽을 이용하여 가축 분뇨를 제거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바닥면에 삽을 기울이는 각도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솔(10)은 솔 지지판(11)에 경사지게 구성된다. 예컨대 솔(10)은 삽날(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높이가 점점 높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삽날(1)은 작업자가 삽날(1) 배면이 바닥을 향하게 하여 삽의 손잡이(2)를 잡았을 때 삽날(1)의 배면에 설치된 솔(10)이 바닥면에 닿게 되어 삽날(1)은 자연적으로 바닥면과 경사각(α)를 이루게 된다.

    이 경사각(α)은 작업자가 가축 분뇨 제거를 위해 삽을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축사의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삽을 사용할 때 삽날(1)의 배면에 설치된 솔(10)의 경사면은 작업자가 삽의 손잡이(2)와 삽자루(3)를 잡아서 가축 분뇨를 제거하기 위해 삽날(1)이 바닥면에 닿게 한 상태로 밀 때 작업자가 편리하게 밀 수 있는 각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작업자가 삽을 잡아서 삽날(1)이 바닥면에 닿게 하여 밀 때 작업자는 삽날(1)을 경사지게 할 필요없이 단순히 솔(10)을 바닥면에 닿게 한 상태에서 삽을 밀면 가축 분뇨가 삽날(1)에 담겨서 제거됨과 동시에 가축 분뇨가 제거된 후축사 바닥면은 솔(10)에 의해 청소가 즉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높게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 상기 솔(10)은 전방과 후방 사이에 솔(10)이 없는 공간부(12)로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 공간부(11)에 의해서 솔(10)은 전방 솔(10-1), 중간 솔(10-2), 후방 솔(10-3)로 구획되어 있어서 삽을 전방으로 밀 때 삽날(1) 전방에서 후방으로 부드럽게 구부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들 솔(10-1, 10-2, 10-3)은 축사 바닥면의 청소가 깨끗이 이루어지도록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삽날(1)에 솔(10)의 탈부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솔(10)을 지지하는 솔 지지판(11)과 삽날(1) 사이에 착탈 지지부재(20)가 개재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 착탈 지지부재(20)는 솔 지지판(11)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결합턱(21)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22는 착탈 지지부재(20)를 삽날(1) 배면에 나사 또는 볼트(S)로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나사체결용 관통구멍이고, 1-1은 삽날(1) 배면에 형성된 나사구멍이다.

    삽날(1)의 배면 나사구멍(1-1)에 착탈 지지부재(20)의 관통구멍(22)을 정렬한 후 나사 또는 볼트(S)를 관통구멍(22)에 체결하여 착탈 지지부재(20)를 삽날(1)의 배면에 고정한다.

    그 다음 솔(10)의 높이가 낮은 부분이 삽날(1)의 배면 전방으로 향하게 하고 솔 지지판(11)을 착탈 지지부재(20)의 결합턱(21) 사이에 정렬하여 솔 지지판(11)을 슬라이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삽날(1)의 배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된 솔(10)의 부착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날(1)은 바닥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각(α)을 이룬다.

    따라서 축사에서 가축 분뇨를 제거할 때 본 고안의 축사용 분뇨처리 삽의 손잡이(2)와 삽자루(3)를 잡은 상태에서 삽을 전방으로 밀면 삽날(1)에 가축 분뇨가 담겨서 밀려나게 되고 후방은 솔(10)에 의해 축사 바닥면의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우사나 돈사 등의 축사에서 발생되는 가축 분뇨를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삽에 이용될 수 있다.

    1: 삽날 10: 솔
    11: 솔 본체 20: 착탈 지지부재
    21: 걸림턱 22: (나사 또는 볼트 체결용)관통구멍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