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스랑

申请号 KR2020130010174 申请日 2013-12-09 公开(公告)号 KR2020150002319U 公开(公告)日 2015-06-18
申请人 주식회사 도시농부; 이천희; 发明人 이천희;
摘要 본고안은한번에흙을파헤치고잘게부수는작업을동시에수행하여작업효율성을높이면서작업자의피로를경감할수 있도록한 쇠스랑에관한것으로서; 지면에박혀지는포크부와, 상기포크부와결합되어포크부가회전할수 있도록버팀역할을수행하는버팀부로구성하고, 지면에박힌포크부가버팀부를힘점으로회전하여흙을파헤치면서작은크기로분쇄할수 있도록구성하는것이특징이다
权利要求
  • 지면에 박혀지는 포크부(101)와;
    상기 포크부(101)와 결합 되어 포크부(10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버팀 역할을 수행하는 버팀부(102)로 구성하고;
    지면에 박힌 포크부(101)가 버팀부(102)를 힘점으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작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스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101)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포크바디(105)와;
    상기 포크바디(105)의 아래 방향으로 지면에 박힐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포크(106)와;
    상기 포크바디(105)의 중앙부에서 포크(106)의 반대 방향으로 구비하는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부(102)는, 포크부(101)가 버팀부(102)에 대하여 또는 버팀부(102)가 포크부(101)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포크바디(105)의 양단부와 힌지(108)ㄹ로 연결하는 버팀몸체(110)와;
    상기 버팀몸체(110)의 선측 저면에는 횡 방향으로 고정하는 날유지구(111)와;
    상기 날유지구(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나 이상 고정하는 버팀날(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스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106)가 힌지(108)를 기점으로 회전할 때 간섭되지 않으면서 버팀날(112)과 협조하여 파헤쳐지는 흙을 잘게 부술 수 있도록 포크(106)와 버팀날(112)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쇠스랑.
  • 说明书全文

    쇠스랑{A SCRAPER}

    본 고안은 쇠스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논이나 밭의 흙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동시에 흙을 잘게 부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흙을 파헤치는 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한 쇠스랑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쇠스랑은 주로 농가에서 수작업용으로 사용되는 농기구의 한 종류로서 작업자가 어깨와 팔을 이용하여 스윙하듯이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 지면에 박은 후 젖히면서 흙을 파헤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쇠스랑은 넓은 지역의 작업지를 일구는 것보다는 소규모의 작업지 또는 경운기나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가 접근할 수 없는 협소한 지역 및 작은 텃밭을 일구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쇠스랑은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와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 예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쇠스랑(1)은, X축 방향으로 연결공(2)을 형성한 연결관(3)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3)의 선단에서 X축 중심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인 Y축 방향이면서 양측으로 쇠스랑바디(4)를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쇠스랑바디(4)에는 Y축에 대한 직각 방향인 Z축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쇠스랑날(5)을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3)의 연결공(2)에는 긴 길이의 자루(6)를 결합하여 스크류 또는 못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85 - 0003306 호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86 - 0021236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037317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50055 - 0000 호

    상기와 같은 쇠스랑의 사용은, 이용자가 자루의 후미를 양 손으로 잡고 어깨와 팔을 이용하여 머리보다 높은 위치로 스윙하듯이 들어올린 후 다시 지면으로 내려치는 듯한 동작을 통하여 자루의 선단에 결합 된 쇠스랑바디의 쇠스랑날이 지면에 박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루를 잡고 이용자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젖혀주거나 또는 이용자 방향으로 자루를 잡고 당기게 되면 지면에 박힌 쇠스랑날이 흙을 파헤치게 되므로 작업지의 굳어진 흙을 부드럽게 하여 작물을 심거나 파종할 수 있는 부드러운 형태를 만들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쇠스랑을 이용하여 지면을 부드럽게 만드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1차로 지면의 흙을 파헤친 상태를 유지하는 데, 1차로 파헤친 흙은 잘게 부서지지 않고 덩어리진 상태에 있게 되므로 흙을 파헤치는 과정 또는 흙을 완전하게 파헤친 후 다시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쇠스랑을 이용하여 지면의 흙을 파헤치는 작업과 파헤쳐진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작업을 이중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명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작업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인력에 의하여 지면을 파헤치거나 파헤쳐진 흙덩어리를 작은 크기로 분쇄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어깨와 팔 및 손을 많이 움직여야 하는 관계로 신체적인 피로가 가중되고 관절이나 근육계통의 이상이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지면에 박혀지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와 결합 되어 포크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버팀 역할을 수행하는 버팀부로 구성하고, 지면에 박힌 포크부가 버팀부를 힘점으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면서 작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한번에 흙을 파헤치고 잘게 부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이면서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용자의 다리를 이용하여 쇠스랑을 지면에 박아넣도록 함으로서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하면서 신체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번에 지면의 흙을 파헤치는 것과 더불어 파헤쳐진 흙덩어리를 작은 크기로 부수는 것을 동시에 수행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쇠스랑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접고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중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접고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중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쇠스랑(100)은, 파헤치고자 하는 지면에 박혀지는 포크부(101)와 상기 포크부(101)와 결합 되어 포크부(10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버팀(지레) 역할을 수행하는 버팀부(102)로 구성하여 지면에 박힌 포크부(101)가 버팀부(102)를 힘점으로 회전하여 흙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바로 작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포크부(101)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포크바디(105)를 구비하고 상기 포크바디(105)의 아래 방향으로는 하나 이상의 포크(106)를 고정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지면에 박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크바디(105)의 중앙부에서 포크(106)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자루(107)를 연결하거나 또는 포크바디(105)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버팀부(102)는, 포크바디(105)의 양단부와 힌지(108)로 연결하여 포크부(101)가 버팀부(102)에 대하여 또는 버팀부(102)가 포크부(101)에 대하여 힌지(108)를 기점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개략 ⊃형상의 버팀몸체(110)를 구비한다.

    상기 버팀몸체(110)의 선측 저면에는 횡 방향으로 날유지구(111)를 고정하고, 상기 날유지구(111)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나 이상의 버팀날(112)을 고정하여 구성하고, 상기 버팀몸체(110)의 형상과 모양은 본 고안의 도면에 예시한 것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쇠스랑(100)은 전체를 금속재질로 구성하여도 되고, 자루(107)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포크(106)와 버팀날(112)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지 않고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하여 포크(106)가 힌지(108)를 기점으로 회전할 때 간섭되지 않으면서 버팀날(112)과 협조하여 파헤쳐지는 흙을 잘게 부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크(106)와 버팀날(112)의 형상과 모양은 본 고안에서는 포크(106)는 하단에 뾰족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두께가 두꺼운 형태로 구성하고, 버팀날(112)은 원통 형상의 바타입으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과 모양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상과 모양으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쇠스랑(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쇠스랑(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포크부(101) 또는 버팀부(102)를 힌지(108)를 기점으로 회동시켜 포크부(101)와 버팀부(102)가 접혀져 자루(107)와 버팀몸체(110)가 연접된 상태에서 나란(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쇠스랑(1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크부(101)에 대하여 버팀부(102)가 힌지(108)를 기점으로 회동하여 십자형태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는 포크부(101)의 포크바디(105)를 발로 밟아서 포크(106)를 강하게 지면으로 박아 넣는다.

    상기 포크(106)가 지면으로 들어가 박히게 되면, 버팀부(102)를 구성하는 버팀몸체(110)와 버팀날(112)은 포크바디(105)의 후방과 전방에 위치하면서 지면 위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자루(107)를 잡고 포크부(101)를 버팀몸체(110) 방향을호 젖혀주면 힌지(108)를 기점으로 포크부(101)가 회동하게 되고, 이때 버팀몸체(110)와 버팀날(112)이 지면과 밀착되어 버텨주는 힘점이 되어 포크부(101)가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포크(106)가 흙을 파헤침과 동시에 흙을 잘게 부수게 되므로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작업지의 지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고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흙이 부드럽게 되므로 작물을 심거나 파종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고,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쇠스랑(100)을 이용하여 지면을 파헤칠 때 포크(106)가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회동하면서 흙을 부수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흙을 부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크(106)와 버팀날(112)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지면에 박힌 포크(106)가 회동하면서 버팀날(112)과 협조하여 흙을 잘게 부수는 작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한번에 흙을 파헤치고 잘게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 효율성을 높이면서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고안이다.

    100; 쇠스랑
    101; 포크부
    102; 버팀부
    105; 포크바디
    106; 포크
    108; 힌지
    110; 버팀몸체
    111; 날유지구
    112; 버팀날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