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작업용 농기구

申请号 KR2020110004498 申请日 2011-05-24 公开(公告)号 KR2020120008264U 公开(公告)日 2012-12-04
申请人 이경룡; 发明人 이경룡;
摘要 본 고안은 수작업용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 외주연에 나사부를 갖는 긴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설치되고 일면에 한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지패널로 이루어진 자루부와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도록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자루에 끼움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의 갈고리가 구비된 괭이패널과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괭이패널을 상기 지지패널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너트로 구성되어, 호미패널 또는 괭이패널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에도 작업할 수 있으며, 자루부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자루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权利要求
  • 일측 외주연에 나사부를 갖는 긴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설치되고 일면에 한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지패널로 이루어진 자루부;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도록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자루에 끼움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의 갈고리가 구비된 괭이패널;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괭이패널을 상기 지지패널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농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봉과,
    상기 하부봉이 끼움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봉에는 조명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농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끼움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자루에 끼움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호미날이 구비된 호미패널이 상기 괭이패널과 가압너트 사이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작업용 농기구.


  • 说明书全文

    수작업용 농기구 { agricultural tool,s for manual work}

    본 고안은 수작업용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미패널 또는 괭이패널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에도 작업할 수 있으며, 자루부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자루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는 수작업용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래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농기구로 사용되는 낫, 호미, 괭이 등과 갖은 농기구의 연장은 대장간에서 제작되어 일정길이의 나무소재로 된 자루에 견고하게 꽂아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농기구를 예를 들어 볼 때, 통상 나무자루에는 소정직경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을 통해 강압적으로 고정되도록 점자적으로 뾰족한 형태로 연결부분(이하, "슴베"라고 칭함)을 연장 형성하여 이 슴베부분을 강압적으로 자루의 끝단까지 꽂아 사용하였다.

    현재에 들어서 농기구의 자루부분을 나무가 아닌 합성수지 내에 슴베부분을 매입하는 형태로도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나무소재를 이루는 자루의 이용은 제작의 편의성에 뒤떨어지지 않고, 자루를 잡는 촉감이 양호하여 나무자루로 된 농

    기구를 아직까지는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호미 또는 괭이와 같은 농기구는 자루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아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자루를 자르거나 이어붙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야간에 작업하지 위해 별도로 조명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을 위해 호미와 괭이를 각각 소지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나 이동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호미패널 또는 괭이패널로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에도 작업할 수 있으며, 자루부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자루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는 수작업용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일측 외주연에 나사부를 갖는 긴 자루와 상기 자루의 일단에 설치되고 일면에 한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지지패널로 이루어진 자루부와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도록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자루에 끼움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의 갈고리가 구비된 괭이패널과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괭이패널을 상기 지지패널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루는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봉과, 상기 하부봉이 끼움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봉에는 조명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끼움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자루에 끼움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호미날이 구비된 호미패널이 상기 괭이패널과 가압너트 사이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수작업용 농기구는 호미패널 또는 괭이패널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조명이 구비되어 야간에도 작업할 수 있으며, 자루부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자루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수작업용 농기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수작업용 농기구(10)(농기구)는 일측 외주연에 나사부(211)를 갖는 긴 자루(21)와 상기 자루(21)의 일단에 설치되고 일면에 한쌍의 고정돌기(221)가 형성된 지지패널(22)로 이루어진 자루부(20)와 상기 고정돌기(221)에 끼워지도록 고정홀(3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자루에 끼움되도록 끼움홈이(32)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의 갈고리(33)가 구비된 괭이패널(30)과 상기 나사부(211)에 체결되어 상기 괭이패널(30)을 상기 지지패널(22)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너트(40)로 구성된다.

    상기 자루부(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금속이나 목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패널(22)에는 상기 고정돌기(221)가 서로 마주보게 한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체결되는 괭이패널(30)이 외력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패널(22)은 상기 자루(21)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자루(21)의 단부에 접착 또는 융착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자루(21)는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봉(21a)과, 상기 하부봉(21a)이 끼움되는 상부봉(21b)과, 상기 상부봉(21b)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봉(21a)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1c)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봉(21a)에는 조명장치(21a')가 더 마련된다.

    즉, 상기 자루(21)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단으로 상부봉(21b)에 하부봉(21a)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시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루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21a')는 led램프와 상기 led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하부봉에 내장되게 설치되어 체결되는 손가락바데리의 전원을 led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루부(20)에는 상기 고정돌기(221)에 끼움되도록 체결홀(5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자루(21)에 끼움되도록 설치홈(5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호미날(53)이 구비된 호미패널(50)이 상기 괭이패널(30)과 가압너트(40) 사이에 더 설치된다.

    즉, 자루부(20)를 돌려가며 호미패널(50)과 괭이패널(30)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자루부(20)에서 호미패널(50)을 분리한 후 괭이패널(30)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호미패널은 도 8 또는 도 9에서와 같이 세로방향에서 흙을 파거나 고를 수 있도록 하부에 절곡된 구조의 호미날을 형성시키고 일측에 자루에 끼워지도록 체결홈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0 : 농기구 20 : 자루부
    30 : 괭이패널 40 : 가압너트
    50 : 호미패널 21 : 자루
    21a : 하부봉 21a' : 조명장치
    21b : 상부봉 21c : 고정볼트
    211 : 나사부 22 : 지지패널
    221 : 고정돌기 31 : 고정홀
    32 : 끼움홈 33 : 갈고리
    51 : 체결홀 52 : 설치홈
    53 : 호미날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