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용도 농기구

申请号 KR2020120003114 申请日 2012-04-17 公开(公告)号 KR200463474Y1 公开(公告)日 2012-11-05
申请人 이석호; 조금연; 이지미; 이구호; 박재희; 이남성; 发明人 이석호; 조금연; 이지미; 이구호; 박재희; 이남성;
摘要 본 고안은 하나의 농기구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농기구 구매 비용을 절감토록 하며, 각 농기구의 특성에 맞게 자루의 길이 및 손잡이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중간부에 다단의 길이조절구가 구비되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자루와; 자루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자루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삽 또는 괭이를 형성하는 제1 농기구형성부와; 자루의 일단부에 제1 농기구형성부 위치와 간섭되지 않게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제1 농기구형성부 반대측에 위치되어 쇠스랑 또는 포크를 형성하는 제2 농기구형성부와; 자루의 타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자루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2 고정구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형성부로 구성된 것이다.
权利要求
  • 중간부에 다단의 길이조절구가 구비되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자루;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삽 또는 괭이를 형성하는 제1 농기구형성부;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 위치와 간섭되지 않게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 반대측에 위치되어 쇠스랑 또는 포크를 형성하는 제2 농기구형성부; 상기 자루의 타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2 고정구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형성부를 포함하여서 된 다용도 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는, 전체적으로 편평하면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삽형상부로 이루어지고, 그 회전부위에는 상기 제1 고정구와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구접촉면이 직각방향으로 3개 연속 구비되며,
    상기 제2 농기구형성부는, 전체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이루면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날부가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회전부위에는 상기 제1 고정구와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구접촉면이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의 고정구접촉면과는 반대측에 직각방향으로 3개 연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기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형성부는, 상기 자루의 타단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2개의 손잡이대와, 상기 손잡이대 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각 손잡이대 사이에 수용되거나 상기 일측 손잡이대로부터 회전되어 반대측 손잡이대에 연결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연결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가 고정되지 않은 손잡이대에는, 상기 연결대를 수용하는 연결대 수용홈과, 상기 연결대가 수용되면 상기 연결대를 록킹시켜주는 록킹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농기구.
  • 说明书全文

    다용도 농기구{Multipurpose farming tool}

    본 고안은 다용도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농기구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농기구 구매 비용을 절감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사일에 쓰이는 기구는 삽, 괭이, 곡괭이, 쇠스랑, 포크, 호미 등 다양하며, 각각의 농기구는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삽의 경우 땅을 파서 메우거나 흙을 뜨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괭이는 땅을 파거나 흙을 골라 고랑을 내는 용도로 사용되며, 곡괭이는 돌이 포함되어 있는 딱딱한 땅을 파내는 용도로 사용되고, 쇠스랑은 돌이 포함된 흙에서 돌을 고르거나 두엄 등을 끌고 오는 용도로 사용되고, 포크는 두엄 등을 많은 량 한꺼번에 들어 옮길 때 사용되고, 호미는 김을 매거나 감자 고구마 등을 캘 때 좁은 공간에서 미세한 작업을 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농기구는 각각의 용도에 맞게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이나, 농사일이란 어떠한 특정한 작업 하나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작업 중에도 여러가지 변수가 있어 농기구 역시 여러개가 사용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농기구를 개별적으로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고, 또 다양한 종류의 농기구를 구매하기 위한 구매비용 역시 증가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농기구를 휴대하여야 하였으므로 휴대가 불편한 단점도 있는 것이다.

    이를 감안한 군용 야전삽의 경우 일측은 편평한 삽이 구비되고, 일측은 뾰족한 곡괭이가 구비되어 이들의 조립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삽, 괭이, 곡괭이의 역할을 수행토록 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군용 야전삽의 경우 군인의 특성상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자루가 매우 짧아 괭이나 곡괭이로 사용할 때 허리에 부담을 줄 수밖에 없는 것이었으며, 삽으로 사용할 때에도 손잡이가 없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농기구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농기구 구매 비용을 절감토록 하며, 각 농기구의 특성에 맞게 자루의 길이 및 손잡이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농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간부에 다단의 길이조절구가 구비되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자루;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삽 또는 괭이를 형성하는 제1 농기구형성부; 상기 자루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 위치와 간섭되지 않게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 반대측에 위치되어 쇠스랑 또는 포크를 형성하는 제2 농기구형성부; 및 상기 자루의 타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자루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2 고정구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형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는, 전체적으로 편평하면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삽형상부로 이루어지고, 그 회전부위에는 상기 제1 고정구와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구접촉면이 직각방향으로 3개 연속 구비되며, 상기 제2 농기구형성부는, 전체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이루면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날부가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회전부위에는 상기 제1 고정구와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구접촉면이 상기 제1 농기구형성부의 고정구접촉면과는 반대측에 직각방향으로 3개 연속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형성부는, 상기 자루의 타단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2개의 손잡이대와, 상기 손잡이대 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각 손잡이대 사이에 수용되거나 상기 일측 손잡이대로부터 회전되어 반대측 손잡이대에 연결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연결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가 고정되지 않은 손잡이대에는, 상기 연결대를 수용하는 연결대 수용홈과, 상기 연결대가 수용되면 상기 연결대를 록킹시켜주는 록킹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제1 농기구형성부를 자루와 직각방향으로 위치시키면 괭이를 이루게 되고, 제1 농기구형성부를 자루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삽을 이루게 되며, 제2 농기구형성부를 자루와 직각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쇠스랑이 되고, 제2 농기구형성부를 자루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키면 포크가 되어 하나의 농기구로 4개의 농기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각 농기구의 특성에 맞게 자루의 길이를 조정하여 농기구의 사용시 허리가 아프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농기구의 형태에 따라 손잡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사용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는, 작업시 다양한 농기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의 변경시에도 별도의 농기구없이 제1 농기구형성부 또는 제2 농기구형성부의 조립위치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다수의 농기구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괭이 또는 쇠스랑으로 사용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괭이 또는 쇠스랑으로 사용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삽으로 사용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삽으로 사용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의 손잡이 형성시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포크로 사용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포크로 사용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하나의 농기구를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루(10)에 제1 농기구형성부(20)와 제2 농기구형성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자루(10)는 중간부에 다단의 길이조절구(11)가 구비되어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자루(10)는 2중관식으로 구성하고, 길이조절구(11)는 등산용 지팡이 등에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길이조절구를 구비하면 될 것이며, 이외에도 자루(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제1 농기구형성부(20)는, 자루(1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자루(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구(12)에 의해 고정되어 삽 또는 괭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농기구형성부(20)는 전체적으로 편평하면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삽형상부(22)로 이루어지며, 그 회전부위에는 제1 고정구(12)와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구접촉면(21)이 직각방향으로 3개 연속 구비된다.

    제2 농기구 형성부(30)는, 자루(10)의 일단부에 제1 농기구형성부(20) 위치와 간섭되지 않게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제1 농기구형성부(20) 반대측에 위치되어 쇠스랑 또는 포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농기구형성부(30)는, 전체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이루면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날형상부(32)가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회전부위에 제1 고정구(12)와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구접촉면(31)이 제1 농기구형성부(20)의 고정구접촉면(21)과는 반대측에 직각방향으로 3개 연속 구비된다.

    자루(10)의 타단부에는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자루(10)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2 고정구(13)의 위치에 따라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형성부(4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손잡이형성부(40)는, 자루(10)의 타단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2개의 손잡이대(41)와, 손잡이대(41) 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각 손잡이대(41) 사이에 수용되거나 일측 손잡이대(41)로부터 회전되어 반대측 손잡이대(41)에 연결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연결대(42)로 구성되며, 연결대(42)가 고정되지 않은 손잡이대(41)에는, 연결대(42)를 수용하는 연결대 수용홈(43)과, 연결대(42)가 수용되면 연결대(42)를 록킹시켜주는 록킹돌기(4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 고정구(12) 및 제2 고정구(13)는 자루(1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그 상하 위치에 따라 제1 농기구형성부(20) 및 제2 농기구형성부(30)를 고정시켜주거나, 손잡이대(41)의 위치를 벌어지지 않게 고정시켜주게 된다.

    또한, 록킹돌기(44)는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대(42)의 누름시 눌렸다가 연결대(42)가 지나가면 다시 상승하여 연결대(42)의 상부측을 되빠지지 않도록 지지해주고, 사용자가 힘으로 눌러주면 함몰되어 연결대(42)를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될 것이며, 이외에도 연결대(42)를 원터치식으로 록킹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든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고자 하는 작업에 맞게 제1 농기구형성부(20) 또는 제2 농기구형성부(30)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서 제1 고정구(12)를 회전시켜 각 농기구형성부(20)(30)의 고정부접촉면(21)(31)과 밀착?고정시켜주게 되며, 제1 농기구형성부(20)와 제2 농기구형성부(20)를 통해 선택된 농기구의 특성에 맞게 길이조절구(11)를 통해 자루(10)의 길이를 조절해주고, 손잡이가 필요한 경우 손잡이형성부(40)를 통해 손잡이를 형성해주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농기구형성부(20)와 제2 농기구형성부(30)를 자루(10)와 직각방향으로 위치시켜 제1 고정구(12)를 통해 고정하는 경우 괭이와 쇠스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길이조절구(11)를 통해 자루(10)의 길이를 길게 해주어 사용자의 허리에 부담을 주지않도록 하면 된다.

    물론, 이 경우 제2 고정구(13)를 회전시켜 손잡이형성부(40)의 각 손잡이대(41) 사이에 연결대(42)를 수용한 상태에서 각 손잡이대(41)를 벌어지지 않게 밀착시켜주면 된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제1 농기구형성부(20)를 자루(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제2 농기구형성부(30)는 자루방향으로 접어준 후 제1 고정구(12)를 통해 고정하게 되면 삽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길이조절구(11)를 통해 자루(1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해주고, 또 손잡이형성부(40)를 통해 손잡이를 형성해주게 된다.

    손잡이형성부(40)를 통해 손잡이를 형성할 때에는 먼저, 제2 고정구(13)를 회전시켜 각 손잡이대(41)로부터 이탈시킨 후 각 손잡이대(41)를 벌려주고, 일측 손잡이대(4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대(42)를 펼쳐 반대측 손잡이대(41)의 연결대 수용홈(43)에 수용시켜주면 록킹돌기(44)가 자연스럽게 연결대(42)의 상부측에 록킹되어 연결대(42)가 이탈되지 않고 삼각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2 농기구형성부(30)를 자루(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제1 농기구형성부(20)는 자루(10)방향으로 접어준 후 제1 고정구(12)를 통해 고정하게 되면 포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길이조절구(11)를 통해 자루(1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해주면서 손잡이형성부(40)를 통해 손잡이를 형성해주면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삽 또는 포크로 사용하는 경우 자루(10) 안쪽으로 접힌 제1 농기구형성부(20) 또는 제2 농기구 형성부(30)가 사용자의 손과 간섭되어 자칫 상해를 입을 수도 있으므로 자루(10) 중 제1 농기구형성부 또는 제2 농기구형성부와 근접위치에 안전 가드(미도시)를 형성해주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농기구를 삽 또는 포크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손이 안전 가드를 넘지 않도록 하면 상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농기구로 삽, 괭이, 쇠스랑, 포크와 같이 4개의 농기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농기구 특성에 맞게 자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운반시 또는 농기구로 활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루(10)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제1 농기구형성부(20)와 제2 농기구형성부(30)를 모두 자루 안쪽으로 접어주게 되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10 : 자루 11 : 길이조절구
    12 : 제1 고정구 13 : 제2 고정구
    20 : 제1 농기구형성부 21,31 : 고정구접촉면
    22 : 삽형상부 30 : 제2 농기구형성부
    32 : 날형상부 40 : 손잡이형성부
    41 : 손잡이대 42 : 연결대
    43 : 연결대 수용홈 44 : 록킹돌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