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모종봉

申请号 KR2020050024024 申请日 2005-08-20 公开(公告)号 KR200401140Y1 公开(公告)日 2005-11-15
申请人 손주하; 发明人 손주하;
摘要 본 고안은 고추, 오이, 가지 등의 육모를 이식하는 모종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다목적 모종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종작업을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편하게 걸어가면서 할 수 있으며 모종작업에 필요한 삽, 낫 등의 농기구를 갈아 끼우거나 탈,부착이 가능한 다목적 모종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종봉의 양쪽 끝단에 핀구멍을 뚫은 모종봉(10)과; 모종봉의 한쪽 끝에 핀(20)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삽(30)과; 모종봉의 다른 쪽 끝에 연결되며 땅에 육모를 심을 자리를 만들어 주는 모종봉머리(11)와; 모종깊이를 균일하게 하면서 이랑을 덮은 비닐을 뚫어 주는 모종봉날(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权利要求
  • 양쪽 끝단에 핀구멍(13)이 뚫려져서 한 쪽 끝에는 삽(30), 다른 쪽 끝에는 모종봉머리(11) 및 모종봉날(12)을 탈, 부착 시킬 수 있는 모종봉(10); 밑면이 작은 사각기둥 형상의 윗면 중앙에는 모종봉(10)에 삽입되어서 모종봉에 부착 가능하도록 핀구멍(13)이 뚫린 모종봉머리자루(13)가 달린 모종봉머리자국(51)을 내는 모종봉머리(11); 원통형톱날형상으로 되고 중앙에 모종봉(10)이 삽입되는 구멍이 뚫려서 삽입된 모종봉(10)과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모종봉(10)과 맞닿는 부분인 모종봉날머리(15)에 핀구멍이 뚫린 모종봉날(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모종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봉머리(11)는 원기둥 및 다각기둥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모종봉
  • 说明书全文

    다목적 모종봉{omitted}

    본 고안은 삽, 낫, 모종봉머리, 모종봉날이 탈, 부착이 가능한 다목적 모종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종봉의 양쪽 끝에 핀구멍을 뚫어서 한쪽에는 삽, 낫 등 농기구의 탈, 부착이 가능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밭이랑에 고추 등의 육모를 심을 자리를 만들어주는 모종봉머리와, 밭에 나는 풀이 자라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밭이랑에 덮어주는 비닐덮개를 육모가 심어지도록 필요한 만큼 잘라주는 모종봉날이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다목적 모종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성장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에서 소정 크기 및 형상의 모판에, 필요한 작물의 씨앗을 뿌려 모종을 소정 크기로 재배한 후, 상기 모판의 모종을 비닐하우스의 다른 공간이나 외부의 농경지에 이식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종의 이식에 있어서, 종래에는 모종의 종류 예를 들면 수박, 참외, 오이, 가지, 고추 등에 따라 경작지에 적정크기의 이랑을 만든 후, 이랑에 모종이식을 위한 이식홈을 모종삽으로 파내고, 이식홈에 모종을 심은 후 모종과 이식홈 사이의 빈 공간에 모종삽을 이용하여 흙으로 다시 채워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종이식 과정에서는 모종삽으로 이랑에 이식홈을 파내고 모종을 이식홈에 심은 후에 이식홈과 모종사이의 빈 공간에 흙을 채워넣기 위해서 모종삽이 사용되어 왔는데, 모종삽을 사용해서 파낸 이식홈의 크기 및 깊이가 모종의 뿌리부분보다 훨씬 크거나 깊이가 깊어서, 모종을 심은 후에 이식홈에 흙을 채워 넣기가 힘들었으며, 또한 이랑에 덮어씌운 비닐덮개를 모종이 들어가기 위한 알맞은 크기로 자르기 위해서 모종삽을 사용하였는데, 비닐덮개가 잘못 찢어지거나 크기가 모종뿌리둘레보다 훨씬 크고 일정하지가 않아서 작업능률이 떨어지거나 잘못 찢어진 비닐덮개 부분으로 잡풀이 무성하게 자라서 작물 수확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종삽을 이용하여 이식홈을 파내고, 모종을 이식홈에 심은 후에 다시 흙을 덮는 작업과 이랑을 덮은 비닐덮개를 적당한 크기로 자르는 일련의 작업들이 모두 허리를 구부리고 앉아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고생은 많고 노동력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이식작물의 모종작업을 함에 있어서, 풀 등 불필요한 작물이 자라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랑을 덮은 비닐덮개를 모판에서 재배한 이식작물의 뿌리부분의 크기와 비슷하도록 비닐덮개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준 후에 이식홈을 만들어 모종을 심어주어야 하는데, 비닐덮개를 자르는 과정에서 실수로 인하여 비닐덮개가 찢어지거나 잘라낸 비닐덮개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원통형톱날형상의 모종봉날을 모종봉머리의 둘레에 달아서 이식홈을 찍어냄과 동시에 비닐덮개가 자연스럽게 원형으로 잘라지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모종삽을 사용하여 팠던 이식홈의 크기가 모종의 뿌리부분 크기보다 훨씬 커서 모종을 이식홈에 심은 후에 모종뿌리와 이식홈과의 빈 공간을 흙으로 다시 채워주워야 하지만,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모종봉머리를 이랑에 찍어서 이식홈을 찍어 내듯이 만들기 때문에, 이식홈의 크기가 모판에서 빼낸 모종의 뿌리부분과 크기, 둘레 및 깊이가 같아서 이식홈에 모종을 꽂아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로 흙을 채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앴다. 또한 모종삽을 사용하는 종래의 모종작업은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려서 이식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허리와 다리가 아파서 시간도 많이 걸리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작업자가 선채로 걸어가면서 모종봉을 잡고 이랑을 모종머리로 찍어서 이식홈을 만들기 때문에 모종작업도 빨라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밭이랑을 만들고 이랑에 육모를 옮겨 심는 모종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삽, 낫, 모종삽과 같은 농기구가 필요한데,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모종봉의 뒷부분에 핀을 이용하여 삽, 낫 등 기타 필요한 농기구를 접속하거나 탈,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만 있으면 삽, 낫 등의 여러 가지 농기구가 필요없이 하나의 모종봉만으로 많은 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모종봉을 제공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여, 양 끝단에 핀구멍이 뚫려져서 모종봉머리, 모종날, 삽, 낫 등의 탈, 부착이 가능한 모종봉; 모판과 같이 밑면은 작은 사각형이고 윗면은 큰 사각형인 밑면이 작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윗면의 중앙에는 모종봉에 삽입되어서 부착 가능하도록 핀구멍이 뚫린 모종봉머리자루가 달린 모종봉머리; 이랑을 덮는 비닐덮개를 원형으로 자를 수 있도록 원통형톱날 모양으로 되고 중앙에 구멍이 뚫려서 모종봉이 삽입되며 삽입된 모종봉과 탈, 부착이 가능토록 모종봉과 맞닿는 부분인 모종봉날머리에 핀구멍이 뚫린 모종봉날; 모종봉과 삽, 낫, 모종봉머리, 모종봉날을 탈, 부착 시켜주는 핀; 모종봉의 한쪽 끝단에 핀에 의해서 탈, 부착되는 삽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모종봉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30)은 모종봉(10)의 한쪽 끝단에 핀(20)에 의하여 탈, 부착되고 모종봉(10)의 다른 끝단에는 모종봉머리(11)가 삽입되면서, 같은 부분에 모종봉날(12)이 모종봉머리(11)의 둘레를 감싸면서 모종봉(11)과 모종봉머리(11) 및 모종봉날(12)이 한개의 핀(20)에 의하여 연결 및 탈, 부착된다.

    상기 모종봉머리(11)는 밑면이 작은 사각형이고 윗면이 밑면보다 큰 사각기둥형상으로 윗면의 중앙에는 모종봉(10)에 삽입되어 핀(20)에 의하여 모종봉(10)과 연결되도록 가운데 핀구멍(13)이 뚫린 모종봉머리자루(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봉날(12)은 비닐덮개를 원형으로 자를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톱니날이 부착되었으며, 중앙에는 모종봉(10)이 삽입되어 핀(2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핀구멍(13)이 뚫인 원통형상의 모종봉날머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봉(10)을 찍으면 모종봉날(12)에 의하여 비닐덮개가 원형으로 잘라지면서 모종봉머리(11)에 의하여 이랑에 모종봉머리자국(51)이 생겨 모판에서 재배한 육모(60)를 모종봉머리자국(51)에 넣기만 하면 모종작업이 완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봉(10)의 한쪽 끝단에는 삽(30)을 핀(20)으로 연결하고 다른 쪽 끝단에는 모종봉머리(11)와 모종봉날(12)을 핀(20)으로 연결하여 모종봉머리(11)는 모종봉머리자국(51)을 만들어서 육모(60)를 심고 모종봉날(12)은 비닐덮개를 원형으로 자르며, 삽(30)으로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 모종작업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사용자가 선 채로 다목적 모종봉을 사용하여 이식홈을 팔 수 있기 때문에 모종을 심는 작업자들이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식홈에 육모를 심은 후에 흙을 다시 채워 넣어야 하는 이중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비닐덮개를 일정한 크기의 원형으로 자를 수 있다. 또한 모종봉에 삽, 낫 등을 부착할 수 있어서 풀베기, 흙파기 등 여러 가지 작업에도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과 내구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모판에서 빼낸 육모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을 사용한 땅단면도

    도 7은 보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을 사용한 모종작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모종봉 11 : 모종봉머리

    12 : 모종봉날 13 : 핀구멍

    14 : 모종봉머리자루 15 : 모종봉날머리

    20 : 핀 30 : 삽

    40 : 낫 50 : 땅

    51 : 모종봉머리자국 52 : 모종봉날자국

    60 : 육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