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괭이

申请号 KR1020120132439 申请日 2012-11-21 公开(公告)号 KR1020140065195A 公开(公告)日 2014-05-29
申请人 최문호; 发明人 최문호;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oe with which various tasks can be performed. The multi-functional hoe comprises: a hoe stick formed to be in a certain length; a first hoe blade part which is join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hoe stick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aking tines arranged in a row on one side of the rake stick to rake the soil; and a second hoe blade part which is arranged to be inclined against a plate surface of the first hoe blade part forming a certain angle, is wider than the first hoe blade part, and rake the soil. Therefore, the multi-functional hoe having blades in the various shapes can be used for various tasks using one hoe and thus satisfies users′ needs.
权利要求
  •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관상의 괭이자루와;
    상기 괭이자루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면에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토양을 솎아내는 복수의 솎아내기용 갈퀴가 형성된 제1괭이날부와, 상기 제1괭이날부의 판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괭이날부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토양을 고르는 제2괭이날부로 이루어진 괭이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괭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괭이날부의 일측면에는 그 단부가 뽀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토양을 파는데 사용되는 흙파기용 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괭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괭이날부와 대향측의 상기 제2괭이날부 단부는 토양에 포함된 이물질을 자를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칼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괭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괭이날부와 상기 제2괭이날부는 동일한 평면상에 평평하게 구비되지 않고 상호 일정 각을 이루도록 상기 괭이날의 폭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괭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괭이자루와 상기 괭이날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괭이.
  • 说明书全文

    멀티괭이{MULTI-HOE}

    본 발명은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괭이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괭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선조시대때부터 밭농사와 논농사가 주요 업으로 생활되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 시대에서는 경제의 발달로 밭농사나 논농사를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요즘들어 전반적인 경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농촌으로 귀농하는 가족들이 늘어나면서 농사로 생활을 해나가야 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농기계의 발달로 대부분의 농가에서 기계화의 추세로 가고 있으나 농기계를 구입하거나 빌릴 경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괭이나 삽,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해야 되고 또한, 지형의 여건상 농기계를 사용할 수 없는 곳이 많아 괭이 등의 농기구로 전답(田畓)을 일구게 된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괭이는 단순히 흙을 파거나 아니면 골을 파는 일들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괭이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괭이(10)의 괭이날(20) 내측부에 자루(30)를 용접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괭이(10)의 경우에는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단일개의 괭이날(20)이 구비되어 있을 뿐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흙을 파거나 혹은 골을 파는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구를 다양하게 바꿔가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농기구를 마련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일이 형태가 다른 농기구로 바꿔 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감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괭이에 다양한 형태의 날을 구비하도록 하여 하나의 괭이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멀티괭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괭이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관상의 괭이자루와; 상기 괭이자루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면에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토양을 솎아내는 복수의 솎아내기용 갈퀴가 형성된 제1괭이날부와, 상기 제1괭이날부의 판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괭이날부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토양을 고르는 제2괭이날부로 이루어진 괭이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괭이날부의 일측면에는 그 단부가 뽀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토양을 파는데 사용되는 흙파기용 돌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괭이날부와 대향측의 상기 제2괭이날부 단부는 토양에 포함된 이물질을 자를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칼날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괭이날부와 상기 제2괭이날부는 동일한 평면상에 평평하게 구비되지 않고 상호 일정 각을 이루도록 상기 괭이날의 폭 방향을 따라 중앙 영역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괭이자루와 상기 괭이날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괭이는 하나의 괭이에 다양한 형태의 날을 구비하도록 하여 하나의 괭이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괭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괭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괭이날을 뒤집어 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괭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괭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괭이날을 뒤집어 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괭이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관상의 괭이자루(100)와, 괭이자루(10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면에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토양을 솎아내는 복수의 솎아내기용 갈퀴가 형성된 제1괭이날부(210)와, 제1괭이날부(210)의 판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괭이날부(210)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토양을 고르는 제2괭이날부(220)로 이루어진 괭이날(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괭이자루(100)는 작업자가 괭이날(200)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손으로 잡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키에 따라 괭이날(200)을 이용하여 작업하기에 알맞은 길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관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괭이자루(100)가 중공이 형성된 관상으로 형성된 것은 무게를 줄여서 작업자가 작업시에 피로감을 적게 느끼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괭이자루(100)는 녹이 슬거나 혹은 강도가 약하여 작업시에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괭이날(200)은 직접적으로 토양이나 지반과 접촉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부분으로 제1괭이날부(210)와 제2괭이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괭이날부(210)는 빗살 형태의 솎아내기용 갈퀴가 괭이날(200)의 폭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 부분으로써 그 단부는 토양이나 지반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뽀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괭이날부(210)와 대향측에는 제2괭이날부(220)가 구비되는데 제1괭이날부(210)와 제2괭이날부(220)는 동일한 평면상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중앙 영역이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제2괭이날부(220)의 일측면에는 그 단부가 뽀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토양을 파는데 사용되는 흙파기용 돌부(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흙파기용 돌부(221)에 의하여 제2괭이날부(220)의 일측 길이가 제1괭이날부(2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괭이날부(100)의 날을 이용해서는 좁은 지형에 흙 고르기나 혹은 골 고르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괭이나부(200)의 날을 이용해서는 넓은 지형에 흙 고르기나 혹은 골 고르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괭이날부(200)의 단부는 토양에 포함된 이물질을 자를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칼날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괭이날(200)은 괭이자루(100)와 마찬가지로 녹이 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괭이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하나의 멀티괭이로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도구의 변경 없이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인해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멀티괭이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괭이자루 200 : 괭이날
    210 : 제1괭이날부 220 : 제2괭이날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