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에 날이 형성된 호미

申请号 KR1020090022441 申请日 2009-03-17 公开(公告)号 KR1020100104193A 公开(公告)日 2010-09-29
申请人 서정원; 发明人 서정원;
摘要 PURPOSE: A weeding hoe having a blade is provided, which allows comfortable used of a blade and enables digging and turning upside down soil. CONSTITUTION: A weeding hoe having a blade comprises: a body(10) in which a stem(11) and a blade(12) are formed; and a handle(20) connected to the body. The blade has a sharp end and wide top of reverse triangle shape. In one side of the blade, an edge(13)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ody, a curvature portion(14) is formed so that a valley can be formed to make use of the weeding hoe convenient.
权利要求
  • 자루(20)의 일단에는 손잡이(11)가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쇠날(12)이 형성된 몸체(10)가 이루어지고, 또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은 칼날(13)이 형성된 호미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골이 형성되게 만곡부(1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
  • 说明书全文

    등에 날이 형성된 호미{Weeding hoe having a blade}

    본 발명은 등에 날이 형성된 호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등에 칼날을 형성하고 사용시에 편리하도록 몸체의 중앙부에 오목한 골이 형성되게 만곡부가 이루어진 호미에 관한 것이다.

    호미는 주로 밭농사에 이용되는 농기구로서, 작물과 함께 성장하는 잡초를 파내어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호미는 자루와 일체로 형성된 쇠날과, 자루와 결합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쇠날의 모양은 사용되는 지방의 자연적인 조건·토질·농작물에 따라 형태가 약간씩 다르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쇠날은 통상 끝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자루는 쇠날의 윗부분으로부터 약간 휘어지게 연장되어 있고, 그 끝은 손잡이로 이용하기 위한 둥근 나무토막을 박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호미는 오랜 시간 동안 큰 개선 없이 사용되고 있는데, 토질이 무른 농경지에서 잡초가 크게 자라기 전에 잡초를 파내서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런데 토질이 딱딱한 농경지에서 잡초의 뿌리가 깊고, 굵을 경우

    에는 쇠날의 끝 부분으로 크게 성장한 잡초를 파내서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함이 있다. 또 한, 토질이 무른 농경지라 하더라도, 자주 김을 매지 않은 경우에는 뿌리가 깊고 성장이 빠른 잡초가 간혹 있는데, 이를 종전의 호미의 쇠날 끝으로 찍거나 파내서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전답 작물에 대해 비닐로 덮어 씌어 재배하는 경우 전답과 비닐 사이에서 자라는 잡초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낫 형태로 양쪽에 날을 형성한 농기구가 공개 실용신안 1999-0035223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농기구는 통상의 호미의 주요 기능인 흙을 파고, 뒤엎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구조로서 그 이용 분야가 제한되어 있다.

    그리하여 실용신안등록 20-0272871호의 호미가 고안되었지만, 상기 호미는 단지 몸체의 일 측면에 칼날만 형성하였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불편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흙을 파고 뒤엎을 수 있으면서도, 절단기능을 갖춘 호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절단기능을 갖도록 몸체의 등에 형성된 칼날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의 중앙부에 골이 형성되게 만곡부가 이루어지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루(20)의 일단에는 손잡이(11)가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쇠날(12)이 형성된 몸체(10)가 이루어지고, 또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은 칼날(13)이 형성된 호미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골이 형성되게 만곡부(1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칼날을 갖는 호미는 잡초를 파내거나 씨를 심기 위해 흙을 파내는 통상의 작업기능 이외에도 잡초를 절단할 수 있어 잡초 제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또 몸체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한 만곡부는 호미의 사용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몸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미의 몸체에 만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호미는 자루(11), 쇠날(12)이 형성된 몸체(10)와 손잡이(20)를 구비한다. 쇠날(12)은 끝이 뽀족하고 위가 넓은 역삼각 형태와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다. 쇠날(12)의 일 측면에는 칼날(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의 중앙부에는 호미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골이 형성되게 만곡부(14)가 형성된다.

    자루(20)는 통상의 구조로 쇠날(12)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게 약간 휘어져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20)가 결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20)가 결합되는 자루(11)의 일정길이 부분은 손잡이 삽입에 용이하게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하되, 손잡이 삽입후 그 끝단은 손잡이(20)의 이탈을 억제시키도록 절곡시킨다. 손잡이(20)는 통상 원형의 나무소재가 적용된다.

    이러한 호미는 자루(11)와 칼날(13)을 갖는 쇠날(12)을 금속소재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 단조공정을 통해 자루(20)와 쇠날(12)을 형성하고, 쇠날(12)의 측면에 칼날(13)을 갖도록 형성하면 된 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호미를 사용하기 위한 실시 예는, 호미의 손잡이(20)를 잡고 쇠날(12)을 이용하여 땅을 파서 씨를 심거나 잡초를 파내면서 농사일을 본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흙속에 깊이 심어져 있는 잡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잡초의 뿌리를 제거하고자 할 때,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칼날(13)을 이용하여 잡초의 뿌리를 절단하면서 밭을 일구어 가면 된다.

    이때 몸체(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만곡부(14)에 의해 쇠날(12)과 칼날(13)이 수평이 아니기 때문에 호미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미의 몸체에 만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부호설명

    10. 몸체 11. 자루

    12. 쇠날 13. 칼날

    14. 만곡부 20. 손잡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