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

申请号 KR1020080026095 申请日 2008-03-21 公开(公告)号 KR1020090100727A 公开(公告)日 2009-09-24
申请人 최상열; 안광순; 发明人 최상열; 안광순; 김영규;
摘要 PURPOSE: A multifunctional farm implement is provided to simply change a direction to do another work when a worker requires to exchange a farm implement for another one. CONSTITUTION: A multifunctional farm implement comprises the following units. One end of a stick(3) is fixed to a fixture(2) adhered to a plate-like working member(1). A rake(10), scythe(20), weeding hoe(30), and shovel(4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 of the working member. The fixture is arranged in the centroid of the working member. The working member is 1.0-2.0mm in thickness. The rake is formed by curving a reinforcing member upward and downward in the center of each rake blade.
权利要求
  • 밭농사를 하기 위하여 판체 형의 작업부재(1)에 부착된 고정구(2)에 자루(3)의 끝단부를 고정하여서 된 공지의 농기구에 있어서,
    갈퀴(10)와 낫(20)과 호미(30)와 복토용 삽(40)를 상기 작업부재(1)의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하며, 작업부재(1)의 무게 중심부에 상기 고정구(2)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재(1)는 그 두께를 1.0 ~ 2.0 mm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10)는 각각의 갈퀴날(11) 중앙부에 상하 방향의 보강부(12)를 절곡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30)와 복토용 삽(40)는 그 폭(W2)(W3)을 갈퀴(10)의 폭(W1)에 대하여 1:1:1.5 ~ 1:1:2.5의 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는 그 내측에 끼움공간부(51)와 걸림턱(52) 및 회동공간부(53)를 입구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자루(3)의 끝단부에 절곡부(61)와 끼움부(62)와 걸림부(63)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서, 끼움공간부(51)에 끼움부(62)가 패킹(54)에 의하여 긴밀하게 결합 되면서 걸림턱(52)에 걸림부(63)가 위치되고 회동공간부(53)에 설치된 스프링(55)에 의하여 걸림부(63)의 끝단부가 탄력있게 지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
  • 说明书全文

    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a farm implement possessed function of a large number}

    본 발명은 밭 농사를 하기 위한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갈퀴, 낫, 호미, 복토용 삽를 일체로 형성하여 하나의 농기구로써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밭농사를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이 구비된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농사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기구는 흙을 고르면서 돌멩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갈퀴, 작은 고랑 파기와 흙덩어리 파쇄를 위한 호미, 흙을 평탄하게 하고 흙을 덮는 복토용 삽, 나무뿌리나 잡초를 잘라내기 위한 낫 등이 알려져 있다.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상기 농기구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만들어지고 각각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밭농사를 할 때 각각의 농기구를 챙기고 사용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있어서, 결국 작업의 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근래에는 농업분야의 시대적 변화에 따라 국내의 영농자가 고령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대규모 영농지는 기계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규모의 밭, 또는 작물의 성장 이후에 실시되는 밭 관리는 대부분 노동력에 의존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밭농사에 사용되는 농기구는 갈퀴, 호미, 낫, 삽 등으로서, 그 기능과 구조가 극히 단순하고 한정될 뿐 아니라, 각각 개별적으로 만들어진 것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첫째, 밭 농사를 할 때, 밭의 상태나 여건에 따라 특정 기능의 농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때 일정 농기구를 사용하다 작업 여건이 변화되어 다른 농기구를 사용하고저 할 경우, 다른 농기구를 찾아서 다시 작업 자세를 갖추어야 됨으로 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맥이 끊어지므로 결국 능률이 저하되었다.

    둘째, 밭농사는 주로 이동하면서 작업이 진행되는 것으로서, 작업 중에 다른 농기구가 필요할 경우, 다른 농기구가 보관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야 됨으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될 뿐 아니라, 수풀 등이 우거진 곳에서는 농기구의 보관 장소를 찾지 못하여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밭농사를 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농기구는 물론, 비료나 각종 도구들을 소지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 되며, 이때 각각의 농기구들이 그 부피와 무게를 주로 차지하므로 여러 종류의 농기구들을 일일이 운반하고 취급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특히 고령자들의 경우에는 농기구가 큰 부담이 되었다.

    종래에 개발된 것으로서, 삽과 곡괭이를 일체로 구성하고 하나의 기구로써 두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작업도구가 있으나, 이는 휴대용으로 소형화 및 간편성을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다양한 기능이 필요한 농기구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즉, 농기구는 삽과 곡괭이의 두 가지 기능으로 만으로는 그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없고, 갈퀴와 낫 등의 추가 기능이 필요하나, 상기한 종래의 작업도구는 단지 두 가지 기능밖에 할 수 없으므로 농기구로써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하나의 농기구에 여러 기능을 부가하여 밭농사 작업 중에 농기구를 바꾸어야 할 경우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하면 다른 기능의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진행이 끊기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결국 작업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 중 다른 농기구가 필요한 경우, 보관 장소로 이동하거나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농기구의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휴대 및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밭농사를 하기 위하여 판체 형의 작업부재에 고정구를 부착하고 고정구에 자루의 끝단부를 고정하여서 된 공지의 농기구에 있어서, 갈퀴와 낫과 호미와 복토용 삽을 상기 작업부재의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하며, 작업부재의 무게중심부에 상기 고정구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작업부재에 다수의 기능이 일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작업 자가 방향을 전환하면 간단하게 필요한 기능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 별개로 구성된 각각의 농기구를 일일이 바꾸어 사용하는 재래식 방법에 비하여 작업시간과 노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기구는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노인이나 부녀자들도 간편하게 취급 및 휴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항시 휴대가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필요한 농기구를 찾기 위하여 장소를 이동하는 번거로움 없이 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농기구의 구조와 사용 습관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쉽게 농업현장에 적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4는 도 3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형의 작업부재(1)를 구성하여 원통형의 고정구(2)를 작업부재(1)의 일측에 고정하며, 좌우 길이가 긴 막대형의 자루(3)의 끝단부를 고정구(2)에 끼워 고정한다.

    상기 작업부재(1)는 하방에 갈퀴(10)를 형성하고 상부에 낫(20)을 형성하며, 좌우에 각각 호미(30)와 복토용 삽(40)를 형성한다.

    상기 작업부재(1)는 그 두께를 1.0 ~ 2.0 mm로 형성한다. 이러한 작업부재(1)의 두께가 1,0 mm 이하가 되면 작업시 저항이나 충격에 의하여 변형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2.0 mm가 초과 되면 중량이 무거워져 취급이 불편하다.

    상기 갈퀴(10)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갈퀴날(11)을 형성하고 각각의 갈퀴날(11)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의 보강부(12)를 절곡 형성하며, 이러한 보강부(12)는 상기 작업부재(1)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구조적으로 변형의 우려가 있는 보강부(1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낫(20)은 외곽부에 칼날(21)을 형성하며, 칼날(21)의 형상을 원호상으로 형성하여 작업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호미(30)의 폭(W2)과 복토용 삽(W3)의 폭은 갈퀴(10)의 폭(W1)에 대하여 1(W2):1(W3):1.5(W1) ~ 1(W2):1(W3):2.5(W1)로 구성하며, 갈퀴(10) 폭(W1)의 비율이 1.5 미만이 되면 갈퀴날(11)의 갯 수가 적어져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호미(30)와 복토용 삽(40)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져서 전체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고, 갈퀴(10) 폭(W1)의 비율이 2.5를 초과하면 호미(30)와 복토용 삽(40)의 면적이 작아져 그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호미(30)의 폭(W2)과 복토용 삽(40)의 폭(W2) 및 갈퀴(10)의 폭(W1)은 그 구성 비율을 1: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허용범위로서 1:1:1.5 ~ 1:1:2.5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루(3)가 결합 되는 고정구(2)는 작업부재(1)의 무게 중심부에 고정하여 작업에 따라 작업부재(1)의 방향을 전환하여도 항시 작업부재(1)의 균 형이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부재(1)의 상하좌우에 구성된 갈퀴(10),낫(20),호미(30),복토용 삽(40)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밭농사를 하는 것으로서, 갈퀴(10)는 흙을 긁으면서 돌멩이 등의 이물질을 골라내는 기능을 하고, 낫(20)은 잡초나 나무뿌리를 절단하거나 평탄작업을 하고, 호미(30)는 작은 고랑을 파거나 흙을 파쇄하는 작업을 하고, 복토용 삽(40)은 고랑을 흙으로 덮거나 땅을 파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각각 부위의 고유 기능은 공지된 방법이며,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밭농사를 위하여 작업과정에서 일정한 작업을 하다가 작업조건이 변화되어 다른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 작업부재(1)의 방향을 전환하면 쉽게 필요한 기능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서, 갈퀴(10)로 흙을 고르면서 돌멩이 등을 골라내는 작업을 하다가 나무뿌리가 발견되어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자루(3)를 돌려 작업부재(1)의 방향을 상하로 전환하여 낫(20)이 하방으로 향하게 한 후에 나무뿌리의 절단 작업을 하며, 또한 잡초 뿌리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는 직각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호미(30)가 하방으로 향하게 한 후에 잡초 제거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밭농사의 작업 과정 중에서 작업 여건이나 필요에 따라서 각각 기능의 농기구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 종래와 같이, 일일이 농기구 자체를 바꾸어야 되는 번거로움 없이 하나의 농기구로써 작업부재(1)의 방향을 전환하면 간단하게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부재(1)의 무게 중심부에 자루(3)의 끝단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부재(1)의 방향을 전환하여도 항시 전체 균형이 유지된다. 즉 작업하고자 하는 부위가 하방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불의하게 좌우 균형이 잡히지 않아 흔들리는 일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갈퀴(10)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에 갈퀴날(11)은 전후 방향의 하중을 받으면 변형되기 쉬운 구조적 결함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갈퀴날(11)의 중앙부가 보강부(12)를 절곡 형성하였다.

    이러한 보강부(12)는 작업부재(1)의 전체 두께와 중량을 최소화하면서 갈퀴날(11)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3과 도 4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부재(1)의 중앙에 고정된 고정구(50)의 내측에 끼움공간부(51)와 걸림턱(52) 및 회동공간부(53)를 입구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자루(60)의 끝단부에 절곡부(61)와 끼움부(62)와 걸림부(63)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서, 끼움공간부(51)에 끼움부(62)가 패킹(54)에 의하여 긴밀하게 결합 되면서 걸림턱(52)에 걸림부(63)가 위치되고 회동공간부(53)에 설치된 스프링(55)에 의하여 걸림부(63)의 끝단부가 탄력 있게 지지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 예는 작업부재(1)의 방향을 전환하여 필요한 기능의 부위가 하방에 위치될 때에 무게 중심이 하방에 치중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된 자세가 유지될 뿐 아니라, 필요한 기능의 상하 공간이 확보되어 작업 공간이 보다 확장 되도록 하는 데 있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으로 경사진 절곡부(61)에 의하여 자루(3)가 작업부재(1)의 무게 중심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필요한 기능이 수행되는 부위는 하방에 위치되면서 무게 중심이 하방으로 치중되므로 적은 힘으로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자루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작업부재(1)의 흔들림 없이 안정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작업부재(1)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루(3)를 작업부재(1) 방향으로 밀면 사각형의 걸림부(63)가 걸림턱(52)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공간부(53)에 위치되며, 이때 원하는 방향으로 자루(3)를 전환 시킨 후에 자루(3)에 가해진 미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55)의 복원력에 의하여 걸림부(63)가 원위치 되면서 걸림턱(52)에 지지 되므로 간단하게 조작하여 원하는 부위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과 실시 예는 기존의 농기구의 구조나 사용 습관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종래 농기구의 기능을 하나의 기구에 통합 구성하여서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농업분야에 쉽게 적용하여서 노동력 감소에 따른 현대의 농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작업부재 2 :고정구 3 :자루

    10:갈퀴 11:갈퀴날 12:보강부

    20:낫 30:호미 40:복토용 삽

    51:끼움공간부 52:걸림턱 53:회동공간부

    54:패킹 55:스프링 61:절곡부 62:끼움부 63:걸림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