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 점파기장치

申请号 KR1020120148170 申请日 2012-12-18 公开(公告)号 KR101280467B1 公开(公告)日 2013-07-08
申请人 김순배; 发明人 김순배;
摘要 PURPOSE: A seed planting device removing soil is provided to reduce work time and to increase labor efficiency as a worker stays up straight for a long time while working for a long time without need of folding a body by selectively and safely placing seed, water, or fertilizer with the seed planting device after making a supply pipe be placed in a hole formed by applying downward pressure onto soil furrow covered by plastic. CONSTITUTION: A seed planting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10) in which a handle (11) is installed in an upper part allowing detachment, in which a cylinder (13) with an extended diameter is equipped to enable accommodation of a covering plastic and soil in a lower part, and in which a binding ring (15) is prepar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 vertical movement member in which an upper part is exposed to an upper external part of a main body, a lower part is accommodated in a cylinder and the lower part is elastically drawn in and out to the lower external part of the cylinder according to applied pressure; ;a counting member (30) which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which counts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movement member being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member; a supplying pipe member (40) which is positioned in the binding ring selectively penetrating with an internal area pierced to enable selective supply of seed, water or fertilizer and which is formed to be a cylindrical shape with open left and right ends ; a tape measure member (50) which is equipped in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which comes in and ou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ground; and a needle member (60) which is separately arranged in a side of the main body, in which a lower part is fixed being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an upper part is fixed on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being detachable.
权利要求
  •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측에는 포장비닐 및 토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내경을 갖는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 하측에는 각각 체결링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상측을 향해 탄성바이어스 되며 상단 측은 상기 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하단 측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 측의 가압 여부에 따라 하단 측이 상기 실린더 하부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출납되는 수직이동부재;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수직이동 횟수가 카운팅 되는 카운팅부재;
    상기 체결링 내에 선택적으로 관통 위치되되 씨앗, 물, 비료의 선택적 공급이 가능하도록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급관부재;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인, 출입 되는 줄자부재;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이격 위치되되 하측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비닐수집용 침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포장비닐이 절단될 수 있도록 그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선형의 막대와, 상기 막대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향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내측에 수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절단된 포장비닐이 관통되어 1차 수집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선단 양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 내에 관통 1차 수집된 포장비닐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스톤을 하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 1 스프링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재는 상기 본체 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슬릿을 통해 상기 수직이동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핀 부재와 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하강시 잡아당겨지는 와이어에 의해 수직이동 횟수가 기계적으로 카운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침부재는 상기 본체와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위치되되 하단 측은 상기 본체 측으로 절곡되어 고정체결되고 상단 측은 상기 본체 측에 구비된 고정클립과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되며 포장비닐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 내에 수집된 포장비닐이 2차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수직이동부재 상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면 사이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 2 스프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수직이동부재 측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하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일측 손잡이에 고정되는 로프부재가 구비되고, 양단에 고정후크가 마련된 어깨띠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로프부재를 이용해 수직이동부재를 위치고정시킨 뒤 작업자가 상기 실린더 내에 1차 수집된 포장비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양측의 고정후크를 토사 점파기장치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상기 토사 점파기장치를 어깨에 들쳐 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부재 상부에는 작업자가 등에 매고 작업 가능한 휴대용 물탱크의 호스부재가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며 밸브의 제어 여부에 따라 상기 호스부재를 통해 물의 공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
  • 说明书全文

    토사 점파기장치{HOLE DRIVER OF SEEDLING}

    본 발명은 토사 점파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에 의해 포장된 토사 이랑에 하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포장비닐 및 토사가 일시에 제거됨으로써 씨앗을 심을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동시에 형성된 구멍 안에 공급관이 삽입되도록 한 뒤 씨앗, 물, 비료가 선택적으로 안전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편 상태로 장시간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됨은 물론 노동효율이 증대되며, 제거된 포장비닐은 고정핀과 침부재 내에 차례로 수집할 수 있어 후처리가 용이하며, 줄자가 구비되어 있어 식물이 생장하는데 적합한 간격마다 구멍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토사 점파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모종작업을 함에 있어서 이랑을 덮은 포장비닐에 구멍을 뚫고, 구멍 뚫은 부위에 호미로 구멍을 판 다음, 판 구멍에 모를 넣고 흙을 긁어 덮는 순서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모종작업은 다양한 도구를 이용해서 다수의 단계를 거쳐야 함은 물론 작업자의 구멍 형성의 간격을 눈대중 또는 줄자와 같은 별도의 기준 수단을 이용해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구멍을 파고, 씨앗을 심고, 물을 주고, 비료를 주는 모든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작업자가 선 자세와 앉은 자세를 반복해가며 장시간 작업을 진행해야 함에 따라 쉽사리 피로해 짐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효율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에 의해 포장된 토사 이랑에 하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포장비닐 및 토사가 일시에 제거됨으로써 씨앗을 심을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동시에 형성된 구멍 안에 공급관이 삽입되도록 한 뒤 씨앗, 물, 비료가 선택적으로 안전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편 상태로 장시간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됨은 물론 노동효율이 증대되며, 제거된 포장비닐은 고정핀과 침부재 내에 차례로 수집할 수 있어 후처리가 용이하며, 줄자가 구비되어 있어 식물이 생장하는데 적합한 간격마다 구멍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토사 점파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측에는 포장비닐 및 토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내경을 갖는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 하측에는 각각 체결링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상측을 향해 탄성바이어스 되며 상단 측은 상기 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하단 측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 측의 가압 여부에 따라 하단 측이 상기 실린더 하부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출납되는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수직이동 횟수가 카운팅 되는 카운팅부재와, 상기 체결링 내에 선택적으로 관통 위치되되 씨앗, 물, 비료의 선택적 공급이 가능� ��도록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급관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인, 출입 되는 줄자부재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이격 위치되되 하측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비닐수집용 침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점파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는 포장비닐이 절단될 수 있도록 그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선형의 막대와, 상기 막대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향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내측에 수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절단된 포장비닐이 관통되어 1차 수집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선단 양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 내에 관통 1차 수집된 포장비닐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스톤을 하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 1 스프링부재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운팅부재는 상기 본체 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슬릿을 통해 상기 수직이동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핀 부재와 와이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하강시 잡아당겨지는 와이어에 의해 수직이동 횟수가 기계적으로 카운팅 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침부재는 상기 본체와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위치되되 하단 측은 상기 본체 측으로 절곡되어 고정체결되고 상단 측은 상기 본체 측에 구비된 고정클립과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되며 포장비닐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침부재 내에 수집된 포장비닐이 2차 수집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수직이동부재 상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면 사이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 2 스프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수직이동부재 측에는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하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일측 손잡이에 고정되는 로프부재가 구비되고, 양단에 고정후크가 마련된 어깨띠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로프부재를 이용해 수직이동부재를 위치고정시킨 뒤 작업자가 상기 실린더 내에 1차 수집된 포장비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양측의 고정후크를 토사 점파기장치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상기 토사 점파기장치를 어깨에 들쳐 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부재 상부에는 작업자가 등에 매고 작업 가능한 휴대용 물탱크의 호스부재가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며 밸브의 제어 여부에 따라 상기 호스부재를 통해 물의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에 따르면 첫째, 비닐에 의해 포장된 토사 이랑에 하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포장비닐 및 토사가 일시에 제거됨으로써 씨앗을 심을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동시에 형성된 구멍 안에 공급관이 삽입되도록 한 뒤 씨앗, 물, 비료가 선택적으로 안전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편 상태로 장시간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됨은 물론 노동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제거된 포장비닐은 고정핀과 침부재 내에 차례로 수집할 수 있어 후처리가 용이하며 아울러 줄자가 구비되어 있어 식물이 생장하는데 적합한 간격마다 구멍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의 작동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점파기 장치의 작동도.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의 작동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점파기 장치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6a 내지 도 6g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1)는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1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측에는 포장비닐(100) 및 토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내경을 갖는 실린더(13)가 구비되고 상, 하측에는 각각 체결링(15)이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상측을 향해 탄성바이어스 되며 상단 측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하단 측은 상기 실린더(13)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 측의 가압 여부에 따라 하단 측이 상기 실린더(13) 하부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출납되는 수직이동부재(20)와, 상기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20)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20)의 수직이동 횟수가 카운팅 되는 카운팅부재(30)와, 상기 체 결링(15) 내에 선택적으로 관통 위치되되 씨앗(110), 물, 비료의 선택적 공급이 가능하도록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급관부재(4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인, 출입 되는 줄자부재(50)와,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이격 위치되되 하측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비닐수집용 침부재(6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체(10)는 토사 점파기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과 수직 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손잡이(1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되 하측에는 포장비닐(100) 및 토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내경을 갖는 실린더(13)가 구비되고 상, 하측에는 각각 체결링(15)이 마련된다.

    전술한 손잡이(11)는 본체(10) 상측 양방향에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나사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손잡이(11)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토사를 행해 실린더(13)가 가압되도록 하는 역할과 추후에 설명될 로프부재(70)가 끼워져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린더(13)는 본체(10)와 연통되고 추후에 설명될 수직이동부재(20)의 출납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그 내경은 본체(10)에 비해 확장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실린더(13)의 내경은 토사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는바 토사에 심어지는 식물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실린더(13) 중 한 개를 본체(10) 하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체(10)와 실린더(13)의 결합방법은 나사결합, 압입결합 등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 방법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하며 전술한 실린더(13)는 포장비닐(100)이 절단되고 동시에 토사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그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체결링(15)은 추후에 설명될 공급관부재(40)가 끼워지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급관부재(4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동일방향으로 상, 하측에 각각 한 개씩 연결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체결링(15) 상에는 조임 여부에 따라 출납 가능한 조임나사(15a)가 구비되어 있어 조임 여부에 따라 내측에 끼워진 공급관부재(40)를 고정해 줄 수 있다. 그런데 공급관부재(40)는 하나의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구경이 큰 하측의 공급관부재(40)와 구경이 이보다 작아 하측의 공급관부재(40) 상단 내측에 그 하단이 삽입 연결되는 상측의 공급관부재(40)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의 공급관부재(40)는 상측 체결링(15) 내에 조임나사(15a)에 의해 고정되고, 하측의 공급관부재(40)는 하측 체결링(15) 내에 조임나사(15a)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어 본체(10)의 실린더(13)가 토사 내로 유입될 시에 하측의 공급관부재(40)는 하측 체결링(15) 내에서 토사에 밀려 상측으로 이동되었다가 구멍형성이 완료되어 본체(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공급관부재(40)의 자중에 의해 다시 원위치 된다. 이와 같은 공급관부재(40) 상에는 공급관 부재가 체결링(15) 내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외주연에 하측 체결링(15) 상단에 지지되는 걸림돌기(4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체결링(15)은 공급관부재(40)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체결링(15)으로 교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내측에는 수직이동부재(20)가 수직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데 이 수직이동부재(20)는 토사 측에 피스톤(23)이 가압 될 시에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 될 시에는 실린더(13) 내에 수용된 피스톤(23)을 실린더(13) 외측으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실린더(13) 내에 수용된 토사가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하며 또한 일정 수량 이상 수집된 포장비닐(100)이 고정핀(25) 내에서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이동부재(20)는, 본체(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선형의 막대(21)와, 막대(21)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향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실린더(13) 내측에 수용되는 피스톤(23)과, 피스톤(23)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실린더(13)에 의해 절단된 포장비닐(100)이 관통되어 1차 수집되는 고정핀(25)과, 고정핀(25)의 선단 양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고정핀(25) 내에 관통 1차 수집된 포장비닐(100)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돌기(27)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피스톤을 하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 1 스프링부재가 포함된다.

    전술한 수직이동부재(20)는 본체(10)의 내측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되 제 1 스프링부재(23a)에 의해서 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추후에 설명될 제 2 스프링부재(17)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즉, 사용자가 토사 이랑(120)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실린더(13) 부분을 토사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실린더(13) 내부의 피스톤(23)이 토사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나 이동되며 이때 제 1 스프링부재(23a)가 수축되면서 토사의 일부가 실린더(13) 내부에 충전된다. 구멍 형성이 종료되어 실린더(13)를 토사 외부로 이동시키면 수축되어있던 제 1 스프링부재(23a)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며 피스톤(23)을 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또한 수직이동부재(20)의 상단 측은 본체(1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가압 여부에 따라 하단 측이 실린더(13) 하부 외측을 향해 제 2 스프링부재(17)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출납된다. 즉, 본체(10)의 상부 외측에 노출된 막대(21)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막대(21)의 하단에 고정된 피스톤(23)이 실린더(13) 하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고, 고정핀(25)을 통해서는 실린더(13)에 의해 절단된 다수의 포장비닐(100)들이 1차적으로 적층 수집되는데, 이때 수직이동부재(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직이동부재(20)로부터 핀 부재(3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술한 고정핀(25)에 수집된 포장비닐(100)은 지지돌기(27)에 의해 임의로 고정핀(25) 상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수직이동부재(20) 상에는 본체(1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재(29)가 구비되고, 본체(10)의 상단면과 지지부재(29)의 하단면 사이에는 수직이동부재(20)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 2 스프링부재(17)가 개재된다.

    또한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수직이동부재(20) 측에는 수직이동부재(20)를 하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일측 손잡이(11)에 고정되는 로프부재(70)가 구비되고, 양단에 고정후크(81)가 마련된 어깨띠부재(80)가 별도로 구비되어 로프부재(70)를 이용해 수직이동부재(20)를 위치고정시킨 뒤 작업자가 실린더(13) 내에 1차 수집된 포장비닐(100)을 제거하기 위해 양측의 고정후크(81)를 토사 점파기장치(1)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한 상태로 토사 점파기장치(1)를 어깨에 들쳐 맬 수 있게 된다. 즉 수직이동부재(20)가 하강 된 상태에서 제 2 스프링부재(17)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려고 하는데 로프부재(70)를 일측 손잡이(11)에 끼워 고정시켜 수직이동부재(20)가 하강 된 상태, 즉 막대(21)의 하단에 고정된 피스톤(23)이 실린더(13) 하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후크(81)를 본체(10)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 각각 고정시켜 토사 점파기장치(1)를 어깨에 들쳐 맨 다음 용이하게 고정핀(25) 측에 1차 수집된 포장비닐(100)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체(10) 상에는 카운팅부재(30)가 설치되는데 이 카운팅부재(30)는 수직이동부재(20)가 수직이동된 횟수가 타운팅 됨으로써 몇 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씨앗(110)을 심었는지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카운팅부재(30)는 전술한 수직이동부재(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핀 부재(32)와 와이어(31)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이동부재(20)의 수직이동 횟수가 카운팅 되는데, 이를 위해 카운팅 부재는 본체(10) 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슬릿(19)을 통해 수직이동부재(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핀 부재(32)와 와이어(3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수직이동부재(20)의 상승시 잡아당겨지는 와이어(31)에 의해 수직이동 횟수가 기계적으로 카운팅 되게 된다. 이와 같은 카운팅부재(30)는 종래기술에 따른 카운팅기구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상, 하측 체결링(15) 내에는 공급관부재(40)가 선택적으로 관통 위치되는데 이 공급관부재(40)는 전술한 본체(10)에 의해 형성된 구멍 내에 삽입되어 그 내부를 통해 씨앗(110), 물, 비료 등이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는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관부는 씨앗(110) 투입시 사용되는 것, 물 투입시 사용되는것, 비료 투입시 사용되는 것이 각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물 공급시에는 공급관부재(40) 상부에 작업자가 등에 매고 작업 가능한 휴대용 물탱크(90)의 호스부재가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고 호스부재 일측에 구비된 밸브(93)를 게어함으로써 호스부재(91)로부터 공급관부재(40)로의 물의 공급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줄자부재(5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줄자부재(50)가 구비되는데, 이 줄자부재(50)는 구멍이 형성될 간격을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구멍형성 간격이 40cm일 경우 줄자부재(50)의 줄자를 40cm만큼 인출한 뒤 고정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며 동일간격마다 정확하게 구멍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의 측면에는 침부재(60)가 이격 위치되는데 이 침부재(60)는 전술한 고정핀(25)에서 수거된 포장비닐(100)들이 2차적으로 수집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측은 본체(10)의 하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측은 본체(10)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전술한 침부재(60)는 본체(10)와 평행을 이루도록 본체(1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위치되되 하단 측은 본체(10) 측으로 절곡되어 고정체결되고 상단 측은 본체(10) 측에 구비된 고정클립(51)과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되며 포장비닐(1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25) 내에 수집된 포장비닐(100)(60)이 2차 수집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사 점파기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구멍이 형성될 간격만큼 줄자부재(50)로부터 줄자를 인출하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구멍이 형성될 위치에 실린더(13)를 정위치 시키는데 본체(10)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며 작업자는 손잡이(11)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이다.

    그런 다음 손잡이(11)를 파지한 작업자는 체중을 이용해 본체(10)를 하향 가압하여 토사 이랑(120) 측에 구멍을 형성하는데 이때 실린더(13) 내의 피스톤(23)이 상승 되면서 카운팅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구멍 숫자가 카운팅 되고, 그 내부에 절단된 포장비닐(100)과 토사가 수용되며, 동시에 체결링(15) 내에 위치된 공급관부재(40)는 지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구멍형성이 종료된 뒤 공급관부재(40)는 자중에 의해 원위치 되고, 피스톤(23)은 제 1 스프링부재(23a)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내부에 충전된 토사를 토출시킨다. 토사의 토출이 원활하지 않을 시에는 작업자가 실린더(13)를 발로 가볍게 건드려 토출 시키거나 핀 부재(32)를 분리한 다음 수직이동부재(20)를 하향 이동시켜 피스톤(23)에 의해 강제로 토출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3) 내에 수용된 포장비닐(100)은 고정핀(25)에 의해 관통되어 1차 수집되고 수집된 포장비닐(100)들은 고정핀(25) 선단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27)에 의해 고정핀(25)으로부터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그런 다음 토사 이랑(120)에 형성된 구멍 내에 공급관부재(40)의 하단부를 삽입시키고 씨앗(110), 비료, 물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해 준다.

    작업자는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 실시하여 용이하게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데 고정핀(25) 내에 포장비닐(100)이 일정량만큼 수집되면 핀 부재(32)를 분리한 다음 수직이동부재(20)를 하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로프부재(70)를 일측 손잡이(11)에 끼워 수직이동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켜 고정핀(25)이 실린더(13) 하부로 노출되도록 한 뒤 어깨띠부재(80)를 이용해 토사 점파기장치(1)를 작업자의 어깨에 둘러매 준다. 그런 다음 포장비닐(100)을 고정핀(25)으로부터 분리하고 본체(10) 외측의 침부재(60)를 고정클립(51)으로부터 분리한 뒤 1차 수집된 포장비닐(100)들을 관통시켜 2차로 수집 처리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토사 점파기장치 10 : 본체
    11 : 손잡이 13 : 실린더
    15 : 체결링 15a : 조임나사
    17 : 제 2 스프링부재 19 : 관통슬릿
    20 : 수직이동부재 21 : 막대
    23 : 피스톤 23a : 제 1 스프링부재
    25 : 고정핀 27 : 지지돌기
    29 : 지지부재 30 : 카운팅부재
    31 : 와이어 32 : 핀 부재
    40 : 공급관부재 41 : 걸림돌기
    50 :1 줄자부재 51 : 고정클립
    60 : 침부재 70 : 로프부재
    80 : 어깨띠부재 81 : 고정후크
    90 : 휴대용 물탱크 91 : 호스부재
    93 : 밸브 100 : 포장비닐
    110 : 씨앗 120 : 토사 이랑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