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 곡괭이

申请号 KR1020070016361 申请日 2007-02-16 公开(公告)号 KR100824924B1 公开(公告)日 2008-04-28
申请人 강동수; 发明人 강동수;
摘要 A multifunctional pickax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pe with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by changing the coupling angle of a handle by installing a coupling shaft portion on a body. A coupling angle(coupling position) of a handle(6) is able to be changed in four stages by using a coupling shaft portion fixed on a body. A cutting blade(4)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a breaking blade(3) to be used as a cutting device and a pickax. The breaking blade and the cutting blade are respectively formed on a body portion(2) in the shape of a smooth curved line. The body is made of a hard metal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redetermined width. A coupling shaft portion is fixed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权利要求
  • 삭제
  • 본체의 대략 중간에 고정되는 결합축부와, 상기 결합축부에 체결되어 여러방향으로 접철되는 자루로 구성된 곡괭이에 있어서;
    본체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파기날과, 상기 본체 타측에 형성되는 소정 폭의 절단날과, 한 쌍으로 평행하는 결합축부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는 축부재에 의해 지지판 사이에 축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자루 하부의 나사홈이 체결될 수 있게 상기 회동부재 일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 외주에 끼워지는 탄지편 및 와셔와, 상기 탄지편의 모서리 부분에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지지판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요입홈과, 상기 지지판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요입홈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요입홈과, 상기 지지판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요입홈으로 구성하여서 된 다기능 곡괭이.
  • 청구항 2에 있어서 ; 지지판에 형성되는 요입홈의 깊이(h)는 각 요입홈 길이의 1/10 내지 1/50이고, 지지판의 경사면 기울기 각도( θ )는 20°내지 70°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곡괭이.
  • 说明书全文

    다기능 곡괭이{MULTIFUNSION PICKAX}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측면 분해도.

    도 3 : 본 발명 결합축부의 평단면도.

    도 4 : 본 발명 결합축부의 세로 단면도.

    도 5 : 본 발명 결합축부의 확대 단면도.

    도 6 : 본 발명 도 5의 작용 상태도.

    도 7 : 본 발명에서 절단날 방향으로 자루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8 : 본 발명에서 파기날 방향으로 자루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9 : 본 발명에서 자루를 경사지게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곡괭이 (2)--본체

    (3)--파기날 (4)--절단날

    (5)--결합축부 (6)--자루

    (7)(8)--지지판 (9)--축부재

    (7a)(7b)(7c)(7d)(8a)(8b)(8c)(8d)--요입홈

    (10)--회동부재 (11)--나사봉

    (12)--탄지편 (12a)--걸림부

    (13)--와셔 (14)--나사홈

    (15)--메탈베어링 (16)--결합부

    (17)--결합홈 (18)--리벳

    (19)--요철 (20)--구멍

    (21)--고무관체 (h)--요입홈의 깊이

    ( θ )--경사면 각도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로 자루를 접철할 수 있는 다기능 곡괭이에 관한 것이다.

    주로 단단한 땅이나 자갈, 나무뿌리 등을 파내는 데 사용하는 곡괭이는 괭이보다 폭이 좁고 가름하게 생긴 황새 부리 모양의 날이 자루의 양쪽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자루 일측으로 한 개 또는 2개 내지 4개로 형성되며, 근자에는 날과 자루를 접철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휴대 및 보관시에는 그 부피를 줄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등산ㆍ레저ㆍ군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야전삽은 자루 양측에 삽과 곡괭이를 접철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삽 또는 곡괭이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보관시에는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할 때 외력이 가장 많이 작용되는 자루를 중심으로 삽과 곡괭이가 각각 접철되는 구조이므로 구조적으로 약할 뿐 아니라, 사용할 때에는 삽과 자루 또는 곡괭이와 자루가 대략 90°로 유지된다.

    따라서, 담장ㆍ나무뿌리ㆍ나무줄기ㆍ돌ㆍ인공구조물과 같은 각종 장애물이 작업공간이나 그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이들 장애물에 의해 작업영역이 매우 제한되므로 원활한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깊이가 깊어질수록 사용이 힘들어지고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야전삽은 삽과 자루 또는 곡괭이와 자루가 대략 90°로 유지되므로 초기작업에는 유리한 반면, 작업공간이 협소할수록, 또한 작업깊이가 깊어질수록 삽과 자루 또는 곡괭이와 자루가 직선상태이거나 직선에 가까운 둔각으로 유지되어야 하나 이에 대응하지 못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거나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괭이는 끝이 뽀족한 상태여서 나무 뿌리 등을 절단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되지 않아 도끼ㆍ낫ㆍ톱 등의 절단도구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삽과 곡괭이는 접철을 위하여 일체형이 아니므로 약한 구조이며, 삽과 곡괭이에 적절한 탄성이 부여되지 않아 사용 수명이 짧을 뿐 아니라 충격이 작업자의 손으로 고스란히 전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루를 다단으로 다양하게 기울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곡괭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곡괭이의 반대편에 곡괭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절단날을 형성하여 곡괭이로 해결하기 힘든 나무뿌리 등을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곡괭이와 절단부는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완만한 곡선형상(유선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탄성을 갖도록 하고, 본체 중간부분에 체결되는 자루가 결합축부의 양측면과 상부면 및 경사면에 각각 체결되는 4단 접철구조로 구성하여 특히 좁은 공간에서의 용이한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일체로 형성된 절단날을 이용하여 나무 뿌리등을 효과적으로 절단 제거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시에는 접을 수 있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 다기능 곡괭이는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는 접철구조이고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약초채취, 엽채류 및 구근식물의 채취, 뿌리식물의 절단, 등산, 레저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기능 곡괭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4는 그 단면도이다.

    상기 다기능 곡괭이(1)는 소정 두께와 소정 폭의 경질 금속으로 구성된 본 체(2)와, 본체(2) 일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파기날(3: 흙파기 날)과, 본체(2)의 타측 끝부분에 형성되는 소정 폭(d)의 절단날(4)과, 본체(2)의 대략 중간부에 고정되는 결합축부(5)와, 상기 결합축부(5)에 체결되어 여러방향으로 접철되는 자루(6)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의 양측 끝 부분은 자루(6) 방향으로 다소간 가까워지는 완만한 기울기의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탄성이 부여되며, 끝 부분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파기날(3)은 2개 또는 2개 내지 5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복수 개의 파기날(3)은 끝부분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다소간) 좁아지는 비평행형이거나, 또는 파기날(3)의 끝부분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다소간) 넓어지는 비평행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절단날(4)의 폭은 본체(2)의 최대폭과 같거나, 또는 조금 큰 폭이거나 조금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본체(2)의 대략 중간부에 용접 또는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결합축부(5)는 한 쌍으로 이격하여 평행하는 지지판(7)(8)과, 상기 지지판(7)(8)을 관통하는 축부재(9)에 의해 지지판(7)(8) 사이에 축설치되는 회동부재(10)와, 회동부재(10) 일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봉(11)과, 나사봉(11) 외주에 끼워지는 탄지편(12) 및 와셔(13)로 구성되고, 상기 나사봉(11)은 자루(6)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홈(14)에 체결되어 자루(6)가 결합된다.

    대체로 사각형상인 탄지편(12)의 모서리 부분은 지지판(7)(8)의 한 쪽면 전체를 감쌀 수 있게 하향 절곡된 걸림부(12a)가 각각 형성되며,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면에 접촉되어 자루(6)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고, 자루(6)의 불필요한 유동이나 위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7)(8)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축 결합된 자루(6)가 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본체(2) 길이방향으로 평행 고정되며, 축부재(9)와 회동부재(10) 사이에는 슬리브 또는 메탈베어링(15)이 결합되어 회동부재(10)의 원활한 회동이 부여되며, 상기 와셔(13)는 스프링와셔나 엠보싱와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루(6)는 경질의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일체화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의 결합, 또는 목재와 금속의 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높은 강도의 금속등으로 구성된 결합부(16)의 결합홈(17)에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으로 된 자루(6) 하부를 끼운 다음 리벳(18)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자루(6)를 결합하거나, 또는 자루(6)와 결합부(16)를 고(高)강도의 합성수지나 금속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결합부(16)의 하부에는 나사봉(11)이 체결되는 나사홈(14)이 형성된다.

    자루(6)의 상부는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도 1, 도 2, 도 9와 같이 복수의 요철(19)을 소정구간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관체(21)를 끼워 견고한 파지를 달성할 수 있으며, 자루(6)의 상단부에는 고리나 끈 등을 끼울수 있는 구멍(2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7)(8)은 자루(6)의 각도를 다단(4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탄지편(12)이 접하는 좌측면과 우측면과 상부면 및 절단날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 각 도( θ )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지지판(7)(8)의 좌측면에 소정깊이의 요입홈(7a)(8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7)(8)의 우측면에도 요입홈(7b)(8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7)(8)의 상부면에도 요입홈(7c)(8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7)(8)의 경사면에도 마찬가지로 요입홈(7d)(8d)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7a)(7b)(7c)(7d)(8a)(8b)(8c)(8d)들은 각 면의 중앙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완만하게 요입되는 곡선형이며, 따라서 탄지편(12)이 상기 요입홈(7a)(7b)(7c)(7d)(8a)(8b)(8c)(8d)의 가장자리 부분과 면접촉하지만, 사용시에 도 6과 같이 (A)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면 자루(6)와 와셔(13)를 통하여 탄지편(12)으로 압력(외압)이 전달되게 되며, 탄지편(12)은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지편(12)과 요입홈(7a)(7b)(7c)(7d)(8a)(8b)(8c)(8d)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또는 거의 접촉되면서 접촉면적이 확장되므로 지지력이 향상된다.

    상기 외력이 제거되거나 완화되면 요입홈(7a)(7b)(7c)(7d)(8a)(8b)(8c)(8d)에 가까워졌던 탄지편(12)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도 5와 같이 원래위치로 복귀하여 평면 상태로 유지되므로, 자루(6)의 체결상태가 이완되지 않게되고 충격이 흡수되며, 따라서 작업자의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대폭 완화된다.

    상기 요입홈(7a)(7b)(7c)(7d)(8a)(8b)(8c)(8d)의 중앙부, 즉 제일 깊은 곳의 깊이(h)는 각 면의 길이와 탄지편(12)의 탄성력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예컨대, 요입홈의 깊이(h)는 각 요입홈(7a)(7b)(7c)(7d)(8a)(8b)(8c)(8d) 길이의 1/10 내지 1/50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의 기울기 각도( θ )는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좋도록 20°내지 70°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본 발명 다기능 곡괭이(1)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곡괭이로 사용할 때에는 나사봉(11)에 체결된 자루(6)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2) 및 자루(6)의 회동을 자유롭게 한 다음 탄지편(12)이 지지판(7)(8)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루(6)를 조임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키면 도 5와 같이 자루(6)의 하부 끝부분이 와셔(13)를 밀게되고, 상기 와셔(13)는 탄지편(12)을 밀어 탄지편이 지지판(7)(8)의 상부면에 각각 접촉하여 도 1과 같이 파기날(3)과 자루(6)가 거의 직각 상태로 체결되어 곡괭이로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탄지편(12)에 형성된 걸림부(12a)는 지지판(7)(8)의 한 쪽면 전체를 감싸 걸림되므로 자루(6)의 결합이 견고해지며, 또한 자루(6)의 불필요한 유동이나 위치 이탈 및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나무뿌리 등의 식물줄기를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자루(6)와 거의 직각상태로 유지되는 절단날(4)을 이용하여 절단하면 된다.

    상기에서 자루(6)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탄지편(12)이 지지판(7)(8)의 모서리 부분을 지나치면 되므로 자루(6)를 나사봉(1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아도 된다.

    한편, 작업공간의 깊이가 깊어지는 경우 도 9와 같이 지지판(7)(8)의 경사면 방향에 자루(6)가 위치하도록 체결시키면 된다. 체결방법은 상기와 같다.

    또한, 작업공간이 더욱 깊어지거나 필요에 따라 7과 같이 파기날(3)과 자루(6)가 거의 일직선이 되게 체결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절단날(4)과 자루(6)가 거의 일직선이 되게 체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다기능 곡괭이(1)를 휴대 보관시에는 도 7과 같이 파기날(3)과 자루(6)가 거의 일직선이 되게 체결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절단날(4)과 자루(6)가 거의 일직선이 되게 체결시켜, 그 부피를 줄인다음 휴대 및 보관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 다기능 곡괭이(1)는 자루(6)의 4단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이동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좁은 공간 특히, 담장 사이나 나무뿌리, 돌 사이와 같이 장애물이 있거나 작업공간이 극히 제한되는 경우, 이에 맞도록 곡괭이의 자루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공간의 제한이나 장애물이 있더라도 쉽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다기능 곡괭이(1)는 본체(2) 부분에 결합축부(5)가 구비되어 있어서 자루(6)의 체결각도(체결위치)를 다단(4단)으로 다양화할 수 있어서 작업환경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다기능 곡괭이(1)는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는 접철구조이고, 다양한 각도로 체결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약초채취, 엽채류 및 구근식물의 채취, 뿌리식물의 절단, 등산, 레저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와 조작이 매우 간단 용이하며, 적은 힘으로 땅을 파거나 뿌리 등을 절단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다기능 곡괭이(1)는 파기날(3)의 반대편에 절단날(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곡괭이와 절단기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파기날(3)과 절단날(4)은 완만한 곡선형의 본체(2)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강도저하가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