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소변 장치

申请号 KR2020090010868 申请日 2009-08-20 公开(公告)号 KR2020110001962U 公开(公告)日 2011-02-28
申请人 이윤직; 发明人 이윤직;
摘要 본 고안은 휴대용 소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홈(101)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배뇨관(100)과; 상기 배뇨관(100) 상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뇨관(100)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배뇨커버(110)와; 팽창 및 복원이 가능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상단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뇨관(100)의 걸림홈(101)에 끼워지게 되며, 휴대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상기 배뇨관(100) 내부에 삽입되고, 세척시에는 상기 배뇨관(10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배뇨백(120)과; 용변시 상기 배뇨관(100)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뇨관(100) 외주면에 테두리 형상으로 장착되는 걸림부(130)로 구성되어 화장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소변을 해결하고자 할 때 장소에 상관없이 남성과 여성 모두 쉽게 소변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 및 사후처리가 간편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휴대용, 소변, 용변, 배뇨, 처리
权利要求
  •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배뇨관과;
    상기 배뇨관 상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뇨관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배뇨커버와;
    팽창 및 복원이 가능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상단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뇨관의 걸림홈에 끼워지게 되며, 휴대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상기 배뇨관 내부에 삽입되고, 세척시에는 상기 배뇨관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배뇨백과;
    용변시 상기 배뇨관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뇨관 외주면에 테두리 형상으로 장착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에 끼워진 배뇨백 외주에는 고무재질의 고정밴드가 구비되어 상기 배뇨관과 배뇨백 사이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밴드 외주에는 고무재질의 커버밴드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과 고정밴드를 커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관의 상단부가 굴곡 형성되어 여성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굴곡 형성된 여성배뇨관이 구비되어 상기 배뇨관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어 여성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배뇨관 하단에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뇨관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끼움부의 직경이 상기 배뇨관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정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굴곡이 형성된 상기 여성배뇨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여성배뇨관의 상단부에 형성된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의 여성배뇨커버가 마련되며, 상기 여성배뇨커버 일측에는 연결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여성배뇨관 중단에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여성배뇨커버와 연결수단을 연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변 장치.
  • 说明书全文

    휴대용 소변 장치{Device of portable urine}

    본 고안은 휴대용 소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남성 또는 여성이 화장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갑자기 소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된 소변을 위생적이면서도 깔끔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평상시 이러한 위급 상황을 대비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용 소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적인 현상으로 인해 일어나게 되는 소변을 처리하기 위해 사람들의 생활장소에는 화장실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러한 화장실 시설이 없는 야외나, 장거리 운행중 정체현상이 지속되는 차량 내부, 또는 산과 같이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급한 용변의 처리는 심각한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으며, 어쩔 수 없이 사람들은 화장실을 찾을 때까지 이를 꾹 참거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체면을 손상하게 되더라도 노상방뇨를 통해서 이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인내력이 부족한 어린아이가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이나 차량 내부에서 뇨의를 느끼게 되는 경우에는, 소변을 참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처리하기가 매우 난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통상적으로 보호자가 비닐봉투나 깡통 등을 이용하여 소변을 처리하고 있기는 하나, 용기에 담겨진 소변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넘치게 되어 악취발생 및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소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개구부에는 슬라이딩 지퍼(11)가 형성되는 비닐백(1)과, 상기 비닐백(1)의 내부에 일정량이 구비되도록 하여 소변과 신속하게 결합되어 겔(gel)로 변형되게 하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분말가루(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사용자가 뇨의를 느끼는 경우 비닐백(1)의 슬라이딩 지퍼(11)를 열고서 상기 비닐백(1)이 소변통과 같은 일정한 모양을 이루게 한 다음, 그 후 사용자가 슬라이딩 지퍼(11)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향하여 소변을 보게 되면, 상기 비닐백(1) 내부에 구비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분말가루(2)와 소변이 결합되어 겔(gel)로 변형되게 하여 소변이 외부로 누출되는 상태로 보관하다가 폐기 처분하면 되는 것으로, 화장실이 없는 야외에서 소변후 처리를 위생적이면서 깔끔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비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변을 해결하기 위해 비닐백을 잡을 경우 외력에 의해 상기 비닐백의 변형이 발생되어 사용 자가 쉽게 잡을 수 없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고, 신체구조가 다른 여성은 더욱더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일회성 상품이기 때문에 한 번 사용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휴대용 소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남성 또는 여성이 화장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갑자기 소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된 소변을 위생적이면서도 깔끔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평상시 이러한 위급 상황을 대비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배뇨관과; 상기 배뇨관 상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뇨관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배뇨커버와; 팽창 및 복원이 가능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상단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뇨관의 걸림홈에 끼워지게 되며, 휴대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상기 배뇨관 내부에 삽입되고, 세척시에는 상기 배뇨관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배뇨백과; 용변시 상기 배뇨관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뇨관 외주면에 테두리 형상으로 장착되는 걸림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화장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 서 소변을 해결하고자 할 때 장소에 상관없이 남성과 여성 모두 쉽게 소변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 및 사후처리가 간편하여 기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서 휴대용 소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의 여성배뇨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에 여성배뇨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0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배뇨관(100) 하단부에 고무재질의 배뇨백(120)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배뇨관(100) 상단부에는 배뇨커버(110)가 장착되고, 상기 배뇨관(100) 외주면에는 걸림부(130)가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파이프 형상의 배뇨관(100)과, 상기 배뇨관(100) 상단에 장착되는 배뇨커버(110)와, 상기 배뇨관(100) 하단에 장착되는 배뇨백(120)과, 상기 배뇨관(100) 외주면에 구비되는 걸림부(130)로 이루어진다.

    배뇨관(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뇨관(100)의 하단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의 폭이 형성된 걸림홈(101)이 성형된다.

    상기 배뇨관(1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배뇨관(100)을 잡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배뇨커버(110)는 고무재질로 성형되어 배뇨관(100)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뇨관(1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배뇨관(100)으로부터 연결된 상기 배뇨커버(110)의 연결부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마모로 인해 끊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뇨백(120)은 향균성이 있는 천연고무 소재의 라텍스로 성형되며, 팽창 및 복원이 가능한 풍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뇨백(120)의 상단 일부가 개구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여 배뇨관(100) 하단에 삽입 가능하게 함으로써 걸림홈(101)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01)에 끼워진 배뇨백(120) 외주에는 고무재질의 고정밴드(121)가 구비되어 상기 배뇨관(100)과 배뇨백(120) 사이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밴드(121) 외주에는 고무재질의 커버밴드(122)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101)과 고정밴드(121)를 커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팽창하기 전인 일반상황에서의 배뇨백(120)은 납작한 풍선형상이 되며, 사용자가 소변을 해결한 다음에는 소변이 상기 배뇨백(120) 내부에 저장되기 때문에 팽창하여 부풀어 오른 구 모양의 풍선형상이 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를 휴대할 경우에는 배뇨백(120)을 배뇨관(100) 내부에 삽입시켜 제품 전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변을 해결 한 다음 세척시에는 상기 배뇨관(100)으로부터 배뇨백(120)을 분리시켜 세척 및 건조 후 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걸림부(130)는 배뇨관(100) 외주면에 테두리 형상으로 장착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30) 상단의 직경이 하단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변 해결시 상기 배뇨관(100)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과 배뇨관(100) 외부로 튀는 소변 잔해가 손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배뇨관(100)은 상단부가 굴곡 형성되어 여성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굴곡 형성된 여성배뇨관(2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배뇨관(100)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여성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여성배뇨관(200)은 굴곡에 의해 전면부의 높이가 후면부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여성배뇨관(200)의 하단에는 끼움부(201)가 돌출 형성되어 배뇨관(100)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끼움부(201)의 직경이 상기 배뇨관(100)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정도로 구비되어 상기 여성배뇨관(200)이 배뇨관(100)에 삽입된 후 외력이 없는 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곡이 형성된 여성배뇨관(200) 상부에는 여성배뇨커버(210)가 구비되어 여성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성배뇨관(2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여성배뇨커버(210)는 배뇨커버(110)와 같이 고무재질로 구비되되, 전면부에는 걸림돌기(211)가 구비되어 여성배뇨관(200)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며, 후면부에는 연결수단(212)이 장착되어 휴대시 분실을 방지하게 한다.

    한편, 여성배뇨커버(210) 및 연결수단(212)을 여성배뇨관(200)과 연결시키기 위해 고리(202)가 상기 여성배뇨관(200)의 후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고리(202)의 일측은 여성배뇨관(200)의 후면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타측은 구 형상의 걸림볼(203)이 형성되어 여성배뇨관(200)의 후면 중단에 당접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리(202)가 여성배뇨관(200)으로부터 소정간격의 이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수단(212)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마모로 인해 끊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하되, 상기 연결수단(212)의 일측은 여성배뇨커버(210)의 후면부에 장착되고,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는 고리(202)의 걸림볼(203)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수단(212)이 고리(203)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게 한 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212)은 고리(203)의 걸림볼(203)을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인 휴대용 소변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0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배뇨관(100) 하단부에 고무재질의 배뇨백(120)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배뇨관(100) 상단에는 배뇨커버(110)가 장착된다.

    이때, 배뇨백(120)은 팽창 및 복원이 가능한 고무재질로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소변을 처리하기 전에는 밀착되어 최소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소변을 처리한 다음에는 상기 배뇨백(120) 내부에 용변이 채워져 초기보다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추후에 상기 배뇨백(120)으로부터 용변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다시 초기의 상태로 복원되어 세척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뇨관(100)의 걸림홈(101)에 끼워지는 배뇨백(120) 외주에는 고무재질의 고정밴드(121)가 구비되어 상기 배뇨관(100)과 배뇨백(120) 사이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밴드(121) 외주에는 고무재질의 커버밴드(122)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101)과 고정밴드(121)를 커버하게 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홈(101)과 배뇨백(120)의 결합부위를 가리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인 휴대용 소변 장치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휴대시에는 파이프 형상의 배뇨관(100) 내부가 비어있는 것을 이용해 배뇨백(120)을 상기 배뇨관(100) 내부에 삽입시킴으로써 외형을 최소화하여 편리하 게 휴대할 수 있게 하며, 사용시에는 배뇨관(100) 상부에 구비된 배뇨커버(110)를 열어 상기 배뇨관(100) 내부에 삽입된 배뇨백(120)을 하단 외부로 밀어내면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굴곡 형성된 여성배뇨관(200)이 추가로 구비되어 배뇨관(100)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여성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는 걸림홈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배뇨관 하단부에 고무재질의 배뇨백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배뇨관 상단부에는 배뇨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배뇨관 외주면에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화장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소변을 해결하고자 할 때 장소에 상관없이 쉽게 소변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 및 사후처리가 간편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소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의 여성배뇨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 장치에 여성배뇨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뇨관 101 : 걸림홈

    110 : 배뇨커버 120 : 배뇨백

    121 : 고정밴드 122 : 커버밴드

    130 : 걸림부 200 : 여성배뇨관

    201 : 끼움부 202 : 고리

    203 : 걸림볼 210 : 여성배뇨커버

    211 : 걸림돌기 212 : 연결수단

    QQ群二维码
    意见反馈